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소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소비자는 경제학, 마케팅,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재판매 목적이 아닌 소비를 위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개인 또는 집단을 의미한다. 경제에서 소비자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며, 마케팅에서는 개인화된 마케팅과 프로슈머의 등장으로 소비자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법률에서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 소비자 개념을 정의하고, 소비자 관련 법률을 통해 권익을 보호한다. 특히, 소비자는 안전, 알 권리, 선택, 의견 반영의 권리를 가지며, 소비자 문제 발생 시 권리 구제를 받을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비자 - 최종 사용자
    최종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주체로서, IT 분야의 변화와 소비자화 경향에 따라 컴퓨터 사용자층이 확대되었고,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최종 사용자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소비자 - 니드
    니드는 심리학에서 유기체의 목표 행동을 자극하는 심리적 특징을 의미하며, 매슬로우, 자기 결정성 이론, 도얄과 고프, 마르크스 등 다양한 학자들이 연구해왔다.
  • 소비자 이론 - 수요와 공급
    수요와 공급은 시장에서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거래량을 결정하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이며,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과 공급량이 변동하고,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시장 균형이 이루어진다.
  • 소비자 이론 - 예산 제약
    예산 제약은 소비자의 소득과 상품 가격에 의해 결정되며, 소비자가 구매 가능한 상품 조합을 제한하고, 효용 극대화를 위해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이 접하는 점에서 소비를 선택하게 한다.
  • 마케팅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마케팅 - 감정노동
    감정노동은 조직이나 고객의 기대에 맞춰 자신의 실제 감정과 다르게 특정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노동으로, 서비스 직종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서적 소진 등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개인 및 조직 차원의 관리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소비자
소비자
경제학
정의재화나 용역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사람
주요 역할시장에서 수요를 결정하는 주체
소비 목적자신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
생산과의 관계생산 활동의 최종 목적
소비자의 유형개인 소비자, 가계 소비자, 기업 소비자 등
소비자의 행동합리적 선택
예산 제약
효용 극대화
소비자 이론한계 효용 이론
무차별 곡선 이론
현시 선호 이론
소비자 권리안전할 권리
알 권리
선택할 권리
의견을 반영할 권리
피해보상을 받을 권리
교육을 받을 권리
쾌적한 환경에서 소비할 권리
소비자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할 권리
소비자 운동소비자 보호 운동
불매 운동
공정 거래 운동
소비 트렌드친환경 소비
윤리적 소비
가치 소비
개성 소비
경험 소비
관련 용어소비
수요
시장
효용
가격
소비자 보호
사회학
소비자의 역할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체성 형성에 영향
소비 문화소비를 통해 사회적 의미와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
소비주의과도한 소비를 장려하는 사회적 이념
소비 양극화소비 수준의 불평등 심화 현상
소비의 윤리적 문제환경 파괴, 노동 착취, 불평등 심화 등
소비 관련 연구 분야소비자 행동 연구, 문화 연구, 사회 불평등 연구 등
생물학
생태계에서의 소비자생산자에 의해 만들어진 유기물을 섭취하는 생물
1차 소비자 (초식 동물)
2차 소비자 (육식 동물)
분해자 (균류, 세균)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생태계 내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
소비자-생산자 관계생태계의 균형과 안정성에 중요
생물학적 소비자 연구 분야생태학, 동물 행동학, 진화 생물학 등
법률
소비자 보호법소비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
소비자 관련 분쟁상품의 하자, 계약 위반, 부당 광고 등
소비자 구제 절차환불, 교환, 손해 배상 등
소비자 단체소비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비영리 단체
심리학
소비자 행동 심리소비 동기
구매 의사 결정
브랜드 충성도
소비 만족도
마케팅 심리소비자 심리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
소비 심리 연구 분야행동 경제학, 소비자 심리학, 광고 심리학 등
정보 기술
온라인 소비자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전자상거래인터넷을 이용한 상업 거래
디지털 마케팅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마케팅
소비자 데이터 분석소비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
기타
소비자의 역할 변화정보 검색 능력 강화
구매력 증가
사회적 책임 의식 증대
소비자 교육올바른 소비 생활을 위한 교육

2. 경제학, 마케팅에서의 소비자

경제학에서 소비자는 재판매나 상업적 목적이 아닌 소비를 위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사람이다.[4] 소비자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일정 금액(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을 지불하고[4] 소비(사용)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자본주의 시스템[5]의 경제 시스템[6][7][8]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모든 경제의 기본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소비자 수요가 없다면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한[4] 생산의 주요 동기 중 하나를 잃게 된다. 소비자는 또한 유통 과정의 한쪽 끝을 형성한다.

