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5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5호선은 대한민국 남해안과 강원특별자치도, 그리고 북한을 잇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마산에서 중강진을 잇는 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통 및 변경을 거쳤다. 주요 경유지는 경상남도 통영시, 거제시, 창원시, 함안군, 창녕군, 대구광역시, 칠곡군, 군위군, 의성군, 안동시, 영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제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횡성군, 홍천군, 춘천시, 화천군, 철원군 등을 포함한다. 이 도로는 고속도로, 국도 등 다양한 노선과 연결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강도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함경남도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량강도의 교통 - 천지삭도
    천지삭도는 백두산 향도봉에서 천지까지 운행하는 케이블카이며, 1995년에 개통되었고,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이용되었다.
국도 제5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을 지나고 있는 국도 제5호선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을 지나고 있는 국도 제5호선
노선 번호명국도 제5호선
노선도
총연장1252 km (남측 구간 617.9 km)
관리(정보 없음)
제정일1971년 8월 31일
도로 방향남북
노선 정보
별칭국도 제5호선
부속 별칭거제중강진선 (Geoje Junggangjin Line)
경로
기점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주요 경유지경상남도 통영시
경상남도 거제시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창녕군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대구광역시 군위군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영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충청북도 제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강원도 김화군
강원도 평강군
강원도 안변군
강원도 원산시
강원도 문천시
함경남도 고원군
함경남도 영흥군
함경남도 정평군
함경남도 함주군
함경남도 함흥시
함경남도 함주군
함경남도 장진군
량강도 김형직군
자강도 자성군
종점자강도 자성군 중강면
연결 도로
주요 교차 도로서산영덕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기타
비고남북 분단으로 인하여 실질적 종점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구 김화군 지역)이다.
참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금야군으로 바꾸었는데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아 영흥군으로 표기한다.
주의본래 김화군 지역이나 철원군으로 배속된 상태

2. 역사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5호선''' 마산 ~ 중강진선이 되었다.[11] 1973년 4월 25일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 km 구간의 선형이 4.9 km로 변경되었고,[12] 1975년 2월 13일에는 해당 구간이 폐지되었다.[13] 1975년 10월 1일에는 원성군 신림면 금대리 총 20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70m 구간 폐지, 제천군 봉양면 구학리 ~ 단양군 매포면 평동리 총 700m 구간 개통 및 기존 810m 구간이 폐지되었다.[14] 1976년 1월 12일에는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총 673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777m 구간이 폐지되었다.[15]

1980년 2월 22일 춘성군 신동면 학곡리 ~ 동산면 원창리 1.08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75 km 구간이 폐지되었다.[16] 1986년 9월 29일 충주댐 건설로 인해 단양군 단양읍 북하리 ~ 상진리 11.6 km 구간 도로가 수몰되어 폐지되었고,[17] 1987년 5월 26일에는 기존 지정 구간인 단양군 매포읍 매포리 ~ 우덕리 구간이 폐지되었다.[18] 1989년 3월 11일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일대 구 도로부지가 폐지되었다.[19]

1992년 1월 17일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60m 구간이 개통되었고,[20] 1996년 6월 29일에는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 제천시 중앙로1가 21.4 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21.6 km 구간이 폐지되었다.[21] 1997년 10월 15일 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1.24 km 구간 개통, 기존 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22] 1998년 2월 7일 의성 ~ 안동간 도로(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옥동) 17.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수상동 5.47 km 구간이 폐지되었다.[23] 1998년 5월 8일 단양군 단양읍 상진리 500m 구간이 개통되었다.[24]

1999년 6월 30일 성산 ~ 유가간 도로(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 도의리) 1.65 km 구간 확장 개통,[25] 1999년 8월 28일 춘천시 서면 오월리 700m 구간 및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 화천군 하남면 서오지리 590m 구간 개통, 기존 구 오탄교 230m 구간이 폐지되었다.[26] 2000년 1월 10일 영주시 안정면 내줄리 ~ 풍기읍 백리 7.0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05 km 구간이 폐지되었다.[27]

2000년 5월 22일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 ~ 문정동 1.81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8] 2000년 5월 31일 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 ~ 가흥동 3.9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하였다.[29] 2000년 6월 5일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영주시 문수면 적동리 ~ 가흥동) 5.774 km 구간 확장 개통,[30] 2000년 6월 15일 풍산 ~ 안동간 도로(안동시 옥동 ~ 당북동 (구)농고네거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하였다.[31] 2000년 12월 31일 군위 ~ 의성간 도로(군위군 군위읍 서부리 ~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총 8.79 km 구간 확장 개통,[32] 단양군 단양읍 증도리 ~ 매포읍 하괴리 5.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33]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주포리 3.9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54 km 구간이 폐지되었다.[34]

2001년 1월 1일 횡성군 횡성읍 입석리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19.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2 km 구간이 폐지되었고,[35] 2001년 9월 20일 횡성군 횡성읍 곡교리 1.54 km 구간 개통, 기존 750m 구간이 폐지되었다.[36] 2001년 12월 29일 단양군 매포읍 고양리 490m 구간이 개통되었다.[37] 2002년 3월 15일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900m 구간 개통,[38] 2002년 4월 1일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기존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1.2 km 구간이 폐지되었다.[39]

2002년 5월 30일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이 폐지되었고,[40] 2002년 8월 3일 원주시 관설동 ~ 봉산동 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하였다.[41] 2002년 11월 1일 평은 ~ 영주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오운리 ~ 문정동) 14.0 km 구간 확장 개통,[42] 2002년 11월 춘천시 사북면 원평리 ~ 신포리 2.0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7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43] 2003년 1월 1일 성산 ~ 유가간 도로(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등지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6.8 km 구간이 폐지되었다.[44]

2003년 1월 8일 화천군 화천읍 하리 ~ 상리 1.613 km 구간 및 화천터널 확장 개통, 기존 2.8 km 구간이 폐지되었고,[45] 2003년 1월 10일 영산 ~ 창녕간 도로(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 창녕읍 퇴천리) 9 km 구간 확장 개통,[46] 기존 5.5 km 구간이 폐지되었다.[47] 2003년 1월 22일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 북방면 상화계리 12.56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9 km 구간이 폐지되었다.[48] 2003년 12월 30일 창녕군 창녕읍 초막리 ~ 대지면 효정리 5.56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49]

2004년 12월 29일 창녕 ~ 성산간 도로(창녕군 창녕읍 교리 ~ 대합면 등지리) 5.56 km 구간 확장 개통[50] 및 기존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 600m 구간 폐지,[51] 칠원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원면 무기리 ~ 이룡리) 9.94 km 구간 확장 개통[52] 및 기존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 ~ 칠서면 계내리 11.9 km 구간이 폐지되었다.[53] 2005년 9월 9일 현동 ~ 중리간 도로(마산시 현동 ~ 내서읍 중리) 11.0 km 구간 조기 개통,[54] 2005년 10월 31일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하였다.[55]

2005년 12월 21일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신전 ~ 가흥간 도로,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5 km 구간이 폐지되었고,[56] 2005년 12월 24일 남지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서면 이룡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6.58 km 구간 확장 개통,[57] 기존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7.5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58] 2005년 12월 30일 마현 ~ 생창간 도로(철원군 근남면 풍암리 ~ 김화읍 읍내리) 5.565 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59] 2006년 2월 17일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2.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하였고,[60][61] 2006년 9월 27일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550m 구간이 개통되었다.[62]

2006년 11월 21일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용부원리) 1.6 km 구간 확장 개통,[63] 2006년 12월 19일 내서 ~ 중리간 도로(마산시 내서읍 중리 ~ 호계리) 2.928 km 구간 개통,[64] 기존 마산시 자산동 ~ 내서읍 호계리 10.77 km 구간이 폐지되었다.[65] 2007년 1월 18일 마산시 ~ 내서읍 호계리 구간을 해제하고 예곡동 현동 교차로 ~ 내서읍 경유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되었으며,[66] 2007년 2월 1일 신북 ~ 신죽간 도로(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구간 2.5 km 확장 개통하였다.[67] 2008년 11월 17일 기점이 경상남도 마산시 마산시청에서 거제시 연초면으로 변경됨에 따라 노선명이 '마산 ~ 중강진선'에서 '거제 ~ 중강진선'으로 변경되었다.[68]

2009년 12월 29일 안동 ~ 서후간 도로(안동시 송현동 ~ 서후면 이송천리) 6.05 km 구간 확장 개통[69] 및 기존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 400m 구간 폐지,[70]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 북후면 도촌리) 2.8 km 구간 일부 확장 개통[71] 및 기존 구간이 폐지되었다.[72] 2010년 9월 20일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 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5.2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73] 기존 구간이 폐지되었고,[74] 2010년 12월 22일 서후 ~ 평은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 오운리) 1.87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75]

2011년 5월 2일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 ~ 장양간 도로(원주시 행구동 ~ 소초면 장양리) 9.6 km 구간 신설 개통,[76] 2012년 1월 25일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 ~ 용산리 7.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하였다.[77] 2013년 12월 23일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간 도로(원주시 관설동 관설 교차로 ~ 행구동 행구 교차로) 5.3 km 구간 확장 개통,[78] 2014년 1월 16일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원주시 관통(원주시 관설동 ~ 소초면 장양리) 11.138 km 구간이 폐지되었다.[79] 2014년 12월 2일 신북 ~ 용산간 도로(춘천시 동내면 학곡리 ~ 신북읍 용산리) 2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춘천시 관통 구간이 폐지되었다.[80]

2015년 3월 5일 내서 ~ 칠원간 도로(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1.5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 km 구간이 폐지되었고,[81] 2016년 1월 18일 화원 ~ 옥포간 도로(달성군 논공읍 상리 ~ 화원읍 성산리) 8.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82] 2016년 12월 28일 풍기 ~ 도계간 도로(영주시 풍기읍 백신리 ~ 수철리) 5.1 km 구간 확장 개통,[83] 기존 2.0 km 구간이 폐지되었다.[84] 2017년 4월 13일 선형개량으로 인해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05m 구간이 폐지되었고,[85] 2017년 11월 27일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구성리) 총 2.2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86][87]

