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루더포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뮤얼 루더포드는 1600년경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학자이자 설교자, 작가로, 스코틀랜드 교회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인문학 교수를 지냈으며, 앤워스에서 목사로 활동하며 많은 서신을 남겼다. 루더포드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참여하고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저서 ''렉스 렉스''를 통해 정부 권력의 제한을 주장했다. 그의 사상은 프란시스 쉐퍼의 저서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서신집과 일화는 스코틀랜드 전통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약도 - 주교 전쟁
주교 전쟁은 17세기 스코틀랜드에서 스코틀랜드 교회 통치 구조와 종교 개혁을 둘러싸고 스코틀랜드 장로파와 찰스 1세 간에 벌어진 두 차례의 전쟁으로, 잉글랜드 내전의 계기가 되었고 스코틀랜드 장로교 지배를 공고히 했으나 정치적 분열을 심화시켰다. - 언약도 - 윌리엄 거스리
윌리엄 거스리는 17세기 스코틀랜드의 장로교 신학자이자 목사로, 반대파 편에 서서 장로교 제도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며, 저서 《그리스도인의 위대한 관심사》를 남겼다.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교수 - 알렉산더 헨더슨
알렉산더 헨더슨은 1583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장로교로 전향하여 스코틀랜드 교회 개혁에 헌신했으며, 국가 언약 체결, 웨스트민스터 회의 참여 등 스코틀랜드 교회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교수 - C. D. 브로드
C. D. 브로드는 잉글랜드의 윤리학자, 과학철학자, 심령 연구가로서 케임브리지 대학교 철학 교수, 아리스토텔레스 학회 및 심령 연구 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비판 철학과 사변 철학을 구분하고 심령 현상 연구, "비발생적 인과" 개념 제시, 동성애 비범죄화 옹호 등의 활동을 펼쳤다.
새뮤얼 루더포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목사 |
출생 | 약 1600년 |
출생지 | 니스벳, 록스버그셔, 스코틀랜드 왕국 |
사망 | 1661년 3월 29일 |
사망지 | 세인트 앤드루스, 스코틀랜드 왕국 |
모교 | 에든버러 대학교 (문학 석사) |
2. 생애
새뮤얼 루더포드는 스코틀랜드 니스베트에서 태어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교육받고 인문학 교수를 역임했다. 이후 앤워스에서 목회 활동을 시작했고,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반대하는 저술로 애버딘에 추방되었다. 추방 기간 동안 그는 많은 편지를 썼으며, 이는 종교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1638년 앤워스로 돌아온 후,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스코틀랜드 대표로 참여해 4년간 런던에서 활동했다. 이후 세인트 메리 칼리지 학장 및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왕정복고 이후, 그의 저서 ''렉스 렉스''는 불태워졌고, 모든 직위를 박탈당했다. 그는 반역죄로 소환되었으나, 1661년 사망하여 세인트 앤드루스 대성당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1600년 ~ 1627년)
새뮤얼 루더포드는 1600년경 스코틀랜드 국경의 니스베트 교구(현재 크레일링의 일부)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월터 스콧 경의 조상인 헌트힐의 록스버그와 같은 가문 출신이었으며,[1] 그의 아버지는 농부 또는 제분업자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형제 중 한 명은 커크쿠드브라이트의 학교 교장이자 그곳에서 성경 독자였으며, 또 다른 형제는 네덜란드 군대의 장교였다.루더포드는 제드버러 그래머 스쿨과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621년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졸업한 후, 1623년 에든버러에서 인문학 교수로 임명되었다.[1] 그는 이후 아내가 된 유페임 해밀턴과의 부도덕한 행위로 인해 1626년에 그 직책에서 물러났다.[1] 그는 1627년, 아마도 감독의 승인 없이 앤워스 커크쿠드브라이트셔, 갤러웨이에 들어갔다.