최근 마케팅에서 마케터는 광범위한 인구통계적 특성과 신체적 특성을 가진 시장 부문의 프로필을 생성하는 대신, 잠재 고객을 타겟팅하기 위해 개인화된 마케팅, 허가 마케팅 및 대량 맞춤화를 시작했다.[9]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는 점점 더 프로슈머가 되고 있다. 프로슈머는 생산자이기도 한 소비자(종종 소셜 웹 상의 정보와 미디어를 생산)로, 제품 제작에 영향을 미치고(예: 맞춤화, 크라우드 펀딩 또는 선호도 게시를 통해), 생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대화형 제품을 사용한다.[10][11][12]

3. 법과 정치에서의 소비자

법률은 주로 소비자 보호를 위해 소비자 개념을 정의하고, 소비자 권익을 보호한다. 소비자 보호는 시장 실패와 사업체와의 불균형적인 교섭력을 규제하는 중요한 정책 수단이다.[14] 모든 잠재적 유권자는 소비자이므로 소비자 보호는 정치적으로 중요하다.

소비자 이익 보호는 소비자 운동을 촉발했으며, 조직화된 운동가들은 제품 및 서비스 제공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 교육 및 옹호 활동을 하고 있다. 소비자 교육은 일부 학교 교육 과정에 통합되었다.[15] ''Which?'', ''Consumer Reports'' 및 ''Choice 잡지''와 같이 소비자 교육 및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다양한 비영리 출판물도 있다.

인도에서는 1986년 소비자 보호법에 따라 개인적 사용 또는 생계를 위한 상품이나 서비스 소비자만 보호되며, 상업적 이유로 상품을 구매하는 사람, 단체 또는 조직은 이 법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16] 대가를 지불하고 최종적으로 상품을 사용하거나 서비스를 받는 사람을 소비자라 한다.

기업이나 비영리단체 등의 법인제품을 재판매하거나, 생산하는 제품의 부품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매하는 경우에는 산업 소비자 또는 사용자라고 한다. 재판매 목적 이외로 구매하는 소비자를 가계 소비자 또는 최종 소비자라고 한다.

일본 소비자계약법에서는 정보의 질과 양, 협상력 차이를 고려하여 사업자 이외의 '''개인'''을 “소비자”로 정의하고, 사업자와 체결되는 계약 관련 이익 보호를 도모한다.

샐러리맨은 직무상 생산자이지만, 생활에 필요한 생필품을 구매하므로 소비자이기도 하다. 농가는 농산물에 대해서는 생산자이지만, 식량이나 의류 등은 구매하므로 소비자이다. 즉, 넓은 의미에서 국민 모두가 “소비자”이다.[17]

역사적으로 소비자는 국민 경제에서 최대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조직화되지 않아 사업자에 비해 약한 입장에 있었다.[17] 상품 결함으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해도 손해배상 청구가 어려웠다.[17]

소비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18]


  • 공급자와 소비자 간 격차: 경제력, 상품 지식 격차(정보의 비대칭성)
  • 소비자의 약점: 생명, 신체, 정신적 상처, 경제적 약점
  • 소비자 부담 전가 불가능: 기업과 달리 손실을 타인에게 전가 불가


영국에서는 18세기 말 산업혁명 이후 19세기 중반 소비자 문제가 발생했다. 미국에서도 초기부터 소비자 운동이 활발했다. 1960~70년대 랄프 네이더의 기업 고발 등으로 컨슈머리즘(Consumerism)이 고조되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년 주부들의 “오샤모지 운동”으로 소비자 운동이 시작되었다. 고도경제성장기에 여러 소비자 문제가 발생하여 소비자기본법(1968년)이 제정, 산업 우선에서 소비자 우선 원칙으로 이행하고 소비자 보호 기본 방향이 제시되었다.[19]

소비자는 여러 권리가 있지만, 권리 수호를 위해 자발적 노력과 투쟁이 필요하다.

