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도유원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도유원지는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일본의 명승지인 마쓰시마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으로, 1937년 7월 21일 해수욕장으로 개장했다. 1930년대 인천부윤 나가이 데라오는 송도 개발을 추진하여 유원지를 건설했으며, 해방 이후 미군과 유엔군이 군 휴양지로 사용하다가 1961년 국가지정관광지로 승인되었다. 1980년대 대규모 시설 확충 계획이 있었으나 무산되었고, 2011년 8월 31일 폐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관광지 - 실미도
    인천광역시 무의도에 딸린 섬인 실미도는 썰물 때 무의도와 연결되며, 1968년부터 1971년까지 김일성 암살을 목표로 한 684부대의 훈련소로 사용되었으나, 실미도 사건과 영화 《실미도》 개봉 이후 관광지로 개발되었지만 역사 왜곡 논란과 정부 책임 문제가 남아있다.
  • 인천광역시의 관광지 - 파라마운트 코리아
    파라마운트 코리아는 파라마운트 픽쳐스 영화 테마파크 건설을 추진한 기업으로, 과거 인천 옥련동과 영종도에 테마파크 조성을 계획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과 재정 문제 등으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 없어진 놀이공원 - 고시엔 한신 파크
    고시엔 한신 파크는 효고현에 위치했던 유원지로, 하마고시엔 유원지로 개장하여 동물원과 수족관을 추가하며 하마고시엔 한신 파크로 이름이 바뀌었고, 전성기에는 인기를 끌었으나, 지진 이후 쇠퇴하여 폐원 후 라라포트 고시엔이 들어섰다.
  • 없어진 놀이공원 - 원더랜드 (베이징시)
    원더랜드는 1990년대 후반 베이징시에 건설하려다 중단된 놀이공원이며, 토지 매입 문제와 재추진 실패로 인해 미완성된 채 옥수수 재배지로 사용되다가 사진 공개 후 낭비 관광 자원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놀이공원 - 서울랜드
    서울랜드는 경기도 과천시 서울대공원 내에 위치한 놀이공원으로, 롤러코스터, 범퍼카 등 다양한 놀이기구와 라바와 같은 인기 캐릭터를 테마로 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서울대공원과 연계하여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 대한민국의 놀이공원 - 서울어린이대공원
    서울어린이대공원은 능동에 위치한 동양 최대 규모의 어린이 종합 놀이시설로, 동물원, 식물원, 놀이동산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2006년부터 무료로 개방되었으나, 과거 안전사고와 관련된 사건들도 있었다.
송도유원지

2. 지명 유래

송도라는 이름은 일제가 유원지를 홍보하기 위해 일본의 명승지인 마쓰시마(松島)에서 따온 것이다.[1] 이는 일제가 자국의 지명을 사용하여 유원지를 홍보하고, 전승을 기념하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다.

조선 시대에는 '송도'라는 섬이 흔했지만, 옥련동 일대를 송도라고 부른 기록은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없었다.[1] 역사 연구가 이순우는 매일신보중외일보의 1926년 12월 기사[2][3]를 통해 '송도' 지명이 처음 사용되었음을 밝혀냈다. 해당 기사에서 '송도'를 '옥련리 해안의 속칭'이라고 언급한 점으로 보아, 1920년대 중반에는 이미 인천부민 사이에서 통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 그러나 이 지명은 한국 고유의 지명 송도(松島|쇼토일본어)가 아니라, 일본인들이 관행적으로 써온 송도(松島|마쓰시마일본어)에서 유래했으며, 일제강점기 동안 원래의 지명을 대체하게 되었다.[4]

일각에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송도(松島)라는 섬이 옥련동에 해당하므로 일제 잔재와 무관하다고 주장하지만,[9] 이는 통진현의 영역이 현재의 김포시 일대임을 간과한 오해이다.[9] 해당 섬은 지금의 대송여도이다.[10]

