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스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텔스기는 레이더 및 적외선 탐지를 줄여 생존성을 높이도록 설계된 항공기이다. 스텔스 기술은 열 방출 감소, 기체 형상을 통한 레이더 반사 감소, 전파흡수재료 사용, 내부 표면에서의 레이더 탐지 감소 등을 포함한다. 레이더 반사 면적(RCS)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며, RCS가 작을수록 탐지 거리가 감소한다. 스텔스기 설계는 공기역학적 안정성을 위해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과 같은 첨단 기술을 필요로 한다.
스텔스 기술은 1차 세계 대전 중 시도되었으나, 본격적인 실용화는 1970년대 록히드사의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F-117 나이트호크가 최초의 실용 스텔스기로 등장했으며, F-22 랩터, B-2 스피릿, F-35 라이트닝 II 등이 개발되었다. 스텔스기는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NATO 폭격, 이라크 침공, 리비아 군사 개입 등에서 실전에 투입되었다. 현재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스텔스기를 개발 및 운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KF-21 보라매도 개발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텔스기 | |
---|---|
개요 | |
![]() | |
주요 임무 | 제공 전투 |
제작사 | 록히드 마틴 |
개발 국가 | 미국 |
첫 비행 | 1997년 9월 7일 |
실전 배치 | 2005년 12월 15일 |
퇴역 | 현역 |
주요 운용 국가 | 미국 공군 |
생산 대수 | 195대 |
대당 가격 | 1억 5,000만 달러 |
제원 | |
전장 | 18.92 m |
날개폭 | 13.56 m |
전고 | 5.08 m |
최대 이륙 중량 | 38,000 kg |
엔진 | 프랫 앤 휘트니 F119-PW-100 터보팬 엔진 2기 |
최대 속도 | 마하 2.25 (2,414 km/h) |
전투 행동 반경 | 759 km |
최대 상승 한도 | 19,812 m |
무장 | |
기관포 | 20 mm M61A2 발칸 기관포 1문 |
공대공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 AIM-120 암람 |
공대지 미사일 | GBU-39 소구경 폭탄 GBU-32 JDAM GBU-53 스톰브레이커 |
특징 | |
스텔스 기술 | 저피탐성 레이더 반사 면적 감소 |
센서 | 레이더 적외선 탐색 추적 장치 데이터 링크 |
기타 | |
5세대 전투기 | 록히드 마틴 F-22는 5세대 전투기로 분류됨 |
관련 링크 | 미국 공군 F-22 랩터 |
F-35 라이트닝 II 정보 | |
![]() | |
유형 | 다목적 전투기 |
개발 국가 | 미국 |
제작사 | 록히드 마틴 |
첫 비행 | 2006년 12월 15일 |
실전 배치 | 2015년 7월 31일 (F-35B) |
주요 운용 국가 |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대한민국 |
생산 대수 | 894대 (2023년 10월 기준) |
제원 (F-35A) | |
전장 | 15.67 m |
날개폭 | 10.67 m |
전고 | 4.33 m |
최대 이륙 중량 | 31,750 kg |
엔진 | 프랫 앤 휘트니 F135-PW-100 터보팬 엔진 1기 |
최대 속도 | 마하 1.6 (1,930 km/h) |
전투 행동 반경 | 1,093 km |
최대 상승 한도 | 15,240 m |
제원 (F-35B) | |
전장 | 15.6 m |
날개폭 | 10.7 m |
전고 | 4.36 m |
최대 이륙 중량 | 27,200 kg |
엔진 | 프랫 앤 휘트니 F135-PW-600 터보팬 엔진 1기 |
최대 속도 | 마하 1.6 (1,930 km/h) |
전투 행동 반경 | 833 km |
최대 상승 한도 | 15,240 m |
무장 | |
기관포 | 25 mm GAU-22/A 기관포 1문 |
공대공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 AIM-120 암람 |
공대지 미사일 | AGM-158 JASSM GBU-31 JDAM |
특징 | |
스텔스 기술 | 저피탐성 설계 |
센서 | 레이더 적외선 탐색 추적 장치 데이터 링크 |
기타 | 수직 이착륙 (F-35B) 5세대 전투기 |
기타 정보 | |
관련 링크 | 미국 공군 F-35A 라이트닝 II 영국 공군 F-35B 라이트닝 II |
스텔스 기술 | |
스텔스 항공기 |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도록 설계된 항공기 저피탐성 기술을 사용하여 레이더 반사 면적 감소 적외선, 음향, 가시광선 탐지 회피 노력 |
