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양평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양평군은 경기도에 위치한 군으로, 1908년 양근군과 지평군을 통합하여 설치되었다.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 중심지는 양평읍이다. 한국 전쟁 당시 지평리 전투가 벌어진 지평리가 위치해 있다. 1970년대 인구 12만 명을 기록했으나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교통 발달과 전원주택 선호 등의 영향으로 2010년 이후 인구가 증가하여 2023년 현재 12만 명 이상이다. 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강선 KTX 등 철도 교통이 발달했으며, 서울양양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이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주요 관광지로는 두물머리, 세미원, 용문사 등이 있으며, 매년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평군의 행정 구역 - 지평면 (양평군)
    양평군에 위치한 지평면은 과거 지평군 지역으로, 지평리 전투 격전지이자 한국, 미국, 프랑스 기념비와 지평향교, 고려 시대 석탑 등의 역사 유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특산물은 느타리버섯이다.
  • 1908년 설치 - 경주경찰서
    경주경찰서는 1906년 경상북도경무서 경주분서로 설치되어 1908년 경주경찰서로 승격된 후 1945년 대한민국 국립 경찰에 인계되었고, 현재 경주시 전체의 치안을 담당하며 22개의 파출소와 불국사 치안센터를 산하에 두고 있다.
  • 경기도의 군 - 연천군
    연천군은 경기도 최북단에 위치한 군으로, 임진강과 한탄강이 흐르는 지형적 특징과 역사 유적, 풍부한 자연 생태계를 지니고 있으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 한국 전쟁 이후 행정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분단의 아픔과 함께 안보 및 문화관광 자원으로서 발전 가능성을 가진 지역이다.
  • 경기도의 군 - 가평군
    경기도 북동부에 위치한 가평군은 북한강 유역의 청평호, 남이섬 등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아침고요수목원, 쁘띠프랑스 등의 관광 명소,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등으로 유명하며,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관광 산업 중심의 1읍 5면으로 이루어진 군이다.
양평군
지도 정보
대한민국 경기도 양평군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양평군
한자 표기楊平郡
로마자 표기Yangpyeong-gun
맥큔-라이샤워 표기Yangp'yŏng kun
지역서울 수도권
면적877.76 km²
인구 (2024년 9월)126,982명
인구 밀도128.26 명/km²
하위 행정 구역1 , 11 면
방언경기 방언
상징
양평군 엠블럼
양평군 엠블럼
양평군 기
양평군 기
군목은행나무
군화진달래
군조비둘기
행정 및 정치
군수전진선 (국민의힘)
국회의원김선교 (국민의힘, 여주시·양평군)
군청 소재지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군청앞길 2
홈페이지양평군

2. 역사

삼국사기에는 양평군의 옛 지명인 양근과 지평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1908년 9월, 양근군(11개 면)과 지평군(8개 면)을 합하여 양평군(19개 면)으로 개편하였다. 1914년 4월 1일, 남종면광주군에 편입하고(12개 면), 1931년 고읍면을 옥천면으로 개칭하였다. 1938년 1월 1일에는 갈산면을 양평면으로 개칭하였고,[16] 1942년 10월 1일 설악면가평군에 편입하였다.(11개 면) 1963년 1월 1일 여주군 개군면을 편입하여(12개 면) 1973년 7월 1일 서종면 삼회리가 가평군 외서면에, 노문리 일부가 설악면에 편입되었다.[18] 1979년 5월 1일 양평면이 양평읍으로 승격하였고,(1읍 11개 면) 2006년 12월 1일 지제면을 지평면으로 개칭하였다.