2. 1. 일본과의 연관성

송도라는 이름은 일본인들이 유원지를 홍보하기 위하여 일본을 대표하는 명승지인 마쓰시마의 이름을 가져다 붙인 것이다.[1] 유원지에 면한 청량산을 한국을 대표하는 금강산과 일본을 대표하는 마쓰시마에서 따 ‘송도금강’이라 부른 것이 이를 방증한다.[1]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관장을 지낸 조우성(趙宇星)은 2005년 8월, 옥련동을 가리키는 ‘송도’라는 지명은 일본에서 3대 절경으로 꼽는 미야기현마쓰시마에서 딴 것이기도 하지만, 방호순양함인 소위 ‘삼경함(三景艦)’ 중 ‘마쓰시마함’을 의도적으로 붙인 것이기도 하다고 주장하였다. 즉 송도라는 이름은 송도유원지를 조성하면서 일본 본토(內地)의 마쓰시마의 명성을 가져오기 위함이기도 하였지만,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이긴 일본이 전승을 상징하는 지명으로서 두 전쟁과 연관된 인천에 전함의 이름을 따 지명을 남기려는 목적도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마쓰시마함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 모두 출전하였다.[5]

2. 2. 기타 가설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김창수 상임연구위원은 2005년 7월, 옥련동을 가리키는 ‘송도’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한 문헌은 인천부에서 발행한 《인천부사》(1933)이며, 그 이전에 발간된 지도나 관보 어디에도 송도라는 지명이 공식적으로 사용된 기록은 없다고 밝혔다.[6] 그는 화방정(花房町, 현재의 북성동), 산근정(山根町, 현재의 전동) 등 살아 있는 일본인의 이름을 따 지명을 짓는 경우가 일제 강점기에 관행적이었음을 예로 들면서, 송도라는 지명은 당시 인천부윤 마쓰시마 기요시(松島淸)의 이름에서 따 온 것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6] 그러나 역사 연구가 이순우에 의하면 마쓰시마 기요시 재임 이전에도 옥련동 일대를 송도라고 부른 자료가 존재하므로,[4] 유력한 가설은 아니다.[7]

2. 3. 한국 내 다른 송도 지명

부산, 포항 등 다른 지역에도 송도라는 지명이 존재하며, 이들 역시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미야기현마쓰시마(松島)에서 딴 송도라는 지명이 한국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13년 부산에서 일본 거류민들이 세운 송도유원주식회사가 지금의 서구 일대 해안을 해수욕장으로 개발하면서부터로 여겨진다.[8] 포항의 송도는 일본인 지주 오오우치 치이로(大內治郞)가 분도(分島)의 백사장에 방풍림으로 소나무를 심다가 1920년대에 송도로 이름을 고치면서 생겨난 이름이며, 분도는 1931년에 해수욕장으로 개발되었다.[8]

전통적인 지명으로서의 송도는 현재 김포시 대송여도에 해당하며, 옥련동 송도와는 관련이 없다. 이는 일각에서 제기하는 '일제 잔재 무관설'이 사실과 다름을 보여준다.[9][10]

3. 역사

유원지로 개발된 ‘송도’ 일대는 본래 갯벌이었다.[13] 해안으로 튀어나온 경치가 좋은 해안 절벽은 능허대라 불렸으며, 중국으로 향하던 나루인 한나루(漢津)가 있었다.

3. 1. 일제강점기 (1936년 이전)

1920년대 초반부터 송도 개발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11] 1923년 3월 월미도가 관광지로 개발되자, 1926년에 인천의 일본인 자산가들은 송도에 해수욕장을 개발하고 도로를 개설하려는 계획을 세웠다.[11] 1927년 부천군에서는 인천에서 송도(당시 부천군 문학면 옥련리)까지 잇는 도로 개수 공사 계획을 내놓았고,[12] 1932년 9월 1일에는 주안역 앞 일본인 야마구치(山口)가 상인천역에서 송도까지 가는 승합자동차 운행을 시작하였다.[13] 1934년에도 유우키(結城), 나가야(長谷), 우라사키(浦崎) 세 명이 송도를 유원지로 개발하는 계획을 세웠으나, 월미도 유원지 회사의 반발로 무산되었다.[11]