2. 2. 앤워스에서의 목회 (1627년 ~ 1636년)
새뮤얼 루더포드는 1627년, 감독의 승인 없이 앤워스 커크쿠드브라이트셔, 갤러웨이에 들어갔다. 그곳에서 그는 "항상 기도하고, 항상 설교하고, 항상 병자를 방문하고, 항상 교리 문답하고, 항상 글을 쓰고 공부했다"고 전해진다.[1] 그의 갤러웨이 후원자 중 한 명은 1644년에 사망한 존 고든, 1대 켄뮤어 자작이었다. 그의 아내인 제인 캠벨, 켄뮤어 자작 부인은 정기적인 서신을 주고받았으며,[2] 그와 그의 업적을 지속적으로 지지했다.[3]1630년 그는 고등 위원회 법정에 소환되었지만, 비국교도 혐의는 지속되지 않았다. 그는 주로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반대하는 저서를 출판한 혐의로 1636년 시드서프 주교에 의해 다시 고발되었으며, 위그타운에서의 절차를 거쳐 위원회에 소환되어 7월 27일 사역 직무 수행이 금지되었고, 국왕의 뜻에 따라 애버딘에 거주하도록 명령받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그의 잘 알려진 편지 대부분을 썼다. 그곳의 그의 서재는 "아마도 당시 옛 기독교 세계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널리 울려 퍼지는 설교단"이라고 전해졌다.
2. 3. 애버딘 유배와 서신 활동 (1636년 ~ 1638년)
1636년 시드서프 주교는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반대하는 저서를 출판한 혐의로 루더포드를 고발하였다. 위그타운에서의 절차를 거쳐 위원회에 소환된 그는 7월 27일 사역 직무 수행이 금지되었고, 국왕의 뜻에 따라 애버딘에 거주하도록 명령받았다.[1] 이 기간 동안 그는 그의 잘 알려진 편지 대부분을 썼다. 그곳에 있던 그의 서재는 "아마도 당시 옛 기독교 세계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널리 울려 퍼지는 설교단"이라고 전해졌다.2. 4.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교수 및 웨스트민스터 총회 참여 (1638년 ~ 1647년)
1638년 2월 루더포드는 앤워스로 돌아와 그해 글래스고 총회에 그의 노회의 두 위원 중 한 명으로 참석했다.[1] 얼마 후 그는 에든버러의 목사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지만, 총회 위원회는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의 신학 교수로 임명했으며, 1639년 1월 7일 로버트 블레어와 함께 세인트앤드루스의 목사 중 한 명으로 활동하는 것을 조건으로 그 직책을 수락했다.[1] 그는 다음 총회의 구성원이었으며 일관되게 언약 당을 지지했다. 1643년 그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파견된 4명의 주요 스코틀랜드 교회 위원 중 한 명으로 임명되어 의회 앞에서 여러 차례 설교했으며, 4년 동안 런던에 머물렀다.[1]1647년 루더포드는 로버트 하위를 대신하여 세인트 앤드루스의 세인트 메리 칼리지 (후에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로 통합됨) 학장으로 임명되었다.[4]
2. 5. 세인트 메리 칼리지 학장 및 말년 (1647년 ~ 1661년)
루더포드는 1647년 세인트 앤드루스의 세인트 메리 칼리지(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로 통합됨) 학장으로 로버트 하위를 대신하여 임명되었다.[4] 1648년에는 네덜란드 하르더베이크의 신학 교수직, 1649년에는 에든버러의 교수직을 제안받았으며, 1651년에는 위트레흐트의 교수직에 두 번 선출되었지만 모두 거절했다. 1643년, 1644년, 1650년, 1651년에 그는 대학교 총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650년 잉글랜드의 찰스 2세가 세인트 앤드루스를 방문했을 때, 왕의 의무에 대해 그에게 라틴어 연설을 했다. 루더포드는 1650년대 결의안 지지자와 항의자 사이의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논쟁에서 확고한 항의자였다.복원 이후 그는 박해의 첫 번째 대상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저서 ''렉스 렉스''는 에든버러와 세인트 앤드루스의 십자가에서 일반 교수형 집행인의 손으로 불태우도록 국가 위원회에 의해 명령되었으며, "술 취한 의회"는 그에게 모든 직책을 박탈하고 그가 대학에서 죽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로 투표했다. 그는 반역죄로 의회에 소환되었지만 1661년 3월 29일에 사망했다 [그의 묘비에 있는 날짜(20일)는 오류이다]. 그는 종탑 서쪽의 세인트 앤드루스 대성당 묘지에 묻혔다. 그의 묘비명에는 '임마누엘의 사랑을 앎'이 포함되어 있다.[5]
3. 신학
새뮤얼 루더포드의 서신은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리처드 벡스터는 성경을 제외하고 "루더포드 씨의 서신과 같은 책은 세상에 없었다"라고 언급했고, 찰스 해돈 스펄전은 루더포드의 사후 출판된 "서신"(1664)에 대해 "우리가 죽어 없어진 뒤에 세상은 스펄전이 루더포드의 서신을 인간의 모든 저작물 중에서 영감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여겼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앤드루 톰슨은 "이 서신들은 독자에게 독창적인 사상으로 번뜩이며, 상상의 찬란한 옷을 입은 고귀한 감정으로 가득 차 있으며, 시의 형식 외에는 모든 것이 시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현대 시에서 가장 아름다운 영적인 생각의 씨앗을 제공한 개별 문장"을 묘사했고, "몰약 묶음, 그 연고와 향수가 여러 세대의 마음을 되살리고 기쁘게 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각각의 편지는 희망과 비통함으로 가득 차 있으며, 여기와 사후 세계의 부드러운 비애로 가득 차 있다"고 인용했다. 루더포드는 ''그리스도는 죽어가시며 죄인을 그에게로 이끄심'', "믿음의 시련과 승리"와 같은 다른 영적이고 헌신적인 저작으로도 알려졌다.
