맨위로가기

비의도적 공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의도적 공원은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경제 붕괴, 군사 통제 구역, 지뢰밭, 오염 등으로 인해 인간의 사용이 중단된 지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역은 체르노빌 제외 구역과 같이 야생 동물이 번성하고 생태계가 회복되는 사례를 보여주며, 한국의 비무장 지대(DMZ)와 같이 멸종 위기 동물의 서식지가 되기도 한다. 비의도적 공원은 도시 탐험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원 - 광장
    광장은 도시에서 시민들이 소통하고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공공 공간으로, 역사적으로 상품 교환, 권력 과시, 정치, 경제, 사회, 종교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대에는 집회, 문화 행사, 휴식 등 다채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민주주의 사회의 중요한 기반이다.
  • 공원 - 선형공원
    선형 공원은 도시나 자연의 특정 통로를 따라 좁고 길게 조성된 공원으로, 여가 및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도시 녹지 공간 부족을 해결하며, 도시 재생 및 생태 기능 강화에 기여한다.
  • 2000년대 신조어 - 조중동
    조중동은 대한민국 3대 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통칭하는 말로, 보수적 성향과 보도 행태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사용되며, 과거 친일 행적 논란, 정치적 편향성, 오보 및 왜곡 보도 등으로 비판받는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있는 신문들이다.
  • 2000년대 신조어 - 유튜버
    유튜버는 유튜브에 비디오를 제작 및 게시하는 사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라고도 불리며 MCN의 등장으로 직업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향력 증가와 수익 창출에도 불구하고 시장 과점, 수익 불안정성, 영상 조작, 저작권 침해 등 문제점과 비판이 존재한다.
비의도적 공원

2. 용어의 기원

브루스 스털링은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맥락에서 비의도적 공원에 대해 처음 언급했다. 그는 이 개념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1]

:그것들은 20세기의 국립공원과 약간의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데, 국립공원은 우리 자연 유산을 공식적으로 관리하는 잘 훈련된 산림 감시원에 의해 불안하게 보호되는 정부 소유의 지역이다. 예를 들어, 그것들은 매우 푸르며, 야생 동물로 가득할 것이다. 그러나 종의 혼합은 더 이상 자연적이지 않다. 그것들은 주로 빠르게 자라는 잡초, 과 대나무의 국제적인 정글이며, 아마도 침투하는 염수를 처리할 수 있는 많은 유전자 변형 종이 있을 것이다. 폐기물로 철거할 수 없는 물에 잠긴 도시들은 부자연스러운 과잉 성장에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스털링이 처음 생각했던 비의도적 공원은 경제 붕괴나 해수면 상승 때문에 사람들이 떠나 버려진 장소였다. 하지만 이후 이 용어는 군사 통제 구역, 지뢰밭, 또는 오염 때문에 위험하다고 여겨지는 지역처럼, 어떤 이유로든 인간의 거주나 이용이 중단된 모든 땅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확장되었다.[2][3][4]

3. 실제 사례

인간의 활동이 중단되거나 급격히 줄어든 지역에서는 자연 스스로 회복하며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비의도적 공원이라 부른다. 유령 도시, 폐선, 폐광, 도시 쇠퇴 지역 등 인간의 발길이 끊긴 곳에서 주로 나타난다.

세계적으로 체르노빌 제외 구역[5]이나 과거 록키 마운틴 병기창 부지[7] 등이 잘 알려진 사례이며, 때로는 멸종 위기 종의 중요한 서식지가 되기도 한다. 한국의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 역시 대표적인 비의도적 공원으로[8], 분단 상황이 역설적으로 생태 보존 공간을 만들었다. 이러한 비의도적 공원들은 전 세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보여주는 독특한 사례가 된다.

3. 1. 전 세계 비의도적 공원

체르노빌 주변의 사고 지역에서 식물이 집을 되찾는 모습


인간의 정착지와 개발이 식물과 야생 동물에 의해 다시 점령된 곳은 전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유령 도시, 사용하지 않는 폐선, 폐광, 폐쇄되거나 알려지지 않은 비행장, 또는 도시 쇠퇴나 탈산업화를 겪는 지역은 인간의 존재가 줄어들면서 생태적 천이가 다시 일어날 수 있다.

