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진통일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진통일당은 2012년 5월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같은 해 11월 새누리당에 흡수 합당되어 소멸했다. 자유선진당에서 당명을 변경하여 창당되었으며, 이인제가 초대 대표를 맡았다.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18석을 얻었으나,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5석으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새누리당과의 합당을 결정하고 소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진통일당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선진통일당 - 국민생각
    국민생각은 박세일을 대표로 2012년 창당되었으나 제19대 총선에서 의석 확보에 실패하여 해산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 이회창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이회창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는 김대중 후보가 당선되어 최초의 평화적인 여야 정권 교체를 이루었으며, IMF 외환 위기 속에서 전두환·노태우 사면 논란, 병역 비리 의혹, 비자금 의혹 등 여러 논란과 후보 단일화, 지역주의 투표 양상을 보였다.
  • 자유민주연합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자유민주연합 - 신민주공화당
    신민주공화당은 1987년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자유민주주의와 자유경제체제를 강령으로 내세웠으며,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35석을 얻었으나 1990년 민주자유당 창당으로 해체되었다.
선진통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원어 이름선진통일당
한자 표기先進統一黨
로마자 표기Seonjin Tongil-dang
이전 이름자유선진당
이전 한자 표기自由先進黨
이전 로마자 표기Jayu Seonjin-dang
로고
약칭선진당
창당일2008년 2월 1일
해산일2012년 10월 25일
합당 정당새누리당
본부 위치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4-14 용산빌딩
색상파랑
빨강
웹사이트웹사이트 (보관됨)
정치
이념보수주의
지역주의
정치 성향중도우파~우익
창립자이회창
대표이인제
원내대표김낙성
국회 원내대표성완종
주요 활동발전 창조 협회 (2008–2009)
당원
당원 수450,430명
당원 수 집계 년도2011년 12월 31일
국회
의석 수4석
의석 정수300석
의석 수 집계 날짜2012년 9월 6일
기타
표어역사의 새물결

2. 역사

2007년 12월 9일 이회창이 TV 연설에서 신당 결성을 표명하면서 자유선진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7] 2008년 1월 10일 자유신당(가칭) 설립 발기인대회를 열었고, 2월 1일에는 자유선진당이 정식으로 결성되었다.[11] 2월 12일 국민중심당과의 합병을 선언했다.[11]

2008년 4월 9일에 치러진 제18대 총선에서 자유선진당은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18석(지역구 14석/비례대표 4석)을 획득하며 원내 제3당이 되었다.[30] 5월 23일 창조한국당과 공동으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합의했고,[31] 8월 6일 "선진과 창조의 모임"(선진당 18명 + 창조한국당 2명, 총 20명)을 정식으로 결성했다.[32] 10월 29일 지방자치단체장·의원 재보궐선거에서는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기초단체장 1명, 기초단체의회 의원 2명을 당선시켰다.[33]

2009년 8월 31일, 심대평 대표가 선진당 탈당을 표명하고, 9월 1일 교섭단체 "선진과 창조의 모임" 탈퇴서를 국회 사무처에 제출하면서 "선진과 창조의 모임"은 원내교섭단체 자격을 상실했다.[14]

2010년 6월 2일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대전광역시 1명, 광역의회 선거 지역구에서 38명 당선 등 총 172명 당선에 그쳤다. 6월 8일 이회창 대표는 당 대표 사퇴를 표명했다가,[17] 6월 17일 당무에 복귀했다.[18]

2011년 5월 9일 이회창 대표가 당 대표직 사퇴 의사를 밝혔고,[34] 8월 31일 선진당과 국민중심연합의 통합에 합의했다. 10월 10일 양당 통합 작업이 완료되어 자유선진당 대표에 심대평이 선출되었다.[20]

2012년 4월 11일 제19대 총선에서는 충청도에서 패배하는 등 5석 획득에 그쳤다. 4월 12일 심대평 대표는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대표직 사퇴를 표명했고,[22] 4월 16일 당 지도부와 중앙당직자가 일괄 사퇴하고 이인제를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다.[23] 5월 20일 이회창 전 대표는 전당대회 전 선진당 탈당 의사를 표명했다.[25]

5월 22일 비상대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새로운 당명을 "선진통일당"(통합당)으로 결정했고,[24] 5월 29일 전당대회에서 당명을 "선진통일당"으로 개칭하고 초대 대표에 이인제를 선출했다.[25] 8월 30일 이명수 의원과 유한식 세종특별자치시장이 탈당하여 새누리당 입당을 표명했다.