루더포드의 정치 서적인 ''렉스, 렉스, 즉 법과 군주''(1644)는 존 맥스웰의 ''Sacro-Sanctum Regus Majestas''(1644)에 대한 응답으로 쓰여져 루더포드를 정치 사상가로서 명성을 얻게 했다. 이 책은 정당방위 전쟁과 합법적으로 구성된 권위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을 정당화했으며, 제한 정부와 입헌주의 이론을 제시했다. 왕정 복고 이후, 이 책은 에든버러와 세인트앤드루스에서 사형 집행인의 손에 의해 불태워졌으며, 그의 사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금서 목록에 올랐다.
"렉스 렉스"는 루더포드가 시민의 자유를 지지했다고 오해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루더포드는 앤드루 멜빌에 의해 스코틀랜드에서 대중화된 교회와 국가의 이원 왕국 이상을 옹호했다. 이는 그의 여러 저작에서 나타나지만, "장로회의 정당한 권리" (1644)의 후반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다. 그것은 왕이 교회에서 직책을 맡는 것을 금지했지만, 또한 진정한 종교를 감독하고 시행할 책임을 지게 했다.
3. 1. 두 왕국 교리
새뮤얼 루더포드는 두 왕국교리에 대하여 국가와 교회의 상호 복종이라는 논리를 주장하였다. 즉, 교회는 국가의 일에 대하여 위정자에게 모두 복종하고, 위정자는 영적인 일에 관하여는 교회에 모두 복종하라는 이론이다. 그는 이것을 '독립적 주권'이라고 불렀다.[7]3. 2. 언약 신학
리처드 벡스터는 성경을 제외하고 "루더포드 씨의 서신과 같은 책은 세상에 없었다"라고 언급했고, 찰스 해돈 스펄전은 루더포드의 사후 출판된 "서신"(1664)에 대해 "우리가 죽어 없어진 뒤에 세상은 스펄전이 루더포드의 서신을 인간의 모든 저작물 중에서 영감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여겼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5]루더포드는 양심의 자유에 격렬히 반대했다. 그의 ''양심의 자유에 대한 허위적 논박''(1649)은 로저 윌리엄스와 다른 사람들의 견해에 반대했고, "17세기 동안 박해에 대한 가장 훌륭한 방어"로 묘사되었다.[6] 이는 존 밀턴의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그는 롱 팔러먼트에서 양심을 강요하는 사람들에 대한 소네트에서 루더포드의 이름을 언급했다.
루더포드는 또한 신성한 권리의 장로주의(장로교 형태의 교회 정치가 성경에 명시되어 있다는 생각)의 강력한 지지자였다. 그는 뉴잉글랜드 독립교회 (또는 회중교회)와 교회 정치에 관한 서면 논쟁에 참여했다. 루더포드에 응답한 뉴잉글랜드 회중교회 목사들에는 토마스 후커뿐만 아니라 존 코튼과 리처드 머더도 포함되었다. 이 분야의 그의 저작으로는 ''스코틀랜드의 바울의 장로회를 위한 평화로운 변론''(1642), ''장로회의 정당한 권리''(1644), ''교회 정부와 출교의 신성한 권리''(1648), ''토마스 후커가 쓴 '교회 훈련 요약'에 대한 조사''(1655)가 있다.