2017년 12월 1일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단양읍 증도리) 6.56 km 구간 확장 개통,[88] 2018년 11월 13일 단양군 매포읍 평동리 ~ 하시리 50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 180m 구간이 폐지되었다.[89] 2018년 12월 14일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무기리) 2.1 km 구간 확장 개통,[90][91] 기존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380m 구간이 폐지되었다.[92] 2019년 9월 1일 거제 ~ 마산간 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난포리 ~ 석곡리) 5.1 km 구간 신설 개통,[93] 2020년 1월 2일 거제 ~ 마산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 수정리 8.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94]

2020년 1월 17일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520m 구간 신설 개통,[95] 기존 770m 구간이 폐지되었고,[96] 2020년 8월 13일 거제 ~ 마산간 도로 2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 난포리) 3.8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97] 2020년 9월 29일 거제 ~ 마산간 도로 3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석곡리 ~ 마산합포구 현동) 1.9km 구간 신설 개통[98]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수정리 ~ 마산합포구 덕동동 3.7km 구간이 폐지,[99] 2021년 2월 4일 거제 ~ 마산간 도로 3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2.1km 구간 신설 개통,[100]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동동 ~ 우산동 2.8km 구간이 폐지되었다.[101]

2021년 6월 22일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죽토리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연장하여 '거제 ~ 중강진선'에서 '통영 ~ 중강진선'으로 변경되었다.[102] 2021년 7월 15일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 실전리 200m 구간 개량 개통[103] 및 기존 구간이 폐지되었다.[104] 2024년 11월 19일 치악재터널이 관통되었다.[105]

3. 주요 경유지

wikitext

강원도 화천군의 국도 제5호선

'''IS''': 교차로, '''IC''': 분기점

이름[106]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발개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발개로)
지방도 제1021호선
(도남로)
통영시도남동지방도 제1021호선과 중복
통영-한산도 연륙교rowspan=2 |미개통
한산면
(여차마을)
한산일주로
(소고포마을)
두억로
(창동마을)
추봉교한산일주로
봉암1길
(추원마을)
(예곡마을)
추봉도-거제 연륙교rowspan=2 |미개통
거제시동부면
(가배항)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영월마을)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영북마을)
(동호마을)
(오송마을)
오망천삼거리율포로
(미상)거제남서로
(미상)거제남서로
(미상)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거제시 동서간도로)rowspan=2 |거제면rowspan=2 |
상동동
(미상)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중앙로)
독봉산로
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거제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계룡로
고현사거리고현로고현동
(미상)서문로
6번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거제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 중복
7번교차로고현천로
8번교차로중곡로
양정육교수양로
제산로
양정동
9번교차로해명로수월동
연사삼거리연하해안로연초면
연초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대로)
죽토1교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연초삼거리(연초농협)죽토로
죽전교
(중리마을)대금산로
장터고개
(덕치고개)
하청면
하청삼거리연하해안로
(성동마을입구)하청로
맹종죽테마공원
실전삼거리칠천로
실전카페리부두
장동삼거리옥포대첩로장목면
장목농협앞삼거리거제북로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
큰다리
드비치GC
답답고개
이순신대교
(거마대교)
미개통
창원시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이순신로)
심리터널연장 690m
용호 교차로
(용호IC교)
용호로
용호터널연장 146m
남포천교
난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이순신로)
로봇랜드로
내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구산로)
내포교
내포1터널상행 연장 612m
하행 연장 597m
내포2터널상행 연장 609m
하행 연장 634m
내포1교
석곡터널상행 연장 379m
하행 연장 359m
석곡 교차로
(석곡IC교)
지방도 제1002호선
(석곡로)
석곡2교
유산터널상행 연장 429m
하행 연장 419m
유산교
유산 교차로유산군령로마산합포구 현동
현동1터널연장 283m
현동교
현동2터널연장 269m
현동 분기점
(현동JCT교)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남해안대로)
국도 제2, 14, 77, 79호선과 중복
우산 교차로
(우산교)
밤밭고개로
현동 교차로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
(남해안대로)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9호선
(밤밭고개로)
예곡교
쌀재터널상행 연장 1,465m
하행 연장 1,470m
마산회원구 내서읍
감천1교
감천2교
감천3교
감천 교차로
(감천4교)
감천로
삼계교
삼계삼거리광려로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삼계사거리삼계로
중리공단로
롯데마트 삼계점
상곡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광려천서로)
중리공단로1길
내서교고가도로
중리 교차로광려천서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호계사거리호계본동로
호계1교
함안군칠원읍
예곡삼거리호원로
야촌사거리오곡로
석전사거리석전1길
석전2길
갈티곡고개
구성교
구성사거리
(무기교)
삼칠로
무기새길
운서 교차로운무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운서교
무릉1터널상행 연장 470m
하행 연장 480m
칠서면
무릉2터널상행 연장 602m
하행 연장 580m
무릉3터널상행 연장 600m
하행 연장 550m
칠북면
가연천교
가연교
검단1교
칠북 교차로유성로
검단2교
덕남 교차로계룡로
덕남1교
덕남교
광려천교
칠서면
이룡 교차로지방도 제1040호선
(삼칠로)
낙동대교
창녕군도천면
우강 교차로
(우강IC교)
지방도 제1022호선
(낙동로)
우강교
덕곡천교
논리교
논리 교차로치이골길
도천교도천중앙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영산천교
영산면
죽사 교차로
(죽사교)
영산도천로영산 나들목과 연결
죽사1교
죽사2교
영산교
계성면
봉산 교차로
(봉산IC교)
국도 제79호선
(영산장마로)
명리천1교
명리 교차로
(명리IC교)
명리공단길
영산계성로
명리2교
계성 교차로지방도 제1080호선
(계성화왕산로)
상행 진출만 가능
계성천교
신당 교차로
(신당IC교)
영산계성로
남통고개
장마면
여초 교차로
(여초IC교)
여초1길
여초3길
창녕읍
초막골 교차로여초길
화전길
초막2길
공설운동장삼거리창녕대로
퇴천1교
옷들교
개산교탐하로
송곳교
대지 교차로
(대지교)
지방도 제1080호선
(우포2로)
대지면
왕산교
왕산사거리억만미산로
어은삼거리원촌어은길
모전삼거리대합면
모전사거리모전로
석실길
수장사거리수장퇴산로
수장길
장기교
장기사거리매탄길
농공단지삼거리대합공단길
무솔사거리평지퇴산로
등지 교차로지방도 제1034호선
(팔문동길)
창한로
대합육교
창곡교
구리교구례동길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대견교
대견 교차로
(대견IC육교)
대견월포로성산면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한정1교에서 시작하여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치안센터까지 이어진다.

  • 북구
  • 팔달교를 지나 대구북부화물터미널을 거쳐 팔달로 교차로(팔달고가차도), 매천시장역에서 매천로18길과 교차한다. 태전역을 지나 태전삼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 (태전로)과 교차하고, 운전면허시험장에서 태암남로, 칠곡중앙대로65길과 교차한다. 대구과학대학 교차로에서 태암로와 교차하고, 칠곡네거리(칠곡지하차도)에서 구암로와 교차하며, 칠곡 나들목과 연결된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을 지나 칠곡초등학교 교차로에서 관음중앙로와 교차하고, 읍내동행정복지센터를 지난다. 칠곡우체국네거리에서 동암로, 칠곡중앙대로115길과 교차하고, 칠곡중학교를 지나 제형주유소에서 관음로와 교차한다. 팔거교 서단에서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호국로)와 교차하고, 동호치안센터까지 이어진다.


1996년 이전에는 두류공원네거리 - 성당시장네거리 - 내당네거리 - 반고개네거리 - 비산네거리 - 북비산네거리 - 비산지하차도 - 원대네거리 - 고성로 - 팔달시장역 - 만평네거리를 경유했다.
국도 제5호선 창원방향, 의성군 단촌면 경북대로 6235의 의성휴게식당/재랫재휴게소와 절개사면에 드러난 후평동층


의성군 봉양면 도원삼거리


의성군 봉양면의 안개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5%; text-align: center;"

|-

! 이름

! 접속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비고

|-

! 동명동호 나들목
(동명동호IC 교차로)

|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 rowspan="12" |칠곡군

|rowspan=5|동명면

|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

! 동명사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한티로)
금암2길

| rowspan="6"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

|-

! (이름 없음)

| 금암중앙길

|-

! (이름 없음)

| 남원로

|-

!rowspan=2| 소야고개

|

|-

|

| rowspan="7" |가산면

|-

! 다부원앞

| 다부원1길

|-

! 다부원 교차로
(유학산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호국평화로)

|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

! 다부동전승비
가산초등학교
가산면사무소

|

|rowspan=2|국도 제25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

! 천평삼거리

| 국도 제25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낙동대로)

|-

! 가산 나들목

| 55호선 중앙고속도로

| 하행 지하차도로 직진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514호선
(인동가산로)

| 지방도 제514호선과 중복

|-

! 의성 나들목
(의성고가차도)

| 55호선 중앙고속도로

|rowspan=25| 의성군

|rowspan=9| 봉양면

|rowspan=4|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

! 도원삼거리

| 농공마전길

|-

! (도원리)

| 봉기길

|-

! 도리원2교

|

|-

! 봉양 교차로
(봉양고가교)

| 국도 제28호선
(서부로)
도리원3길

| 국도 제28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

! 온천삼거리

| 지방도 제927호선
(봉호로)
도리원2길

|rowspan=2|국도 제28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927호선과 중복

|-

! 구미삼거리

| 지방도 제927호선
(조문로)

|-

! 의성군농업기술센터

|

|rowspan=4|국도 제28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

!rowspan=2| 분토교

|

|-

|

|rowspan=8|의성읍

|-

! 용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비봉길)

|-

! 용연교

| 용연1길

|rowspan=2|국도 제28호선과 중복

|-

! 원당 교차로

| 국도 제28호선
(동부로)

|-

! 원당삼거리

| 지방도 제914호선
(홍술로)

