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폭력 혁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폭력 혁명은 폭력 없이 정부를 전복하는 것을 의미하며,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탈식민지 시대에는 1919년 이집트 혁명, 3.1 운동, 소금 행진, 인도를 떠나라 운동 등이 있었으며, 냉전 시대에는 바르샤바 조약기구 국가에서의 프라하의 봄, 1989년 혁명, 솔리다르노시치 운동, 노래하는 혁명, 벨벳 혁명 등이 대표적이다. 탈냉전 시대에는 색깔 혁명으로 불리는 불도저 혁명, 장미 혁명, 오렌지 혁명, 벨벳 혁명 등이 일어났으며, 레바논의 시더 혁명, 6월 항쟁, 2001년 제2차 EDSA 혁명 등 다양한 비폭력 혁명이 발생했다. 평화 혁명은 민주주의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며, 조지 레이키는 비폭력 혁명을 위한 5단계 전략을 제시했다. 진 샤프는 비폭력 혁명을 위한 198가지 이상의 방법을 제시했으며, 마하트마 간디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역시 비폭력 저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화주의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평화주의 - 기독교 평화주의
    기독교 평화주의는 성서, 예수의 사역, 초기 교회의 영향을 받아 전쟁과 폭력에 반대하고 평화를 추구하는 기독교 신념으로, 역사 속에서 비폭력주의 옹호와 전쟁 정당화의 흐름 속에서도 여러 교파를 통해 유지되어 왔다.
  • 비폭력 혁명 - 소금 행진
    소금 행진은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으로, 영국령 인도의 소금세에 대한 항의와 독립운동의 전환점을 이루었으며, 소금법 위반을 통해 전국적인 시민 불복종 운동을 촉발했다.
  • 비폭력 혁명 - 오렌지 혁명
    오렌지 혁명은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의 부정 의혹에 항의하여 발생한 대규모 시위와 정치적 변화를 일컫으며, 재선거를 통해 빅토르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비폭력 혁명
지도
개요
정의정부의 퇴진을 가져오기 위한 시민 저항
다른 이름비폭력 저항 운동
비폭력 시민 혁명
민중 혁명
비폭력 투쟁
특징
방법보이콧
시민 불복종
파업
시위
기타 비폭력 저항 방식
목표정권 교체
정치적 변화
사회적 변화
역사적 사례
주요 사례필리핀 민중혁명 (1986년)
세르비아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축출 (2000년)
조지아의 장미 혁명 (2003년)
우크라이나의 오렌지 혁명 (2004년)
키르기스스탄의 튤립 혁명 (2005년)
아랍의 봄 (2010년-2012년)
수단 혁명 (2019년)
성공 요인대규모 시민 참여
비폭력 전략의 지속적인 유지
군부의 중립 또는 지지 확보
국제 사회의 지지
실패 요인폭력적인 대응
운동 내부의 분열
지도력 부재
외부의 개입
이론 및 연구
주요 학자진 샤프
에리카 체노웨스
주요 연구 주제비폭력 저항의 효과
시민 저항 전략의 설계
사회 운동의 동역학
추가 정보
관련 개념시민 저항
비폭력 저항
사회 운동
정치 혁명
참고 자료Nonviolent revolutions : civil resistance in the late 20th century
Nonviolence and the Case of the Extremely Ruthless Opponent
Why civil resistance works : the strategic logic of nonviolent conflict
관련 링크TIME지: 코라손 아키노

2. 역사적 배경

비폭력 저항을 통한 중요한 정치적 변화는 고대 로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5] 로마의 평민 계급은 총파업을 벌이고 도시를 떠남으로써 도시를 버림 공화국의 성문 헌법 변화를 이끌어냈다.

2. 1. 탈식민지 시대

20세기에는 마하트마 간디사티아그라하 철학에 의해 비폭력 혁명이 대중화되었는데, 그는 인도 국민을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으로 이끌었다. 독립 이후 인도 분할의 폭력과 간디의 통제를 벗어난 수많은 혁명적 봉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인도의 독립은 군사 혁명이 아닌 국가 저항 기간 이후 법적 절차를 통해 달성되었다.[6]

사회주의 제4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칼 마르크스는 "평화로운" 혁명의 이론적 가능성을 인정했지만, 제4인터내셔널 기사들 또한 "군대와의 좋은 관계 발전과 유지는 준비 단계 혁명 작업의 절대적 우선순위 중 하나이다"라고 말한다. 일부에서는 비폭력 혁명은 비교적 비폭력적인 포르투갈 카네이션 혁명과 같이 군대와의 친선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6]