2. 1. 일제강점기

1908년 9월 양근군과 지평군이 합병하여 양평군이 되었다.[7] 1914년 2월 18일에는 면 통합이 실시되어,[7] 읍내면과 동종면은 갈산면으로, 서시면과 서중면은 양서면으로, 북상도면과 북하도면은 설악면으로 통합되었다. 군내면, 남면, 하동면은 도제면으로, 상서면, 하서면 및 하북면 하광리(下廣里)는 용문면으로, 상북면 및 하북면 성재리(聖才里)는 청운면으로 통합되었다. 하북면(다른 면에 편입된 2리 제외)은 단월면으로, 상동면은 양동면으로, 남시면은 강상면으로, 남중면은 강하면으로 개칭되었다.[7]

1914년 4월 1일, 남종면이 경기도 광주군에 편입되면서[8] 고읍면, 갈산면, 양서면, 서종면, 설악면, 강상면, 강하면, 도제면, 용문면, 청운면, 단월면, 양동면 12개 면이 양평군에 속하게 되었다. 1931년 고읍면이 옥천면으로 개칭되었고,[9] 1938년 1월 1일 갈산면이 양평면으로 개칭되었다.[9] 1942년 10월 1일 설악면이 가평군으로 이관되었다.[10]

2. 2. 대한민국


  • 삼국사기에 양근(楊根)과 도평(砥平)의 기록이 있다.
  • 1908년 9월 - 양근군(읍내면·동종면·고읍면·서시면·서중면·서종면·북상도면·북하도면·남시면·남중면·남종면의 11면)과 도평군(군내면·남면·상서면·하서면·하북면·상북면·상동면·하동면의 8면)이 합병하여 양평군이 발족하였다.
  • 1914년
  • * 2월 18일 - 면의 통합을 실시.[7] (13면)
  • ** 읍내면과 동종면이 갈산면으로 통합되었다.
  • ** 서시면과 서중면이 양서면으로 통합되었다.
  • ** 북상도면과 북하도면이 설악면으로 통합되었다.
  • ** 군내면, 남면, 하동면이 도제면으로 통합되었다.
  • ** 상서면, 하서면 및 하북면 하광리(下廣里)가 용문면으로 통합되었다.
  • ** 상북면 및 하북면 성재리(聖才里)가 청운면으로 통합되었다.
  • ** 하북면(다른 면에 편입된 2리 제외)이 단월면으로 개칭되었다.
  • ** 상동면이 양동면으로 개칭되었다.
  • ** 남시면이 강상면으로 개칭되었다.
  • ** 남중면이 강하면으로 개칭되었다.
  • * 4월 1일 - 남종면이 광주군에 편입되었다.[8] (12면)
  • ** 고읍면·갈산면·양서면·서종면·설악면·강상면·강하면·도제면·용문면·청운면·단월면·양동면
  • 1931년 - 고읍면이 옥천면으로 개칭되었다. (12면)
  • 1935년 5월 1일 - 단월면의 일부가 강원도 홍천군 서면에 편입되었다. (12면)
  • 1938년 1월 1일 - 갈산면이 양평면으로 개칭되었다.[9] (12면)
  • 1942년 10월 1일 - 설악면이 가평군으로 이관되었다. (11면)
  • 1963년 1월 1일 - 개군면이 여주군에서 이관되었다.[10] (12면)
  • 1973년 7월 1일 - 서종면 삼회리(三會里)가 가평군 외서면에, 서종면 노문리(芦門里)의 일부가 가평군 설악면에 각각 편입되었다.[11] (12면)
  • 1979년 5월 1일 - 양평면이 양평읍으로 승격되었다. (1읍 11면)
  • 2006년 12월 1일 - 도제면이 도평면으로 개칭되었다. (1읍 11면)

3. 지리

양평군은 겨울철 매우 추운 날씨를 보이는 지역이다. 1981년 1월 5일에는 -32.6℃를 기록했는데, 이는 한국 기상 관측 사상 최저 기온이다.[12][13] 2018년 8월 1일에는 최고 기온 40.1℃를 기록하기도 했다.

