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창리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창리층은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에서 명칭이 유래된 변성 퇴적암으로, 주로 제천시와 충주시에 분포한다. 이 층은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과 흥월리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옥천 누층군이 상부에 놓인다. 서창리층은 천매암, 녹니석편암, 혼성암 등으로 구성되며, 두께는 250m 이상으로 추정된다. 수안보온천과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과 같은 지질 현상과 관련이 있으며, 수안보온천은 서창리층의 천매암 지층에서 온천수가 용출되고,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은 서창리층 내 열극대를 따라 형성된 석영맥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천시의 지리 - 월악산
    월악산은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경계에 위치한 신성한 산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역사적 유적, 충주호 등으로 유명하다.
  • 제천시의 지리 - 옥천 누층군
    옥천 누층군은 한국 중부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지층으로, 우라늄 함량이 높고 지표 자연방사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형성 시기와 층서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존재하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충주시의 지리 - 요도천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요도천에 대한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충주시의 지리 - 달천
    달천은 특정 하천이 아닌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명으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등의 달천과 그 지류들의 위치, 수질, 기능, 환경 문제 등을 다루고 있으며, 일부 지류는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서창리층
암석 단위 정보
이름서창리층
시대선캄브리아기
시기선캄브리아기
서창리층
서창리층
유형퇴적암
주 암질천매암, 녹니석편암
나머지 암질규암, 혼성 변성암
이름 따옴제천시 한수면 서창리
상위 단위옥천 누층군
하층조선 누층군?
상층북노리층
지역충청북도 제천시, 충주시

2. 분포 지역

서창리층은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천시충주시에 걸쳐 분포한다.[1]

이민성 외(1998)는 서창리층 상부에서 황강리층까지를 빙하퇴적층으로 설정하였다.[3] 제천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서창리층 부산혼성변성암(bm)은 충주시 동량면산척면 명서리 남쪽의 부산(780.2 m) 일대에 분포하며 서창리층의 상부에 해당한다. 이 암석은 편암과 편마암으로 구성된다.[4]

목계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서창리층은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에 분포하고 서쪽은 중생대 화강암에 의해 연장이 끊기며 선캄브리아기 편마암을 덮는다. 주로 천매암녹니석편암으로 구성되고 석회암규암을 협재한다.[5]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한수면 서창리에서 탄지리, 충주시 살미면 공이리를 지나 수안보면 중산리 동부의 대미산(680.8 m)에 이르는 지역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는 서창리층은 북동 20~70°의 주향을 가지며 지층 내에 북동 방향의 축을 가지는 습곡 구조가 발달한다. 본 층은 서창리를 중심으로 북노리층과 함께 북동 15°의 축을 갖는 향사습곡 구조를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6]

제천시의 서창리층


제천시의 서창리층


제천시의 서창리층

2. 1. 제천시

제천도폭 지역에서 서창리층은 천매암과 녹니석(綠泥石)편암 및 부산(婦山)을 중심으로 심한 혼성암(混成巖)을 형성한 부분으로 구분된다. 황강리도폭 지역인 한수면과 그 주변 지역에서는 주로 암회색 천매암으로 구성된다.[1]

이민성 외(1998)는 서창리층을 옥천층군의 최하부 지층이며 조선 누층군과의 관계는 불명이라고 설명했다. 제천시 수산면 오티리와 한수면 덕곡리의 경계에 위치한 봉화재 부근에서는 상방후층화[2] 현상이 나타나는 규암과 흑색 셰일이 교호한다.[3]

제천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서창리층은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 삼태산층과 흥월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극히 일부지만 옥천 누층군이 상부에 부정합으로 놓인 것을 볼 수 있다. 서창리층 녹니석편암 및 천매암(sc)은 주로 제천시 청풍면에 분포하며 청풍면 후산리에서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과 흥월리층을 부정합으로 덮는다. 청풍면 단돈리와 오산리에서는 이 층 위에 옥천계 기저부인 북노리층이 남-북 방향으로 대상(帶狀) 발달한다.[4]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서창리층(PZosc)은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과 옥천 누층군 사이에 분포하며 양자와 부정합 관계에 있다. 제천시 덕산면 수산리 일대에서는 화강암의 관입으로 천매암이 열변성된 암갈색 변질천매암질암대(PZoscmz)가 분포한다.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 동쪽의 갈미봉을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는 서창리층은 분포지 동쪽에서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부정합면에 흑색 점판암과 두께 15 m의 규암층을 불연속적으로 협재한다. 지층의 주향은 북동 20~50°에 서쪽으로 45~75°경사져 있으나 월악산 인근의 변질천매암은 거의 동-서의 주향을 보인다. 제천시 청풍면 진목리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는 지층은 화강암에 의해 분포지가 분할되며 양쪽의 서창리층은 모두 단층에 의해 충상되어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과 단층으로 접하고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과의 부정합면에 규암이 협재된다.[6][1]