3. 3. 율법폐기론 논쟁
새뮤얼 루더포드는 양심의 자유에 격렬히 반대했다. 그의 저서 ''양심의 자유에 대한 허위적 논박''(1649)은 로저 윌리엄스 등의 견해에 반박하는 내용으로, "프로테스탄트 국가에서 나타난 박해에 대한 가장 훌륭한 방어"[5]이자 "17세기 동안 박해에 대한 가장 훌륭한 방어"[6]로 묘사되었다. 이 책은 존 밀턴의 분노를 사기도 했는데, 밀턴은 롱 팔러먼트에서 양심을 강요하는 사람들에 대한 소네트에서 루더포드의 이름을 언급했다.4. 정치 사상
새뮤얼 루더포드의 서신은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그의 동시대 영국인인 리처드 벡스터는 성경을 제외하고 "루더포드 씨의 서신과 같은 책은 세상에 없었다"라고 언급했고, 19세기 침례교 신학자 찰스 해돈 스펄전은 루더포드의 사후 출판된 "서신"(1664)에 대해 "우리가 죽어 없어진 뒤에 세상은 스펄전이 루더포드의 서신을 인간의 모든 저작물 중에서 영감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여겼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스코틀랜드 목사인 앤드루 톰슨은 19세기 전기에서 "이 서신들은 독자에게 독창적인 사상으로 번뜩이며, 상상의 찬란한 옷을 입은 고귀한 감정으로 가득 차 있으며, 시의 형식 외에는 모든 것이 시적이다"라고 말했다.
루더포드는 양심의 자유에 격렬히 반대했다. 그의 ''양심의 자유에 대한 허위적 논박''(1649)은 로저 윌리엄스 등의 견해에 반대했고, "17세기 동안 박해에 대한 가장 훌륭한 방어"[5][6]로 묘사되었다. 이는 존 밀턴의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그는 롱 팔러먼트에서 양심을 강요하는 사람들에 대한 소네트에서 루더포드의 이름을 언급했다.
루더포드는 신성한 권리의 장로주의(장로교 형태의 교회 정치가 성경에 명시되어 있다는 생각)의 강력한 지지자였다. 그는 뉴잉글랜드 독립교회 (또는 회중교회)와 교회 정치에 관한 서면 논쟁에 참여했다. 이 분야의 그의 저작으로는 ''스코틀랜드의 바울의 장로회를 위한 평화로운 변론''(1642), ''장로회의 정당한 권리''(1644), ''교회 정부와 출교의 신성한 권리''(1648), ''토마스 후커가 쓴 '교회 훈련 요약'에 대한 조사''(1655)가 있다. 루더포드에 응답한 뉴잉글랜드 회중교회 목사들에는 토마스 후커뿐만 아니라 존 코튼과 리처드 머더도 포함되었다.
4. 1. 렉스 렉스 (Lex, Rex)
프란시스 쉐퍼는 그의 저서 기독교 선언에서 러더포드의 ''렉스 렉스''를 미국의 건국에 영향을 준 책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8] ''렉스 렉스''는 작은 정부론, 헌정주의를 주장하고, 존 로크의 사회계약설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정부의 최고 책임자는 법 아래에 있으며, 그들이 곧 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당시의 군주였던 찰스 1세의 왕권신수설을 배격하고 군주의 통치권이 제한된다는 것을 확실히 명시하였다.[9]루더포드의 정치 서적인 ''렉스, 렉스, 즉 법과 군주''(1644)는 존 맥스웰의 ''Sacro-Sanctum Regus Majestas''(1644)에 대한 응답으로 쓰여졌으며, 루더포드를 정치 사상가로서 명성을 얻게 했다. 이 책은 정당방위 전쟁과 합법적으로 구성된 권위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을 정당화했으며, 제한 정부와 입헌주의 이론을 제시했다. 왕정 복고 이후, 이 책은 에든버러와 세인트앤드루스에서 사형 집행인의 손에 의해 불태워졌으며, 그의 사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금서 목록에 올랐다.
"렉스 렉스"는 때때로 해설자들이 루더포드가 시민의 자유를 지지했다고 생각하게 하는 혼란을 일으켰다. 대신 루더포드는 앤드루 멜빌에 의해 스코틀랜드에서 대중화된 교회와 국가의 이원 왕국 이상을 옹호했다. 이것은 그의 여러 저작에서 나타나지만, "장로회의 정당한 권리"(1644)의 후반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다. 그것은 왕이 교회에서 직책을 맡는 것을 금지했지만, 또한 진정한 종교를 감독하고 시행할 책임을 지게 했다.
