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고 주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고 주도는 사쓰마 번 출신으로, 메이지 시대 일본의 군인, 정치인이다. 검술과 병학을 익히고 사쓰마 번의 시마즈 나리아키라를 섬겼으며, 보신 전쟁, 타이완 출병, 세이난 전쟁에 참여했다. 육군 중장, 육군경, 해군 대신, 내무 대신 등을 역임하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고, 특히 해군 대신으로서 일본 해군 현대화에 힘썼다. 1884년 백작 작위를 받았으며, 1898년에는 일본 해군 최초의 원수가 되었다. 1902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쓰마 사이고씨 - 사이고 도라타로
    사이고 도라타로는 메이지 유신의 주역 사이고 다카모리의 아들로, 독일 유학 후 일본군 사격술 향상에 기여하고 후작 작위를 받아 귀족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포로 수용소장으로 복무 중 사망했다.
  • 사쓰마 사이고씨 - 사이고 기치노스케 (1906년)
    사이고 기치노스케는 1906년에 태어나 1997년에 사망한 일본의 정치인으로, 도호쿠 제국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법무대신을 역임했으며,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훈하고 정3위로 추증되었다.
  • 개척사 관련자 - 에노모토 다케아키
    에노모토 다케아키는 막말의 해군 장교이자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로서, 보신 전쟁에서 막부군으로 활약하고 에조 공화국을 건국했으나 메이지 정부에 항복 후 사면되어 고위 관료로 활동하며 해군경, 통신대신, 농상무대신, 문부대신, 외무대신 등을 역임하고 홋카이도 개척과 해외 이민 정책에 기여했다.
  • 개척사 관련자 - 우치무라 간조
    우치무라 간조는 일본의 기독교 사상가이자 무교회주의 운동가, 저술가로서 일본적인 기독교 정신을 추구하며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구안록》, 《나는 어떻게 기독교인이 되었는가》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일본의 인물신 (일본군) -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겐타로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대만 총독으로서 식민 통치를 펼치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관여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남겼다.
  • 일본의 인물신 (일본군) -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조슈번 출신의 사무라이 아들로, 일본 육군의 창설과 근대화에 기여하고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지휘했으며, 군국주의적 가치 강조와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사이고 주도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존칭종1위
원수해군대장 후작
이름사이고 주도
원어 이름西郷 従道
원어 이름 (언어)ja
다른 이름사이고 쓰구미치
별명신고
사이고 주도
육군대장 및 원수 해군대장 후작 사이고 주도
출생일1843년 6월 1일
사망일1902년 7월 18일
출생지가고시마, 사쓰마, 일본
사망지도쿄, 일본 제국
안장지다마 묘원, 후추시, 도쿄.
군 종류
복무 기간1869년–1902년
계급육군 중장 (1869-1894)
해군 대장 (1894–1898)
원수 해군대장 (1898–1902)
참전 전투영국-사쓰마 전쟁
보신 전쟁
도바·후시미 전투
타이완 출병
세이난 전쟁
배우자사이고 기요코
자녀아들 7명, 딸 4명
친척사이고 기치베이 (아버지)
시이하라 마사 (어머니)
사이고 다카모리 (형)
사이고 기치지로 (형)
사이고 고베이 (동생)
이치키 코토 (누나)
사이고 다카 (누나)
사이고 야스 (누나)
경력
소속 정당국민협회
해군대신 임기 시작1885년 12월 22일
해군대신 임기 종료1890년 5월 17일
해군대신 임기 시작 21893년 3월 11일
해군대신 임기 종료 21898년 11월 8일
내무대신 임기 시작1890년 5월 17일
내무대신 임기 종료1891년 6월 1일
내무대신 임기 시작 21898년 11월 8일
내무대신 임기 종료 21900년 10월 19일
농상무대신 임시 겸임 시작1886년 3월 16일
농상무대신 임시 겸임 종료1886년 7월 10일
농상무경 임기 시작1881년 10월 20일
농상무경 임기 종료1885년 12월 21일
개척장관 임기 시작1882년 2월
개척장관 임기 종료1882년 3월
육군경 임기 시작1878년 12월 24일
육군경 임기 종료1880년 2월 28일
문부경 임기 시작1878년 5월 24일
문부경 임기 종료1878년 12월 24일

2. 약력



|thumb|사이고 주도, 해군 대신 (1880년대)]]

펠리체 베아토 (앞줄 왼쪽)와. 1882년


|thumb|해군성에 있던 동상]]

사이고 주도는 1843년 사쓰마번(지금의 가고시마현 일대) 가고시마성 아래의 마을에서 태어났다. 검술은 야쿠마루 가네요시에게 야쿠마루 지겐류를, 병학은 이지치 마사하루에게 갓덴류를 배웠다. 아리무라 슌사이의 추천으로 사쓰마번시마즈 나리아키라에게 출사하여 차보즈가 되었다.