3. 1. 대한민국 법률에서의 소비자

대한민국 법률에서 소비자의 개념은 주로 소비자법에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소비생활을 위하여 물품 및 용역을 이용 또는 사용하는 자연인을 의미한다. 소비자 개념은 소비자기본법,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그 범위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소비자기본법'''은 소비자를 '사업자가 제공하는 물품 또는 용역(시설물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소비생활을 위하여 사용(이용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하는 자 또는 생산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로 정의한다.[17]

'''소비자기본법 시행령'''은 생산활동을 위해 물품 등을 사용하는 자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규정한다.[17]

# 제공된 물품 등을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자. 다만, 제공된 물품등을 원재료(중간재를 포함한다), 자본재 또는 이에 준하는 용도로 생산활동에 사용하는 자는 제외한다.

# 제공된 물품등을 농업(축산업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및 어업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자. 다만, 축산법 제21조제1항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사육규모 이상의 축산업을 영위하는 자 및 원양산업발전법 제6조제1항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원양어업을 하는 자는 제외한다.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상, 소비자는 "가. 사업자가 제공하는 재화등을 소비생활을 위하여 사용(이용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하는 자" 또는 "나. 가목 외의 자로서 사실상 가목의 자와 동일한 지위 및 거래조건으로 거래하는 자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이다. (동법 제2조 제5호)[17]

4. 소비자 권리

1962년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소비자 4대 권리(안전할 권리, 알 권리, 선택할 권리, 의견을 반영받을 권리)를 천명했다.[1] 이는 세계 소비자 권리의 날 제정의 기초가 되었으며, 각국 소비자 보호 정책의 기본 원칙으로 작용하고 있다.

케네디 대통령이 제시한 네 가지 소비자 권리는 다음과 같다.[21]

4. 1. 소비자의 4대 권리 (존 F. 케네디)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미국 대통령은 1962년 3월 15일 소비자 보호 특별 교서에서 소비자의 4가지 권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21]

  • 안전할 권리: 건강이나 생명에 해로운 상품의 판매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 알 권리: 사기성, 기만성 또는 심각하게 오도하는 정보, 광고, 라벨 또는 기타 관행으로부터 보호받고,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하기 위해 필요한 사실을 제공받을 권리.
  • 선택할 권리: 가능한 한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받을 권리; 그리고 경쟁이 불가능하고 정부 규제가 대체되는 산업에서는 공정한 가격으로 만족스러운 품질과 서비스를 보장받을 권리.
  • 의견을 반영받을 권리 (경청될 권리): 소비자의 의견이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될 권리.

4. 2. 기타 소비자 권리

소비자는 불공정 거래 관행과 착취에 대해 구제받을 권리가 있으며, 피해가 발생한 경우 피해 정도에 따라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2] 소비자는 소비자 법원에서 대표될 권리를 가진다.[3]

소비자의 권리는 단순히 상황을 방관하면 자연스럽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소비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소비자의 책무이다.

5. 소비자 문제와 소비자 운동

소비자 문제란 상품, 서비스 및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비자의 피해 또는 불이익을 의미한다.[20] 소비자 운동은 이러한 소비자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며 증진하기 위한 조직적인 활동이다.[30]

소비자는 국민 경제에서 가장 큰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조직화되지 않아 사업자에 비해 약한 입장에 놓여 있었다.[17] 기업이 제조한 상품에 결함이 있어도 소비자 측에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는 매우 어려웠다.[17] 소비자는 공급자와의 경제력 및 상품 지식 격차, 생명·신체·정신의 취약성, 손실 전가 능력 부족 등의 특성으로 인해 불리한 위치에 있었다.[18]