10월 25일 새누리당과의 합병을 공식 선언했고,[28] 10월 30일 당무회의에서 합병안을 정식으로 결정했다.[29] 11월 16일 새누리당과 정식으로 합병되었다.[29]

2. 1. 창당 이전

김종필의 주도로 창당된 자유민주연합은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총선에서 원내교섭단체 구성 인원(20석)을 확보하지 못했고,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총선에서도 지역구 의원 4명만 당선되어 군소정당으로 전락했다. 이 과정에서 김종필은 자유민주연합 총재직에서 물러나며 정계 은퇴를 선언하는 등 당은 부침을 겪었다.[7]

17대 총선 이후 자유민주연합계 인사들과 심대평충청남도지사를 중심으로 국민중심당이 창당되었다. 김학원 자유민주연합 대표는 국민중심당과의 합당을 선언했다가 돌연 중단하고, 2006년 4월 한나라당과 합당했다.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선에 국민중심당 후보로 출마한 심대평은 무소속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와 함께 기존의 한나라당과 차별화된 '정통 보수정당'을 만들겠다는 의지로 후보직을 사퇴했다.[7] 이회창은 대선에서 15.1%를 득표했다.[7]

2. 2. 창당과 발전 (2008년 ~ 2010년)

2007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이회창을 중심으로 자유선진당이 결성되었다. 2008년 2월 1일 창당되었고, 2월 12일에는 국민중심당의 나머지 인사들을 영입하면서 통합했다.[11] 2008년 18대 총선에서 충청권에 자유선진당 바람을 일으키며 국회 의석 수 18석(지역구 14, 비례 4)을 확보하여 원내 제3당이 되었다.[30]

2008년 한나라당 당원 953명은 공천과정에서 대전과 충청지역을 홀대했다며 탈당하고 자유선진당에 입당했고,[37] 이후로도 한나라당 충청계 도의원이 자유선진당에 입당했다.[38]

자유선진당은 창조한국당과 연대하여 선진과 창조의 모임을 구성하여 교섭단체가 되었다.[31] 국회 내에서 회합을 갖고 “선진당과 창조한국당은 대운하 저지, 권익 주권과 국민 건강권 확보를 전제로 한 미국산 쇠고기 수입, 중소기업 활성화를 목표로 공동 노력하고, 협상 단체를 공동으로 구성하기로 했다”는 합의문을 발표하며 양당이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12] 2008년에는 권선택 자유선진당 원내대표, 2009년에는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가 교섭단체 원내대표를 맡았다. 그러나 2009년 8월 30일, 심대평 대표가 이회창 총재의 당 운영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탈당하고, 9월 1일 교섭단체 사퇴서를 제출하면서 “선진과 창조의 모임”은 교섭단체의 지위를 상실했다.[14]

2010년 3월 17일 첫 전당대회를 통해 총재·대표 체제에서 총재를 폐지하고 대표 체제로 일원화했다. 대표 경선에서 단독 출마한 이회창을 대표로 추대했다. 변웅전, 이진삼, 이재선, 이흥주, 황인자가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41]

2010년 5월 28일, 참여정부를 비판하는 민주당 당직자 등 583명이 자유선진당에 입당했다.[42]

2. 3. 쇠퇴와 재통합 시도 (2010년 ~ 2012년)