날짜비폭력 혁명참고
1918이집트 혁명영국 식민 지배를 전복하려는 시도.[16]
19193.1 운동대한민국에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을 무효화하고 독립을 선언하려는 시도.
1930소금 행진 (Salt Satyagraha)인도에서 영국 식민 지배를 전복하려는 시도.
1942인도를 떠나라 운동 (Quit India movement)영국 지배로부터 인도의 즉각적인 독립을 요구하는 운동.


2. 2. 냉전 시대

마하트마 간디사티아그라하 철학은 20세기 비폭력 혁명을 대중화하는데 기여했다. 간디는 인도 국민을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으로 이끌었는데, 이는 군사 혁명이 아닌 국가 저항과 법적 절차를 통해 달성되었다.[5]

사회주의 제4인터내셔널은 칼 마르크스가 "평화로운" 혁명의 가능성을 인정했지만, "군대와의 좋은 관계 발전과 유지는 혁명 준비 작업의 절대적 우선순위"라고 언급한다.[6] 비폭력 혁명은 군대와의 친선이 필요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6]

2. 2. 1. 바르샤바 조약기구 국가

날짜비폭력 혁명참고
1968프라하의 봄체코슬로바키아의 정치적 자유화 시기.
1980–1989솔리다르노시치 운동공산주의 통치에 대한 대중 저항. 계엄령 선포로 인해 진행이 중단.
1987–1989/1991노래하는 혁명대규모 노래 시위 후, 발트 3국(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전역에 걸쳐 인간 사슬(생명의 사슬)이 형성된 발트의 길 사건.
1989평화혁명독일민주공화국에서 일어나 베를린 장벽 붕괴로 이어짐.
1989벨벳 혁명체코슬로바키아에서의 무혈 혁명. 공산 정권 붕괴.
1989불가리아의 무혈 혁명공산 정권의 붕괴.
19891989년 혁명1989년에 일어난 혁명들을 묶어서 언급.
1990골라니아드4월, 부쿠레슈티 학생들의 루마니아 시위. 비공산주의 정부를 요구. 이온 일리에스쿠 대통령이 요청한 광부들의 개입으로 유혈 사태 (1990년 6월 미네리아드).
19911991년 소련 쿠데타 미수 사건혁명의 효과. 대부분 비폭력적.


2. 2. 2. 기타 국가

날짜비폭력 혁명국가
196410월 혁명수단
1952이집트 혁명이집트
1969알파테흐 혁명리비아
19731973년 아프가니스탄 쿠데타아프가니스탄
1974카네이션 혁명포르투갈
19854월 인티파다수단
1986피플 파워 혁명필리핀
19901990년 몽골 혁명몽골


2. 3. 탈냉전 시대

마하트마 간디사티아그라하 철학은 20세기에 비폭력 혁명을 대중화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간디는 인도 국민을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으로 이끌었다. 인도의 독립은 군사 혁명이 아닌 전국적인 저항 운동 기간 이후 법적 절차를 통해 달성되었다. 비록 독립 이후 인도 분할 과정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하고 간디의 통제를 벗어난 혁명적 봉기가 다수 있었지만,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은 비폭력 혁명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5]

일부에서는 비폭력 혁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군대와의 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칼 마르크스는 "평화로운" 혁명의 이론적 가능성을 인정했지만, 사회주의 제4인터내셔널은 "군대와의 좋은 관계 발전과 유지는 준비 단계 혁명 작업의 절대적 우선순위 중 하나"라고 강조한다. 포르투갈카네이션 혁명은 군대와의 친선을 통해 비교적 비폭력적으로 진행된 혁명의 사례로 꼽힌다.[6]

2. 3. 1. 색깔 혁명

구소련이나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속했던 전 공산주의 권위주의 국가들과 그 외 신생 국가에서 일어난 일련의 혁명들을 색깔 혁명이라고 한다. 이들 혁명은 대규모 거리 시위를 동반하거나, 선거 결과에 대한 분쟁을 겪은 후, 반대 세력이 권위주의적이라고 여긴 지도자들의 사퇴 또는 축출로 이어졌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거의 모든 혁명에서 특정 색깔이나 꽃을 단결의 상징으로 사용했다.[6]