18세기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후 소비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도 초기부터 소비자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특히 1960년대~1970년대 랠프 네이더의 기업 고발로 소비자 운동이 크게 성장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주부들의 "주걱 운동"을 시작으로 소비자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고도경제성장기를 거치면서 다양한 소비자 문제가 발생했고, 1968년 소비자기본법 제정을 통해 소비자 우선 원칙이 확립되었다.[19]

소비자의 권리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싸워야 얻을 수 있는 것이다.[30] 소고기 표시 허위 기재 사건과 같이 기업의 부당행위에 맞서 불매운동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30]

5. 1. 미국

1936년, 미국에서는 소비자 정보지 컨슈머 리포트가 발행되기 시작했다. 이 잡지는 가전제품이나 자동차 등의 기능과 안전성을 테스트하여 그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0]

1960년대~1970년대 랠프 네이더는 자동차 안전성에 대한 기업 고발을 하였고, 이를 계기로 미국의 소비자 운동이 활성화되었다.

1962년 3월 15일,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소비자 보호 특별 교서에서 소비자의 4가지 권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21]

  • 안전을 요구할 권리
  • 선택할 권리
  • 알 권리
  • 의견을 들을 권리

5. 2. 대한민국

1945년 오사카의 주부들이 불량품 추방을 내걸고 “주걱 운동”을 일으켰다. 1948년 9월 3일에는 “불량 성냥 추방 주부 대회”가 도쿄도 하라주쿠의 사회사업회관에서 열렸다. 당시 배급제였던 성냥은 긁어도 불이 붙지 않거나 부러지는 불량품이 많았다. 오쿠 무메오 등의 호소로 주부 수백 명이 모여 “1의 술을 9되의 물로 희석하여 1의 값으로 사게 하는 것과 같다”고 항의했다. 상공성, 경제안정본부의 관료들도 참석한 가운데, 기업 대표에게 “불량품을 만들지 않겠다”고 약속하게 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각지에서 주부회, 부인회가 결성되어 주부연합회(주부련) 발족으로 이어졌다.[22]

1968년 5월에는 '''소비자보호기본법'''이 제정되었다.[25] 이는 소비자를 위한 헌법이라고도 불리며, 행정·사업자·소비자 각각의 역할이 명확해졌다. 그동안 “산업 우선”에 고착된 사고방식에서 소비자 우선의 원칙으로 이행하여 소비자 행정의 기초가 체계화되고 소비자 보호에 관한 기본 방향이 제시되었다. 이 법에 따라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에 소비자 생활 센터가 설치되어 소비자 행정의 “일선 기관”으로서 소비자 불만·상담 창구, 불만 처리 테스트, 소비자 계몽 등 소비자와 직접 접촉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1969년에는 일본소비자연맹이 설립되어 고발 형식의 『소비자 리포트』가 출판되기 시작했다. 1970년 소비자 생활 센터가 개설되었을 당시, 소비자의 최대 관심사는 '''식품의 안전성'''이었다.

1976년에는 '''방문판매법'''(현재의 특정상거래법의 전신)이 제정되었다. 또한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쿨링오프 제도가 마련되었다.

1994년에는 제조물 책임법이 제정되어 다음 해에 시행되었다.

2006년에는 소비자 계약법이 개정되어 소비자 단체 소송 제도가 도입되었다.

2009년 9월 1일, 소비자청이 탄생했다.

5. 2. 1. 대한민국 소비자 관련 법규

대한민국 법 안에서 소비자의 개념은 주로 소비자법에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소비생활을 위하여 물품 및 용역을 이용 또는 사용하는 자연인을 의미한다. 소비자 개념은 소비자기본법,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그 범위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상, 소비자는 "가. 사업자가 제공하는 재화 등을 소비생활을 위하여 사용(이용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하는 자" 또는 "나. 가목 외의 자로서 사실상 가목의 자와 동일한 지위 및 거래조건으로 거래하는 자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이다. (동법 제2조 제5호)

대한민국에는 다음과 같은 소비자 관련 법규들이 있다.[19]