탐지 기술 | 레이더 적외선 탐색 추적 장치 시각 탐지 청각 탐지 |
초기 스텔스 항공기 | 록히드 F-117 나이트호크 노스럽 B-2 스피릿 |
현재 스텔스 항공기 | 록히드 마틴 F-22 랩터 록히드 마틴 F-35 라이트닝 II 청두 항공기 J-20 수호이 Su-57 |
스텔스 기술 발전 | 더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탐지하기 어려운 기술 개발 레이더 및 적외선 탐색 추적 장치에 대한 대응 기술 개발 |
관련 정보 | |
관련 링크 | MIT The Tech - 스텔스 폭격기의 탐지에 대한 정보 The National Interest - 러시아의 새로운 레이더가 미국의 스텔스 전투기를 무력화했는가? Foxtrot Alpha - 적외선 탐색 및 추적 시스템과 미국의 미래 전투기 록히드 마틴 5세대 전투기 Foxtrot Alpha - 해병대는 F-35B 운용 개시 선언, 그러나 실제로 전투 준비는 되었는가? Australian News - J-20 스텔스 전투기의 완전한 작전 배치로 중국은 아시아 군비 경쟁에서 앞서나간다. TASS - 첫 번째 Su-57 전투기가 남부 군관구의 항공 연대에 들어감 |
2. 디자인 원칙
일반적인 비행 요구 사항 외에도, 스텔스기는 레이더 및 적외선(열) 탐지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디자인 원칙은 다음과 같다.
- 엔진과 배기 가스에서 발생하는 열 적외선 방출 감소
- 기체의 형상을 통해 적대적인 수신기로 돌아오는 레이더 반사 감소
- 레이더 흡수 재료(RAM)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레이더 투과성 재료를 사용하여 기체에서의 레이더 반사 감소
- 조종석, 무기창, 엔진 흡입구 배관과 같이 노출된 내부 표면으로부터의 레이더 탐지 감소
- 악천후 조건에서 적외선 및 레이더 탐지 감소
주어진 레이더 구성에 대해 표적을 탐지할 수 있는 거리는 RCS의 네제곱근에 따라 달라진다.[13] 따라서 탐지 거리를 1/10로 줄이려면 RCS를 10,000분의 1로 줄여야 한다.
회전익기는 여러 날개 표면과 관절, 그리고 이들의 관계 변화 때문에 스텔스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보잉-시코르스키 RAH-66 코만치는 스텔스 헬리콥터의 초기 시도 중 하나였다.
스텔스기는 레이더 반사 면적(RCS)을 줄이기 위해 공기역학적 성능을 희생한 형상을 취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기체 제어가 어려워지기 쉽고, 이를 해결하려면 고성능 기체 제어 시스템이나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fly-by-wire) 등 최첨단 기술이 필요하다.[41][42] 또한, 레이더 등을 사용하여 스스로 전파를 발신하면 역탐지되어 스텔스 성능이 무용지물이 되므로, 스텔스기는 전자 장비 사용이 크게 제한된다.[43]
폭탄이나 미사일 등을 기체 외부에 장착하면 RCS가 증가하므로,[41] 스텔스 성능 유지를 위해 무기를 모두 기체 내부에 수납해야 하며, 같은 크기의 비스텔스기보다 무장 탑재량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41][44] 높은 스텔스 성능을 유지하려면 항상 기체 표면 연마와 전파 흡수성 도료 도장이[41] 필수적이어서 유지비와 정비비가 비싸다.[45][46]
영공 침범에 대한 스크램블 임무는 상대에게 자신의 모습(무장 포함)을 보여 경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레이더에 잘 보이지 않고 무장을 기체 내부에 수납하는 경향이 있는 스텔스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스크램블 시 동세대의 비스텔스기와 대치할 경우, 운동 성능이 떨어지는 스텔스기 측이 도그파이트에서 불리할 가능성이 있다.[47]
미국에서는 록히드사의 스컹크 웍스가 개발한 스텔스 실험기 "해브 블루"[49]를 기반으로, 1981년에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실용 스텔스기인 F-117이 개발되었다. 이후 F-22, Su-57과 같은 스텔스 전투기, B-2, PAK DA와 같은 스텔스 폭격기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스텔스 성능을 중시한 기체 설계와 공기역학적으로 우수한 기체 형상의 요구는 상반되는 경우가 많다.[49] 2000년대 후반에는 스텔스 성능을 추구한 결과 공기역학적으로 불안정해진 기체를 CCV 기술이나 플라이 바이 와이어와 같은 고도의 전자 기술로 보완하여[49][51]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2. 1. 레이더 반사 면적 (RCS) 감소