3. 1. 기후

양평군은 여름에는 덥고 강수량이 많으며, 겨울에는 춥고 건조한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1981년 1월 5일에는 -32.6℃를 기록하여 대한민국의 기상 관측소에서 관측된 기온 중 최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9][20] 반면, 최고 기온 극값은 2018년 8월 1일에 관측된 40.1℃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35.611.919.224.528.329.630.326.220.211.94.117.8
평균 기온 (℃)-3.4-0.55.412.017.622.224.925.220.013.05.7-1.311.7
평균 최저 기온 (℃)-8.6-6.1-0.75.111.216.921.221.315.47.60.6-6.06.5
최고 기온 극값 (℃)13.620.224.431.234.436.537.640.133.430.125.517.640.1
최저 기온 극값 (℃)-32.6-23.5-14.0-7.20.04.912.09.70.8-5.8-15.4-24.8-32.6
강수량 (mm)17.228.038.072.594.4134.2409.0330.9144.547.146.421.41383.6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5.75.36.87.98.49.115.314.68.26.07.86.9102.0
평균 상대 습도 (%)66.963.159.858.064.469.479.379.377.375.471.569.369.5
평균 일조 시간173.2177.2206.5212.2230.8207.1150.3170.9181.2191.6154.0160.92215.9


4. 행정 구역

양평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 중심지는 양평읍이다. 2020년 6월 말을 기준으로 양평군의 인구는 56,647세대, 119,153명이다. 인구의 26.1%가 양평읍에, 14.9%가 용문면에, 10.9%가 양서면에 거주하고 있으며, 상위 3개 읍면에 전체 인구의 52%가 집중되어 있다.

읍·면한자면적(km2)인구(명)세대행정지도
양평읍楊平邑42.29km230,81913,270
양평군 행정구역도
강상면江上面37.91km210,1114,460
강하면江下面31.4km24,6922,462
양서면楊西面59.95km212,9516,038
옥천면玉泉面65.85km27,7983,811
서종면西宗面92.84km29,3544,662
단월면丹月面107.94km23,8951,992
청운면靑雲面96.59km23,7882,032
양동면楊東面120.4km24,6382,313
지평면砥平面77.79km27,1723,632
용문면龍門面102.24km217,6387,942
개군면介軍面32.45km25,1832,531
양평군楊平郡866.84km2118,03955,145



읍·면법정리
양평읍양근리, 오함리, 신애리, 덕평리, 공흥리, 백안리, 도곡리, 대흥리, 봉성리, 원덕리, 회현리, 창대리
옥천면옥천리, 용천리, 신복리, 아신리
양서면양수리, 용담리, 부용리, 목왕리, 신원리, 도곡리, 대심리, 국수리, 복포리, 청계리, 석동리
서종면문호리, 도장리, 수릉리, 서후리, 딘배리, 명달리, 아문리, 수입리
강상면병산리, 송학리, 교평리, 신화리, 화양리, 세월리, 대석리
강하면운심리, 왕창리, 동오리, 항금리, 성덕리, 전수리
지평면지평리, 송현리, 월산리, 망미리, 무왕리, 일신리, 대평리, 곡수리, 수곡리, 옥현리
용문면마룡리, 화전리, 삼성리, 다문리, 연수리, 금곡리, 광탄리, 망릉리, 중원리, 조현리, 덕촌리, 오촌리, 신점리
청운면용두리, 여물리, 비룡리, 가현리, 갈운리, 도원리, 신론리, 삼성리, 다대리
단월면보룡리, 삼가리, 봉상리, 행소리, 덕수리, 부안리, 명성리, 석산리, 산음리
양동면쌍학리, 석곡리, 매월리, 고송리, 금왕리, 계정리, 삼산리, 단석리
개군면하자포리, 구미리, 앙덕리, 석장리, 공세리, 불곡리, 부리, 자연리, 내리, 향리, 주읍리, 계전리, 상자포리


5. 인구

2023년 기준 양평군의 인구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다. 0~14세 인구는 13.2%, 생산 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8.5%, 65세 이상 인구는 18.3%이다. 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19.2%, 노년 인구 부양비는 26.7%, 성비는 102.6이다.[23]

5. 1. 인구 변화

2023년 현재 양평군의 인구는 124,241명이며 인구밀도는 140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3.2%, 65세 이상 인구는 18.3%이다. 생산 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8.5%로 전국 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19.2%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낮고, 노년 인구 부양비는 26.7%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2.6으로 남자가 다소 많다.[23]

1970년대 12만 명까지 증가했던 인구는 산업화이농 현상,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에 따른 산업 시설 개발 제한으로 많은 인구가 유출되었다. 1994년에 7만 6천여 명까지 하락하였던 인구는 이후 자연 증가의 영향으로 8만여 명을 회복하여 2010년 현재 매년 4,500여 명의 증가 추세가 보이고 있다. 증가 원인으로는 교통의 발달, 웰빙 열풍과 관련된 전원주택 붐으로 인한 인구 증가로 풀이되고 있다. 2011년 10월 인구 10만 명을 돌파하였다. (거주 외국인 인구 포함) 양평군은 2020년 도시 계획에서 인구 13만 명의 전원 휴향 '시' 승격을 군정 목표로 하고 있다.