4. 2. 저항권
새뮤얼 루더포드의 정치 서적인 ''렉스, 렉스, 즉 법과 군주''(1644)[5]는 존 맥스웰의 ''Sacro-Sanctum Regus Majestas''(1644)에 대한 응답으로 쓰여졌으며, 루더포드를 정치 사상가로서 명성을 얻게 했다. 이 책은 정당방위 전쟁과 합법적으로 구성된 권위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을 정당화했으며, 제한 정부와 입헌주의 이론을 제시했다.[5] 왕정 복고 이후, 이 책은 에든버러와 세인트앤드루스에서 사형 집행인의 손에 의해 불태워졌으며, 그의 사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금서 목록에 올랐다."렉스 렉스"는 때때로 해설자들이 루더포드가 시민의 자유를 지지했다고 생각하게 하는 혼란을 일으켰다. 대신 루더포드는 앤드루 멜빌에 의해 스코틀랜드에서 대중화된 교회와 국가의 이원 왕국 이상을 옹호했다. 이것은 그의 여러 저작에서 나타나지만, "장로회의 정당한 권리"(1644)의 후반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다. 그것은 왕이 교회에서 직책을 맡는 것을 금지했지만, 또한 진정한 종교를 감독하고 시행할 책임을 지게 했다.
5. 저서
- ''Lex Rex'' : 작은 정부론, 헌정주의를 주장했으며, 존 로크의 사회계약설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정부의 최고 책임자는 법 아래에 있으며, 그들이 곧 법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당시의 군주였던 찰스 1세의 왕권신수설을 배격하고 군주의 통치권이 제한된다는 것을 확실히 명시하였다.[9]
- ''사무엘 러더포드의 편지'' : 찰스 해돈 스펄전 목사가 칭찬한 저서 중 하나이다.
- ''The Covenant of Life Opened'' (1655년 에든버러) : 언약신학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성화 (기독교)의 '완전한 습관'이란 용어를 통해서 러더포드는 습관의 개념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했다.[10]
- ''A Survey of Spiritual Antichrist'' (1648년 런던) : 로마서 6장 1절, 7장 7절을 설명하면서, 율법폐기론이 바울 시대에 이미 처음 등장했고, 존 칼빈은 리버틴이라 부르며 반대하였고, 루터는 요한 아그리콜라와 논쟁하였다고 설명하였다.[11]
- ''Divine Right''
- ''렉스, 렉스, 즉 법과 군주''(1644) : 존 맥스웰의 ''Sacro-Sanctum Regus Majestas''(1644)에 대한 응답으로 쓰여졌으며, 루더포드를 정치 사상가로서 명성을 얻게 했다. 이 책은 정당방위 전쟁과 합법적으로 구성된 권위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을 정당화했으며, 제한 정부와 입헌주의 이론을 제시했다.
- ''장로회의 정당한 권리'' (1644)
- ''양심의 자유에 대한 허위적 논박'' (1649) : 로저 윌리엄스와 다른 사람들의 견해에 반대.