1934년 3월, 나가이 데라오(永井照雄) 인천부윤은 시가지 확장 계획을 밝혔다.[11] 그는 잡지 《조선》 1936년 7월호에서 ‘관광인천’ 건설에 박차를 가하자고 주장하였다.[14] 나가이는 1935년 말에 부천군 다주면 도화리, 장의리, 용정리와 문학면 학익리, 청학리, 옥련리의 인천부 편입을 총독부에 요구하였고, 이는 1936년 10월 이루어졌다. 옥련리와 학익리가 문학산에 면한 산지임에도 인천부 시가지계획구역에 편입된 것은 송도 일대의 관광지로서의 가치 때문이었다.[11]

나가이는 ‘관광인천’의 일환으로 송도 개발에 큰 관심을 보였다.[15] 그는 1935년에 건설에 착수한 수인선이 송도를 지나가도록 요청하면서, 수인선 부설을 맡은 경동철도주식회사(京東鐵道株式會社)가 송도유원지 개발을 맡는 자회사를 세울 것을 강요하였다.[15] ‘능허대유원지’가 경동철도에 의하여 개발될 계획임이 보도되자,[16] 일대 땅값은 폭등하고 경성의 자산가들은 송도임해토지합자회사를 세워 땅을 사들였다.[15] 그러자 나가이는 1936년 2월 21일, 송도유원주식회사를 세우자고 제안하였다.[15] 결국 3월 3일, 송도유원주식회사의 창립이 결정되었다.[17] 송도유원주식회사에서는 4월 12일 창립총회를 열고, 송도와 문학산 일대에 유원지를 건설하여 한반도의 이름난 관광지로 개발할 계획임을 밝혔다.[18]

3. 2. 일제강점기 (1945년까지)

1937년 개장 당시의 송도유원지


1937년 7월 21일 송도유원지가 해수욕 풀장과 아동 유희장 영업을 개시하면서 문을 열었다.[19] 유원지에는 풀장, 운동장, 야구장, 정구장, 아동 유희장, 야외 극장, 조탕(潮湯), 식당, 다방, 씨름장, 마장(馬場), 스케이트장, 골프 연습장, 보트장 등 다양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었다.[20] 이듬해인 1938년 4월 송도관광주식회사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다양한 시설을 운영하기 시작했고, 월미도유원회사와 경쟁하게 되었다.[21] 1937년 7월 수인선이 개통하여 송도역이 신설되면서 송도유원지 운영에 더욱 힘을 실었다.[14] 1940년 7월 28일 하루에만 삼천 명의 인파가 송도유원지에 몰려들기도 했다.[22] 당시 사람들에게 송도유원지는 월미도유원지보다 새롭고 아름다운 곳으로 인식되었다.[23]

1936년 12월호 《경성잡필》(京城雜筆)에 실린 송도유원주식회사 상무 후지모토 겐이치(藤本源市)의 글에 따르면, 송도유원지 개발은 세 부시(府是)를 내걸고 인천부 개발에 나선 인천부윤 나가이와, 바다에 면한 별장을 경영하려는 경성의 일본인 유지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결정되었다.[24] 후지모토에 의하면, 문학산 일대의 480만 평을 국제관광지대로 개발하려는 나가이의 계획에 따라 우선 송도유원지가 개발되었으나, 송도유원주식회사의 실질적인 사업 목적은 임해별장지와 임해별장지 경영에 있었다.[24] 송도유원지가 개장하기 전인 1937년 초에 이미 송도유원주식회사는 1만 7천여 평에 달하는 별장 부지를 분양하였다.[21] 인천부는 송도유원지를 중심으로 화려하게 개발될 문학산 일대를 담은 일종의 홍보물로서 관광안내서인 《경승의 인천》(景勝の仁川, 1937)을 발간하였다. 이렇듯 송도유원지 개발은 ‘사기업이 주체가 되었지만 실제로는 부(府)의 사업’이었다.