2. 2. 충주시

1965년 충주 지질도폭에 따르면 서창리층은 암회색 천매암과 변질대의 흑운모-석영 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며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의 수안보온천과 스키장 일대에 분포한다. 서창리층은 조선 누층군 고운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분포지 서부와 북부에서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과 단층으로 접촉하며 엽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54/75°와 남동 70°가 우세하다.[7]

3. 지질학적 특징

서창리층은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에서 그 명칭이 유래된 변성 퇴적암으로, 제천시충주시에 분포한다.[1]

이민성 외(1998)는 서창리층을 옥천층군의 최하부 지층이며 조선 누층군과의 관계는 불명이라고 설명했다. 지층의 주향은 북동 60°, 경사는 북서 70°이다. 제천시 수산면 오티리와 한수면 덕곡리의 경계에 위치한 봉화재 부근에서는 상방후층화[2] 현상이 나타난다.[3]

충주시 수안보면에 소재한 수안보온천 일대의 지질은 옥천 누층군 서창리층의 천매암 지층으로 구성된다. 수안보온천은 지하 250 m에서 용출되는 수소이온농도(pH) 8.14~8.27의 약알칼리성 온천으로 수온은 53°C, 1일 채수량은 4800ton이다. 수안보온천 일대에는 동-서 및 북서-남동 주향의 고각 단층이 2개 교차하며 일대의 암석은 심하게 파쇄되어 있고 열수의 유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돈-222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210~7930 pCi/L, 온천수가 190~340 pCi/L이며, 라듐-226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0.25~0.42 pCi/L, 온천수가 0.29~0.32 pCi/L이다. 온천수는 심하게 파쇄된 천매암 지층에서 나오나 천매암층은 다만 통로의 역할만을 할 뿐 주요 온천수 대수층은 화강암 저반 내에 깊은 곳까지 발달한 정단층으로 추정된다.[8]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은 충주시 수안보면 안탈골 일대(수안보면 온천리 산 94-1)에 있는 황강리 광화대의 광상이다. 이 광상은 1938년 조선광업진흥주식회사에서 구리, 아연, 텅스텐몰리브데넘 광종으로 등록하여 50톤 규모의 선광장을 설치,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약 190,000 kg의 휘수연석(몰리브데넘 황화물)을 생산하였다. 그 후 1952년 계광순이 월 600 kg 정도의 휘수연정광을 생산하였으나 1995년 등록이 소멸되었다. 1977년 시추 결과 화강암 내에서도 몰리브데넘을 함유한 석영맥이 산출되어 백악기 이후 몰리브데넘 광화작용이 있었음을 지시한다.[9]

3. 1. 구성 암석

서창리층은 주로 천매암녹니석편암으로 구성되며, 석회암규암을 포함한다.[5] 제천시 지역에서는 천매암, 녹니석편암, 그리고 부산을 중심으로 심한 혼성암(混成巖)으로 구성된다.[1] 한수면과 그 주변 지역에서는 주로 암회색 천매암으로 구성된다.[1]

이민성 외(1998)에 따르면, 서창리층은 하부~중부에서 층리가 발달한 규암과 셰일이 번갈아 나타나고, 중부~상부는 석영-흑운모 편암으로 구성된다. 제천시 수산면 오티리와 한수면 덕곡리의 경계에 위치한 봉화재 부근에서는 상방후층화[2] 현상이 나타나는 규암과 흑색 셰일이 교호하며, 충주시 살미면 공이리 계곡의 노두에서는 사암층 내에 역점이층리가 발달한다.[3]