스텔스기는 레이더 반사 면적(RCS)을 줄여 적 레이더에 탐지될 확률을 낮추도록 설계된다. RCS를 줄이는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다.[13]- 기체 형상: 기체 표면을 특정 각도로 설계하여 레이더파를 분산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초기 스텔스기는 공기역학적 성능보다 RCS 감소에 초점을 맞춰 설계되었는데, F-117 나이트호크와 같이 매우 스텔스 성능이 뛰어난 항공기는 세 축 모두에서 공기역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FBW)의 지속적인 보정이 필요했다. 노스롭 그루먼 B-2 스피릿은 잭 노스롭이 개발한 날개 없는 항공기를 기반으로 하여, 수직 표면 없이도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 전파흡수재(RAM): 전파흡수재료(RAMs)는 카본 블랙 입자나 미세한 철 구체 등을 포함하여 레이더파를 흡수한다.
- 내부 무장: 폭탄이나 미사일 등을 기체 외부에 장착하면 RCS가 증가하므로,[41] 무기를 기체 내부에 수납하여 스텔스 성능을 유지한다.
회전익기는 여러 날개 표면과 관절, 그리고 이들의 관계 변화 때문에 스텔스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보잉-시코르스키 RAH-66 코만치는 스텔스 헬리콥터의 초기 시도 중 하나였다.
하지만 스텔스 성능을 중시한 기체 설계와 공기역학적으로 우수한 기체 형상의 요구는 상반되는 경우가 많다.[49] 2000년대 후반에는 스텔스 성능을 추구한 결과 공기역학적으로 불안정해진 기체를 CCV 기술이나 플라이 바이 와이어와 같은 전자 기술로 보완하여[49][51]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2. 2. 적외선 방출 감소
스텔스기의 중요한 설계 목표 중 하나는 엔진과 배기 가스에서 발생하는 열 적외선 방출을 줄이는 것이다.[13] 초기 스텔스기인 F-117과 B-2는 뜨거운 배기가스가 적외선 신호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애프터버너가 없었다.[1][2]3. 스텔스기의 한계
초기 스텔스기는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춰 설계되어, 공기역학적 성능이 희생되는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기체 제어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성능 기체 제어 시스템이나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fly-by-wire)과 같은 첨단 기술이 필요했다.[41][42]
스텔스기는 레이더와 같은 전자 장비 사용에 제한을 받는다. 레이더를 사용할 경우 역탐지될 위험이 있어 스텔스 성능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텔스기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필요한 때에만 목표 주변에 레이더파를 조사하는 등 전자 장비 사용을 최소화해야 한다.[43]
무기나 미사일 등을 기체 외부에 장착하면 RCS가 증가하여 스텔스 성능이 저하된다.[41] 따라서 스텔스 성능을 유지하려면 모든 무장을 기체 내부에 탑재해야 하며, 이로 인해 같은 크기의 비스텔스기에 비해 무장 탑재량이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41][44]
높은 스텔스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체 표면을 지속적으로 연마하고 전파 흡수성 도료를 도장해야 한다.[41] 이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비싸다.[45][46]
영공 침범에 대응하기 위한 스크램블 임무는 상대에게 자신의 모습(무장 포함)을 보여 경고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레이더에 잘 탐지되지 않고 무장을 기체 내부에 수납하는 스텔스기는 이러한 임무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스크램블 시 동세대 비스텔스기와 교전할 경우, 운동 성능이 떨어지는 스텔스기가 도그파이트에서 불리할 수 있다.[47]
4. 스텔스기 탐지 기술
이론적으로 스텔스기를 장거리에서 탐지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중국의 청두 J-20 스텔스 전투기 개발에 대응하여, 2011년 일본 방위성은 MIMO와 레이다와 적외선 복합센서를 전국에 구축하여 스텔스기 방어망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보도되었다.[52]
4. 1. 반사파