|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
하행 진출 불가

|-

! 의성2교

|

| rowspan="15"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

|-

! 철파사거리

| 지방도 제912호선
(안평의성로)

|-

!rowspan=2| 재랫재

|

|-

|

|rowspan=8|단촌면

|-

! 북의성 나들목

| 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

! 세촌삼거리

| 신기길

|-

! 안세교

|

|-

! 세촌 교차로

| 신기길

|-

! 세곡1 교차로

| 동내개골길

|-

! 세촌과선교

|

|-

!rowspan=2| 세촌2 교차로

|rowspan=2| 광연길

|-

|rowspan=34|안동시

|rowspan=6|일직면

|-

! 망호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일직점곡로)

|-

! 일직교

|

|-

! 운산 교차로

| 지방도 제914호선
(풍일로)

|-

! 송리교

|

|

|-

!rowspan=2| 광음1교

|

|

|-

|

|rowspan=7|남후면

|

|-

! 광음 교차로

| 큰광음길

|

|-

! 광음3교
남루교

|

|

|-

! 무릉 교차로

| 무릉길
무릉1길

|

|-

! 남후1교
남후2교

|

|

|-

! (이름 없음)

| 무릉길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rowspan=2| 사안교

|

|

|-

|

|rowspan=5|강남동

|

|-

! 무릉육교

|

|

|-

! 한티 교차로

| 국도 제34호선
(남순환로)

|

|-

! (이름 없음)

| 강남로

|

|-

!rowspan=2|안동대교

|

|

|-

|

|rowspan=3|태화동

|

|-

! 안동대교북단

| 하이마로

|

|-

! 어가골 교차로

| 육사로

|

|-

! 옥동사거리

| 광명로

| 옥동

|

|-

! 옥동3주공 교차로

| 은행나무로

|rowspan=2|송하동

|

|-

! 송현오거리

| 경동로

| 송하1길

|-

! 매화골 교차로

| 매화길

|rowspan=2|안기동

|

|-

! 두우교

|

|

|-

! 제비원교

| 이송천한티길

3. 1. 대한민국 구간

경상남도 구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106]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발개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발개로)
지방도 제1021호선
(도남로)
통영시도남동지방도 제1021호선과 중복
통영-한산도 연륙교rowspan=2 |미개통
한산면
(여차마을)
한산일주로
(소고포마을)
두억로
(창동마을)
추봉교한산일주로
봉암1길
(추원마을)
(예곡마을)
추봉도-거제 연륙교rowspan=2 |미개통
거제시동부면
(가배항)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영월마을)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영북마을)
(동호마을)
(오송마을)
오망천삼거리율포로
(미상)거제남서로
(미상)거제남서로
(미상)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거제시 동서간도로)rowspan=2 |거제면rowspan=2 |
상동동
(미상)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중앙로)
독봉산로
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거제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계룡로
고현사거리고현로고현동
(미상)서문로
6번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거제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 중복
7번교차로고현천로
8번교차로중곡로
양정육교수양로
제산로
양정동
9번교차로해명로수월동
연사삼거리연하해안로연초면
연초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대로)
죽토1교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연초삼거리(연초농협)죽토로
죽전교
(중리마을)대금산로
장터고개
(덕치고개)
하청면
하청삼거리연하해안로
(성동마을입구)하청로
맹종죽테마공원
실전삼거리칠천로
실전카페리부두
장동삼거리옥포대첩로장목면
장목농협앞삼거리거제북로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
큰다리
드비치GC
답답고개
이순신대교
(거마대교)
미개통
창원시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이순신로)
심리터널연장 690m
용호 교차로
(용호IC교)
용호로
용호터널연장 146m
남포천교
난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이순신로)
로봇랜드로
내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구산로)
내포교
내포1터널상행 연장 612m
하행 연장 597m
내포2터널상행 연장 609m
하행 연장 634m
내포1교
석곡터널상행 연장 379m
하행 연장 359m
석곡 교차로
(석곡IC교)
지방도 제1002호선
(석곡로)
석곡2교
유산터널상행 연장 429m
하행 연장 419m
유산교
유산 교차로유산군령로마산합포구 현동
현동1터널연장 283m
현동교
현동2터널연장 269m
현동 분기점
(현동JCT교)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남해안대로)
국도 제2, 14, 77, 79호선과 중복
우산 교차로
(우산교)
밤밭고개로
현동 교차로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
(남해안대로)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9호선
(밤밭고개로)
예곡교
쌀재터널상행 연장 1,465m
하행 연장 1,470m
마산회원구 내서읍
감천1교
감천2교
감천3교
감천 교차로
(감천4교)
감천로
삼계교
삼계삼거리광려로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삼계사거리삼계로
중리공단로
롯데마트 삼계점
상곡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광려천서로)
중리공단로1길
내서교고가도로
중리 교차로광려천서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호계사거리호계본동로
호계1교
함안군칠원읍
예곡삼거리호원로
야촌사거리오곡로
석전사거리석전1길
석전2길
갈티곡고개
구성교
구성사거리
(무기교)
삼칠로
무기새길
운서 교차로운무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운서교
무릉1터널상행 연장 470m
하행 연장 480m
칠서면
무릉2터널상행 연장 602m
하행 연장 580m
무릉3터널상행 연장 600m
하행 연장 550m
칠북면
가연천교
가연교
검단1교
칠북 교차로유성로
검단2교
덕남 교차로계룡로
덕남1교
덕남교
광려천교
칠서면
이룡 교차로지방도 제1040호선
(삼칠로)
낙동대교
창녕군도천면
우강 교차로
(우강IC교)
지방도 제1022호선
(낙동로)
우강교
덕곡천교
논리교
논리 교차로치이골길
도천교도천중앙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영산천교
영산면
죽사 교차로
(죽사교)
영산도천로영산 나들목과 연결
죽사1교
죽사2교
영산교
계성면
봉산 교차로
(봉산IC교)
국도 제79호선
(영산장마로)
명리천1교
명리 교차로
(명리IC교)
명리공단길
영산계성로
명리2교
계성 교차로지방도 제1080호선
(계성화왕산로)
상행 진출만 가능
계성천교
신당 교차로
(신당IC교)
영산계성로
남통고개
장마면
여초 교차로
(여초IC교)
여초1길
여초3길
창녕읍
초막골 교차로여초길
화전길
초막2길
공설운동장삼거리창녕대로
퇴천1교
옷들교
개산교탐하로
송곳교
대지 교차로
(대지교)
지방도 제1080호선
(우포2로)
대지면
왕산교
왕산사거리억만미산로
어은삼거리원촌어은길
모전삼거리대합면
모전사거리모전로
석실길
수장사거리수장퇴산로
수장길
장기교
장기사거리매탄길
농공단지삼거리대합공단길
무솔사거리평지퇴산로
등지 교차로지방도 제1034호선
(팔문동길)
창한로
대합육교
창곡교
구리교구례동길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대견교
대견 교차로
(대견IC육교)
대견월포로성산면


3. 1. 1. 경상남도

wikitext

경상남도 구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106]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발개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발개로)
지방도 제1021호선
(도남로)
통영시도남동지방도 제1021호선과 중복
통영-한산도 연륙교rowspan=2 |미개통
한산면
(여차마을)
한산일주로
(소고포마을)
두억로
(창동마을)
추봉교한산일주로
봉암1길
(추원마을)
(예곡마을)
추봉도-거제 연륙교rowspan=2 |미개통
거제시동부면
(가배항)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영월마을)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영북마을)
(동호마을)
(오송마을)
오망천삼거리율포로
(미상)거제남서로
(미상)거제남서로
(미상)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남서로)
(거제시 동서간도로)rowspan=2 |거제면rowspan=2 |
상동동
(미상)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중앙로)
독봉산로
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거제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계룡로
고현사거리고현로고현동
(미상)서문로
6번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거제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 중복
7번교차로고현천로
8번교차로중곡로
양정육교수양로
제산로
양정동
9번교차로해명로수월동
연사삼거리연하해안로연초면
연초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지방도 제1018호선
(거제대로)
죽토1교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
연초삼거리(연초농협)죽토로
죽전교
(중리마을)대금산로
장터고개
(덕치고개)
하청면
하청삼거리연하해안로
(성동마을입구)하청로
맹종죽테마공원
실전삼거리칠천로
실전카페리부두
장동삼거리옥포대첩로장목면
장목농협앞삼거리거제북로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
큰다리
드비치GC
답답고개
이순신대교
(거마대교)
미개통
창원시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이순신로)
심리터널연장 690m
용호 교차로
(용호IC교)
용호로
용호터널연장 146m
남포천교
난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이순신로)
로봇랜드로
내포 교차로지방도 제1002호선
(구산로)
내포교
내포1터널상행 연장 612m
하행 연장 597m
내포2터널상행 연장 609m
하행 연장 634m
내포1교
석곡터널상행 연장 379m
하행 연장 359m
석곡 교차로
(석곡IC교)
지방도 제1002호선
(석곡로)
석곡2교
유산터널상행 연장 429m
하행 연장 419m
유산교
유산 교차로유산군령로마산합포구 현동
현동1터널연장 283m
현동교
현동2터널연장 269m
현동 분기점
(현동JCT교)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남해안대로)
국도 제2, 14, 77, 79호선과 중복
우산 교차로
(우산교)
밤밭고개로
현동 교차로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
(남해안대로)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9호선
(밤밭고개로)
예곡교
쌀재터널상행 연장 1,465m
하행 연장 1,470m
마산회원구 내서읍
감천1교
감천2교
감천3교
감천 교차로
(감천4교)
감천로
삼계교
삼계삼거리광려로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삼계사거리삼계로
중리공단로
롯데마트 삼계점
상곡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광려천서로)
중리공단로1길
내서교고가도로
중리 교차로광려천서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호계사거리호계본동로
호계1교
함안군칠원읍
예곡삼거리호원로
야촌사거리오곡로
석전사거리석전1길
석전2길
갈티곡고개
구성교
구성사거리
(무기교)
삼칠로
무기새길
운서 교차로운무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운서교
무릉1터널상행 연장 470m
하행 연장 480m
칠서면
무릉2터널상행 연장 602m
하행 연장 580m
무릉3터널상행 연장 600m
하행 연장 550m
칠북면
가연천교
가연교
검단1교
칠북 교차로유성로
검단2교
덕남 교차로계룡로
덕남1교
덕남교
광려천교
칠서면
이룡 교차로지방도 제1040호선
(삼칠로)
낙동대교
창녕군도천면
우강 교차로
(우강IC교)
지방도 제1022호선
(낙동로)
우강교
덕곡천교
논리교
논리 교차로치이골길
도천교도천중앙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영산천교
영산면
죽사 교차로
(죽사교)
영산도천로영산 나들목과 연결
죽사1교
죽사2교
영산교
계성면
봉산 교차로
(봉산IC교)
국도 제79호선
(영산장마로)
명리천1교
명리 교차로
(명리IC교)
명리공단길
영산계성로
명리2교
계성 교차로지방도 제1080호선
(계성화왕산로)
상행 진출만 가능
계성천교
신당 교차로
(신당IC교)
영산계성로
남통고개
장마면
여초 교차로
(여초IC교)
여초1길
여초3길
창녕읍
초막골 교차로여초길
화전길
초막2길
공설운동장삼거리창녕대로
퇴천1교
옷들교
개산교탐하로
송곳교
대지 교차로
(대지교)
지방도 제1080호선
(우포2로)
대지면
왕산교
왕산사거리억만미산로
어은삼거리원촌어은길
모전삼거리대합면
모전사거리모전로
석실길
수장사거리수장퇴산로
수장길
장기교
장기사거리매탄길
농공단지삼거리대합공단길
무솔사거리평지퇴산로
등지 교차로지방도 제1034호선
(팔문동길)
창한로
대합육교
창곡교
구리교구례동길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대견교
대견 교차로
(대견IC육교)
대견월포로성산면