  • 2000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일어난 불도저 혁명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를 축출했다. 많은 사람들은 이 시위를 조지아와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혁명의 첫 번째 사례로 간주한다. 그러나 세르비아인들은 1998년 슬로바키아와 2000년 크로아티아 의회 선거에서 사용되었던, 투표 독려 운동을 통한 시민 동원과 정치 야당 통합이라는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세르비아 시위대는 특정 색깔이나 상징을 채택하지 않았지만, 양식화된 주먹이 혁명의 가장 인지도 있는 상징이었다. 여러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조지아에서부터 "컬러 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평가한다. 이 시위는 청년 운동 오트포르!의 지지를 받았다.[6]
  • 2003년 조지아의 '''장미 혁명'''은 2003년 조지아 의회 선거 결과에 대한 분쟁 이후에 일어났으며,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의 축출과 2004년 3월 새로운 선거 이후 미하일 사아카슈빌리의 집권으로 이어졌다. 장미 혁명은 시민 저항 운동인 크마라의 지지를 받았다.[6]
  • 2004년 우크라이나의 '''오렌지 혁명'''은 2004년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 결과에 대한 분쟁 이후에 일어났으며, 선거 결과 무효화와 재투표로 이어졌다. 야당 지도자 빅토르 유시첸코가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물리치고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오렌지 혁명은 포라의 지지를 받았다.[6]
  • 2018년 아르메니아 벨벳 혁명은 대통령 세르주 사르키시안이 총리직에 지명되고 집권 아르메니아 공화당에 반대하면서 시작되었으며, 국가 전역에서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를 받은 야당에게 비폭력적인 권력 이양을 달성했다. 전임 지도자의 사임 7개월 후 열린 선거에서 새 정부의 정당인 시민계약이 8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를 컬러 혁명으로 언급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으며, 지도자들도 그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6]

2. 3. 2. 기타 지역


  • 레바논의 '''시더 혁명'''은 2005년 야당 지도자 라피크 하리리 암살 이후 일어났다. 이 운동은 주로 시리아군의 레바논 철수, 즉 사실상의 군사 점령 종식을 요구했다.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달리 이 운동은 분쟁이 된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는 것이 아니었지만, 친시리아 레바논 정부의 몰락을 초래했다.[6]
  • 도미니카 공화국 – "나비들" 또는 "라스 마리포사스". 미라발 자매는 지하 운동을 통해 정부를 변화시키려고 싸웠다. 또한 대통령 자신의 성적 접근을 거부하기도 했다. 당시 대통령 라파엘 트루히요는 세 자매의 살해를 명령했고, 한 명만 살아남아 이야기를 전했다. 그들의 고난에 관한 영화도 있다.
  • 에콰도르 – 수도 키토 시민들이 주도한 시민들의 시위와 항의가 며칠 동안 계속된 후, 의회가 루시오 구티에레스 대통령을 탄핵했다. 수천 명의 시위대가 독립 광장에 모였다. 의회가 62대 0으로 구티에레스를 탄핵한 직후 승리의 깃발이 휘날렸다. 시위대는 구티에레스가 출국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공항 활주로를 봉쇄했다. 전 대통령은 나중에 브라질로부터 망명을 허가받아 4월 24일 출국했다. 또한 시위대는 의회를 부패 혐의로 비난하며 의회를 축출하려고 했다.
  • 대한민국 – 1987년 6월 항쟁. 이는 대한민국의 군부 독재 종식과 민주주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 타이완 – 1990년 야생 백합 학생 운동. 시위 이전, 타이완은 국민당의 일당 독재하에 있었다. 학생 시위대는 대통령 및 국민대표대회 의원에 대한 직선제를 요구했다. 이전에 국민대표대회는 중국 본토 출신 대표들이 장악하고 있었는데, 중화민국이 국민당이 중국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후 중국 본토에서 선거를 치를 수 없었기 때문에 사실상 종신직을 유지하고 있었다. 중국 본토 출신 ''외성인''이 아니었던 리덩후이 대통령은 학생들의 목표를 지지하고 헌법 개정을 통해 타이완을 민주주의 국가로 효과적으로 전환시켰다.
  • 필리핀 – 2001년 제2차 EDSA 혁명. 2001년 1월, 4일간의 인민 봉기로 필리핀 대통령 조세프 에스트라다를 평화적으로 축출하였으며, SMS 메시지를 통해 자체적으로 조직되었다.
  • 수단 – 2018년 수단 혁명은 2018년 12월 19일 거리 곳곳에서 시작된 시위와 약 8개월 동안 지속된 시민 불복종으로 수단의 정치 권력이 크게 변화한 사건이었다. 이 과정에서 2019년 4월 11일 발생한 수단 쿠데타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이 30년 만에 축출되었고, 궁극적으로 "정치 협정 및 헌법 초안 선언"을 통해 민주주의로의 법적 이행이 이루어졌다.