수동(다중정지) 레이더, 이중정지 레이더, 특히 다중정지 레이더 시스템은 기존 단일정지 레이더보다 일부 스텔스 항공기를 더 잘 탐지한다. 1세대 스텔스 기술(예: F-117)은 송신기의 직접 시선에서 에너지를 반사시켜 다른 방향의 레이더 반사 면적(RCS)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데, 수동 레이더는 이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저주파 방송 TV 및 FM 라디오 신호(항공기 신호 제어가 더 어려운 주파수)를 사용한다.[14] 체코의 베라 레이다는 스텔스기를 500km 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4. 2. 적외선
일부 분석가들은 적외선 탐색 및 추적(IRST) 시스템이 스텔스 항공기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어떤 비행기도 지표면의 열보다 높은 열을 나타내기 때문에, 2채널 IRST를 통해 지표면의 열과의 차이를 식별하여 장거리 스텔스기를 탐지할 수 있다고 한다.[53][54]1980년대 러시아에서 IRST 개발이 재개되었고, IRST는 미코얀 MiG-29와 수호이 Su-27에 장착되었다. 최신형 MiG-29인 미코얀 MiG-35는 최고 성능의 IRST 능력을 갖추고 있다. 프랑스의 라팔, 영국/독일/이탈리아/스페인의 유로파이터, 스웨덴의 그리펜도 IRST를 사용한다.
광학장비의 성능은 다음과 같다.
구분 | 탐지 거리 | 식별 거리 |
---|---|---|
애프터버너를 끈 비행기 | 45km 이상 | 8km ~ 10km |
평균 공중 목표물 | 최대 15km | - |
탱크 | 최대 15km | 8km ~ 10km |
항공모함 | 60km ~ 80km | 40km ~ 60km |
평균 지상 목표물 | 최대 20km | - |
4. 3. 장파장 레이더
초고주파(VHF) 레이더는 항공기 크기와 비슷한 파장을 가져 공진 영역에서 산란을 일으키므로, 대부분의 스텔스 항공기를 탐지할 수 있다. 러시아의 니즈니 노브고로드 무선 공학 연구소(NNIIRT)는 NEBO SVU와 같은 초고주파 AESA 레이더를 개발했다.[14]네덜란드의 탈레스 네덜란드(Thales Nederland)는 SMART-L이라는 해군용 위상배열 레이더를 개발했으며, 스텔스 기능에 대응한다고 주장한다.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함도 SMART-L 레이더를 사용한다.[52]

4. 4. OTH 레이더 (수평선 너머 레이더)
수평선 너머 레이더는 전리층에서 레이더를 반사시켜 기존 레이더보다 유효 거리를 늘리는 개념이다. 호주의 진달리 작전 레이더 네트워크(Jindalee Operational Radar Network, JORN)는 특정 스텔스 특징을 극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고주파(HF)를 사용하고 전리층에서 레이더를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F-117A의 스텔스 특징을 극복한다고 주장된다. 다시 말해, 스텔스기는 정면에서 오는 훨씬 더 높은 주파수의 레이더를 무력화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지, 위에서 오는 저주파 레이더를 무력화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지는 않다.5. 스텔스기의 역사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은 항공기 시인성을 줄이기 위해 투명 피복재를 사용하는 실험을 했으나 실패했다.[15] 영국도 야간 정찰을 위해 비행선을 개조했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16] 나치 독일은 호르텐 Ho 229 비행익 전투폭격기를 개발하면서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를 일부 적용했으나, 실제 효과는 미미했다.[17][18]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폭격기는 목재 프레임과 합판 사용으로 레이더 탐지가 어려웠다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었다. 호르텐 Ho 229는 의도적으로 스텔스 대책을 실시한 최초의 항공기로, F-117 나이트호크 개발에 참고가 되었다.[48]
1970년대 록히드사의 데니스 오버홀서는 소련 과학자 페트르 우핌체프의 수학 모델을 바탕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대 스텔스기의 가능성을 열었다. 록히드는 록히드 해브 블루 시험기를 제작했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 최초의 실용 스텔스기인 F-117 나이트호크가 개발되었다.[49] 이후 F-22 랩터, B-2 스피릿과 같은 스텔스 전투기와 폭격기가 개발되었다.