3. 1. 2.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한정1교에서 시작하여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치안센터까지 이어진다.

  • 구지면 한정1교에서 과학남로와 교차하며, 평촌 교차로에서 구지동로와 교차한다.
  • 유가읍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달창로)과 중복되어 교차하며, 비슬로64길과 교차한다.
  • 현풍읍에서는 구지육교에서 국가산단북로, 테크노순환로와 교차하고, 대구달성소방서 앞에서 테크노남로, 비슬로96길과 교차한다. 포산고사거리에서 테크노대로, 현풍중앙로와 교차하며, 달성우체국앞에서 현풍서로, 비슬로130길과 교차한다. 현풍고등학교, 현풍중학교를 지나 북현풍 나들목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현풍동로, 현풍중앙로와 교차한다. 박석진교 동단에서 논공로와 교차한다.
  • 논공읍에서는 공단하수처리장앞에서 논공중앙로와 교차하고, 논공삼거리에서 논공로와 교차한다. 약산온천입구 교차로에서 약산덧재길과 교차하며, 위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26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동고령로)과 중복되어 교차한다. 위천삼거리에서 성산로와 교차하고, 논공휴게소를 지나 승호 교차로에서 삼리2길과 교차한다. 논공읍 행정복지센터를 지나 금포1 교차로에서 금포로와, 금포2 교차로에서 달성군청로와 교차한다.
  • 옥포읍에서는 강림1 교차로에서 시저로와 교차하고, 경서중학교를 지나 강림2 교차로에서 비슬로387길과, 강림3 교차로에서 돌미로와 교차한다. 옥포지하차도에서 돌미상업로와 교차하고, 교항 교차로에서 돌미로, 금계길과 교차한다. 옥포읍행정복지센터, 대구옥포초등학교를 지나 본리 교차로에서 비슬로447길과 교차하며, 화원옥포 나들목(화원옥포IC네거리), 기세교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비슬로468길과 교차한다.
  • 화원읍에서는 구 화원 나들목 입구에서 비슬로481길과 교차하고, 화원고등학교를 지나 설화명곡역에서 성천로, 화암로와 교차한다. 화원교를 지나 화원삼거리에서 사문진로와 교차하며, 대구화원초등학교, 화원읍행정복지센터를 지나 화원역에서 구라로와 교차한다. 한남미용정보고등학교, 대원고등학교를 지난다.

  • 북구
  • 팔달교를 지나 대구북부화물터미널을 거쳐 팔달로 교차로(팔달고가차도), 매천시장역에서 매천로18길과 교차한다. 태전역을 지나 태전삼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 (태전로)과 교차하고, 운전면허시험장에서 태암남로, 칠곡중앙대로65길과 교차한다. 대구과학대학 교차로에서 태암로와 교차하고, 칠곡네거리(칠곡지하차도)에서 구암로와 교차하며, 칠곡 나들목과 연결된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을 지나 칠곡초등학교 교차로에서 관음중앙로와 교차하고, 읍내동행정복지센터를 지난다. 칠곡우체국네거리에서 동암로, 칠곡중앙대로115길과 교차하고, 칠곡중학교를 지나 제형주유소에서 관음로와 교차한다. 팔거교 서단에서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호국로)와 교차하고, 동호치안센터까지 이어진다.


1996년 이전에는 두류공원네거리 - 성당시장네거리 - 내당네거리 - 반고개네거리 - 비산네거리 - 북비산네거리 - 비산지하차도 - 원대네거리 - 고성로 - 팔달시장역 - 만평네거리를 경유했다.

3. 1. 3. 경상북도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동명동호 나들목
(동명동호IC 교차로)
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칠곡군동명면국도 제25호선과 중복
동명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한티로)
금암2길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
(이름 없음)금암중앙길
(이름 없음)남원로
소야고개
가산면
다부원앞다부원1길
다부원 교차로
(유학산교)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호국평화로)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다부동전승비
가산초등학교
가산면사무소
국도 제25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
천평삼거리국도 제25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낙동대로)
가산 나들목55호선 중앙고속도로하행 지하차도로 직진
(이름 없음)지방도 제514호선
(인동가산로)
지방도 제514호선과 중복
의성 나들목
(의성고가차도)
55호선 중앙고속도로의성군봉양면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도원삼거리농공마전길
(도원리)봉기길
도리원2교
봉양 교차로
(봉양고가교)
국도 제28호선
(서부로)
도리원3길
국도 제28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온천삼거리지방도 제927호선
(봉호로)
도리원2길
국도 제28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927호선과 중복
구미삼거리지방도 제927호선
(조문로)
의성군농업기술센터국도 제28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
분토교
의성읍
용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비봉길)
용연교용연1길국도 제28호선과 중복
원당 교차로국도 제28호선
(동부로)
원당삼거리지방도 제914호선
(홍술로)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
하행 진출 불가
의성2교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
철파사거리지방도 제912호선
(안평의성로)
재랫재
단촌면
북의성 나들목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세촌삼거리신기길
안세교
세촌 교차로신기길
세곡1 교차로동내개골길
세촌과선교
세촌2 교차로광연길
안동시일직면
망호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일직점곡로)
일직교
운산 교차로지방도 제914호선
(풍일로)
송리교
광음1교
남후면
광음 교차로큰광음길
광음3교
남루교
무릉 교차로무릉길
무릉1길
남후1교
남후2교
(이름 없음)무릉길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사안교
강남동
무릉육교
한티 교차로국도 제34호선
(남순환로)
(이름 없음)강남로
안동대교
태화동
안동대교북단하이마로
어가골 교차로육사로
옥동사거리광명로옥동
옥동3주공 교차로은행나무로송하동
송현오거리경동로송하1길
매화골 교차로매화길안기동
두우교
제비원교이송천한티길서후면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제비원 교차로제비원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오산 교차로지방도 제924호선
(이하오산로)
북평로
지방도 제924호선과 중복
서후 교차로지방도 제924호선
(풍산태사로)
도촌 교차로북평로
물한길
북후면
장기교
북후 교차로북평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지곡교
영주시평은면
지곡 교차로지방도 제928호선
(녹지로)
(북평로)
고사동 교차로경북대로2229번길
오운육교지방도 제915호선
(예봉로)
오운터널상행 연장 662m
하행 연장 622m
새터육교
새터교
평은터널상행 연장 540m
하행 연장 545m
강동교
평은 교차로천상로
내성천교
이산면
운문 교차로간운로494번길
문수 교차로간운로
종릉로
문수면
적동과선교
적서 교차로간운로
적서로
사일교
휴천동
초곡과선교
문정교
가흥동
문정 교차로국도 제28호선
(가흥로)
가흥 교차로국도 제36호선
(경북대로)
영주로
국도 제36호선과 중복
가흥육교
내줄 교차로장안로안정면
내줄교
신전 교차로신재로
장안로
신전육교
안정1교
봉현육교
봉현면
봉현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오현로)
지방도 제931호선
(소백로)
오현1육교
오현2육교
두산육교
풍기교
풍기읍
백리 교차로기주로
백동 교차로전구로
새터 교차로죽령로1182번길
백수 교차로죽령로
죽령로1284번길
창락지하차도
곰수 교차로죽령로1350번길
곰수골교
창락터널국도 제36호선과 중복
연장 185m
창락 교차로죽령로1360번길국도 제36호선과 중복
희방 교차로죽령로1513번길
희방삼거리죽령로1720번길
소혼교
죽령국도 제36호선과 중복
해발 696m


3. 1. 4. 충청북도

죽령 정상과 휴게소


단양군 단양읍 덕상리 덕상삼거리의 국도 제5호선과 안개 주의 표지판


단양읍 상진리, 국도 제5호선 절개사면에 드러난 고생대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의 대규모 습곡 구조


죽령경상북도충청북도의 경계선이며, 해발 696m이다.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된다.[106][5] 죽령역은 용부원2길과 접속된다.[5] 단양 나들목(대강 교차로)은 중앙고속도로와 연결된다.[106][5] 장림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927호선(사인암로)과 교차한다.[106] 북하삼거리에서는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59호선(월악로)과 만난다.[106][5] 단성역삼거리, 덕상교, 현천교, 단양역삼거리, 상진대교를 지난다.[5] 단양삼거리(단양 교차로)(상진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9호선(삼봉로)과 교차한다.[106][5] 적성삼거리에서는 수양개유적로와 교차하고, 어의곡 교차로에서는 응실길과 교차한다.[106][5]