그러나 1940년경부터 송도는 월미도와 더불어 ‘결의와 연성(鍊成, 단련)의 장소’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인다. 1943년 5월 27일 해군기념일을 맞아 대일본해양소년단 조선본부가 창설된 이후, 한 해에 열 번가량 국민학생부터 청년단원까지 합숙시켜 수영장 등에서 훈련하고 보트, 기범선, 원양선 등에서 항해술을 가르쳐 투철한 해양소년단원을 길러내는 대규모의 해양도장을 송도에 지을 것임이 같은 해 6월 22일에 보도되었다.[25] 1943년 7월 매일신보에서는 ‘사원 해양 연성회’를 송도유원지에서 열었고, 같은 해 8월에 성신가정여학교에서도 송도에서 전교생이 참가하는 해양 연성회를 열었다.[26][27] 또한 1944년 8월에는 인천부가 징병검사 을종합격자의 수영 강습을 송도에서 시행한 바 있다.[28] 이렇듯 중일전쟁을 맞아 전시체제로 전환되면서, 송도유원지 개발은 더 진행되지 못하고 실패하였다.

3. 3. 해방 이후

1945년 해방 이후 일본군이 나간 송도에는 미군이 들어왔다.[29] 1950년 봄 표양문 인천시장은 송도유원지를 그 해 안에 시민에게 개방하겠다고 밝혔으나[30],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영국군을 포함한 유엔군은 송도유원지를 군 휴양지로 징발하였다.[29] 1958년 6월 10일 징발이 해제되었고[31], 5월 24일 한국관광주식회사, 송도임해토지주택주식회사(주주 박흥식) 등이 참여한 송도유원보건주식회사가 송도유원지 기공식을 열었다.[32] 그러나 송도해원관광회사와 송도임해토지주식회사가 운영권을 놓고 분쟁하자[33][32], 1961년 7월 해수욕장만 우선 개장하였다.[29] 송도유원지는 1961년 11월 19일 국가지정관광지로 승인되었고[33], 1962년 8월 1일 옥련동 504-1에서 동춘동 884-7에 이르는 74만 평 지역에 대한 개발 사업이 결정되었다.[34] 인천시가 박흥식 등 경인 지역 사업가들을 출자시켜 1963년 3월 설립한 인천도시관광주식회사가 7월 24일부터 송도유원지를 정식 개장하였다.[35]

1964년 24.3만 명이던 송도유원지 관광객은 1981년 67.1만 명으로 증가했다.[36] 그러나 시설 부족, 인근 채석장과 방치된 매립지로 인한 경관 훼손, 해수욕장 수질 오염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1980년대 인천직할시는 송도유원지를 수도권 관광 수요와 1988년 하계 올림픽 해외 관광객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대규모 시설 확충을 계획했다. 그러나 송도신도시 계획이 등장하면서 배후 주택단지로 용도가 변경되기도 했다. 1993년 11월 한독은 대우자동차와 함께 유원지를 개발할 것을 밝혔고, 1999년 대우자동차판매 등에 매립지를 분할 매각한 결과 대우그룹은 유원지 대신 대우타운 건설 계획을 내놓기도 하였다.

그러나 모든 계획이 좌초된 후 송도유원지는 2000년대 들어 낙후된 시설을 개선하지 못하고 관광객을 잃다가 2011년 8월 31일 문을 닫았다.[47] 이후 테마파크 리모델링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큰 진척은 없다.[48]

4. 연혁


  • 1937년 7월 21일: 송도해수욕장 개장
  • 1950년 하반기 ~ 1958년 6월 18일: 징발되어 군 휴양지로 사용
  • 1961년 7월: 임시 개장
  • 1961년 11월: 국가지정관광지로 승인[49]
  • 1963년 7월 24일: 재개장
  • 2011년 9월 1일: 이용객 감소로 폐장[47]

5. 마스코트

송도유원지의 마스코트는 갈매기 '''조나단'''이다. 소개 페이지에 따르면 성격은 명랑하고 쾌활하며, 혈액형은 O형이다. 출생일은 1998년 9월 3일이나, 프로필 상의 나이는 9살이다.[50]

