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깊은 나무 (잡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뿌리깊은 나무》는 대한민국의 잡지로, 민중의 삶을 기록한 구술사 시리즈, 한국 전통 음악을 담은 음반 시리즈, 전통 차와 찻그릇, 반상기 등을 제작, 보급했다. 구술사 시리즈인 《민중자서전》은 1981년부터 1991년까지 총 20권이 출간되었으며, 한국 구술사 연구에 기여했다. 음반 시리즈인 《한국의 소리》는 판소리, 민요, 산조 등 전통 음악을 발굴하고 보존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명창과 명인들의 음원을 담고 있다. 1977년에는 전통 방식으로 잎차를, 1980년에는 칠첩 반상기를 보급했으며, 1983년에는 인문지리지 시리즈인 《한국의 발견》을 완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잡지 - 사상계
사상계는 아시아재단의 지원으로 창간되어 한국 문학 작품과 사회 비평을 게재했으나, 김지하 시인의 저항시 게재 후 폐간되며 유신 체제 언론 탄압의 상징이자 한국 사회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매체였다. - 대한민국의 잡지 - 굿모닝 팝스
1988년 2월 1일 KBS에서 첫 방송된 《굿모닝 팝스》는 팝 음악과 영화를 활용한 영어 학습 코너로 사랑받은 영어 교육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2024년 6월 30일 종방 후 《상쾌한 아침》의 코너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대한민국의 출판사 - 교학사
교학사는 195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출판사로, 초·중·고등학교 교과서 및 참고서 출판과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한 디지털 학습 자료 및 교수 지원 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뉴라이트 역사관을 반영한 역사 교과서 출판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출판사 - 민음사
민음사는 1977년 오늘의 작가상 제정, 1981년 김수영 문학상 제정 등 문학 관련 활동을 시작하여 1998년부터 세계문학전집을 발간하는 대한민국의 출판사이다.
뿌리깊은 나무 (잡지)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잡지 정보 | |
이름 | 뿌리깊은나무 |
![]() |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간행 주기 | 1개월 |
종류 | 월간지 |
창간일 | 1976년 3월 15일 |
폐간일 | 1980년 8월 1일 |
출판사 | 한국브리태니커 |
발행인 | 한창기 |
자매지 | 샘이깊은물 (후신) |
2. 민중자서전 (구술사 시리즈)
'민중자서전'은 한국 최초의 구술사 시리즈로, 1981년부터 1991년까지 총 20권이 발간되었다. 이 시리즈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를 생생하게 조명하였다. 이후 한국구술사연구회 등이 생겨나는 계기가 되었다.
2. 1. 민중자서전 목록
- 두렁바위에 흐르는 눈물 - 제암리 학살사건의 증인 전동례의 한평생
- 이제 이 조선 톱에도 녹이 슬었네 - 조선 목수 배희환의 한평생
- 어떻게 허먼 똑똑헌 제자 한놈 두고 죽을꼬? - 임실 설장구 명인 신기남의 한평생
- 이 계동 마님이 먹은 여든살 - 반가 며느리 이규숙의 한평생
- 장돌뱅이 돈이 왜 구린지 알어? - 마지막 보부상 유진룡의 한평생
- 베도 숱한 베 짜고 밭도 숱한 밭 매고 - 안동포 길쌈 아낙 김점호의 한평생
- 나 죽으면 이걸로 끄쳐 버리지 - 남도 전통 옹기장이 박나섭의 한평생
- 이부자리 피이놓고 암만 바래도 안 와 - 영남 반가 며느리 성춘식의 한평생
- 시방은 안해, 강강술래럴 안해 - 진도 강강술래 앞소리꾼 최소심의 한평생
- 옛날엔 날 사공이라고 혔지 - 천리포 어부 서영옥의 한평생
- 내 북에 앵길 소리가 없어요 - 명고 김명환의 한평생
- 그때는 고롷고롬 돼 있제 - 벌교 농부 이봉원의 한평생
- 대라 틀어라 박아라 - 아우라지 뱃사공 송문옥의 한평생
- 사삼 사태로 반 죽었어, 반! - 제주 중산간 농부 김승윤의 한평생
- 물은 건너봐야 알고, 사람은 겪어봐야 알거든 - 가야금 명인 함동정월의 한평생
- 여보, 우리는 뒷간밲에 갔다온 데가 없어 - 마지막 화전민 이광용의 한평생
- 동래 사람은 팔만 올리도 춤이 덴다 캤어 - 동래 한량 문장원의 한평생
- 밥해 먹으믄 바늘질허랴, 바느질 아니믄 빨래허랴 - 서울 토박이 부인 한상숙의 한평생
- 칫다리 잡을라, 옹구 풀라, 밥해 묵을라 - 칠량 옹기배 사공 김우식의 한평생
- “에이 짠한 사람!” 내가 나보고 그라요 - 진도 단골 채정례의 한평생
3. 한국의 소리 (전통 음반 시리즈)
'뿌리깊은나무'는 1970년대부터 판소리, 민요, 산조 등 한국 전통 음악을 발굴하고 보존하기 위한 음반 제작 사업을 진행했다. 이 사업은 한창기가 주관한 판소리 감상회(1973-1978, 100회)를 이어받아 만들어진 음원을 바탕으로 한다.[1] 음반은 지구레코드공사에서 LP로, 신나라레코드에서 CD로 제작되었으며,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에서 발행했다.
