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평부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승평부부인 박씨는 조선 시대 월산대군의 부인이자 연산군의 시조카로, 미모가 출중했으나 연산군과의 관계와 관련된 추문으로 유명하다. 1466년 월산대군과 혼인하여 상원군부인에 봉해졌고, 시동생 성종 즉위 후 승평부부인으로 승격되었다. 연산군은 박씨에게 어머니와 같은 감정을 느껴 많은 물품을 하사하고, 간통 추문이 돌기도 했다. 박씨는 중종반정 전에 사망했으며, 독살 또는 자결했다는 설과 연산군과의 부적절한 관계에 대한 소문이 돌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덕종 - 연산군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은 초기 국방 강화와 빈민 구제에 힘썼으나,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키고 폭정을 자행하여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폭정, 한글 탄압, 사찰 훼손, 방탕한 사생활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 덕종 - 귀인 윤씨
귀인 윤씨는 세조의 며느리이자 덕종의 후궁으로, 덕종 사후 숙의에 책봉되었다가 귀인에 봉해졌으며, 그녀에 대한 세조의 과도한 은혜 기록이 무오사화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1455년 출생 - 폐비 윤씨
조선 성종의 왕비였던 폐비 윤씨는 질투심과 후궁을 해하려 했다는 의혹 등으로 폐위되어 사사되었으며, 그녀의 죽음은 갑자사화의 원인이 되어 조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55년 출생 - 김응기
김응기는 조선 시대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예조판서와 좌의정을 역임했으며, 갑자사화로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이후 재등용되어 요직을 거치고 1519년에 사망하여 시호는 문대이다. - 1506년 사망 - 안드레아 만테냐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 안드레아 만테냐는 프란체스코 스콰르치오네에게 사사하여 고대 로마 미술에 대한 관심과 원근법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만토바 궁정 화가로서 곤차가 가문 묘사, 〈카이사르의 개선〉, 〈죽은 그리스도를 애도함〉 등의 작품을 남겨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1506년 사망 - 연산군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은 초기 국방 강화와 빈민 구제에 힘썼으나,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키고 폭정을 자행하여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폭정, 한글 탄압, 사찰 훼손, 방탕한 사생활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승평부부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정보 | |
신상 정보 | |
출생일 | 1455년 3월 10일 |
사망일 | 1506년 7월 20일 (51세) |
사망 장소 | 월산대군 사저, 조선 |
묻힌 날짜 | 1506년 이후 |
묻힌 곳 | 월산대군 묘 산 16–35, 신원동, 덕양구, 고양시, 경기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월산대군 (1466년 결혼, 1488년 사별) |
자녀 | 없음 |
아버지 | 박중선 |
어머니 | 양천 허씨 부인 |
가문 | |
출신 가문 | 순천 박씨 (생가) |
혼인 가문 | 조선 왕실 (혼가) |
2. 생애
1466년 월산대군과 혼인했다.[10] 아버지 박중선은 병조 참판으로, 세조의 이종사촌이었다.[11] 영순군의 집에서 혼례가 치러졌고, 세조와 정희왕후는 궁궐 안에 다락을 만들어 큰손자의 혼인을 멀리서 구경했다.[10] 상원군부인(祥原郡夫人)에 봉해졌다가, 시동생 자산군이 성종으로 즉위하면서 승평부부인으로 승격되었다. 월산대군과의 사이에서 소생은 없고, 월산대군은 후실 사이에서만 두 아들을 두었다.