1861년 9월 30일에 환속하여 본명을 다카오키, 통칭을 신고(신고)로 개명했다. 시마즈 나리아키라를 신봉하는 세이츄조에 가입하여 존왕양이 운동에 참여했다. 1862년 존왕도막을 위해 에 집결한 세이츄조 내의 아리마 신시치 등 일당에 참가했지만, 데라다야 사건으로 번으로부터 탄압을 받아 근신 처분을 받았다. 1863년 사영 전쟁이 발발하자 근신이 풀리고, 수박 장수를 가장한 결사대에 지원했다. 보신 전쟁에서는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관통 총상의 중상을 입었지만, 이후 각지를 전전하며 황군 측에서 싸웠다.

1869년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함께 유럽으로 건너가 군제를 조사하고, 1870년 귀국하여 병부권대승(兵部権大丞)에 임명되었다. 1871년 육군 소장이 되었으며, 1873년사이고 다카모리정한론 문제로 하야할 때 다른 사쓰마 번 출신자들과는 달리 정부에 남았다.

1874년 육군 중장으로 타이완 출병을 지휘했고, 1877년 세이난 전쟁 때는 형의 반란에 가담하지 않고 정부군 측에 섰다. 세이난 전쟁 이후 사쓰마번벌의 중진으로, 근위 도독, 참의, 육군경 등을 역임했다. 1882년 구로다 기요타카의 뒤를 이어 잠시 개척사 장관을 맡았고, 1884년 화족령에 따라 백작 작위를 받았다.

내각 제도 발족 후 초대 해군 대신을 맡아 야마모토 곤노효에를 발탁하여 일본 해군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이토 히로부미 내각에서 해군 대신 (1885, 1892–1902)을 포함한 일련의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다. 내무 대신으로서 사이고는 1891년 오쓰 사건의 피고인인 쓰다 산조에 대한 사형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1892년 추밀고문관이 되었고, 시나가와 야지로와 함께 국민협회를 설립했다. 1894년 해군 대장, 1895년 후작으로 승작되었으며, 1898년 일본 해군 최초로 원수 칭호를 받았다. 내각총리대신 후보로 여러번 추대되었으나 형 다카모리의 역적 행위를 이유로 고사하였다.

1902년 7월 18일 위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60세 (59세 사망).

2. 1. 청년기

사이고 주도는 1861년 9월 30일에 환속하여 본명을 다카오키, 통칭을 신고(신고)로 개명했다. 시마즈 나리아키라를 신봉하는 세이츄조에 가입하여 존왕양이 운동에 참여했다.[2] 1862년 존왕도막을 위해 에 집결한 세이츄조 내의 아리마 신시치 등 일당에 참가했지만, 데라다야 사건으로 번으로부터 탄압을 받아 근신 처분을 받았다. 1863년 사영 전쟁이 발발하자 근신이 풀리고, 수박 장수를 가장한 결사대에 지원했다. 보신 전쟁에서는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관통 총상의 중상을 입었지만, 이후 각지를 전전하며 황군 측에서 싸웠다.

2. 2. 유신 이후

1869년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함께 유럽으로 건너가 군제를 조사하고, 1870년 귀국하여 병부권대승(兵部権大丞)에 임명되었다. 1871년 육군 소장이 되었으며, 1873년사이고 다카모리정한론 문제로 하야할 때 다른 사쓰마 번 출신자들과는 달리 정부에 남았다.[2]

1874년 육군 중장으로 타이완 출병을 지휘했고,[2] 1877년 세이난 전쟁 때는 형의 반란에 가담하지 않고 정부군 측에 섰다. 세이난 전쟁 이후 사쓰마번벌의 중진으로, 근위 도독, 참의, 육군경 등을 역임했다. 1882년 구로다 기요타카의 뒤를 이어 잠시 개척사 장관을 맡았고, 1884년 화족령에 따라 백작 작위를 받았다.