체르노빌 제외 구역에서는 이전에 해당 지역에서 사라졌던 멧돼지, 늑대, 불곰과 같은 토착종이 돌아왔으며, 재도입된 프르제발스키 말 무리가 번성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5] 그러나 야생 동물이 인간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지역에서 번성하는 반면, 심각한 오염에 노출된 지역에 사는 많은 작은 동물(예: 생쥐)에게서는 종양, 불임, 낮은 뇌 중량 등이 보고되기도 했다.[6]

미국 덴버에 위치했던 옛 록키 마운틴 병기창은 화학 무기 생산으로 인한 오염 때문에 수년간 버려졌으나, 이후 야생 동물이 돌아오면서 결국 해당 부지는 야생 동물 생태 회복지로 전환되었다.[7]

인간의 접근이 엄격히 제한된 비의도적 공원은 다른 지역에서는 심각한 위협에 처한 동물 종들에게 중요한 서식지가 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 군사분계선(DMZ)한국 호랑이뿐만 아니라 멸종 위기에 처한 아무르표범의 서식지로 추정되지만,[8] 20세기 후반 이후 사진으로 확인된 기록은 없다. 분단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이 역설적으로 희귀 동식물의 안식처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위의 예들은 비의도적 공원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브루스 스털링이 제시한 "부자연스러운" 생태계에 대한 디스토피아적 비전은 아직 관찰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관찰된 사례에서, 기존의 비의도적 공원은 스털링이 이론화한 새로운 환경과는 반대로, 인간의 개입 이전 생태 질서를 회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비의도적 공원이 도시 또는 이전 도시 지역에서 개발될 경우, 도시 탐험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전 세계의 추가적인 비의도적 공원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히라쿠드 댐의 범람으로 형성된 연못에 있는 Cattle Island
  • 키프로스의 그린 라인
  • 홍콩변경금구
  • 미국 정부 군사 보호 구역인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 트리니티 핵 실험 장소이기도 하다.
  • 과거 철의 장막의 엄격한 군사 통제로 인해 유럽 전역에 걸쳐 형성된 거대한 녹지 회랑. 이 지역을 유럽 그린 벨트로 보호하기 위한 계획이 진행 중이다.
  • 미국 하와이주 힐로의 해안가는 두 차례의 파괴적인 쓰나미 피해 후 버려져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의 주거 지역이었던 땅은 굿 프라이데이 지진으로 인해 파괴되어 지진 공원(Earthquake Park)으로 바뀌었다.
  • 과거 러브 커낼을 둘러싸고 있던 지역.
  • 푸에르토리코 비에케스에 있던 이전 미 해군 기지 지역.
  • 중국 저우산 군도의 고우치 섬에 보존된 버려진 어촌.
  • 핵실험 장소였던 오스트레일리아의 몬테벨로 제도.
  • 미국 미주리주 타임스 비치. 다이옥신 오염으로 인해 주민들이 대피하고 도시가 해체되었으며, 현재는 루트 66 주립공원 부지가 되었다.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의 생태 공원(Reserva Ecológicaes). 코스타네라 수드 대로에서 강에 버려진 철거 건물 폐기물 매립지에 시간이 지나면서 모래와 퇴적물이 쌓여 형성되었고, 토착 팜파스 평원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을 보여주는 곳으로 발전했다.
  • 아이펠 국립공원의 일부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매설된 지뢰로 인해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되어 있다.
  • 미국 뉴욕주의 레드 하우스와 엘코. 앨러게니 주립 공원, 앨러게니 저수지, 서던 티어 고속도로 건설 등 여러 공공 사업을 위해 20세기 중반 뉴욕 주에 의해 몰수되었다. 이 부지의 대부분은 공식적인 공원으로 전환되었지만, 앨러게니 인디언 보호 구역의 일부(특히 이전 뉴욕 주도 17번 국도 일부)는 폐쇄되어 자연 상태로 남겨졌다.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센트레일리아. 탄광 화재로 인해 버려진 도시.
  • 핸퍼드 사이트 국립 기념물. 핵폭탄용 플루토늄을 생산했던 핸퍼드 사이트 주변의 이전 완충 지대.
  • 인도네시아 자바섬의 우중쿨론 국립공원. 1883년 크라카토아 화산 폭발로 황폐화되고 인구가 감소한 농지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관리되는 국립 공원이다.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의 버커레슈티 자연공원.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그리고 코소보의 지뢰 지대. 불발탄으로 인해 접근이 제한된다.[9]
  • 미국 미시간주 네가우니의 구 시가지. 지역 철광석 채굴로 인해 훼손된 후 버려진 도시의 일부.
  • 냉전 시대 독일을 분단했던 철의 장막 일부는 지뢰가 제거되지 않아 일반인 접근이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야생 동물이 번성하게 되었다. 소위 "죽음의 띠" 일부에서는 유라시아늑대가 스스로 재정착하기도 했다.
  • 영국 스태퍼드셔의 해머리 크레이터. RAF 폴드 폭발이 발생했던 장소.
  • 제1차 세계 대전의 옛 전장으로, 프랑스 북동부에 위치한 존 루즈.
  •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주거 적색 구역. 2011년 크라이스트처치 지진으로 토지 피해를 입은 여러 교외 지역의 약 8,000채의 집이 철거된 후 재건되지 않았다.[10]
  • 이스라엘,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사이의 골란고원 지역. 지뢰로 인해 인간의 접근이 제한되면서 인도늑대, 산가젤, 야생 멧돼지, 독수리 등 다양한 야생 동물의 안식처가 되었다.[11][12]