3. 민주주의와의 관계

민주주의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평화로운 혁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는 이론이 있다. 이는 선거에서 다수결 투표가 쿠데타의 결과를 근사치로 나타낸다는 생각이다. 1962년 존 F. 케네디는 "평화적인 혁명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자들은 폭력적인 혁명을 불가피하게 만들 것이다"라고 말했다.[10][11]

조지 레이키는 1973년 저서[12]와 1976년 "비폭력 혁명을 위한 선언문"[13]에서 비폭력 혁명을 위한 5단계 전략을 제시했다.[14]

단계내용
1단계 – 문화적 준비 또는 "양심화"비폭력 혁명의 필요성과 비폭력 혁명의 수행 방법에 대한 교육, 훈련 및 의식 고양.
2단계 – 조직 구축교육, 훈련 및 의식 고양이 계속됨에 따라 조직을 형성할 필요성이 생긴다. 친화 집단이나 비폭력 혁명 단체가 조직되어 지원을 제공하고, 비폭력 규율을 유지하며, 다른 사람들을 유사한 친화 집단 및 네트워크로 조직하고 훈련한다.
3단계 – 대립기관과 정부에서 평상시 업무를 방해하기 위한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피케팅, 파업, 시위, 행진, 보이콧, 다이인, 봉쇄 캠페인. 비폭력적으로 자신의 몸을 위험에 처하게 함으로써 떠오르는 운동은 정부와 기업의 정상적인 활동을 멈추게 한다.
4단계 – 대중적 비협조전국 및 전 세계의 유사한 친화 집단 및 친화 집단 네트워크가 평상시 업무를 방해하기 위해 유사한 행동을 한다.
5단계 – 병행 기관 개발정부와 상업의 기능 및 서비스를 인수할 병행 기관 개발. 폭력, 억압, 환경 파괴, 차별이 없는, 그리고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비폭력적이며, 민주적이고, 공정하며, 관용적이고, 공평한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민들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하는 대안적인 조직과 구조(기업 포함)를 만들어야 한다.



아랍의 봄 혁명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준 진 샤프는 비폭력 혁명가들이 투쟁에서 사용할 수 있는 198가지가 넘는 비폭력 행동 방법을 기록하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정부나 기관도 통치받는 자 또는 억압받는 자의 동의 없이는 통치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비폭력의 힘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마하트마 간디마틴 루터 킹 주니어도 이 점을 주장했다.[15]

4. 비폭력 혁명을 위한 전략

조지 레이키는 1973년 저서[12]와 1976년 "비폭력 혁명을 위한 선언문"[13]에서 비폭력 혁명을 위한 5단계 전략을 제시했다.[14]


  • 1단계 – 문화적 준비 또는 "양심화": 비폭력 혁명의 필요성과 비폭력 혁명의 수행 방법에 대한 교육, 훈련 및 의식 고양.
  • 2단계 – 조직 구축: 교육, 훈련 및 의식 고양이 계속됨에 따라 조직을 형성할 필요성이 생깁니다. 친화 집단이나 비폭력 혁명 단체가 조직되어 지원을 제공하고, 비폭력 규율을 유지하며, 다른 사람들을 유사한 친화 집단 및 네트워크로 조직하고 훈련한다.
  • 3단계 – 대립: 기관과 정부에서 평상시 업무를 방해하기 위한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피케팅, 파업, 시위, 행진, 보이콧, 다이인, 봉쇄 캠페인. 비폭력적으로 자신의 몸을 위험에 처하게 함으로써 떠오르는 운동은 정부와 기업의 정상적인 활동을 멈추게 한다.
  • 4단계 – 대중적 비협조: 전국 및 전 세계의 유사한 친화 집단 및 친화 집단 네트워크가 평상시 업무를 방해하기 위해 유사한 행동을 한다.
  • 5단계 – 정부와 상업의 기능 및 서비스를 인수할 병행 기관 개발: 폭력, 억압, 환경 파괴, 차별이 없고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비폭력적이며, 민주적이고, 공정하며, 관용적이고, 공평한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민들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하는 대안적인 조직과 구조(기업 포함)를 만들어야 한다.