스텔스 성능을 중시한 설계는 공기역학적으로 우수한 기체 형상과 상반되는 경우가 많고, 전파흡수재의 성능에도 한계가 있다.[49] 2000년대 후반에는 CCV 기술이나 플라이 바이 와이어와 같은 전자 기술로 조종 안정성을 보완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49][51]
5. 1. 제1차 세계 대전 및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은 군용 항공기의 시인성을 줄이기 위해 투명한 피복재인 셀론(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을 사용하는 실험을 했다. 폭커 E.III, 알바트로스 C.I, 린케-호프만 R.I 등 일부 항공기가 셀론으로 덮였으나, 피복재에서 반사되는 햇빛 때문에 항공기가 더 잘 보이게 되었고, 재료가 햇빛과 비행 중 온도 변화에 빠르게 손상되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15]1916년, 영국은 서부 전선의 독일군 진지 상공 야간 항공 정찰을 위해 소형 SS급 비행선을 개조했다. 소음기가 장착된 엔진과 검은색 가스백을 사용했지만, 유용한 정보를 거의 얻지 못해 이 아이디어는 폐기되었다.[16]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나치 독일에서 호르텐 Ho 229 비행익 전투폭격기가 개발되었다. 설계자 라이마르 호르텐은 1983년 생산 모델의 합판 외피 접착층에 목탄을 추가하여 레이더에 보이지 않게 할 계획이었다고 주장했다.[17] 2008년 노스롭 그루먼은 Ho 229가 영국의 체인홈 조기 경보 레이더의 HF 대역(20~30 MHz) 주파수 탐지를 회피할 수 있는지 테스트했지만, 목탄 사용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고, 사용했더라도 흡수율이 낮았을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18]
한편, 영국에서는 광물 자원 부족으로 목재 프레임에 합판을 덧댄 폭격기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레이더에 탐지되기 어렵다는 부수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같은 시기 소련군 전투기·쌍발 폭격기들에도 목재 기체가 많았지만, 스텔스 성능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다.
실용화되지는 않았지만, 독일이 개발한 전익기인 호르텐 Ho 229는 주익 전연에 레이더파 흡수를 위해 탄소 도료를 도포하고, 엔진을 상면에 배치하여 배열을 억제하는 등 의도적으로 스텔스 대책을 실시한 최초의 항공기였다. 이 때문에 이 기체는 스텔스기 F-117 나이트호크 개발에도 참고가 되었다.[48]
5. 2. 현대의 스텔스기
1970년대, 록히드사의 수학자 데니스 오버홀서(Denys Overholser)는 소련 과학자 페트르 우핌체프(Petr Ufimtsev)가 개발한 수학 모델을 바탕으로 Echo 1이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현대 스텔스기가 가능해졌다. Echo 1은 패싯(facet)이라고 불리는 평평한 패널로 만들어진 항공기의 레이더 반사 신호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었다. 1975년, 록히드 스컹크 웍스(Skunk Works)의 엔지니어들은 패싯 표면으로 만들어진 항공기는 표면이 거의 모든 레이더 에너지를 수신기에서 멀리 방출하기 때문에 레이더 반사 신호가 매우 낮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1977년 DARPA와의 계약에 따라 록히드는 개념 증명용 시험기인 록히드 해브 블루(Lockheed Have Blue)를 제작했다. "희망 다이아몬드(Hope Diamond)"를 참고하여 디자인의 모양과 예상되는 불안정성을 빗댄 "절망의 다이아몬드(the Hopeless Diamond)"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1981년, 록히드사의 스컹크 웍스가 개발한 스텔스 실험기 "해브 블루"[49]를 기반으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실용 스텔스기인 F-117이 개발되었다. 이후 F-22, B-2와 같은 스텔스 전투기, 폭격기가 개발되었다.