제천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충주시 동량면제천시 청풍면에 분포하는 서창리층은 지역에 따라 암상에 차이가 있다. 청풍면에 주로 분포하는 서창리층 녹니석편암 및 천매암은 청풍면 후산리에서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과 흥월리층을 부정합으로 덮는다.[4] 서창리층 부산혼성변성암은 충주시 동량면산척면 명서리 남쪽의 부산(780.2 m) 일대에 분포하며, 편암과 편마암으로 구성된다.[4]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서창리층은 주로 암회색 천매암으로 구성되며 흑색 점판암에 가까운 지층을 협재한다. 제천시 덕산면 수산리 일대에서는 화강암의 관입으로 천매암이 열변성된 암갈색 변질천매암질암대가 분포한다.[6]

충주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서창리층은 암회색 천매암과 변질대의 흑은모-석영 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며,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의 수안보온천과 스키장 일대에 분포한다.[7]

충주시 수안보면에 위치한 수안보온천옥천 누층군 서창리층의 천매암 지층으로 구성된다.[8]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은 서창리층 내에 발달한 남-북 방향의 열극대를 따라 충진한 3개의 석영맥으로 구성된 광상으로, 황동석, 철망간중석, 황철석, 철망간중석 및 휘수연석(몰리브데넘 황화물) 등이 산출된다.[9]

3. 2. 지질 구조

서창리층은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천시충주시에 걸쳐 분포하는 변성 퇴적암이다.[1]

제천도폭(1967) 지역에서는 천매암과 녹니석(綠泥石)편암, 그리고 부산(婦山)을 중심으로 심하게 변성된 혼성암(混成巖)으로 구분된다. 황강리도폭(1965) 지역에서는 주로 암회색 천매암으로 구성된다.[6]

이민성 외(1998)는 서창리층이 옥천층군의 가장 아래쪽 지층이며, 조선 누층군과의 관계는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이 지층의 두께는 250m 이상으로 추정되며, 아래쪽과 중간 부분은 층리가 발달한 규암셰일이 번갈아 나타나고, 중간부터 위쪽은 석영-흑운모 편암으로 구성된다. 지층의 주향(走向, 방향)은 북동 60°, 경사는 북서 70°이다. 제천시 수산면 오티리와 한수면 덕곡리의 경계에 위치한 봉화재 부근에서는 윗부분이 더 오래된 암석으로 구성된 상방후층화([2] 현상이 나타나는 규암과 흑색 셰일이 번갈아 나타나며, 충주시 살미면 공이리 계곡에서는 모래암층 내에 역으로 경사진 점이층리가 발달한다. 서창리층과 북노리층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경계 부근부터 드롭스톤(Dropstone) 기원의 쇄설물이 함유되고 기질(matrix)의 조성이 유사해 서창리층과 북노리층은 점차적으로 정합적인 관계로 해석되어, 서창리층 상부에서 황강리층까지를 빙하퇴적층으로 설정하였다.[3]

제천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서창리층은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 삼태산층과 흥월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매우 일부이지만 옥천 누층군이 상부에 부정합으로 놓인 것을 볼 수 있다. 충주시 동량면제천시 청풍면에 분포하는데, 지역에 따라 암석의 종류에 차이가 있다.

  • 서창리층 녹니석편암 및 천매암(sc; Seochangri formation chlorite schist and phyllite)은 주로 제천시 청풍면에 분포하며, 청풍면 후산리에서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과 흥월리층을 부정합으로 덮는다. 청풍면 단돈리와 오산리에서는 이 층 위에 옥천계 기저부인 북노리층이 남-북 방향으로 띠 모양(帶狀)으로 발달한다.
  • 서창리층 부산혼성변성암(bm; Seochangri formation Buhsan mixed and metamorphosed rock)은 충주시 동량면산척면 명서리 남쪽의 부산(780.2 m) 일대에 분포하며, 서창리층의 상부에 해당한다. 이 암석은 편암과 편마암으로 구성된다.[4]


목계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서창리층은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에 분포하고, 서쪽은 중생대 화강암에 의해 연장이 끊기며 선캄브리아기 편마암을 덮는다. 주로 천매암녹니석편암으로 구성되고, 석회암규암을 포함한다.[5]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서창리층(PZosc)은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과 옥천 누층군 사이에 분포하며, 양자와 부정합 관계에 있다. 서창리층은 주로 암회색 천매암으로 구성되며, 흑색 점판암에 가까운 지층을 포함한다.