- ''스코틀랜드의 바울 장로회를 위한 평화로운 변론'' (1642)
- ''교회 정부와 출교의 신성한 권리'' (1648)
- ''토마스 후커가 쓴 '교회 훈련 요약'에 대한 조사'' (1655)
- ''Exercitationes pro Divina Gratia'' (1636년 암스테르담)
- ''스코틀랜드의 바울 장로교회에 대한 평화롭고 온건한 탄원'' (1642년 런던)
- ''하원 앞에서 한 설교'', 다니엘서 (1644년 런던)
- ''누가복음 7장 22절에 대한 상원 앞에서 한 설교'' (1645년 런던)
- ''믿음의 시련과 승리'' (1645년 런던)
- ''그리스도께서 돌아가시며 죄인을 당신께로 이끄심'' (1647년 런던)
- ''영적 적그리스도에 대한 고찰'' (1648년 런던)
- ''존 케누어 자작의 마지막이자 천국적인 연설과 영광스러운 죽음'' (1649년 에든버러)
- ''Disputatio Scholastica de Divina Providentia'' (1649년 에든버러)
- ''생명의 언약 개방'' (1655년 에든버러)
- ''토마스 후커 씨가 쓴 '교회 훈련의 요약에 대한 고찰'에 대한 고찰'' (1658년 런던)
- ''은혜의 삶의 영향'' (1659년 런던)
- ''조슈아 레디비부스, 또는 러더포드 씨의 편지'' (1664년)
- ''Examen Arminianismi'' (1668년 위트레흐트)
- ''S. 러더포드 씨가 개혁 사업에 남긴 증언'' (날짜 불확실)
- ''기도에 관한 논문'' (1713년)
- ''잔혹한 파수꾼, 구원의 문이 열리다'' (1735년 에든버러)
- ''열두 개의 성찬 설교'' (1876년 글래스고)
- ''독특한 설교'' (1885년 런던, 호더 & 스토턴)
- ''러더포드의 교리 문답: 기독교 종교의 요약'' (1886년 런던)
- ''하나님의 예배에서 캐논과 의식에 반대하는 몇 가지 논쟁에 대한 논의'' (데이비드 G. 뮬란 편집, 1998년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역사 학회)
6. 영향 및 유산
프란시스 쉐퍼는 그의 저서 기독교 선언에서 러더포드의 ''Lex Rex''를 미국의 건국에 영향을 준 책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8] ''Lex Rex''는 작은 정부론, 헌정주의, 존 로크의 사회계약설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으며, 정부의 최고 책임자는 법 아래에 있으며 그들이 곧 법이 아니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당시의 군주였던 찰스 1세의 왕권신수설을 배격하고 군주의 통치권이 제한된다는 것을 확실히 명시하였다.[9]
찰스 해돈 스펄전 목사가 칭찬한 저서 중 하나인 사무엘 러더포드의 편지와, 언약신학에 대해 설명하면서 성화 (기독교)의 '완전한 습관'이란 용어를 통해 습관의 개념을 간략히 설명한 ''The Covenant of Life Opened''[10], 로마서 6:1, 7:7을 설명하면서, 율법폐기론이 바울의 시대에 이미 처음으로 등장했고, 존 칼빈은 리버틴으로 부르며 반대하였고, 마르틴 루터는 요한 아그리콜라와 논쟁하였다고 설명한 ''A Survey of Spiritual Antichrist''[11]등이 있다.
스코틀랜드 교회(Church of Scotland)의 고전적인 인물 중 한 명인 루더퍼드는 학자, 설교자, 작가로서 생전에 심오하고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사후에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대중적인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그의 서신집은 약 40차례나 재판되었으며, 그의 말과 행동에 얽힌 무수한 일화들은 스코틀랜드 전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의 마지막 말 중 하나는 "영광이 임마누엘의 땅에서 빛난다"였으며, 이 말을 바탕으로 앤 보스 커즌 부인이 찬송가 "시간의 모래는 가라앉고"를 작곡했다.
6. 1. 러더포드 기념비
1842년에 건립된 카테고리 B로 지정된 화강암 오벨리스크인 러더포드 기념비는 스코틀랜드 남서부 게이트하우스 오브 플리트 마을의 전 교구인 앤워스를 내려다보는 언덕 꼭대기에 있다.[1]7.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비고 |
---|---|---|
유페임 해밀턴 | 마리 | 1626년 결혼, 1630년 사망. 마리는 1628년 4월 14일 세례 받음. |
진 맥매스 | 아그네스 (윌리엄 치즐리(W.S.와 결혼) 외 6명 | 1640년 3월 24일 재혼. 진 맥매스는 1675년 5월 15일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 묘지에 묻힘. 아그네스는 1694년 7월 29일 사망. 다른 6명의 자녀는 루더포드보다 먼저 사망. |
새뮤얼 루더포드는 제임스 구스리와 친분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문서
Minutes of Edinburgh Town Council
1626-02-03
[2]
웹사이트
Samuel Rutherford: Selection from his Letter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3-02-24
[3]
ODNB
Gordon [née Campbell], Jane [Jean], Viscountess Kenmure, patron of ministers
https://www.oxforddn[...]
2023-02-24
[4]
간행물
Fasti Ecclesiae Scoticanae
[5]
서적
The Whole Works of Jeremy Taylor
London
1856
[6]
서적
The Reformation
London
1964
[7]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Wheaton, Illinois
[8]
서적
A Christian manifesto
Crossway Books
1981
[9]
웹인용
"[스크랩] 장로교회사 강의노트(종합본)"
http://blog.daum.net[...]
2020-09-03
[10]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Wheaton, Illinois
[11]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Wheaton, Illino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