연도인구세대
1966년118,697명-
1970년106,253명-
1975년106,959명-
1980년93,372명-
1985년85,670명-
1990년79,948명20,288
1995년78,721명24,528
2000년82,773명28,975
2005년85,533명34,641
2008년89,812명38,822
2010년97,097명42,458
2017년116,698명53,186
2018년94,550명54,547


6. 정치

(내용 없음)

7. 교통

1940년 중앙선이 개통되었고, 2009년 12월 23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개통되어 양평군을 지난다. 2017년 12월 22일부터는 경강선 KTX 열차가 운행을 시작하여 서울과 강릉을 잇고 있다.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종 나들목), 중부내륙고속도로 (양평 나들목), 광주원주고속도로 (동양평 나들목),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두물머리 나들목) 등의 고속도로가 양평군을 지나며,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4호선을 비롯한 여러 국가지원지방도와 지방도가 양평군을 통과한다.[22]

7. 1. 철도


  • 1940년 개통한 중앙선이 양평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양평역이 군의 중심역이며 이용객이 가장 많다.
  • 2009년 12월 23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열차가 용문역까지 연장되어 군 내에는 9개의 전철역과 6개의 일반기차역이 있다. 열차는 안동역, 강릉역, 부전역 등으로 가는 열차가 운행 중이며, 1일 평균 40여 편의 일반열차가 운행 중이다. 전철역에서는 평균 오전 5시 30분부터 자정까지 하루 평균 80~90편의 전동열차가 운행되어, 출퇴근 시 15분, 평시 25~30분 간격으로 용산/용문행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 2011년 상반기 통계에서 양평역은 1일 평균 6,900명이, 용문역은 1일 평균 5,500여 명이, 양수역은 1일 평균 3,000여 명이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되어 전철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21]
  • 2017년 12월 22일부터 경강선 KTX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어, 서울역 ~ 강릉역 구간을 1일 평균 24회 정차하며 강릉역까지는 1시간 10분이 소요된다.
  • 한국철도공사

7. 2. 도로

7. 3. 버스

8. 경제

한강(남한강, 양수리에서 북한강 합류)이 양평군을 동서로 관통하며, 일부 지역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환경정책기본법''', 수도법, 한강수계법, 산림법, 군사시설보호법, 건축법,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다양한 법률에 의해 개발이 엄격하게 제한받고 있다. 이러한 규제로 인해 양평군은 자체적인 지역 개발 및 투자 여건이 미흡하며, 재정 자립도는 경기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8. 1. 산업

2010년 양평군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25,292명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0.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57명(0.6%),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288명(5%),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3,847명(94.2%)이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중에서는 도소매업(15.2%), 운수업(3.2%), 숙박 및 음식점업(21.8%), 문화 서비스업(10.9%)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24]

8. 2. 지역 특성

한강(남한강, 양수리에서 북한강 합류)이 동서로 관통하면서 일부 지역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환경정책기본법'''(건축 연면적 제한, 전문대학/대학 설립 제한), 수도법, 한강수계법, 산림법, 군사시설보호법, 건축법,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해 개발이 철저히 제한받고 있다.

자체 지역 개발 및 투자 여건이 미흡하여 회계 재정 자립도는 경기도 최하위이다.

9. 사회

양평군은 교육, 자매 결연 및 MOU를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힘쓰고 있다.