  • 제천시 덕산면 수산리 일대에서는 화강암의 관입으로 천매암이 열변성된 암갈색 변질천매암질암대(PZoscmz; Paleozoic Seochangri formation metamorphosed zone)가 분포한다.
  •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 동쪽의 갈미봉을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는 서창리층은 분포지 동쪽에서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부정합면에 흑색 점판암과 두께 15m의 규암층을 불연속적으로 포함한다. 지층의 주향은 북동 20~50°에 서쪽으로 45~75° 경사져 있으나, 월악산 인근의 변질천매암은 거의 동-서 방향의 주향을 보인다.
  • 한수면 서창리에서 탄지리, 충주시 살미면 공이리를 지나 수안보면 중산리 동부의 대미산(680.8 m)에 이르는 지역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는 서창리층은 북동 20~70°의 주향을 가지며, 지층 내에 북동 방향의 축을 가지는 습곡 구조가 발달한다. 이 층은 서창리를 중심으로 북노리층과 함께 북동 15°의 축을 갖는 향사습곡 구조를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 충주시 동량면의 주봉산(638.5 m)에서 제천시 청풍면 진목리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는 지층은 화강암에 의해 분포지가 분할되며, 양쪽의 서창리층은 모두 단층에 의해 위로 밀려 올라와(충상)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과 단층으로 접하고,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과의 부정합면에 규암이 포함된다.[6][1]


충주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서창리층은 암회색 천매암과 변질대의 흑은모-석영 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며,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의 수안보온천과 스키장 일대에 분포한다. 서창리층은 조선 누층군 고운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분포지 서부와 북부에서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과 단층으로 접촉하며, 엽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54/75°와 남동 70°가 우세하다.[7]

충주시 수안보면에 있는 수안보온천 일대의 지질은 옥천 누층군 서창리층의 천매암 지층으로 구성된다.

  • 수안보온천의 수온은 53°C, 1일 채수량은 4800ton이며, 지하 250m에서 용출되는 수소이온농도(pH) 8.14~8.27의 약알칼리성 온천이다.
  • 수안보온천 일대에는 동-서 및 북서-남동 주향의 고각 단층이 2개 교차하며, 일대의 암석은 심하게 파쇄되어 있고 열수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라돈-222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210~7930 pCi/L, 온천수가 190~340 pCi/L이며, 라듐-226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0.25~0.42 pCi/L, 온천수가 0.29~0.32 pCi/L이다.
  • 온천수는 심하게 파쇄된 천매암 지층에서 나오나, 천매암층은 다만 통로의 역할만을 할 뿐 주요 온천수 대수층은 화강암 저반 내에 깊은 곳까지 발달한 정단층으로 추정된다.[8]

3. 3. 층서 관계

서창리층은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천시충주시에 걸쳐 분포하는 변성 퇴적암이다.[1]

제천 지질도폭(1967)에 따르면 서창리층은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 삼태산층과 흥월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옥천 누층군이 서창리층 위에 부정합으로 놓여 있다.[4] 제천시 청풍면 후산리에서는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과 흥월리층을 부정합으로 덮는다.[4]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서는 서창리층이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과 옥천 누층군 사이에 분포하며 양자와 부정합 관계에 있다고 설명한다.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 동쪽의 갈미봉을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는 서창리층은 분포지 동쪽에서 조선 누층군 삼태산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부정합면에 흑색 점판암과 두께 15 m의 규암층을 불연속적으로 협재한다.[6] 제천시 덕산면 수산리 일대에서는 화강암의 관입으로 천매암이 열변성된 암갈색 변질천매암질암대가 분포한다.[6]

목계 지질도폭(1967)에서는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에 분포하고 서측은 중생대 화강암에 의해 연장이 끊기며 선캄브리아기 편마암을 덮는다고 설명한다.[5]

이민성 외(1998)는 서창리층을 옥천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보았으며, 조선 누층군과의 관계는 불명확하다고 설명했다. 서창리층의 두께는 250 m 이상으로 추정되며, 하부~중부는 층리가 발달한 규암셰일이 교호하고 중부~상부는 석영-흑운모 편암으로 구성된다. 제천시 수산면 오티리와 한수면 덕곡리의 경계에 위치한 봉화재 부근에서는 상방후층화[2] 현상이 나타나는 규암과 흑색 셰일이 교호하며, 충주시 살미면 공이리 계곡의 노두에서는 사암층 내에 역점이층리가 발달한다. 서창리층과 북노리층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으나, 경계부 부근부터 드롭스톤(Dropstone) 기원의 쇄설물이 함유되고 기질(matrix)의 조성이 유사해 서창리층과 북노리층은 점이-정합적 관계로 해석되어, 서창리층 상부에서 황강리층까지를 빙하퇴적층으로 설정하였다.[3]