하괴삼거리에서는 삼봉로, 우덕삼거리에서는 단양산업단지2로, 매포삼거리에서는 평동로, 안동삼거리에서는 매포길과 접속된다.[106] 평동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532호선(평동1로)과 만나 중첩되며, 평동직행버스정류소와 매포초등학교를 지난다.[106][5] 하시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32호선(매포어상천로)과 다시 분기된다.[106][5] 단양지하차도, 안동1교, 안동2교를 지난다.[106][5]

제천시 신백동의 고명역입구는 단양로10길과 연결된다.[106][5] 고명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8호선(북부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38호선과 중첩된다.[106][5] 명지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청풍호로)과 교차하고, 신동 교차로에서는 내토로, 제천북로와 교차한다.[106][5] 고모 교차로(제천 나들목)와 고산 교차로(제천 나들목)는 중앙고속도로와 연결된다.[106][5] 봉양역을 지나 장평삼거리에서 국도 제38호선(북부로)과 다시 분기된다.[106][5] 주포사거리에서는 주포로, 제원로2길과 교차하고, 주포삼거리에서는 주포로7길과 교차한다.[106] 봉양삼거리에서는 용두대로와 접속되고, 팔송대교, 구학역을 지난다.[106][5] 배론성지삼거리에서는 배론성지길, 탁사정삼거리에서는 탁사정길과 교차한다.[106][5] 구학교, 탁사정, 학산교, 학산리를 지난 후 강원특별자치도로 이어진다.[106][5]

3. 1. 5. 강원특별자치도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의 국도 제5호선


화천군에서 국도 제5호선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 [6]한글 이름연결위치비고
용암로용암리원주시신림면충청북도 - 강원특별자치도 경계선
용암 교차로용암삼거리지방도 제597호선
(구학산로)
옛 지방도 제402호선
신림역신림역정암길
신림시외버스정류장신림시외버스정류장
신림 교차로신림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신림황둔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중복
신림면사무소
신림초등학교
창교역
신림면사무소
신림초등학교
창교역
치악재
(가리파고개)
치악재
(가리파고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중복
해발 450m
판부면
치악역치악역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중복
금대 교차로금대삼거리영원산성길
금대초등학교 입구금대초등학교입구금대길
관설교
관설초등학교
관설교
관설초등학교
반곡관설동
영서고등학교
(영서고 교차로)
영서고등학교
(영서고삼거리)
관설 교차로관설 교차로국도 제19호선
국도 제4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원주우회도로)
국도 제19, 42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중복
반곡 교차로반곡 교차로입춘로국도 제19, 42호선 중복
반곡 지하차도반곡지하차도
행구1교행구1교
행구동
행구 교차로행구 교차로운곡로
행구로
봉산2교봉산2교봉산동
봉산 터널봉산터널국도 제19, 42호선 중복
약 870m
소초면
흥양 교차로흥양 교차로국도 제42호선
(노루고개길)
국도 제19, 42호선 중복
원중교
신양대교
원중교
신양대교
국도 제19호선 중복
이름 없음(이름 없음)북원로
남문 교차로남문사거리섬배로
원주공항원주공항둔둔로
횡성로
국도 제19호선 중복
이름 없음(이름 없음)횡성로횡성군횡성읍국도 제19호선 중복
성남초등학교
횡성여자고등학교
성남초등학교
횡성여자고등학교
입석 나들목입석 나들목국도 제6호선
(경강로)
국도 제6호선 중복
국도 제19호선 중복
횡성 터널횡성터널국도 제6호선 중복
상행 약 544m
하행 약 540m
횡성 나들목
(학곡 나들목)
횡성 나들목
(학곡 나들목)
중앙고속도로
한우로
국도 제6호선 중복
신촌 나들목신촌 나들목국도 제6호선
(경강로)
공근면
신곡교
횡성농업기술센터
공근초등학교
신곡교
횡성농업기술센터
공근초등학교
학담리 교차로학담리 교차로공근남로
학담시장길
동면입구 교차로동면입구 교차로지방도 제406호선
(금계로)
초당교
말구리고개
창봉교
초당교
말구리고개
창봉교
시동입구 교차로시동입구 교차로지방도 제494호선
(시동로)
삼마치 터널삼마치터널약 780m
(큰삼마치재 해발 460m)
홍천군홍천읍
삼마치교
신촌1교
신촌2교
장전평1교
장전평2육교
삼마치교
신촌1교
신촌2교
장전평1교
장전평2육교
장전 터널장전터널상행 약 546m
하행 약 414m
여산곡교
하오안교
하오안육교
여산곡교
하오안교
하오안육교
홍천대교홍천대교
북방면
둔지 교차로둔지 교차로송학정로
화계 교차로화계 교차로도둔길
하화계길
화계 교차로화계삼거리홍천로
북방 교차로북방삼거리두개비산로
북방면사무소
북방버스정류소
북방면사무소
북방버스정류소
이름 없음(이름 없음)팔봉산로
부사원고개부사원고개춘천시동산면해발 340m
동산직행버스정류소동산직행버스정류소조양길
조양 교차로조양삼거리원무동길
동산중학교동산중학교
조양 나들목
(조양IC 교차로)
조양 나들목
(조양IC 교차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조양 교차로조양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종자리로)
국립춘천병원국립춘천병원
원창 교차로원창삼거리새술막길
한국폴리텍III대학 춘천캠퍼스한국폴리텍III대학 춘천캠퍼스
원창고개원창고개해발 320m
동내면
이름 없음(이름 없음)원창고개길
학곡 교차로학곡사거리국도 제46호선
(순환대로)
영서로
국도 제46호선 중복
춘천 나들목춘천 나들목중앙고속도로
이름 없음(이름 없음)거두길
만천 교차로만천사거리금촌로
한솔만천로
동면
강원도인재개발원강원도인재개발원
만천 분기점만천 분기점순환대로
동면 나들목동면 나들목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가락재로)
춘천로
국도 제46, 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소양6교소양6교
천전 나들목천전 나들목신샘밭로신북읍
신북 교차로신북 교차로국도 제46호선
(춘양로)
지나 교차로지내 교차로지방도 제403호선
(지내고탄로)
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용산 교차로용산 교차로영서로
(고탄입구)(고탄입구)지방도 제407호선
(춘화로)
춘성교춘성교
서면
춘천댐삼거리춘천댐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서상로)
갈월피암터널갈월피암터널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약 80m
오월1교오월1교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납실피암터널납실피암터널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약 75m
이름 없음(이름 없음)화악지암길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오월피암터널오월피암터널사북면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약 40m
이름 없음(이름 없음)말고개길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말고개터널말고개터널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약 637m
신포교
사북면사무소
신포교
사북면사무소
국도 제56호선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지촌 교차로지촌삼거리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사내천로)
오탄교오탄교
화천군하남면
달거리고개달거리고개
(달거리)(달거리)계파로
원천교
하남면사무소
원천교
하남면사무소
묘원 교차로묘원삼거리
장거교장거교
논미 교차로논미삼거리논미로
붕어섬 교차로붕어섬삼거리강변로화천읍
화천 터널화천터널약 620m
상리 교차로상리삼거리상승로
신대 교차로신대사거리만산동로상서면
유목교유목교
장촌 교차로장촌삼거리장촌리길
파포 교차로파포삼거리지방도 제461호선
(다파로)
지방도 제461호선 중복
파포고개파포고개
노동 교차로노동삼거리지방도 제461호선
(노신로)
멋둔 교차로멋둔삼거리멋둔길
산양시외버스터미널
산양교
산양시외버스터미널
산양교
이름 없음(이름 없음)주파령로
산양초등학교산양초등학교
말고개말고개해발 690m
철원군근남면
마현2교마현2교
용암 교차로용암삼거리호국로
용암1교용암1교
용양 교차로용양삼거리하오재로김화읍
암정교암정교민간인 통제 구역 (CCZ)
읍내 교차로읍내삼거리국도 제43호선
(생창길)
읍내리읍내리민간인 통제 구역 (CCZ)
금곡리금곡리근북면
백덕리백덕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계속



; 기존 구간 (2000년 이전 노선)


  • 횡성군 입석 나들목 - 횡성시외버스터미널 - 횡성오거리 - (육교) - 횡성교 - 횡성 나들목 - 학곡 나들목


;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 원주시 관설 교차로 - 관설사거리 - 판부면사무소 - 단구초교사거리 - 단구사거리 - 단구동주민센터 - 동일사거리 - 원주중학교 - 도말사거리 - 원주고등학교 - 치악삼거리 - 남부시장사거리 - 원주교오거리 - 원주교 - 경찰서삼거리(원주경찰서) - 학봉정삼거리 - 태학교 - 태학교사거리 - 강변교 - 강변교삼거리 - 태장삼거리 - 태장교삼거리 - 태장교 - 가현삼거리 - 원주 나들목(원주IC 교차로) - 장양초등학교 - 태장농공단지삼거리 - 장양사거리 - 장양리


;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 춘천시 학곡사거리 - 춘천종점 - 태백교 남단 - 거두사거리 - 석사초등학교 - 춘천교육대학교 - 석사사거리 - 강대삼거리(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 법원삼거리(춘천지방법원, 춘천지방검찰청) - 춘천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 효자사거리 - 남부사거리 - 춘천문화예술회관 - 춘천우체국 - 봉의초등학교 - 운교사거리 - 중앙로터리(춘천시청) - 소양동주민센터 - 춘천농협 - 서부시장삼거리 - 번개시장사거리 - 호반사거리 - 소양2교 - 사우사거리 - 교육청사거리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 소양고등학교 - 육림랜드 - 춘천인형극장 - 인형극장사거리 - 신동초등학교 - 신동삼거리 - 102보충대 - 용산 교차로

3.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령 강원도 평강군 평강읍에서 시작하여, 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면, 원산시, 문천군 문천면, 고원군 고원읍, 영흥군 영흥읍, 함흥시, 장진군 장진면 · 동문면을 거쳐, 평안북도 후창군 후창면(후창강구), 자성군 중강면까지 이어진다.