3. 2. 한국의 비의도적 공원

한국에서도 인간의 활동이 제한되면서 자연 스스로 회복하거나 보존된 비의도적 공원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곳이 바로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이다.[8] 한국 전쟁 이후 군사적 필요에 의해 설정된 이 지역은 오랜 기간 민간인의 접근이 통제되면서, 역설적으로 한반도의 중요한 생태 축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DMZ 일대는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된 덕분에 다양한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가 되었으며,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닌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DMZ가 비록 분단의 상징이지만, 동시에 예기치 않게 보존된 자연의 보고임을 보여준다. DMZ의 구체적인 생태적 가치와 보전 논의는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2. 1. DMZ의 생태적 가치

한국군사분계선(DMZ)은 인간의 활동이 엄격히 제한된 대표적인 비의도적 공원 사례 중 하나이다. 한국 전쟁 이후 군사적 대치 상황으로 인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면서, 역설적으로 DMZ 일대는 오랜 시간 동안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게 되었다. 이 지역은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가 되었다.

특히, DMZ에는 한때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춘 것으로 여겨졌던 한국 호랑이나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아무르표범과 같은 희귀 포유류가 서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8] 비록 20세기 후반 이후 이들 동물이 직접 관찰되거나 촬영된 공식적인 기록은 없지만,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된 DMZ의 환경은 이들 멸종 위기종에게 마지막 남은 중요한 피난처이자 서식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처럼 DMZ는 분단의 아픔을 상징하는 공간인 동시에, 예기치 않게 보존된 생태계의 보고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3. 2. 2. DMZ의 평화적 이용 논의

인간의 활동이 엄격히 제한된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는 비의도적 공원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이곳은 멸종 위기에 처한 한국 호랑이아무르표범의 서식 가능성이 제기될 정도로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닌 공간으로 평가받는다.[8] 비록 20세기 후반 이후 이들 동물이 직접 관찰되거나 촬영된 기록은 없지만, 오랜 기간 인간의 간섭이 배제되면서 형성된 독특한 생태계는 그 자체로 큰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DMZ의 생태적 가치는 향후 남북 관계 개선 시 평화적 이용 및 보전 방안 논의의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참조

[1] 문서 The World is Becoming Uninsurable, Part 3 http://www.viridiand[...] Viridian design movement
[2] 뉴스 Sheep rule defunct Cyprus village http://news.bbc.co.u[...] 2009-06-18
[3] 웹사이트 The Green Ribbon http://www.worldchan[...] 2005
[4] 웹사이트 Landmines and Involuntary parks http://home.ecn.ab.c[...]
[5] 뉴스 Wildlife defies Chernobyl radi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6] 학술 Blind mice and bird brains: the silent spring of Chernobyl and Fukushima http://www.theecolog[...] 2016-04-26
[7] 웹사이트 Rocky Mountain Arsenal http://www.fws.gov/r[...] U.S. Fish & Wildlife Service 2011-09-01
[8] 뉴스 Korea's DMZ: The thin green line http://edition.cnn.c[...] CNN 2003-08-22
[9] 뉴스 The 'Endless War' of Land Mines in the Balkans https://www.nytimes.[...] 2018-04-04
[10] 웹사이트 Red Zone road changes https://www.ccc.govt[...] 2016
[11] 웹사이트 Making peace in the Golan Heights—between humans and wolves https://www.national[...] 2019-04-11
[12] 학술 THE GOLAN WOLVES: THE DYNAMICS, BEHAVIORAL ECOLOGY, AND MANAGEMENT OF AN ENDANGERED PEST http://www.sciencefr[...] 2005-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