충주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서창리층은 조선 누층군 고운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분포지 서부와 북부에서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과 단층으로 접촉한다.[7]

4. 관련 지질 현상

충주시 수안보면에는 수안보온천과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이 있다. 수안보온천은 옥천 누층군 서창리층의 천매암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온천수 대수층은 화강암 저반 내 정단층으로 추정된다.[8]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은 서창리층 내 남-북 방향의 열극대를 따라 충진한 3개의 석영맥으로 구성된 광상이다.[9]

4. 1. 수안보온천

충주시 수안보면에 소재한 수안보온천 일대의 지질은 옥천 누층군 서창리층의 천매암 지층으로 구성된다. 수안보온천의 수온은 53°C, 1일 채수량은 4,800t이며 지하 250m에서 용출되는 수소이온농도(pH) 8.14~8.27의 약알칼리성 온천이다. 수안보온천 일대에는 동-서 및 북서-남동 주향의 고각 단층이 2개 교차하며 일대의 암석은 심하게 파쇄되어 있고 열수의 유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돈-222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210~7930 pCi/L, 온천수가 190~340 pCi/L, 라듐-226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0.25~0.42 pCi/L, 온천수가 0.29~0.32 pCi/L이다. 온천수는 심하게 파쇄된 천매암 지층에서 나오나 천매암층은 다만 통로의 역할만을 할 뿐 주요 온천수 대수층은 화강암 저반 내에 깊은 곳까지 발달한 정단층으로 추정된다.[8]

4. 2.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은 충주시 수안보면 안탈골 일대(수안보면 온천리 산 94-1)에 있는 황강리 광화대의 광상이다. 광상 일대 지질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화전리층을 기저로 하여 고운리층, 서창리층, 이원리층, 황강리층 순서로 오고 백악기 우백질 반상화강암 및 화강반암이 관입했다. 이 광상은 1938년 조선광업진흥주식회사에서 구리, 아연, 텅스텐몰리브데넘 광종으로 등록하여 50톤 규모의 선광장을 설치,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약 190,000 kg의 휘수연석(몰리브데넘 황화물)을 생산하였다.[9] 1952년 계광순이 월 600 kg 정도의 휘수연정광을 생산하였으나 1995년 등록이 소멸되었다.[9]

이 광상은 서창리층 내에 발달한 남-북 방향의 열극대를 따라 충진한 3개의 석영맥으로 구성된 광상으로 석영맥의 폭은 0.05~0.3 m 정도로 팽축이 심하고 연장성은 약 400 m 정도이다. 이 광상에서는 삼덕항, 본항, 노두항(상일항), 대곡상항 및 대곡본항이 개설되어 광석을 채굴하였으며 상부 석영맥에는 주로 황동석과 철망간중석이, 하부 석영맥에서는 황철석, 철망간중석 및 휘수연석이 풍부하게 산출되었다. 1977년 시추 결과 화강암 내에서도 몰리브데넘을 함유한 석영맥이 산출되어 백악기 이후 몰리브데넘 광화작용이 있었음을 지시한다.[9] 산출 광물은 석영, 형석, 백색 운모, 흑운모, 인회석, 모나자이트, 금홍석, 티탄철광, 휘수연석, 황동석, -마그네슘-망가니즈 산화물 및 산화물 등이다.[9]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문서 上方厚層化 : 위로 갈수록 지층이 두꺼워짐
[3] 논문 Glaciogenic diamictite of Ogcheon System and its geologic age, and paleogeography of Korean Peninsula in Late Paleozoic (옥천계의 빙하기원 다이아믹타이트와 그 지질시대 및 고생대 말의 한반도의 고지리) https://www.dbpia.co[...] 1998-12
[4] 웹인용 堤川 地質圖幅說明書 (제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년
[5] 웹인용 牧溪 地質圖幅說明書 (목계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년
[6] 웹인용 黃江里 地質圖幅說明書 (황강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년
[7] 웹인용 忠州 地質圖幅說明書 (충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년
[8] 논문 수안보지역의 온천수위 변동과 수리지구화학에 관한 연구 (Thermal Water Level Change and Geochemistry in the Suanbo Area, Korea) https://scienceon.ki[...] 1999년
[9] 논문 삼덕 Mo 광상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 및 화학조성 (White Mica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amdeok Mo Deposit, Republic of Korea) https://scienceon.ki[...] 2019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