  • 소비자기본법
  • 소비자계약법
  • 소비자안전법
  • 특정상거래에 관한 법률(특상법)
  • 할부판매법
  • 제조물책임법
  • 주택의 품질확보의 촉진 등에 관한 법률(주택품질확보법)
  • 전자소비자계약 및 전자승낙통지에 관한 민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전자소비자계약법)
  • 법인등에 의한 기부의 부당한 권유의 방지 등에 관한 법률

6. 소비자의 책임

소비자의 권리는 수동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을 통해 쟁취해야 하는 것이다.[30] 권리에는 책임이 따르는데, 소비자의 책임이란 알 권리, 선택할 권리, 안전할 권리, 요구할 권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30]

소고기 표시 허위 기재 사건과 같이, 소비자는 불매운동 등을 통해 부도덕한 기업에 책임을 물을 수 있다.[30]

신문 요시히사(神門善久)는 소비자가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고 타인에게 전가하는 행태를 "소비자 이기주의"라고 비판하며, 소비자들이 식품의 안전과 관련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1][32][33]

7. 민법 개정 (약관 관련 규정 신설)

2015년 2월 10일, 법제심의회 민법부회는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제시하는 약관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고, 계약 규칙 등 채권에 관한 규정을 재검토하는 민법 개정 요강안을 결정했다. 개정 항목은 약 200개에 이른다. 소비자의 이익을 일방적으로 해하는 약관은 무효로 한다.[34] 법무부는 2015년 3월 하순에 민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34] 약관 규제와 관련해서는 경제계의 강한 반발이 있어 조정이 난항을 겪었다.[34] 민법 채권 규정의 대폭적인 개정은 1896년 제정 이후 처음이다.[34]

참조

[1] 웹사이트 Special message to Congress on protecting consumer interest, 15 March 1962 https://www.jfklibra[...]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1962-03-15
[2] 간행물 NCERT
[3] 간행물 NCERT
[4] 서적 Born to Buy: The Commercialized Child and the New Consumer Culture Simon and Schuster 2014-08-19
[5] 서적 Capitalism and the Consum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0-14
[6] 서적 Economics https://books.google[...] Worth Publishers 2022-05-29
[7] 기타
[8] 서적 Communism Unwrapped: Consumption in Cold War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0-14
[9] 서적 Revenue management: hard-core tactics for market domination Broadway Books 1997
[10] 잡지 The Shift from Consumers to PROsumers https://www.forbes.c[...] 2016-07-02
[11] 웹사이트 Citizen Consumers: towards a new marketing of politics? https://depts.washin[...] 2016-07-02
[12] 서적 Prosumer Revisited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7-02
[13] 서적 Environment and the Law: A Dictionary https://archive.org/[...] ABC-CLIO 1995
[14] 웹사이트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Consumer Law http://law.vanderbil[...] Vanderbilt Journal of Transnational Law 2007-01-29
[15] 학술지 The Value of Consumer Education in Increasing Effective Consumer Performance: Theory and Research https://www.acrwebsi[...] 2024-06-02
[16] 웹사이트 Consumer vs Customer http://www.consumerd[...] Consumerdaddy.com 2010-03-10
[17] 서적 クレームに学ぶ 食の安全
[18] 서적 消費者法講義 第3版
[19] 서적 クレームに学ぶ 食の安全
[20] 웹사이트 和歌山県県消費者センターHP http://www.wcac.jp/f[...]
[21] 서적 コンシューマリズム
[22] 뉴스 【はじまりを歩く】消費者運動・原宿(東京都)粗悪なマッチ 主婦が動いた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11-01
[23] 기타
[24] 서적 クレームに学ぶ 食の安全
[25] 서적 安全な暮らし方事典
[26] 뉴스 恐かつ未遂は無罪 消費者運動事件に判決 朝日新聞 1979-09-20
[27] 서적 クレームに学ぶ 食の安全
[28] 서적 クレームに学ぶ 食の安全
[29] 서적 食の安全システムをつくる事典
[30] 서적 食の安全システムをつくる事典
[31] 서적 日本の食と農
[32] 기타
[33] 서적 日本の食と農
[34] 뉴스 消費者害する約款無効=民法改正案、来月提出―法制審部会 https://web.archive.[...] 時事通信/Yahoo!ニュース 2015-02-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