2010년 6월에 치러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선진당은 광역자치단체장 3명, 광역의회 지역구 78명 등 총 427명의 후보를 내세웠으나, 충청남도 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안희정 후보에게 패배하고, 대전광역시장 선거에서만 승리하는 등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17] 이회창은 이 결과에 책임을 지고 당 대표직에서 사퇴했으나,[17] 세종시 건설 계획의 국회 의결을 앞두고 대표직을 공석으로 둘 수 없다며 당무에 복귀했다.[18]

2011년 8월 31일, 자유선진당은 국민중심연합과 9월 말까지 통합하고, 심대평 국민중심연합 대표가 통합 신당 대표를 맡기로 합의했다.[19] 10월 10일, 양당 통합이 완료되어 "자유선진당"이 발족되었고, 심대평이 대표로 추대되었다.[20]

2012년 4월 제19대 총선을 앞두고 당 소속 의원들의 탈당과 민주통합당 입당이 이어지자, 심대평 대표는 민주통합당을 비판했다.[21] 총선에서 자유선진당은 여당인 새누리당과 최대 야당인 민주통합당의 경쟁에 밀려, 심대평 대표의 지역 기반인 충청도에서조차 새누리당에 의석을 빼앗기며 5석을 얻는 데 그쳤다. 심대평 대표 또한 낙선했고, 선거 다음 날인 12일,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당 대표직에서 사퇴했다.[22] 4월 16일, 당 지도부와 중앙당직자는 일괄 사퇴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으며, 이인제가 위원장을 맡았다. 5월 중 전당대회를 개최하여 신임 대표를 선출하기로 결정했다.[23]

2012년 5월 20일, 이회창 전 대표는 당명 개정 이전에 당을 떠난다고 선언하며 탈당했다. 5월 29일, 제1차 전당대회를 통해 이인제 비상대책위원장을 대표로 선출하고, 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된 '선진통일당'으로 당명을 개정했다. 그러나 일부 언론에서는 이인제 후보 측이 당선을 위해 부정을 저질렀다는 의혹을 제기했다.[44]

2012년 8월 31일, 충남 아산을 지역구로 하는 이명수 의원과 세종특별자치시 유한식 시장이 선진통일당을 탈당하고 새누리당에 입당했다.

2012년 10월 22일, 이인제 대표는 새누리당으로의 흡수 합당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45] 10월 25일, 새누리당과의 합당을 선언했고, 11월 16일 새누리당에 흡수합당되어 소멸했다.

2. 4. 당명 변경과 새누리당과의 합당 (2012년)

2012년 5월 22일, 자유선진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전체회의를 통해 당명을 선진통일당(약칭 통일당)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24] 같은 해 5월 29일 전당대회에서 당헌·당규 개정안이 승인되면서 당명이 "선진통일당"으로 공식 변경되었고, 이인제가 초대 대표로 선출되었다.[25]

그러나 전당대회 전인 5월 20일, 이회창 전 대표가 선진당을 탈당하면서,[25] 충청 지역에서의 지지세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26]

8월 30일에는 선진통일당 소속 이명수 의원과 유한식 세종특별자치시장이 당을 탈당하고 새누리당에 입당할 것을 선언하여, 소속 국회의원 수가 5명에서 4명으로 줄었다.[27]

이후, 12월에 치러질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0월 25일 새누리당과의 합당을 공식 발표했다.[28] 합당은 새누리당이 선진통일당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29] 10월 30일 당무회의에서 합당안이 공식 의결되었다. 11월 1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함으로써 합당 절차가 마무리되어 4년여의 짧은 역사를 마감했다.[29]

3. 이념 및 정책 방향

선진통일당은 대한민국 건국의 정통성과 정당성에 기초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신봉하며, '자유', '개방', '자발적 공동체'의 가치를 추구하는 자유주의 보수 정당임을 밝혔다.

3. 1. 주요 정책

선진통일당은 다음 10가지 항목을 주요 정책으로 삼았다.