박씨는 미모가 출중하여 그녀를 둘러싼 추문도 많았다.[12] 연산군은 어릴 때 잔병치레가 잦아 백부인 월산군의 집 덕수궁에 자주 피접을 나갔고, 박씨는 연산군에게 어머니 같은 존재였다.[12] 연산군은 즉위 후 자신의 세자도 박씨에게 기르게 하고 세자가 커서 궁으로 돌아올 때 박씨도 같이 들어오게 했다.[12] 연산군은 박씨에게 많은 물품을 하사하고 인수대비에게 효도했다는 이유로 정려문도 지어 주었다.[13] 그는 박씨에게 처소를 내어주고 자주 방문했는데, 이 때문에 연산군이 박씨와 간통을 했다는 추문이 퍼졌다.[12] 연산군은 승평부부인의 당호 앞에 '大' 자를 넣어 승평부대부인이라는 도장을 만들게 하였다.[13] 다른 소문으로는 연산군이 박씨와 자다가 꿈에 월산대군이 나타난 것을 보고 놀라 월산대군의 묘에 긴 창을 꽂게 했다는 이야기도 있었다.[12]
박씨는 중종반정 전에 죽었는데, 독약을 먹고 자결하였다는 설도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사람들이 연산군의 아이를 잉태하여 자결했다고 말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야사에는 연산군에게 성병을 옮아 자결하였다고도 한다.[14] 그러나 당시 박씨는 쉰을 넘긴 나이였으므로 아이를 가졌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12][15] 박원종이 자신의 반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누이와 연산군 간의 사건을 조작하여 소문을 퍼뜨렸다거나, 불심이 깊었던 박씨가 당시 유교 사회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었다는 의견도 있다.[12]
2. 1. 초기 생애
1455년 3월 10일, 단종 재위 마지막 해에 양천 허씨 허씨 부인과 박중선의 딸로 태어났다. 박원종을 포함한 7남매 중 셋째였다. 친할머니를 통해 심온의 증손녀이자, 세종대왕의 부인인 소헌왕후의 조카손녀였다.[3]2. 2. 혼인
1466년 8월 19일, 11세의 박씨 부인은 10세의 월산대군과 혼인했다. 월산대군은 의경세자와 훗날 인수대비가 되는 수빈 한씨의 장남이었다. 박씨 부인은 명숙공주와 자산군의 시누이이기도 했다.[3]혼인 후 박씨 부인은 '''상원군부인'''(祥原郡夫人)의 작위를 받았다.[4] 성종이 왕위에 오르자, '''승평부부인'''(昇平府夫人)으로 격상되었다.
승평부부인은 혼인 생활 동안 자녀를 두지 못했지만, 1485년 남편의 후궁인 원주 김씨 부인을 통해 의붓아들을 얻었다. 다만 족보에는 승평부부인이 직접 아이를 낳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승평부부인은 1488년 12월 21일에 사망한 월산대군보다 18년을 더 살았다.[3]
승평부부인의 여동생 중 한 명은 정희왕후의 종손인 파평 윤씨 윤여필과 혼인하여 윤임과 장경왕후를 낳았다. 장경왕후는 중종의 두 번째 부인이었다. 여동생이 출산 후 어린 나이에 사망했기 때문에, 승평부부인은 어린 조카 윤명혜를 친딸처럼 키웠다.
승평부부인은 막내 여동생이 안순왕후와 예종의 아들인 진성대군과 혼인하면서 시누이가 되었다.
2. 3. 월산대군과의 관계
1466년 8월 19일 박씨는 월산대군 이장(李暲)과 혼인했다.[10] 당시 박씨의 아버지 박중선은 병조 참판으로, 세조의 이종사촌이었다.[11] 박씨와 월산군의 혼인은 세조의 조카 영순군의 집에서 치러졌고, 세조와 정희왕후는 궁궐 안에 다락을 만들어 큰손자의 혼인을 멀리서 구경했다.[10] 월산군과의 혼인으로 상원군부인(祥原郡夫人)에 봉해졌다가, 후에 시동생 자산군이 성종으로 즉위하면서 승평부부인으로 승격되었다. 월산대군과의 사이에서 소생은 없고, 월산대군은 후실 사이에서만 두 아들을 두었다.결혼 후, 박씨는 '''상원군부인'''(상원군부인|祥原郡夫人한국어)의 작위를 받았다.[4] 이후 시동생인 성종이 왕위에 오르자, '''승평부부인'''(승평부부인|昇平府夫人한국어)이 되었다.
2. 4. 연산군과의 관계 및 스캔들
승평부부인 박씨는 미모가 출중한 여인으로, 그녀를 둘러싼 추문도 많았다.[12] 연산군은 어릴 때 잔병치레가 잦아 백부인 월산군의 집 덕수궁에 자주 피접을 나갔고, 박씨는 연산군을 손수 길러주어 그에게 어머니 같은 존재였다.[12] 연산군은 왕위에 오르자 자신의 세자도 박씨에게 기르게 하고, 세자가 커서 궁으로 돌아올 때 박씨도 같이 들어오게 했다.[12]연산군은 박씨에게 많은 물품을 하사하고 인수대비에게 효도를 했다는 이유로 정려문도 지어 주었다.[13] 그는 박씨에게 처소를 내어주고 자주 방문했는데, 이 때문에 연산군이 박씨와 간통을 했다는 추문이 퍼지기도 하였다.[12] 또한 연산군은 승평부부인의 당호 앞에 '大' 자를 넣어 승평부대부인이라는 도장을 만들게 하였다.[13]
다른 소문으로는 연산군이 박씨와 자다가 꿈에 월산대군이 나타난 것을 보고 놀라 월산대군의 묘에 긴 창을 꽂게 했다는 이야기도 있었다.[12] 이처럼 박씨가 시조카인 연산군에 의해 겁탈당하였다는 소문은 당시에 파다했다.