아랍의 봄 혁명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준 진 샤프는 비폭력 혁명가들이 투쟁에서 사용할 수 있는 198가지가 넘는 비폭력 행동 방법을 기록하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정부나 기관도 통치받는 자 또는 억압받는 자의 동의 없이는 통치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비폭력의 힘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마하트마 간디마틴 루터 킹 주니어도 이 점을 주장했다.[15]

5. 평화 혁명론 논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제2인터내셔널이 붕괴되면서, 사회주의 세력은 국제주의와 폭력 혁명을 내세운 마르크스주의 등의 공산주의와, 의회주의와 자본주의 내의 개량주의를 내세운 사회민주주의로 분열되었다.

5. 1. 일본의 경우

일본 공산당은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6년 제5차 당대회에서 "평화혁명론"을 주장했으나, 1950년 코민포름으로부터 "제국주의를 미화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8] 이후 주류파가 된 소감파가 주도하여 제5차 전국협의회(5전협)에서 51년 강령을 채택했다. 그러나 1955년 제6차 전국협의회(6전협)에서 중국 혁명 방식의 무장 투쟁 노선이 포기되었고, 1961년 제8차 당대회 이후로는 덕다 큐이치(徳田球一) 등의 폭력 혁명 노선은 부정되었다.[18] 일본 공산당은 이후 "평화 혁명 필연론"과 "무력 혁명 유일론" 모두를 잘못된 것으로 여기고 있다.[19]

사회당은 평화 혁명의 입장이었으나, 1986년 "일본 사회당의 새로운 선언"에서 혁명 자체를 부정했다. 후계 정당인 사회민주당은 사회민주주의를 당의 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혁명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사회당 좌파 일부가 탈당하여 결성한 신사회당은 강령인 『21세기 선언』에서 "새로운 국제적·국내적 여러 조건 아래 평화 혁명에 의한 사회주의를 목표로 한다"고 명시했다.[20]

참조

[1] 서적 Nonviolent revolutions : civil resistance in the late 20th centur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 학술지 Nonviolence and the Case of the Extremely Ruthless Opponent https://www.tandfonl[...] 1994
[3] 서적 Why civil resistance works : the strategic logic of nonviolent conflict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
[4] 잡지 Corazon Aquino 1933–2009: The Saint of Democracy https://web.archive.[...] 2009-08-17
[5] 서적 Civil Resistance: Comparative Perspectives on Nonviolent Strug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6] 웹사이트 Dan Jakopovich: Revolution and the Party in Gramsci's Thought: A Modern Application http://international[...]
[7] 웹사이트 Your guide to the Carnation Revolution https://www.historye[...]
[8] 웹사이트 30 YEARS OF PEACEFUL REVOLUTION https://www.democrac[...] 2019-10-28
[9] 뉴스 East Germany 1989 - the march that KO'd communism https://www.bbc.com/[...] 2019-10-13
[10] 간행물 JFK's "Address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Alliance for Progress" White House 1962-03-13
[11] Youtube JFK : Those who make peaceful revolution impossible will make violent revolution inevitable dXRG7yiqR3I
[12] 서적 Strategy For A Living Revolution Grossman 1973
[13] 간행물 A Manifesto For Nonviolent Revolution http://www.trainingf[...] Training For Change 1976
[14] 웹사이트 Strategizing For A Living Revolution http://www.historyis[...] 2011-10-26
[15] 서적 The Politics of Nonviolent Action Porter-Sargent 1973
[16] 학술지 7 Egypt: Nonviolent Resistance in the Rise of a Nation-State, 1805–1922 https://www.degruyte[...] Lynne Rienner Publishers 2013-02-01
[17] 웹사이트 平和革命 https://kotobank.jp/[...]
[18] 웹사이트 戦後の党の歴史から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19] 웹사이트 日本共産党綱領一部改定についての提案 1994年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20] 웹사이트 新社会党綱領『21世紀宣言』 http://www.sinsyakai[...] 新社会党公式サイ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