번호내용
1법질서 확립
2작은 정부
3획기적 분권
4과감한 개방
5공교육 혁신
6친환경 사회
7지속가능한 복지
8공동체를 통한 신뢰 구축
9남북관계 재확립
10한·미 동맹과 외교 채널


4. 논란 및 비판

제20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은 중국의 북한 탈북민 강제 북송에 반대하는 활동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박선영 의원은 중국대사관 앞 단식농성 중 실신하기도 했으며,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하여 천주교 정의평화사목위원회를 비판하고 좌파의 반미주의를 지적하기도 했다.[1][2][3]

4. 1. 박선영 의원의 활동과 관련된 논란

제20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2012년 2월부터 3월까지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은 중국의 북한 탈북민 강제 북송 정책에 항의하는 "내 친구를 구하라" 캠페인에 적극 참여했다.[1] 박 의원은 서울 중국대사관 앞에서 단식농성을 벌이다 실신해 병원에 입원했고, 회복 후에도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노력했다.[2]

2012년 4월, 한미자유연맹 주최 행사 연설에서 박 의원은 천주교 정의평화사목위원회가 북한 탈북민의 고통에 침묵한다고 비판하며, 좌파의 반미주의가 훨씬 더 심각한 문제에서 시선을 돌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탈북민들이 무자비하게 살해당하고 있는데 어떻게 침묵할 수 있습니까? 대한민국에서는 반미 운동이 득세하고 있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단 한마디의 비판적 발언도 하지 않습니다."라고 발언했다.[3]

4. 2. 당 운영 및 노선 관련 비판

2009년 심대평 대표는 충청남도지사를 지내 이 지역에서 탄탄한 기반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회창 총재의 당 운영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선진당을 탈당했다. 같은 해 9월 1일에는 교섭단체 탈퇴서를 국회 사무소에 제출하여, “자유와 선진의 모임”은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필요한 20석을 채우지 못해 교섭단체 지위를 상실했다[14]. 심 대표의 탈당은 선진당 창당 이래 최대 위기를 불러왔으며, 다음 해 지방선거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15].

5. 역대 지도부

대수역대 총재직함임기비고
1이회창총재2008년 2월 1일 ~ 2010년 3월 17일총재직 폐지



대수역대 대표직함임기비고
1심대평대표최고위원2008년 2월 12일 ~ 2009년 8월 30일이회창과의 갈등으로 탈당, 국민중심연합 창당
2이회창대표최고위원2010년 3월 17일 ~ 2011년 5월 9일개혁과 국민중심연합과의 통합을 위해 사퇴
3변웅전대표최고위원2011년 5월 9일 ~ 2011년 10월 9일이회창 사퇴로 승계, 국민중심연합과 합당
4심대평대표최고위원2011년 10월 10일 ~ 2012년 4월 12일대한민국 제19대 총선 패배로 사퇴
(권한대행)김낙성대표최고위원 권한대행2012년 4월 12일 ~ 2012년 4월 16일
(임시)이인제비상대책위원장2012년 4월 16일 ~ 2012년 5월 29일대한민국 제19대 총선 패배로 비대위 구성
5이인제대표최고위원2012년 5월 29일 ~ 2012년 11월 16일새누리당에 흡수합당



직책이름임기
최고위원김영주2012년 5월 29일 ~ 2012년 11월 16일
최고위원박상돈2012년 5월 29일 ~ 2012년 11월 16일
최고위원허증2012년 5월 29일 ~ 2012년 11월 16일
최고위원홍표근2012년 5월 29일 ~ 2012년 11월 16일
대변인이원복
원내대표성완종
상임고문조부영, 조순형
사무총장강창규
정책위의장문정림


6. 역대 전당대회


  • 2008년 2월 1일: 이회창 전 총재를 총재로 추대하고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였다.[30]
  • 2008년 2월 12일: 국민중심당을 흡수 합당하고, 심대평 대표를 대표로 추대하였다.[30]
  • 2010년 3월 17일: 제1차 전당대회에서 이회창 총재를 대표로 추대하였다.
  • 2011년 10월 10일: 국민중심연합과의 합당을 통해 통합 자유선진당을 재창당하고, 심대평 대표를 대표로 추대하였다.
  • 2012년 5월 29일: 선진통일당으로 당명을 개정하고, 이인제 비상대책위원장을 대표로 추대하였다.[30]
  • 2012년 10월 30일: 당무회의에서 새누리당과의 합당을 의결하였다.[30]