박씨는 중종반정이 일어나기 전에 죽었는데, 독약을 먹고 자결하였다는 설도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사람들이 이를 두고 연산군의 아이를 잉태하여 자결했다고 말한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야사에는 연산군에게 성병을 옮아 자결하였다고도 한다.[14] 그러나 당시 박씨는 쉰을 넘긴 나이였으므로 아이를 가져 자결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12][15] 박원종이 자신의 반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누이와 연산군 간의 사건을 조작하여 소문을 퍼뜨렸다거나, 불심이 깊었던 박씨가 당시 유교 사회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었다는 의견도 있다.[12]
2. 5. 죽음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사람들이 승평부부인 박씨가 연산군의 아이를 잉태하여 독약을 먹고 자결했다고 말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야사에서는 연산군에게 성병을 옮아 자결하였다고도 한다.[14] 그러나 당시 박씨는 쉰을 넘긴 나이였으므로 아이를 가져 자결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12][15]중종반정의 주모자였던 박원종이 자신의 반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누이와 연산군 간의 사건을 조작하여 소문을 퍼뜨렸다거나, 불심이 깊었던 박씨가 당시 유교 사회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었다는 의견도 있다.[12]
연산군 12년(1506년) 7월 20일, 승평부부인은 경운궁에서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그녀는 남편 월산대군의 묘소에 합장되었다.[3]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박중선 | 1435년 | 1481년 |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
어머니 | 양천 허씨 | 1430년 | ? | |
언니 | 순천 박씨 | 1445년 | ? | |
언니 | 순천 박씨 | 1450년 | 1500년 | |
여동생 | 순천 박씨 | 1459년 | ? | |
남동생 | 박원종 | 1467년 | 1510년 | 의정부영의정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
여동생 | 순천 박씨 | 1469년 | ? | |
여동생 | 순천부부인 순천 박씨 | 1470년 | 1498년 | 장경왕후의 어머니 |
시아버지 | 덕종 | 1438년 | 1457년 | 조선 추존왕 (의경세자) |
시어머니 | 소혜왕후 한씨 | 1437년 | 1504년 | 인수대비 |
남편 | 월산대군 | 1454년 1월 5일 | 1488년 1월 22일 | |
시동생 | 성종 | - | - | 조선 제9대 왕 |
동서 | 공혜왕후 한씨 | - | - | |
동서 | 제헌왕후 윤씨 | - | - | 연산군의 어머니 |
동서 | 정현왕후 윤씨 | - | - | 중종의 어머니 |
시조카 | 연산군 | - | - | 조선 제10대 임금 |
제부 | 윤여필 | - | - |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 |
조카 | 윤임 | - | - | |
조카 | 장경왕후 윤씨 | - | - | 조선 제12대 왕 인종의 어머니 |
의붓아들 | 덕풍군 이이 | 1485년 8월 20일 | 1506년 3월 26일 | |
며느리 | 파평현부인 파평 윤씨 | 1485년 | 1536년 1월 16일 | 장경왕후의 언니 |
손자 | 파림군 이주 | 1500년 | 1541년 | |
손자 | 계림군 이유 | 1503년 | 1545년 | |
손자 | - | 1504년 | ? | |
손자 | 이리 | 1506년 12월 5일 | 1545년 7월 7일 |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바람처럼 살고싶다. 월산대군 묘(1488)
https://goyangcity.t[...]
2021-08-19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5-09
[3]
웹사이트
18 월산대군 부인 박씨
https://www.beopbo.c[...]
2021-08-19
[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5]
서적
숨겨진 조선의 연애 비화 48가지
올댓북
2008
[6]
웹사이트
연산군일기(1122)
http://www.cctoday.c[...]
2021-08-19
[7]
웹사이트
'[왕실 스캔들] 승평부부인 박씨, 의문을 남기고 죽다'
https://www.nongmin.[...]
2021-08-19
[8]
서적
조선 선비 살해사건2
다산초당
2006
[9]
서적
인문학 콘서트3
이숲
2011
[10]
문서
세조실록 12년(1466) 8월 19일 3번째 기사
[11]
문서
세조의 어머니인 소헌왕후와 박씨의 할머니(박중선의 어머니)는 심온의 딸로 자매간이었다
[12]
서적
숨겨진 조선의 연애 비화 48가지
올댓북
2008
[13]
서적
조선 선비 살해사건2
다산초당
2006
[14]
서적
연산군일기
하늘과 땅
2006
[15]
서적
인문학 콘서트3
이숲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