다른 자료에서는 강원도 평강군에서 시작하여, 함경남도 안변군, 원산시, 문천시, 고원군, 금야군, 함흥시, 장진군을 거쳐, 평안북도 김형직군, 자성군까지 이어진다고도 설명한다.

4. 노선



; 고속도로

; 국도

  • 국도 제2호선
  • 국도 제4호선
  • 국도 제6호선
  • 국도 제14호선
  • 국도 제19호선
  • 국도 제25호선
  • 국도 제26호선
  • 국도 제28호선
  • 국도 제30호선
  • 국도 제34호선
  • 국도 제36호선
  • 국도 제38호선
  • 국도 제42호선
  • 국도 제43호선
  • 국도 제44호선
  • 국도 제46호선
  • 국도 제56호선
  • 국도 제59호선
  • 국도 제77호선
  • 국도 제79호선

4. 1. 경상남도

경상남도는 거제시에서 창원시, 함안군, 창녕군을 지난다. 거제시 구간은 통영시 한산면과의 연륙을 위해 해상교량과 해저터널을 건설하여 연결할 계획이었으나, 현재는 공사가 중단된 상태이다. 거제시에서는 지방도 제1018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 많다. 특히 연초면 연초삼거리에서 장목면까지는 지방도 제1018호선과 완전히 겹친다.

창원시 구간은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에서 현동까지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과 중복된다. 2020년 완공 예정이었던 마산합포구 구산면 신촌 교차로에서 이순신대교(거마대교) 구간은 현재 공사가 중단된 상태이며, 이 때문에 원전항에서 덕동삼거리까지, 그리고 현동초등학교에서 옥동 교차로까지 기존 도로를 경유해야 한다. 이후 마산회원구 내서읍 구간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된다.

함안군 구간에서는 칠원읍 구성사거리에서 칠서면 이룡 교차로까지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된다. 2005년 이전에는 구성사거리에서 남지대교를 건너 창녕군 남지읍으로 이어지는 구간이었으나, 도로 개량으로 인해 칠북면을 경유하는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창녕군 구간은 도천면 우강 교차로에서 계성면 계성 교차로까지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된다. 2005년 이전에는 남지읍에서 영산면을 거쳐 계성면으로 이어지는 구간이었으나, 도로 개량으로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대합면 등지 교차로까지 이어져 대구광역시와 연결된다.

4. 2.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이남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대구광역시로 진입하는 국도 제5호선은 달성군 구지면 한정1교에서 시작된다. 이 도로는 과학남로와 접속하며, 평촌 교차로에서는 구지동로와 만난다. 평촌교를 지나 한정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달창로)과 중복된다. 유가읍 유곡리에서는 비슬로64길과 연결된다. 구지육교는 국가산단북로 및 테크노순환로와 접속하고, 현풍읍으로 이어진다.

현풍읍에서는 대구달성소방서가 테크노남로 및 비슬로96길과 연결되고, 포산고사거리는 테크노대로 및 현풍중앙로와 교차한다. 달성우체국앞 교차로는 현풍서로 및 비슬로130길과 연결되며, 현풍3교, 현풍고등학교, 현풍중학교를 지난다. 북현풍 나들목에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현풍동로, 현풍중앙로가 교차한다. 박석진교 동단은 논공로와 연결되고, 공단하수처리장앞 교차로는 논공중앙로와 이어진다.

논공읍에서는 논공삼거리가 논공로와 연결되고, 약산온천입구 교차로에서 약산덧재길과 만난다. 위천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6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동고령로)과 중복된다. 위천삼거리에서 성산로와 연결된 후, 논공휴게소를 지나 승호 교차로에서 삼리2길과 만난다. 논공읍 행정복지센터를 지나 금포1 교차로와 금포2 교차로에서 각각 금포로와 달성군청로와 접속한다.

옥포읍에서는 강림1 교차로가 시저로와 연결되고, 경서중학교를 지나 강림2 교차로와 강림3 교차로에서 각각 비슬로387길, 돌미로와 만난다. 옥포지하차도는 돌미상업로와 연결되며, 교항 교차로는 돌미로 및 금계길과 접속한다. 옥포읍행정복지센터와 대구옥포초등학교를 지나 본리 교차로에서 비슬로447길과 만난다. 화원옥포 나들목 (화원옥포IC네거리, 기세교)에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비슬로468길이 교차한다.

화원읍에서는 구 화원 나들목 입구가 비슬로481길과 연결되고, 화원고등학교를 지난다. 설화명곡역은 성천로 및 화암로와 접속하고, 화원교를 지나 화원삼거리에서 사문진로와 만난다. 대구화원초등학교와 화원읍행정복지센터를 지나 화원역에서 구라로와 연결된다. 한남미용정보고등학교와 대원고등학교를 지난다.

대곡역은 명천로 및 비슬로543길과 접속하며, 달서구로 진입한다. 유천네거리에서는 달서대로 및 상화로와 만나고, 진천네거리(진천역)에서는 진천로와 교차한다. 월배시장 교차로, 월배초등학교(월배역)를 지나 상인네거리(상인역)에서 월곡로와 만난다. 롯데백화점 상인점, 대구상원고등학교, 대구교통공사,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대서중학교를 지난다. 월촌역 교차로(월촌역)와 송현역을 지나 가야기독병원삼거리에서 월배로85길과 연결된다. 성당네거리(서부정류장역, 대구서부정류장)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대명로)과 구마로가 교차하며, 국도 제26호선과 중복된다.

두리봉네거리에서 대명천로와 만나고, 두류공원네거리에서는 두류공원로 및 성당로와 교차한다. 두류운동장, 이월드, 두류도서관을 지나 야외음악당로와 연결되는 교차로를 거친다. 대구신흥초등학교를 지나 두류네거리(두류역)에서 국도 제30호선(달구벌대로)과 교차하며 서구로 진입한다.

서구에서는 남평리네거리(평리로), 신평리네거리(국채보상로), 평리광명네거리(문화로), 평리네거리(북비산로)를 지난다. 평리지하차도를 지나 평리교에서 달서천로와 만나고, 대구북부정류장 교차로에서 서대구로62길과 연결된다. 만평네거리(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만평역)에서는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5호선(노원로)과 교차하며, 북구와 서구의 경계를 이룬다.

북구에서는 공단역을 지나 팔달교 교차로에서 신천대로와 만난다. 팔달교를 건너 대구북부화물터미널을 지나 팔달로 교차로(팔달고가차도, 매천시장역)에서 매천로18길과 접속한다. 태전역을 지나 태전삼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태전로)과 교차한다. 운전면허시험장과 대구과학대학 교차로를 지나 칠곡네거리(칠곡지하차도)에서 구암로와 만나며, 칠곡 나들목과 연결된다. 대구가톨릭대학교와 칠곡가톨릭병원을 지나 아시랑네거리에서 대천로 및 칠곡중앙대로95길과 만난다. 칠곡초등학교 교차로, 읍내동행정복지센터, 칠곡우체국네거리를 거쳐 칠곡중학교를 지난다. 제형주유소에서 관음로와 연결되고, 팔거교 서단에서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호국로)과 만난 후 동호치안센터를 끝으로 대구광역시 구간이 종료된다.

1996년 이전에는 두류공원네거리에서 성당시장네거리, 내당네거리, 반고개네거리, 비산네거리, 북비산네거리, 비산지하차도, 원대네거리, 고성로, 팔달시장역을 거쳐 만평네거리로 이어지는 구간이었다.

4. 3.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군위군 이남 지역)

경상북도 구간의 국도 제5호선은 칠곡군, 군위군, 의성군, 안동시, 영주시를 지난다.

칠곡군 동명면에서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동명동호 나들목(동명동호IC 교차로)에서 만나고, 국도 제25호선과 중복된다.[106][4] 동명사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한티로)과 교차하며, 계속해서 국도 제25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된다.[106][4] 가산면에서는 다부원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923호선(호국평화로)과 교차하고, 국도 제25호선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된다.[106][4] 천평삼거리에서는 국도 제25호선, 지방도 제923호선(낙동대로)과 교차한다.[106][4] 가산 나들목에서는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한다.[106][4]

군위군 효령면에서는 지방도 제514호선(장군로)과 구효령 정류소에서 교차하고, 효령삼거리에서 지방도 제919호선(치산효령로)과 교차하며, 간동삼거리까지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된다.[4] 군위읍에서는 군위 나들목(군위IC 교차로)에서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67호선(장천로)과 교차하고, 지방도 제68호선, 지방도 제927호선(도군로)과 군위교에서 교차하며, 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된다.[4]

의성군 봉양면에서는 의성 나들목(의성고가차도)에서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하고, 도원삼거리에서 농공마전길과 교차한다.[4] 봉양 교차로(봉양고가교)에서는 국도 제28호선(서부로), 도리원3길과 교차하며, 국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4] 온천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927호선(봉호로), 도리원2길과 교차하며, 국도 제28호선, 지방도 제68호선, 지방도 제927호선과 중복된다.[4] 구미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927호선(조문로)과 교차한다.[4] 의성읍에서는 지방도 제68호선(비봉길)과 용연리에서 교차하고, 원당 교차로에서 국도 제28호선(동부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28호선과 중복이 끝난다.[4] 원당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914호선(홍술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된다.[4] 철파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912호선(안평의성로)과 교차한다.[4] 단촌면에서는 북의성 나들목에서 당진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하고, 세촌삼거리, 세촌 교차로, 세곡1 교차로, 세촌2 교차로에서 각각 신기길, 동내개골길, 광연길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914호선과 계속 중복된다.[4]