7. 주요 선거 기록

국회의원 선거
날짜총선거의석 수득표율
(비례대표)
합계지역구비례
대표
2008년 4월 9일제18대 총선181446.84%
2012년 4월 11일제19대 총선5323.23%



2012년 총선에서 자유선진당은 18석 중 5석을 제외한 모든 의석을 잃고 제4당으로 추락했으며, 통합진보당 (의석을 늘림)에 크게 뒤처졌다.[4] 심대평 대표는 당의 부진한 성적에 따라 사퇴를 발표했다.

지방 선거
날짜선거광역자치단체장광역의회
지역구
기초자치단체장
2010년 6월 2일제5회 지방 선거13813



2010년 6월에 치러진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선진당은 광역자치단체장 3명, 광역의회 지역구 78명 등 총 427명의 후보를 내세워 선거전을 치렀다. 그러나 당의 견고한 기반인 충청남도 지사 선거에서 민주당의 안희정 후보에게 패배하고, 대전광역시장 선거에서만 승리하는 등 자유선진당에게는 혹독한 선거 결과가 되었다. 이 결과를 받아들여 이회창은 6월 8일, 패배의 책임을 지고 당 대표직에서 사퇴할 것을 표명했지만[17], "세종시 건설 계획의 국회 의결을 앞두고 대표직을 공석으로 둘 수 없다"며 6월 17일에 당무에 복귀할 것을 표명했다.[18]