1982년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전집, 1984년 '뿌리깊은나무 팔도소리 전집', 1989년 '뿌리깊은나무 산조전집', '한반도의 슬픈소리', '해남 강강술래',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다섯바탕' 음반이 발매되었다. 이 음반들은 1994년에 '조선소리선집'으로 CD화되어 다시 발매되었다.
3. 1.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1982, 2000)
뿌리깊은나무한국어 판소리는 1982년 LP로 발매되었으며, 2000년에 CD로 재발매되었다. 박봉술, 조상현, 한애순, 정권진 등 당대 명창들의 소리와 김명환 명고의 북 반주를 담고 있다. 흥보가,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등 판소리 다섯 바탕과 단가를 수록했다.음반 | 구성 | 소리 | 북 |
---|---|---|---|
제1권 흥보가 | 4LP | 박봉술 | 김명환 |
제2권 춘향가 | 6LP | 조상현 | 김명환 |
제3권 심청가 | 5LP | 한애순 | 김명환 |
제4권 수궁가 | 3LP | 박봉술 | 김명환 |
제5권 적벽가 | 4LP | 정권진 | 김명환 |
제6권 단가 | 1LP | 박봉술, 정권진, 한애순, 조상현 | 김명환 |
2000년 CD화 | 23CD |
1990년부터 1992년까지는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다섯바탕'이 발매되었고, 1994년 '조선소리선집 13 - 판소리의 눈'으로 CD화되어 발매되었다.
음반 | 소리 | 북 |
---|---|---|
심청가 | 조상현 | 장종민 |
적벽가 | 송순섭 | 김성권 |
흥보가 | 오정숙 | 김동준 |
춘향가 | 최승희 | 김명환 |
수궁가 | 정광수 | 정철호 |
3. 2. 뿌리깊은나무 팔도소리 전집 (1984)
황해도한국어, 평안도한국어, 함경도한국어, 강원도한국어, 경기도한국어, 경상도한국어, 충청도한국어, 전라도한국어, 제주도한국어 등 전국 각지의 민요와 장례 소리를 담은 음반이다.권 | 내용 | 구성 |
---|---|---|
제1권 |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강원도 소리 | 3LP |
제2권 |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 소리 | 4LP |
제3권 | 전라도, 제주도, 장례 소리 | 4LP |
- 음반 제작: 지구레코드공사(LP), 신나라레코드(CD)
- 발행처: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3. 3. 뿌리깊은나무 산조전집 (1989, 1994)
1989년 LP로 발매되었으며, 1994년 '조선소리선집'으로 CD화되었다. 당대 명인들의 산조 연주를 담고 있다.[1]음반 | 내용 |
---|---|
제1장 | 김죽파 가야금 산조 |
제2장 | 함동정월 가야금 산조 |
제3장 | 지성자 가야금 산조 |
제4장 | 김영재 거문고 산조 |
제5장 | 원광호 거문고 산조 |
제6장 | 이생강 대금 산조 |
제7장 | 서용석 대금 산조 |
제8장 | 박종선 아쟁 산조 / 김일구 아쟁 산조 |
제9장 | 최태현 해금 산조 / 박범훈 피리 산조 |
뿌리깊은나무 산조전집 제2권 한반도의 슬픈소리 (3LP)[1]
- 해설서 (98페이지 국어, 영어 해설, 가사와 주석, 악보)
음반 | 내용 |
---|---|
제1장 | 강강술래 / 진도 상여소리 |
제2장 | 수심가와 엮음수심가 / 긴아리와 자진아리 / 정선아라리 / 정선 자진아라리 / 지게 어사용 |
제3장 | 혼맞이 노래 / 육자배기와 자진육자배기 / 삼산은 반락 / 개고리 타령 / 홍타령 |
1994년 조선소리선집 10-12로 CD화되었다.
3. 4. 한반도의 슬픈소리 (1989, 1994)
한반도의 슬픈소리한국어는 1989년 LP로 발매되었으며, 1994년 '조선소리선집'으로 CD화되었다. 한국인의 슬픔과 한을 담은 노래들을 수록했다.[1]음반 | 내용 |
---|---|
LP (1989) | |
CD (1994) | 조선소리선집 10-12 |
3. 5. 해남 강강술래 (1989, 1994)
해남 강강술래한국어 음반은 1989년에 발매되었으며, 1994년 '조선소리선집' 14번으로 CD화되었다.[1]3. 6.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다섯바탕 (1990-1992, 1994)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발매되었으며, 1994년 '조선소리선집'으로 CD화되었다. 조상현, 송순섭, 오정숙, 최승희, 정광수 등 새로운 세대 명창들의 소리와 장종민, 김성권, 김동준, 김명환, 정철호 등 명고들의 북 반주를 담았다. 심청가, 적벽가, 흥보가, 춘향가, 수궁가 등 판소리 다섯 바탕을 수록했다.[1]
1994년, 위 판소리 다섯 바탕은 '판소리의 눈'이라는 제목으로 CD화되어 조선소리선집 13에 포함되었다. 이때 판소리 눈대목만 모아 1CD로 구성되었다.[1]
4. 기타
뿌리깊은나무한국어는 전통문화 보존을 위해 잎차, 칠첩 반상기 보급, 한국의 발견 시리즈 출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4. 1. 잎차 (1977)
전통적인 방식으로 차와 찻그릇을 제조해 보급하였다.4. 2. 뿌리깊은나무 칠첩 반상기 (1980)
뿌리깊은나무한국어는 1980년에 사라져가는 전통 반상을 현대적으로 복원하여 보급했다.4. 3. 한국의 발견 (1983)
택리지 이후 최초의 인문지리지를 지향하며 만들어진 시리즈로 1983년에 완간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