스텔스 성능을 중시한 기체 설계와 공기역학적으로 우수한 기체 형상의 요구는 상반되는 경우가 많다.[49] 또한, 전파흡수재의 이용과 그 성능에도 한계가 있다. 2000년대 후반에는 스텔스 성능을 추구한 결과 공기역학적으로 불안정해진 기체를 CCV 기술이나 플라이 바이 와이어와 같은 고도의 전자 기술로 보완하여[49][51]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6. 스텔스기의 운용
1989년 12월, 미국은 저스트 코즈 작전의 일환으로 파나마 침공에 F-117 나이트호크를 투입하여 최초로 스텔스기를 전투에 사용했다. F-117 두 대는 파나마 리오 아토의 파나마 방위군 병영을 폭격했다.[19] 1991년 걸프 전쟁에서 F-117은 이라크의 주요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F-117은 1,299회의 출격과 1,664회의 직접 명중을 기록하며 이라크의 1,600개 중요 목표물을 타격했다.[23] F-117은 이라크 전략 목표의 40%를 타격했고 2,000톤의 정밀 유도 무기를 투하하여 80%의 성공률을 기록했다.
1999년 유고슬라비아 NATO 폭격에서는 F-117 나이트호크와 B-2 스피릿이 사용되었다. F-117은 고부가가치 목표물을 정밀 타격하는 역할을 수행했지만, 세르비아의 이사예프 S-125 미사일에 의해 한 대가 격추되기도 했다(1999년 F-117A 격추).[25]
2003년 이라크 침공에서도 F-117과 B-2가 사용되었으며, F-117은 이 작전을 마지막으로 전투에서 은퇴했다. B-2 스피릿은 49회의 출격에서 150만 파운드 이상의 무기를 투하했다.[25]
2011년 오사마 빈 라덴 사살 작전에서는 스텔스 특성을 가진 헬리콥터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해 2011년 리비아 군사 개입에서 B-2 스피릿이 리비아 비행장에 40개의 폭탄을 투하했다.
F-22 랩터는 2014년 시리아 상공에서 첫 전투 데뷔를 했다.[26] 2018년에는 이스라엘 F-35I 스텔스 전투기가 시리아에서 임무를 수행했다는 보고가 있었다.[21] 이스라엘 공군의 아미캄 노르킨 소장은 이스라엘 공군 F-35I가 시리아 상공에서 최초의 F-35 공격을 수행했다고 보고했다.[22]
중화인민공화국은 청두 J-20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를 개발하여 2017년 3월 인민해방군 공군에 배치했다.[30][31][32]
7. 세계의 스텔스기
국가 | 기종 | 역할 | 비고 |
---|---|---|---|
대한민국 | KF-21 보라매 | 4.5세대 초음속 전투기 | 개발 중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공동 개발), 2022년 시제기 6대 제작[41] |
미국 | F-117 나이트호크 | 아음속 공격기 | 1981년 생산 시작, 총 64대 생산 |
B-2 스피릿 | 아음속 폭격기 | 1989년 생산 시작, 총 21대 생산 | |
F-22 랩터 | 초음속 전투기 | 1996년 생산 시작, 총 195대 생산 | |
F-35 라이트닝 II | 초음속 전투기 | 2006년 생산 시작, 1000대 이상 생산, A형(CTOL), B형(V/STOL), C형(CATOBAR) 파생형 존재 | |
B-21 레이더 | 아음속 폭격기 | 2023년 생산 시작, 3대 이상 생산 중 | |
러시아 | Su-57 | 초음속 전투기 | 2010년 생산 시작, 21대 이상 생산 |
PAK DA | 아음속 폭격기 | 개발 중 | |
중국 | J-20 | 초음속 전투기 | 2011년 생산 시작, 210대 이상 생산 |
FC-31 | 초음속 전투기 | 개발 중 | |
영국 | 템페스트 | 초음속 전투기 | 개발 중 |
일본 | X-2 신신 | 초음속 실험기 | 개발 완료 |
8. RCS (레이더 반사 면적)
일반적인 전투기, 폭격기의 레이더 반사 면적(RCS)은 수 m²에서 수십 m² 수준이다. 스텔스기의 RCS는 0.0001m2 미만으로, 일반 항공기에 비해 현저히 작다. 다음은 주요 항공기들의 RCS를 나타낸 표이다.