참조

[1] 웹사이트 Blindness to N. Koreans' plight https://www.koreatim[...] 2012-07-03
[2] 뉴스 Opposition lawmaker taken to hospital during hunger strike http://english.yonha[...] 2012-07-03
[3] 뉴스 S.Korean lawmaker blasts Catholic ass'n over NK defectors http://english.donga[...] 2012-07-03
[4] 뉴스 Ruling party leader pledges new beginning after election win http://english.yonha[...] 2012-04-12
[5] 간행물 2011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11年度 政党の活動概況および会計報告) http://elecinfo.nec.[...] 중앙선거관리위원회
[6] 뉴스 김태흠 의원 "새누리-선진당 합당 16일 마무리"(キム・デフン議員“セヌリ-先進党合党16日締めくくり”) http://www.yonhapnew[...] 2012-11-16
[7] 웹사이트 李会昌氏「来年始めごろ新党結成する」 http://www.chosunonl[...] 2007-12-10
[8] 웹사이트 李會昌氏、新党名「自由新党」に http://www.chosunonl[...] 2008-01-09
[9] 웹사이트 李会昌氏、新党名「自由先進党」に変更 http://www.chosunonl[...] 2008-01-28
[10] 웹사이트 李会昌氏ら中心の自由新党が設立発起人大会を開催 http://www.wowkorea.[...] 2008-01-10
[11] 웹사이트 自由先進党、国民中心党と合併 http://www.chosunonl[...] 2008-02-13
[12] 웹사이트 先進党と創造韓国党、政党連帯で院内交渉団体構成へ【ソウル23日聯合】 http://japanese.yonh[...] 2008-05-23
[13] 웹사이트 自由先進党と創造韓国党、共同院内交渉団体を構成 http://japanese.yonh[...] 2008-08-06
[14] 웹사이트 9月1日付innolife.net 先進と創造の集まり、交渉団体地位喪失 http://contents.inno[...] 2008-09-01
[15] 뉴스 第2野党の連立代表が離党宣言、「李会昌氏と一緒にできない」と批判 http://japan.donga.c[...] 2009-08-31
[16] 웹사이트 심대평, 오늘 ‘국민중심연합’ 창당 http://www.hani.co.k[...]
[17] 뉴스 自由先進党の李会昌代表が辞意表明 選挙敗北で引責 http://world.kbs.co.[...] 2010-06-08
[18] 뉴스 野党自由先進党の李会昌代表 党務に復帰 http://rki.kbs.co.kr[...] 2010-06-17
[19] 웹사이트 自由先進党と国民中心連合が統合、代表に沈太平氏 http://www.chosunonl[...] 2011-09-01
[20] 웹사이트 자유선진당-국민중심연합, 통합작업 마무리(自由先進党-国民中心連合、統合作業仕上げ) http://www.ytn.co.kr[...] 2011-10-10
[21] 뉴스 심대평 대표 "탈당은 충청 흔드는 민주당 공작" (沈大平代表“脱党は忠清を揺さぶる民主党の工作”) http://news.mk.co.kr[...] 2012-01-05
[22] 뉴스 심대평, 선진당 대표직 사퇴…“총선 패배 책임”(沈大平、先進党代表職辞退・・・“総選惨敗責任”) http://news.donga.co[...] 2012-04-14
[23] 뉴스 선진당 지도부 사퇴..이인제 비대위원장 체제로(先進党指導部辞退・・李仁済非対委員長体制へ) http://www.yonhapnew[...] 2012-04-18
[24] 뉴스 自由先進党 新しい党名は「先進統一党」 http://rki.kbs.co.kr[...] 2012-05-24
[25] 뉴스 이회창, 자유선진당 탈당(李会昌、自由先進党脱党) http://www.yonhapnew[...] 2012-05-24
[26] 뉴스 통일당 초대 대표에 이인제..험로 예고(統一党初代代表に李仁済。。険路予告) http://www.yonhapnew[...] 2012-05-29
[27] 뉴스 이명수ㆍ유한식, 새누리 입당 공식선언 http://app.yonhapnew[...] 2012-09-06
[28] 뉴스 セヌリ党と先進統一党 合併を公式宣言 http://rki.kbs.co.kr[...] 2012-10-26
[29] 뉴스 새누리당-선진당 합당 완료, 이인제 공동선대위원장 임명(セヌリ党-先進党合党完了、李仁済共同選対委員長に任命) http://news.chosun.c[...] 2012-11-16
[30] 웹사이트 第18代総選挙、与党ハンナラ党が過半数確保に成功 http://japanese.yonh[...] 2008-04-10
[31] 웹사이트 先進党と創造韓国党、院内交渉団体構成に暫定合意【ソウル23日聯合】 http://japanese.yonh[...] 2008-05-23
[32] 웹사이트 自由先進党と創造韓国党、共同院内交渉団体を構成 http://japanese.yonh[...] 2008-08-06
[33] 웹사이트 民心測る再補欠選挙、ハンナラ・先進党が票田で勝利 http://japanese.yonh[...] 2008-10-30
[34] 웹사이트 李会昌自由先進党代表が辞意表明 http://rki.kbs.co.kr[...] 2011-05-09
[35] 웹사이트 선진통일 약칭 '오락가락' http://www.daejonilb[...] 2015-05-21
[36] 뉴스 새누리-선진당 합당‥"충청권發 보수 대연합 http://imnews.imbc.c[...] MBC뉴스 2015-05-21
[37] 뉴스 한 당원 953명 탈당, 이재선 등 자유선진당 지지 폭탄선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38] 뉴스 3선 유병기 충남도의원 한나라 탈당 선진당 입당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39] 뉴스인용 심대평 “선진당 탈당…총리직 안 맡을것” https://web.archive.[...] 한겨레(연합뉴스 재인용) 2009-08-30
[40] 뉴스 심대평, 자유선진 탈당 선언…폭발한 '내부갈등' http://news.sbs.co.k[...] SBS뉴스
[41] 뉴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 체제 출범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42] 웹인용 전 민주당 당직자 583명 '자유선진당 입당' https://web.archive.[...] 2012-11-28
[43] 뉴스 자유선진당 지도부 사퇴...이인제 비대위원장 체제로 https://news.naver.c[...] YTN 2012-04-16
[4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2-06-24
[45] 웹사이트 http://www.aup.or.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