내각 제도 발족 후 초대 해군 대신을 맡아 야마모토 곤노효에를 발탁하여 일본 해군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이토 히로부미 내각에서 해군 대신 (1885, 1892–1902)을 포함한 일련의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다.[1] 내무 대신으로서 사이고는 1891년 오쓰 사건의 피고인인 쓰다 산조에 대한 사형을 강력하게 추진했다.[1]

1892년 추밀고문관이 되었고, 시나가와 야지로와 함께 국민협회를 설립했다. 1894년 해군 대장, 1895년 후작으로 승작되었으며, 1898년 일본 해군 최초로 원수 칭호를 받았다. 내각총리대신 후보로 여러번 추대되었으나 형 다카모리의 역적 행위를 이유로 고사하였다.

1902년 7월 18일 위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60세 (59세 사망).[11]

3. 가계

사이고 주도의 가계는 증조부 사이고 기치베(西郷吉兵衞)로부터 시작된다. 조부는 사이고 다쓰에몬 다카미쓰(西郷龍右衞門隆充)이며, 아버지는 사이고 기치베(西郷吉兵衞), 어머니는 시하라 마사(椎原政佐)이다. 사이고 주도는 1854년에 도쿠노 요스케(得能良介)의 장녀 기요코(清子)와 결혼하여 장남 사이고 주리(西郷従理), 차남 사이고 주토쿠(西郷従徳) 등을 낳았다. 형은 세이난 전쟁의 주역인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이고, 사촌은 오야마 이와오(大山巌)이다.

사이고 주도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사이고 기치베(西郷吉兵衞)사이고 구헤에 마사타카(西郷九兵衞昌隆)의 아들
증조모마치다 고에몬(町田此右衛門)의 딸
조부사이고 다쓰에몬 다카미쓰(西郷龍右衞門隆充)
조모요쓰모토 요시테루(四本義照)의 여동생
사이고 기치베(西郷吉兵衞)
시하라 마사(椎原政佐)
부인기요코(清子)도쿠노 요스케(得能良介)의 장녀
장남사이고 주리(西郷従理)
차남사이고 주토쿠(西郷従徳)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세이난 전쟁 주역.
사촌오야마 이와오(大山巌)



사이고 가문의 상세 가계도는 아래와 같다.



사이고 주도━┳사이고 종리

┣사이고 마사코

┣사이고 종토쿠━━━┳사이고 종오━━━사이고 종세━┳사이고 종요

┣사이고 도요히코   ┣고가와 종준    ┗사이고 종에이

┣우에무라 종요시 ┣사이고 종류

┣사이고 종치카   ┣사이고 종코

┣사이고 도요지   ┣고가와 종야스

┣고마쓰 종시   ┗구로키 종타쓰

┣사이고 에이코

┣사이고 사쿠라코

┗사이고 후지코


4. 평가

마쓰이 히로키치는 "둥근 얼굴에 눈이 굵고, 수염과 머리카락의 생김새까지 그림으로 그린 달마와 같으며, 특히 팔에는 굵은 쇠고리를 끼고 있어서, 그 나한적인 풍모 등 무엇으로 보나 꼭 달마와 같다. 술은 4되까지 마셔도 끄떡없다고 들어서 놀랐다. 그는 대만 정벌 의뢰 이후의 습관으로, 매일 아침 이부자리에서 입을 헹구고, 연회에서 술을 많이 마실 때 등에는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술을 그렇게 많이 마시는 것은 나도 혀를 내둘렀다."라고 평가했다.[27] 하라다 시게츠는 "성격이 호탕하고, 또한 기지에 뛰어나며, 격렬하고 남의 말을 듣지 않는 영웅이었다."라고 평가했다.[28] 에드워드 S. 모스는 "나는 그를 총명하고, 매력적인 사람이며, 머리부터 발끝까지 무인이라고 생각했다."라고 평가했다.[29]

4. 1. 긍정적 평가

사이고 주도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행정 능력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28][29] 특히, 해군 대신으로서 일본 해군의 근대화에 크게 기여한 점은 높이 평가된다. 야마모토 곤노효에를 발탁하여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 승리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형인 사이고 다카모리가 세이난 전쟁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메이지 정부에 충성을 다한 점은 그의 국가관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된다.