안동시 일직면에서는 망호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9호선(일직점곡로)과 교차하고, 운산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14호선(풍일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914호선과의 중복이 끝난다.[4] 남후면에서는 광음 교차로에서 큰광음길과 교차하고, 무릉 교차로에서 무릉길, 무릉1길과 교차한다.[4] 강남동에서는 한티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남순환로)과 교차하고, 강남로와 교차한다.[4] 태화동에서는 안동대교북단에서 하이마로와, 어가골 교차로에서 육사로와 교차한다.[4] 옥동에서는 옥동사거리에서 광명로와, 옥동3주공 교차로에서 은행나무로와 교차한다.[4] 송하동에서는 송현오거리에서 경동로, 송하1길과 교차한다.[4] 안기동에서는 매화골 교차로에서 매화길과 교차한다.[4] 서후면에서는 제비원 교차로에서 제비원로와 교차하고, 오산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24호선(이하오산로), 북평로와 교차하며, 지방도 제924호선과 중복된다.[4] 서후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924호선(풍산태사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924호선과의 중복이 끝난다.[4] 북후면에서는 도촌 교차로에서 북평로, 물한길과 교차하고, 북후 교차로에서 북평로와 교차한다.[4]

영주시 평은면에서는 지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28호선(녹지), (북평로)와 교차하고, 고사동 교차로에서 경북대로 2229번길과 교차하며, 오운육교에서는 지방도 제915호선(예봉로)과 교차한다.[4] 평은 교차로에서는 천상로와 교차한다.[4] 이산면에서는 운문 교차로에서 가운로 494번길과 교차한다.[4] 문수면에서는 문수 교차로에서 가운로, 종릉로와 교차하고, 적서 교차로에서 가운로, 적서로와 교차한다.[4] 휴천동에서는 초곡과선교, 문정교를 지나고, 가흥동에서는 문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28호선(가흥로)과 교차하며, 가흥 교차로에서 국도 제36호선(경북대로), 영주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된다.[4] 안정면에서는 내줄 교차로에서 장안로와, 신전 교차로에서 신재로, 장안로와 교차한다.[4] 봉현면에서는 봉현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31호선(소백로), 지방도 제28호선(오현로)과 교차한다.[4] 풍기읍에서는 백리 교차로에서 기주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36호선과 계속 중복된다.[4] 희방삼거리에서는 희방사와 연결되고, 죽령을 통해 충청북도로 이어진다.[4]

4. 4.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이북 지역)

대구광역시 구간은 달성군 구지면 한정1교에서 시작하여 북구 동호치안센터까지 이어진다. 달성군 구간은 구지면에서 현풍면, 논공읍, 옥포면, 화원읍을 지난다. 구지면에서는 평촌 교차로를 통해 구지동로와 연결되고, 현풍면에서는 포산고사거리에서 테크노대로 및 현풍중앙로와 연결된다. 논공읍에서는 위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26호선과 중복되며, 위천삼거리에서 성산로와 연결된다. 옥포면에서는 화원옥포 나들목을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연결된다. 화원읍에서는 설화명곡역화원역을 지나며, 대구화원초등학교와 화원읍사무소가 위치한다.

달서구 구간은 대곡역에서 시작하여 진천역, 월배역, 상인역, 월촌역, 송현역을 지난다. 유천네거리에서는 달서대로 및 상화로와 연결되고, 진천네거리에서는 진천로, 월배시장 교차로에서는 월배로, 상인네거리에서는 월곡로, 월촌역 교차로에서는 송현로와 연결된다. 성당못역 인근 성당네거리에서는 국도 제26호선 및 국도 제30호선과 중복된다.

서구 구간은 두류네거리에서 시작하여 평리네거리, 대구북부정류장 교차로를 지나 북구와의 경계인 만평네거리까지 이어진다. 두류네거리에서는 국도 제30호선과 연결되고, 신평리네거리에서는 국채보상로, 평리네거리에서는 북비산로와 연결된다. 만평네거리에서는 국도 제4호선 및 국도 제25호선과 중복된다.

북구 구간은 만평네거리에서 시작하여 동호치안센터까지 이어진다. 팔달교 교차로에서는 신천대로와 연결되고, 팔달로 교차로에서는 매천로18길과 연결된다. 태전삼거리에서는 국도 제4호선과 연결되고, 칠곡네거리에서는 관암로와 연결되며 칠곡IC와도 연결된다. 칠곡우체국 교차로에서는 동암로 및 칠곡중앙대로115길과 연결되며, 이후 국도 제25호선과 중복되어 경상북도로 진입한다.

4. 5.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군위군 이북 지역)



경상북도 구간은 칠곡군 동명면에서 영주시 풍기읍까지 이어진다.

칠곡군 동명면에서 국도 제25호선과 중첩되면서 경상북도로 진입한다.[4] 이후 가산면에서 국도 제25호선과 분기된다. 군위군 효령면에서는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첩되었다가 분기되고, 군위읍에서는 국도 제67호선과 교차한다. 의성군 봉양면에서는 국도 제28호선과 중첩되었다가 분기되고, 의성읍에서 다시 국도 제28호선과 중첩되었다가 분기된다. 이후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첩된다.

의성군 단촌면에서 서산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하며, 이후 안동시로 진입한다. 안동시 일직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교차하고, 지방도 제914호선과 다시 중첩되었다가 분기된다. 안동시내에서는 국도 제34호선과 교차한다. 이후 서후면에서 지방도 제924호선과 중첩되었다가 분기된다.

영주시로 진입하여 평은면에서 지방도 제915호선, 지방도 제928호선과 교차한다. 영주시내에서는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6호선과 중첩된다. 봉현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지방도 제931호선과 교차하며, 풍기읍에서 죽령을 통해 충청북도 단양군으로 이어진다.

4. 6. 충청북도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이어져 죽령을 넘어 충청북도로 진입한다.[106][5] 죽령의 해발고도는 696m이다.[106][5]

단양군 대강면에서는 죽령역과 단양 나들목을 통과하며,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한다.[106][5] 대강면 장림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927호선 (사인암로)과 교차하고,[106][5] 단성면 북하삼거리에서는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59호선 (월악로)과 교차한다.[106][5] 이후 단양읍까지 국도 제59호선과 중첩된다.[106][5]

단양읍에서는 단양역을 지나 단양삼거리(단양 교차로, 상진 교차로)에서 국도 제59호선 (삼봉로)과 분기한다.[106][5] 매포읍에서는 지방도 제532호선과 일부 중첩되며, 평동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32호선 (매포어상천로)과 분기한다.[106][5]

제천시 신백동에서는 고명역 입구를 지나 고명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 (북부로)과 교차하며, 명지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청풍호로)과 교차한다.[106][5] 봉양읍에서는 중앙고속도로와 다시 만나고, 장평삼거리에서 국도 제38호선과 분기한다.[106][5] 이후 배론성지와 탁사정을 지나 강원도 원주시로 이어진다.[106][5]

4. 7.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에서 충청북도강원특별자치도 경계에서 시작한다.[106] 용암삼거리에선 지방도 제597호선과 교차하며, 신림역신림면사무소, 신림초등학교를 지난다. 신림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만나 중복되어 치악재(가리파고개, 해발 450m)를 넘는다.[106] 판부면으로 진입하여 치악역을 지나 금대삼거리에서 영원산성길과 교차한다. 반곡관설동에 위치한 관설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4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다시 만나 중복된다.[106] 반곡 교차로에서 입춘로와 교차하고, 행구동의 행구 교차로에서 운곡로, 행구로와 교차한다. 봉산동을 지나 봉산터널(연장 870m)을 통과한다.[106] 소초면 흥양 교차로에서 국도 제42호선이 분기하고, 국도 제19호선과의 중복은 계속된다.[106] 원주공항을 지나 횡성군에 진입한다.

횡성군 횡성읍에서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된 채로 성남초등학교와 횡성여자고등학교를 지나 입석 나들목에서 국도 제6호선과 교차하며, 국도 제6호선과도 중복된다.[106] 횡성터널(상행 544m, 하행 540m)을 지나 학곡 나들목(횡성 나들목)에서 중앙고속도로와 한우로와 교차한다.[106] 공근면에서 신촌 나들목에서 국도 제6호선이 분기하고, 학담리 교차로, 동면입구 교차로, 시동입구 교차로를 거쳐 삼마치터널(연장 780m, 큰삼마치재 해발 460m)을 통과한다.[106]

홍천군 홍천읍을 지나며 삼마치교, 장전터널(상행 546m, 하행 414m), 홍천대교를 지난다.[106] 북방면에서 둔지 교차로, 화계 교차로, 북방삼거리를 지나 북방면 행정복지센터와 북방버스정류소를 지난다.[106]

춘천시 동산면에서 부사원고개(해발 340m)를 넘어 동산직행버스정류소, 동산중학교, 조양 나들목(서울양양고속도로와 교차)을 지난다.[106] 국립춘천병원, 한국폴리텍III대학 춘천캠퍼스를 지나 원창고개(해발 320m)를 넘는다.[106] 동내면에서 학곡사거리에서 국도 제46호선과 만나 중복되고, 춘천 나들목(중앙고속도로와 교차)을 지난다.[106] 동면의 만천 분기점에서 순환대로와 교차하고, 동면 나들목에서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교차하며,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과 중복된다.[106] 신북읍에서 천전 나들목, 신북 교차로(국도 제46호선 분기), 지내 교차로, 용산 교차로를 거친다.[106] 서면에서 춘천댐삼거리, 갈월피암터널(약 80m), 오월1교, 납실피암터널(약 75m)을 지난다.[106] 사북면에서 오월피암터널(약 40m), 말고개터널(637m)을 지나 지촌삼거리에서 국도 제56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이 분기한다.[106]

화천군 하남면에서 달거리고개, 원천교, 하남면사무소를 지나 화천읍의 붕어섬삼거리, 화천터널(연장 620m)을 통과한다.[106] 상서면에서 신대사거리, 파포삼거리(지방도 제461호선과 중복), 파포고개, 노동삼거리(지방도 제461호선 분기), 산양시외버스터미널을 지난다.[106] 철원군 근남면에서 말고개(해발 690m)를 넘어 용암삼거리에서 호국로와 교차하고, 김화읍 읍내삼거리에서 국도 제43호선과 교차한다. 이후 민간인 출입통제 구간을 지나 근북면을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이어진다.[106]