항공기 종류 | RCS (m²) | 비고 |
---|---|---|
B-52 | 100 | |
F-15A/B | 25 | |
투폴레프 Tu-160 | 15 | |
B-1 랜서, F-14A/B/D, F-15C/D, 수호이 Su-27, 수호이 Su-30 | 10 | |
F-15E, F-4 팬텀 | 6 ~ 8 | |
미코얀 MiG-29, F-16A/B, 청두 J-10 | 5 ~ 5.5 | |
미코얀-구레비치 MiG-21, F-18 A/B, F-5 | 3 ~ 4.5 | |
AV-8B 해리어 II | 2 ~ 2.5 | |
사브 JAS-39 그리펜, F-16C/D, F-18C/D, 미쓰비시 F-2 | 1 ~ 1.8 | |
유로파이터, 라팔, 보잉 F/A-18E/F 슈퍼 호넷, F-16E/F | 0.75 ~ 1 | |
토마호크 | 0.5 | |
스텔스 대함미사일 | 0.1 | |
수호이 Su-47, 수호이 PAK FA | 0.1 ~ 0.01 | 수호이사 자료 |
F-15SE (추정) | 0.01 ~ 0.1 | |
F-117 | 0.008 | |
F-35 | 0.005 | |
F-22, B-2 스피릿 | 0.0001 미만 |
참조
[1]
웹사이트
F-22 Raptor
https://www.af.mil/A[...]
2024-08-07
[2]
웹사이트
F-35A Lightning II
https://www.af.mil/A[...]
2024-08-07
[3]
웹사이트
F-35B Lightning II
https://www.raf.mod.[...]
2024-08-07
[4]
서적
FIREPOWER: THE WEAPONS THE PROFESSIONALS USE - AND HOW. SUPER FIGHTERS, #41
Orbis Publishing
[5]
간행물
They're Redesigning the Airplane
National Geographic
1981-01-01
[6]
웹사이트
Infrared Search And Track Systems And The Future Of The US Fighter Force
https://foxtrotalpha[...]
2019-03-07
[7]
웹사이트
Did Russia's New Radar Just Make America's Lethal Stealth Fighters Obsolete?
https://nationalinte[...]
2019-03-07
[8]
웹사이트
Scouting For Surveillance: Detection of the B-2 Stealth Bomber And a Brief History on 'Stealth'
https://web.archive.[...]
2019-03-07
[9]
웹사이트
5th Generation Fighters
https://web.archive.[...]
Lockheed Martin
2009-04-15
[10]
뉴스
Marines Declare F-35B Operational, But Is It Really Ready For Combat?
https://web.archive.[...]
2018-03-04
[11]
뉴스
With the J20 stealth fighter in fully operation service, China leaps ahead in Asian arms race
https://web.archive.[...]
2018-03-04
[12]
웹사이트
Первый серийный истребитель Су-57 поступил в авиаполк Южн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https://tass.ru/armi[...]
[13]
서적
YF-22 and YF-23 Advanced Tactical Fighters: Stealth, Speed and Agility for Air Superiority
Motorbooks International
[14]
웹사이트
ATR
http://www.ifp.uiuc.[...]
[15]
서적
The German Giants – The German R-Planes 1914–1918
Putnam
[16]
서적
The British Airship at War, 1914–1918
Terence Dalton
[17]
웹사이트
Is It Stealthy?
https://airandspace.[...]
2023-04-14
[18]
웹사이트
Technical Study of the Bat Wing Ship (The Horten Ho 229 V3)
https://www.research[...]
2023-04-14
[19]
웹사이트
Nighthawks over Iraq: A Chronology of the F-117A Operations Desert Storm and Desert Shield
https://nsarchive2.g[...]
2024-08-07
[20]
웹사이트
Gulf War Air Power Survey- Volume IV
https://media.defens[...]
2024-08-08
[21]
뉴스
Report: Israeli stealth fighters fly over Iran
https://www.jpost.co[...]
2019-07-24
[22]
뉴스
Israel Launched World's First Air Strike Using F-35 Stealth Fighters, Air Force Chief Says
https://www.haaretz.[...]
2019-07-24
[23]
웹사이트
F-117A - Nighthawk
https://www.holloman[...]