마쓰이 히로키치는 사이고 주도를 "둥근 얼굴에 눈이 굵고, 수염과 머리카락의 생김새까지 그림으로 그린 달마와 같으며, 특히 팔에는 굵은 쇠고리를 끼고 있어서, 그 나한적인 풍모 등 무엇으로 보나 꼭 달마와 같다."라고 묘사하며, "술은 4되까지 마셔도 끄떡없다고 들어서 놀랐다."라고 평가했다.[27] 하라다 시게츠는 "성격이 호탕하고, 또한 기지에 뛰어나며, 격렬하고 남의 말을 듣지 않는 영웅이었다."라고 평가했다.[28] 에드워드 S. 모스는 "나는 그를 총명하고, 매력적인 사람이며, 머리부터 발끝까지 무인이라고 생각했다."라고 평가했다.[29]

4. 2. 부정적 평가

사이고 주도는 오쓰 사건 당시 내무 대신으로서 범인 쓰다 산조에 대한 사형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대심원장 고지마 고레카타를 압박한 점은 비판받는다. 이는 법치주의를 훼손하고 사법부에 부당한 압력을 가한 행위로 간주된다.

5. 기타

사이고 주도는 일본 최초로 경주마를 소유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옛 저택(과거 도쿄도 메구로구에 위치)은 일본 정부에 의해 중요 문화재로 등록되었으며, 현재는 아이치현 이누야마시 외곽의 메이지무라 역사 공원에 보존되어 있다.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의 야나기하라(현재)에 별장을 소유하고 있기도 했다.

어떤 회의에서 한 각료가 뻔한 내용을 끈질기게 주장하여 논의가 교착 상태에 빠졌을 때, 사이고 주도는 그 각료가 앉으려는 순간 의자를 빼는 장난을 쳐서 회의 분위기를 반전시키고 원만하게 마무리짓도록 유도했다. 그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듣고 "과연, 과연"이라고 맞장구를 쳤기 때문에 "과연 대신"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사이고 주도는 형인 사이고 다카모리와 외모가 닮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에두아르도 키요소네가 다카모리의 초상화를 제작할 때 사이고 주도의 얼굴 사진을 참고했다. 초상화의 몸 부분은 오야마 이와오를 참고했다고 한다. 시즈오카현슨토군요하라 촌(현·누마즈시)에 별장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별장 앞바다에 있는 섬을 통칭 '''사이고섬'''이라고 한다.

요코하마에 설치된 일본 레이스 클럽에서 일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참가가 인정된 일본인 최초의 마주였으며, 1875년 (메이지 8년)에는 애마 미칸에 기승하여 일본인 마주에 의한 첫 승리를 거두었다. 그 당시의 풍자만화가 남아 있다. 토치기현오타와라시 카지야에 있는 사이고 신사에 1903년 (메이지 36년)부터 모셔져 있다.

사이고 주도는 육군과 해군 양쪽에서 장관이나 각료를 경험한 유일한 인물이다(육군 중장과 해군 대장, 육군 경과 해군 대신). 그는 오야마 이와오와 야마카와 스테마츠의 결혼을 성사시키기 위해 야마카와 가문을 설득하는 데 힘썼다. 원수 사이고 후작는 1902년에 사망하여 도쿄도 후추시의 다마 묘지에 묻혔다.

6. 사이고 주도가 등장하는 작품


  • 하야시 마리코의 소설 『세고 돈!』에서는 사이고 주도를 다루고 있으며, 야마다 후타로의 『에도의 무도회』에서도 등장한다.
  • 1958년에 개봉한 신토호 영화 『천황·황후와 청일 전쟁』에서는 에가와 우레오가 연기하였다.
  • 와카야마 토미사부로가 출연한 TBS 3시간 드라마인 『바다는 되살아난다』(1977년), 사이고 테루히코가 출연한 니혼 TV 연말 시대극 스페셜인 『다바루자카』(1987년), 오가타 나오토가 출연한 NHK 대하드라마인 『나는 듯이』(1990년), 미즈타니 모토스케가 출연한 NHK 대하드라마인 『아츠히메』(2008년), 이다 모스케가 출연한 NHK 대하드라마인 『꽃 타오르다』(2015년), 니시키도 료가 출연한 NHK 대하드라마인 『세고 돈』(2018년) 등이 있다.