9. 1. 교육 기관

학교 종류학교 이름
대학교아신대학교
고등학교양일고등학교
고등학교양평고등학교
고등학교지평고등학교
고등학교청운고등학교
고등학교양서고등학교
고등학교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고등학교양동고등학교
고등학교용문고등학교
중학교양평중학교
중학교양일중학교
중학교개군중학교
중학교지평중학교
중학교청운중학교
중학교단월중학교
중학교국수중학교
중학교양수중학교
중학교용문중학교
중학교강하중학교
중학교양동중학교
중학교서종중학교
초등학교양평초등학교
초등학교양평동초등학교
초등학교원덕초등학교
초등학교강상초등학교
초등학교양동초등학교
초등학교세월초등학교
초등학교강하초등학교
초등학교양서초등학교
초등학교양수초등학교
초등학교지평초등학교
초등학교대아초등학교
초등학교옥천초등학교
초등학교서종초등학교
초등학교개군초등학교
초등학교수입초등학교
초등학교단월초등학교
초등학교청운초등학교
초등학교용문초등학교
초등학교조현초등학교
초등학교다문초등학교
초등학교양동초등학교 고송분교
초등학교정배초등학교
기타경기영어마을 양평캠프


9. 2. 자매 결연 & MOU

기관명비고
서울특별시 강북구[1]
서울특별시 송파구[2]
경희대학교[3]
중앙대학교[4]
한국철도공사[5]
육군 제6955부대[6]
황해도 중앙청년회[7]
㈜신세계푸드[8]
양평군관광교육개발원 추진대표[9]


10. 문화·관광

양평군은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2011년 10월 8일 개통된 남한강 자전거길은 폐선된 중앙선 구간을 활용하여 조성되었다. 남양주시 팔당역부터 양평군 양근대교까지 이어지는 이 길은 주변 경관이 아름답고, 철로, 간이역, 터널, 북한강 철교 등을 그대로 살려 놓은 것이 특징이다.[25]

두물머리남한강북한강이 만나는 곳으로, 연인들이 자주 찾는 명소이다. 2016년에는 지역 주민들이 직접 운영하는 '문화공간 두머리'가 개관하여 지역 작가와 농부들의 작품을 전시 및 판매하고 있다.[29]

세미원은 1년 내내 아름다운 수련을 볼 수 있는 세계수련관과 연꽃 연못이 있는 곳이다. "물을 보며 마음을 씻고, 꽃을 보며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는 옛말에서 이름이 유래했다.[30]

황순원 문학촌 소나기마을에는 그의 유품과 작품이 전시되어 있으며, 소설 속 배경을 재현한 체험장도 있다. 중앙선 폐선 구간을 활용한 레일바이크용문역~원덕역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운길산은 산세가 부드럽고 등산로가 순탄하여 가족 단위 산행에 적합하며, 산 중턱의 수종사에서 남한강북한강을 내려다보는 경치가 아름답다. 청계산 정상에서는 두물머리 일대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추읍산은 정상에서 양평군 내 7개 읍·면이 내려다보여 '칠읍산'이라고도 불린다.

용문산은 '경기의 금강'이라고 불릴 만큼 아름다운 산으로, 남동쪽에는 동양 최대 크기의 은행나무가 있는 용문사가 있다.

양평군립미술관은 전시관, 교육 시설, 컨퍼런스 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평곤충박물관은 곤충전시실, 곤충체험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평군에서는 다음과 같은 축제들이 열린다.

축제명개최 시기
맑은물사랑예술제매년 5~6월
세계야외공연축제매년 8월
양평은행나무축제매년 10월
양평이봉주마라톤대회매년 6월
양평산나물축제매년 5월
한강 라이더스 그란폰도매년 가을



양평군의 주요 문화재로는 용문사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0호)와 용문사정지국사부도 및 비(보물 제531호)가 있다.