2024-08-08
[24]
웹사이트
Gulf War - Air Power Survey, Volume IV - Weapons, Tactics, and Training
https://media.defens[...]
2024-08-07
[25]
웹사이트
B-2 Spirit
https://www.af.mil/A[...]
2024-08-07
[26]
뉴스
After Years of Trouble, F-22 Raptor's 1st Combat Mission is a 'Success'
https://abcnews.go.c[...]
2024-08-08
[27]
뉴스
Alleged PHOTO, VIDEO of Russian Su-57 Fifth Gen Jet in Syria Released on Twitter
Sputnik (news agency)
2018-02-22
[28]
웹사이트
Report: Russia Has Developed Prototype of Air-to-Ground Hypersonic Missile for Su-57
https://thediplomat.[...]
[29]
웹사이트
Alert 5 » Su-57 launched cruise missile while deployed to Syria
alert5.com
[30]
뉴스
中国空军副司令首曝:国产第四代战机即将首飞
https://web.archive.[...]
2009-11-09
[31]
비디오
[面对面]何为荣:剑啸长空
https://web.archive.[...]
CCTV
2011-11-08
[32]
웹사이트
编号78272:第二架五位数编号歼-20曝光 部署沧州
http://news.ifeng.co[...]
2016-12-12
[33]
뉴스
China Stays Ahead in Asian Stealth Race
http://www.popsci.co[...]
2016-07-16
[34]
웹사이트
Unmanned escort for manned fighter jets: Airbus presents new Wingman concept at ILA Berlin
https://www.airbus.c[...]
2024-06-11
[35]
웹사이트
Nationale Deutsche Entwicklung: Airbus zeigt Stealth-Testmodell LOUT
https://www.flugrevu[...]
2024-06-11
[36]
웹사이트
MQ-28
https://www.boeing.c[...]
2021-05-16
[37]
뉴스
Update: Australia funds three MQ-28A Block 2 aircraft, key systems
https://www.janes.co[...]
2024-02-12
[38]
웹사이트
The Day We Learned About The Stealth Black Hawk Used In OBL Raid.
https://theaviationi[...]
2021-05-02
[39]
웹사이트
Saab teases early progress with future fighter concept studies
https://www.flightgl[...]
2024-05-24
[40]
뉴스
UCAV shaped and sized as a Russian S-70 spotted over Ukraine
https://bulgarianmil[...]
2023-07-01
[41]
서적
戦闘機事典
イカロス出版
2017-06-30
[42]
웹사이트
ステルス機はレーダーで見つからないのが利点だけど欠点もあった
https://air-line.inf[...]
[43]
뉴스
ステルス機はなぜ見えないのか? 実は少し見えてる、レーダーをあざむく技術の基本
https://trafficnews.[...]
2018-09-23
[44]
웹사이트
ステルス戦闘機ってなに?なぜ見えないの?解説 - 独りで歩いてく人のブログ
https://blog.goo.ne.[...]
[45]
웹사이트
ステルス機はレーダーで見つからないのが利点だけど欠点もあった
https://air-line.inf[...]
[46]
웹사이트
ステルス戦闘機ってなに?なぜ見えないの?解説 - 独りで歩いてく人のブログ
https://blog.goo.ne.[...]
[47]
웹사이트
F-22の弱点、シリア上空でロシア最新鋭機と対峙して露呈
https://www.business[...]
businessinsider
2017-12-28
[48]
간행물
ミリタリー・エアクラフト
デルタ出版
1991-11
[49]
뉴스
【コラム】航空機とIT 第74回 実機拝見(8)F-117Aナイトホーク
https://news.livedoo[...]
2015-12-21
[50]
웹사이트
Windecker Eagle I
http://airandspace.s[...]
국립항공우주박물관
[51]
웹사이트
世界初の実用ステルス機 F-117「ナイトホーク」初飛行-1981.6.18 退役と思ったらまた飛んでる!?
https://trafficnews.[...]
[52]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53]
웹인용
RAND Report Page 37
http://www.flightglo[...]
Flightglobal.com
[54]
저널
VI - STEALTH AIRCRAFT: EAGLES AMONG SPARROWS?
http://www.fas.org/s[...]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두산에너빌-대한항공, 무인제트기 개발 MO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