6. 1. 소설

하야시 마리코의 소설 『세고 돈!』에서는 사이고 주도를 다루고 있으며, 야마다 후타로의 『에도의 무도회』에서도 등장한다.

6. 2. 영화

1958년에 개봉한 신토호 영화 『천황·황후와 청일 전쟁』에서는 에가와 우레오가 연기하였다.

6. 3. 텔레비전 드라마

와카야마 토미사부로가 출연한 TBS 3시간 드라마인 『바다는 되살아난다』(1977년), 사이고 테루히코가 출연한 니혼 TV 연말 시대극 스페셜인 『다바루자카』(1987년), 오가타 나오토가 출연한 NHK 대하드라마인 『나는 듯이』(1990년), 미즈타니 모토스케가 출연한 NHK 대하드라마인 『아츠히메』(2008년), 이다 모스케가 출연한 NHK 대하드라마인 『꽃 타오르다』(2015년), 니시키도 료가 출연한 NHK 대하드라마인 『세고 돈』(2018년)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ck officers, in the cradle era https://archive.toda[...] 2011-07-14
[2] 백과사전 Japan Encyclopedia Belknap 2005
[3] 웹사이트 西郷氏(隆盛系) https://reichsarchiv[...] 2019-01-05
[4] 문서 貴族院の事務局に提出された履歴書並びに貴族院要覧に基づく。
[5] 문서 終戦まで海軍省が保管整理し、戦後厚生省に移管されていた旧・海軍軍人の奉職履歴書正本から、同省の協力を得て所要の事項を転記したもの。
[6]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西郷従道」 https://kotobank.jp/[...]
[7] 서적 『平成新修 旧華族家系大成 上巻』 1996
[8] 서적 2002
[9] 문서 本書は参考文献として他箇所にも随時使用している。
[10] 서적 『貴族院要覧(丙)』昭和21年12月増訂 貴族院事務局 1947
[11]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2010
[12] 웹사이트 西郷従道 https://www.jacar.ar[...]
[13] 간행물 『太政官日誌』 1873
[14] 간행물 『官報』第993号「叙任及辞令」 1886-10-20
[15] 간행물 『官報』第3746号「叙任及辞令」 1895-12-21
[16] 간행물 『官報』第5712号「叙任及辞令」 1902-07-19
[17] 간행물 『官報』第307号「叙任及辞令」 1884-07-08
[18] 간행물 『官報』第1928号「叙任及辞令」 1889-11-30
[19] 간행물 『官報』第3631号「授爵・叙任及辞令」 1895-08-06
[20] 간행물 『官報』第4363号「叙任及辞令」 1898-01-21
[21] 간행물 『官報』第5673号「授爵・叙任及辞令」 1902-06-04
[22] 간행물 『官報』第1205号「叙任及辞令」 1887-07-06
[23] 간행물 『官報』第1211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887-07-13
[24] 간행물 『官報』第1265号「叙任及辞令」 1887-09-14
[25] 간행물 『官報』第1211号「叙任及辞令」 1887-07-13
[26] 간행물 『官報』第1282号「叙任及辞令」 1887-10-05
[27] 서적 『四十五年記者生活 松井広吉 著』
[28] 서적 『命を棄てて』
[29] 서적 『日本その日その日』(Japan Day by Day)
[30] 뉴스 スポニチアネックス https://news.livedoo[...] 2018-01-05
[31] 트위터 2014-10-25
[32] 웹사이트 西郷隆盛の弟の子孫、29歳女優が結婚報告「きっと父も見守ってくれたのだと」 大河『西郷どん』にも出演(ENCOUNT) https://news.yahoo.c[...] 2024-12-10
[33] 서적 《헤이세이 신수정 구 화족 가계 대성 상권》 사단법인 가스미카이칸 1996
[34] 서적 "의회 제도 100년사 귀족원·참의원 의원 명감" 대장성 인쇄국 1990
[35] 서적 "일본 해군사 제9권 장관 이력 (상)" 재단법인 해군사 보존회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