5. 도로명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연초삼거리에서 장목면 구영리까지 구간은 거제북로로 지정되어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심리 교차로에서 현동 분기점까지 구간은 구산중앙로이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분기점에서 현동 교차로까지 구간은 남해안대로이며, 현동 교차로에서 창녕군 성산면 대견 교차로 북단까지 구간은 경남대로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견 교차로 북단에서 한정1교까지 구간은 경남대로이며, 한정1교에서 달서구 유천네거리까지 구간은 비슬로이다. 달서구 유천네거리에서 남구 성당네거리까지 구간은 월배로이며, 성당네거리에서 두류공원네거리까지 구간은 성당로이다. 남구 두류공원네거리에서 서구 두류네거리까지 구간은 두류공원로이며, 두류네거리에서 북구 만평네거리까지 구간은 서대구로이다. 북구 만평네거리에서 팔달교까지 구간은 팔달로이며, 팔달교에서 동호치안센터까지 구간은 칠곡중앙대로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강북주유소에서 영주시 가흥동 가흥 교차로까지 구간은 경북대로이며, 영주시 가흥동 가흥 교차로에서 풍기읍 죽령까지 구간은 죽령로이다.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죽령에서 단양 나들목까지 구간은 죽령로이며, 단양군 대강면 단양 나들목에서 제천시 신명동 고명 교차로까지 구간은 단양로이다. 제천시 신명동 고명 교차로에서 봉양읍 장평삼거리까지 구간은 북부로이며, 제천시 봉양읍 장평삼거리에서 학산리까지 구간은 제원로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에서 신림삼거리까지 구간은 제원로이며, 원주시 신림면 신림삼거리에서 반곡관설동 관설 교차로까지 구간은 치악로이다. 원주시 반곡관설동 관설 교차로에서 소초면 장양리까지 구간은 원주우회도로이며, 원주시 소초면 장양리에서 횡성군 횡성읍 성남초등학교까지 구간은 북원로이다. 횡성군 횡성읍 성남초등학교에서 입석 나들목까지 구간은 횡성로이며, 입석 나들목에서 공근면 신촌 나들목까지 구간은 경강로이다. 횡성군 공근면 신촌 나들목에서 춘천시 동내면 학곡사거리까지 구간은 영서로이며, 춘천시 동내면 학곡사거리에서 신북읍 용산 교차로까지 구간은 순환대로이다. 춘천시 신북읍 용산 교차로에서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까지 구간은 영서로이며,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에서 남방한계선까지 구간은 생창길이다.

6.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25px
시점
25px
종점
총연장
(km)
차로수지정일
경북대로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적서 교차로)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문정 교차로)1.8142000년 5월 22일
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문정 교차로)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가흥삼거리)3.97442000년 5월 31일
죽령로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가흥 교차로)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신전리(신전 교차로)5.4442005년 10월 31일
북부로충청북도 제천시 강제동(고명 교차로)충청북도 제천시 신동(신동 교차로)7.441998년 9월 24일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관설동(관설 교차로)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봉산동(봉산터널)7.442002년 8월 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봉산동(봉산터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수암리7.542001년 12월 27일
순환대로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만천리(만천사거리)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천전 나들목)6.742001년 11월 15일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천전 나들목)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신북 나들목)2.542006년 2월 17일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신북 나들목)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용산리(용산 나들목)7.642012년 1월 25일


7. 같이 보기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5]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6]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7] 문서 実際には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支配下にある。以北五道を参照。
[8] 문서 본래 김화군 지역이나 철원군으로 배속된 상태
[9] 문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금야군으로 바꾸었는데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아 영흥군으로 표기한다.
[10] 문서 남북분단으로 인하여 실질적 종점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구 김화군 지역)이다.
[1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12]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60호 http://theme.archive[...] 1973-04-25
[13]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27호 http://theme.archive[...] 1975-02-13
[14]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10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15]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4호 http://theme.archive[...] 1976-01-12
[1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호 http://theme.archive[...] 1980-02-22
[1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7호 http://theme.archive[...] 1986-09-29
[1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http://theme.archive[...] 1987-05-26
[1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5호 http://theme.archive[...] 1989-03-11
[2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92-4호 http://theme.archive[...] 1992-01-17
[2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6-175호 http://theme.archive[...] 1996-06-29
[2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321호 http://theme.archive[...] 1997-10-15
[2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8호, 제1998-29호 http://theme.archive[...] 1998-02-07
[2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192호 http://theme.archive[...] 1998-05-08
[2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15호 http://theme.archive[...] 1999-05-27
[2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90호 http://theme.archive[...] 1999-09-06
[2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314호 http://theme.archive[...] 2000-01-07
[28] 간행물 영주시공고 제2000-60호 http://theme.archive[...] 2000-05-22
[29] 간행물 영주시공고 제2000-203호 http://theme.archive[...] 2000-05-31
[3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46호 http://theme.archive[...] 2000-05-26
[31] 간행물 안동시공고 제2000-120호 http://theme.archive[...] 2000-06-22
[3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11호 http://theme.archive[...] 2000-12-30
[3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00호 http://gwanbo.mois.g[...] 2001-01-08
[3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01호 http://gwanbo.mois.g[...] 2001-01-08
[3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3호 http://gwanbo.mois.g[...] 2001-01-10
[3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08호 http://gwanbo.mois.g[...] 2001-10-11
[3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303호 http://gwanbo.mois.g[...] 2002-01-10
[3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54호 http://gwanbo.mois.g[...] 2002-03-22
[3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53호 http://gwanbo.mois.g[...] 2002-03-22
[40] 간행물 제천시공고 제2002-414호 http://gwanbo.mois.g[...] 2002-06-04
[41] 간행물 원주시공고 제2002-384호 http://gwanbo.mois.g[...] 2002-08-03
[4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08호 http://www.gb.go.kr/[...] 2002-10-24
[4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40호 http://gwanbo.mois.g[...] 2002-12-03
[4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80호 http://www.gb.go.kr/[...] 2003-01-06
[4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50호 http://gwanbo.mois.g[...] 2003-01-08
[4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81호 http://gwanbo.mois.g[...] 2003-01-07
[4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82호 http://gwanbo.mois.g[...] 2003-01-07
[4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10호 http://gwanbo.mois.g[...] 2003-01-22
[4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397호 http://www.gyeongnam[...] 2004-01-02
[5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87호 http://www.gyeongnam[...] 2004-12-30
[5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88호 http://www.gyeongnam[...] 2004-12-30
[5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89호 http://www.gyeongnam[...] 2004-12-30
[5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90호 http://www.gyeongnam[...] 2004-12-30
[5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23호 http://www.gyeongnam[...] 2005-09-08
[5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70호, 영주시공고 제2005-493호 http://gwanbo.mois.g[...] 2005-10-31
[5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1호, 제2005-212호 http://www.gb.go.kr/[...] 2005-12-15
[5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23호 http://www.gyeongnam[...] 2005-12-22
[5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24호 http://www.gyeongnam[...] 2005-12-22
[5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89호 http://www.provin.ga[...] 2005-12-30
[6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7호 http://www.provin.ga[...] 2006-02-17
[61]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7호 http://gwanbo.mois.g[...] 2006-02-21
[6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136호 http://ebook.cb21.ne[...] 2006-10-27
[6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163호 http://cblib.cb21.ne[...] 2006-11-24
[6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214호 http://www.gyeongnam[...] 2006-12-21
[6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215호 http://www.gyeongnam[...] 2006-12-21
[6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3호 http://www.gyeongnam[...] 2007-01-18
[6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7- 호 http://wcmo.molit.go[...] 2007-02-01
[68] 법률 대통령령 제21124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6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317호 http://gwanbo.mois.g[...] 2009-12-29
[7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318호 http://gwanbo.mois.g[...] 2009-12-29
[7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319호 http://gwanbo.mois.g[...] 2009-12-29
[7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320호 http://gwanbo.mois.g[...] 2009-12-29
[7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85호 http://gwanbo.mois.g[...] 2010-09-15
[7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86호 http://gwanbo.mois.g[...] 2010-09-15
[7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73호 http://gwanbo.mois.g[...] 2010-12-15
[7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18호 http://gwanbo.mois.g[...] 2011-05-02
[7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3호 http://gwanbo.mois.g[...] 2012-01-25
[7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20호 http://wcmo.molit.go[...] 2013-12-18
[7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호 http://gwanbo.mois.g[...] 2014-01-21
[8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04호, 제2014-105호 http://wcmo.molit.go[...] 2014-12-02
[8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0호 http://gwanbo.mois.g[...] 2015-03-05
[8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6호 http://gwanbo.mois.g[...] 2016-01-20
[8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6호 http://gwanbo.mois.g[...] 2016-12-19
[8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7호 http://gwanbo.mois.g[...] 2016-12-19
[8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37호 http://gwanbo.mois.g[...] 2017-04-13
[8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214호 http://gwanbo.mois.g[...] 2017-11-27
[8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4호 http://gwanbo.mois.g[...] 2019-01-22
[8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57호 http://gwanbo.mois.g[...] 2017-11-30
[8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86호 http://gwanbo.mois.g[...] 2018-12-04
[9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50호 http://gwanbo.mois.g[...] 2018-12-17
[9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5호 http://gwanbo.mois.g[...] 2019-01-22
[9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3호 http://gwanbo.mois.g[...] 2019-01-22
[9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66호 http://gwanbo.mois.g[...] 2019-09-02
[9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237호 http://gwanbo.mois.g[...] 2020-01-02
[9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5호 http://gwanbo.mois.g[...] 2020-01-17
[9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6호 http://gwanbo.mois.g[...] 2020-01-17
[9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38호 http://gwanbo.mois.g[...] 2020-08-14
[9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78호 https://gwanbo.mois.[...] 2020-09-28
[9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80호 https://gwanbo.mois.[...] 2020-09-28
[10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15호 https://gwanbo.mois.[...] 2021-02-01
[10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16호 https://gwanbo.mois.[...] 2021-02-01
[10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77호 https://gwanbo.go.kr[...] 2021-06-22
[10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120호 https://gwanbo.go.kr[...] 2021-07-23
[10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121호 https://gwanbo.go.kr[...] 2021-07-23
[105] 뉴스 원주 신림~판부 잇는 ‘치악재터널’ 관통 https://n.news.naver[...] kbs 2024-11-19
[106]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