10. 1. 관광지


2011년 10월 8일 개통된 자전거 도로이다. 2009년중앙선 복선전철화로 인해 폐선된 구간을 활용하였다. 남양주시 팔당역부터 양평군 양근대교까지 26.8km 구간이며, 폭 4.5m로 양방향 통행이 가능하다. 팔당역부터 아신역 구간(25.6km)은 폐선 구간을 활용했고, 한강 자전거길과 연결된다. 주변 경관이 아름답고, 기존 철로, 간이역, 터널, 북한강 철교를 그대로 살린 것이 특징이다. 중앙선 팔당역, 양수역, 신원역, 아신역, 오빈역, 양평역에서 접근할 수 있다.
남한강북한강이 만나 하나로 합쳐지는 곳("양수리"의 순우리말)으로, 연인들이 자주 찾는 명소이다. (양수역에서 도보 15~20분 거리)[25][26][27][28] 2016년 9월 18일, 양서면 두물머리 주민들이 직접 만들고 운영하는 '문화공간 두머리'가 개관했다.[29] 이곳에서는 지역 작가와 농부들이 생산한 도자 공예, 나전칠기, 고가구, 꽃차 등을 전시 및 판매한다.
1년 내내 아름다운 수련을 볼 수 있는 세계수련관이 있고, 연못의 연꽃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두물머리와 가깝다. 세미원의 이름은 "물을 보며 마음을 씻고, 꽃을 보며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觀水洗心 觀花美心)"는 옛말에서 유래했다.[30] (양수역에서 도보 15분 거리)

  • 소나기마을

황순원 문학촌으로, 그의 유품과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소설 속 배경(징검다리, 섶다리 개울, 수숫단 오솔길 등)을 재현한 체험장도 있다.
중앙선 폐선 구간을 활용하여 용문역~원덕역 사이에 설치되었다.
산세가 부드럽고 등산로가 순탄하여 가족 단위나 가벼운 주말 산행에 알맞다. 산 중턱의 수종사에서 남한강북한강을 내려다보는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 (운길산역에서 하차)

  • 청계산

수도권의 다른 청계산들과 달리 북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산이다. 정상에서는 두물머리(양수리) 일대의 멋진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국수역에서 하차)
정상에 오르면 양평군 내 7개 , 이 내려다보여 '칠읍산'이라고도 불린다. 둘레길이 잘 조성되어 있다. (원덕역에서 하차)
높이 1,157m의 용문산은 '경기의 금강'이라고 불릴 만큼 아름답다. 산의 남동쪽에는 동양 최대 크기의 은행나무가 있는 용문사가 있다. (용문역 하차 후 대중교통으로 20분 거리)

  • 양평군립미술관

양평읍 양근리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전시관, 교육 시설, 컨퍼런스 룸, 라이브러리, 키즈룸, 세미나실, 카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평곤충전시실, 국내·외 곤충전시실, 곤충체험실 등의 상설 전시 공간과 기획전시실, 영상교육실, 포토존, 수장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0. 2. 축제

축제명개최 시기
맑은물사랑예술제매년 5~6월
세계야외공연축제매년 8월
양평은행나무축제매년 10월
양평이봉주마라톤대회매년 6월
양평산나물축제매년 5월
한강 라이더스 그란폰도매년 가을


10. 3. 문화재

11.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평년값자료(1981–2010)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5-03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7] 웹사이트 양평군 외2군면의 폐합에 관한 건 http://theme.archive[...]
[7] 웹사이트 면폐합에 관한 건 http://theme.archive[...]
[7] 웹사이트 양평군면폐합도 http://theme.archive[...]
[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9]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0]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1]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2]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양평(20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양평(20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4] 웹사이트 양평군 외2군면의 폐합에 관한 건 http://theme.archive[...]
[14] 웹사이트 면폐합에 관한 건 http://theme.archive[...]
[14] 웹사이트 양평군면폐합도 http://theme.archive[...]
[1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6]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7]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8]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9]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양평(202)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0]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양평(202)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1] 간행물 중앙선 수도권전철 이용객 통계 한국철도공사 2011
[22] 뉴스 화도 분기점 - 양평 나들목 구간 개통 2020-12
[23] 간행물 양평군 통계연보 http://www.yp21.net/ 양평군 2011
[24]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25] 웹인용 양수리 데이트 코스(1) https://web.archive.[...] 2006-07-16
[26] 웹인용 양수리 데이트 코스(2) https://web.archive.[...] 2006-07-16
[27] 웹인용 양수리 데이트 코스(3) https://web.archive.[...] 2006-07-16
[28] 웹인용 양수리 데이트 코스(4) https://web.archive.[...] 2006-07-16
[2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5-09-26
[30] 서적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20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