참조

[1] 뉴스 일제의 관광지 개발 야심에 탄생한 ‘섬 아닌 섬’ 지명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9-09-15
[2] 뉴스 京仁間의 別天地「松島」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3] 뉴스 松島大遊園 計劃着着進捗 二十萬圓의 株式會社組織 https://nl.go.kr/new[...] 중외일보 2021-01-25
[4] harvnb
[5] 뉴스 ‘송도’는 지명이자, 군함 이름이었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9-09-09
[6] 뉴스 송도 지명, 30년대 인천부윤 이름이었을 가능성 높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9-09-09
[7] 뉴스 "[없었던 섬 송도] 송도, 이름을 가져오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9-09-09
[8] harvnb
[9] 뉴스 "<인천 '송도'(松島)는 식민잔재일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네이버) 2019-09-09
[10] 뉴스 김포는 40여개의 섬으로 된 반도였다 http://www.gimpo.com[...] 김포미래신문 2019-09-15
[11] harvnb
[12] 뉴스 別有天地…◇ ◇…仁川松島 道路改修工事에 奔忙 貸別莊도 計劃中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13] 뉴스 仁川松島間 乘合自動車認可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14] 뉴스 "[없었던 섬 송도] 관광인천을 향하여"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9-09-09
[15] harvnb
[16] 뉴스 白砂靑松의勝地인 凌虛臺遊園化 경동철도회사에서게획중 資本金二百萬圓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17] 뉴스 松島遊園地 創立委員選定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18] harvnb
[19] 뉴스 仁川松島浴塲 二十一日遂開始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네이버) 2019-09-09
[20] 뉴스 仁川의別天地인 松島遊園地施設 來六月頃全部完成 https://nl.go.kr/new[...] 2021-01-25
[21] harvnb
[22] 뉴스 반가운“快晴날세”-仁川松島園에人山仁海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23] 뉴스 名勝松島의讃美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네이버) 2019-09-09
[24] harvnb
[25] 뉴스 바다의訓練을本格化 仁川에大海洋道場建設 全鮮靑少年부터鍊成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26] 뉴스 本社員海陽鍊成 二日부터仁川松嶋에서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27] 뉴스 誠信女學校海洋鍊成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28] 뉴스 水泳指導講習會 https://nl.go.kr/new[...] 매일신보 2021-01-25
[29] 뉴스 "[없었던 섬 송도] 송도유원지 다시 문 열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9-09-09
[30] 뉴스 松島遊園地 今年엔開放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네이버) 2021-02-15
[31] 뉴스 仁川 松島海水浴場 徵發措處를解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네이버) 2021-02-15
[32] 뉴스 50년전 송도유원지 건물 상량식 http://www.yeonsu.in[...] 연수신문 2021-02-15
[33] 뉴스 "[激動한세기…인천이야기·90]송도유원지"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21-02-15
[34] 웹인용 건설부 고시 제31호 https://theme.archiv[...] 2021-02-15
[35] 뉴스 "[그때 그 시절] 피서객 붐비던 자리에 중고차들만 즐비" https://enews.incheo[...] i-View 2021-02-15
[36] 서적
[37] 서적
[38] 뉴스 다시 보는, 인천 속 이야기-아암도 https://www.incheon.[...] 굿모닝인천 2020-09-01
[39] 뉴스 "[인천일보 연중기획] 아이들 간절한 소망 '수영장 물놀이' 실현"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4-08-17
[40] 서적
[41] 서적
[42] 웹인용 손해배상(기) [서울고법 1989. 5. 2., 선고, 87나762, 제5민사부판결 : 상고허가신청기각] https://www.law.go.k[...] 1989-05-02
[43] 뉴스 10년째 방치된 인천 송도유원지 https://mn.kbs.co.kr[...] KBS 1993-04-30
[44] 뉴스 매립한세기(17)-해수풀장개발잃어버린20년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04-11-19
[45] 뉴스 국회 내무위원회 건설위원회 경제과학위원회 국정감사 종합[이재훈] https://imnews.imbc.[...] MBC 1988-10-06
[46] 뉴스 송도 매립지 29만평 내년 유원지 만든다-인천시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1993-11-23
[47] 뉴스 70년대 물놀이·데이트 코스 … 송도유원지 사라진다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1-08-31
[48] 뉴스 부영, 인천시 송도테마파크사업 효력정지 방침에 '당혹·실망'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04-30
[49] 뉴스 국민관광지, 그 화려했던 명성이 지워졌다 http://www.incheonne[...] 인천신문 2015-08-18
[50] 웹사이트 캐릭터 소개 http://www.songdo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