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용하는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자 역사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및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독도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울산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사상사, 한국사회사, 역사사회학이며, 독도 문제 연구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창 신씨 - 신성범
신성범은 KBS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19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현재 제22대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 거창 신씨 - 신후담
신후담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성리학자로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서학을 비판적으로 연구했고, 천주교 교리를 비판한 《서학변》을 저술했으며,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며 남인 공서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조선 후기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 강준만
강준만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한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 이정옥 (사회학자)
이정옥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사회과학연구소장,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하고 국방부 양성평등위원회 민간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여성가족부 장관과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조직위원회 공동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교육인 - 김상곤
김상곤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신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교육인 - 이종성 (1924년)
이종성은 충남방적을 설립하여 국내 최대 섬유류 제조업체로 성장시키고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과 청운여고, 혜전대학, 청운대학교 등의 설립을 통해 교육 사업에도 헌신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신용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신용하 |
한자 | 愼鏞廈 |
가타카나 | 신 용하 |
로마자 표기 | Sin Yong-ha |
인물 정보 | |
이름 | 신용하 |
출생일 | 1937년 12월 14일 |
국적 | 대한민국 |
2. 생애
1937년 제주도에서 태어났다.[3] 젊은 시절 어머니를 여의고 고뇌하던 중, 김구의 저서 '백범일지'를 읽고 민족 문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3]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진학하여 민족 문제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 하버드 대학교 유학 시절에도 민족주의를 연구했다.[3]
2018년에는 '고조선 문명의 사회사'를 출판하여 "고조선이야말로 동양 문명의 기원이며, 황하 문명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은 세계 최초로 단립종 쌀과 콩 재배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등, 민족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5]
한국에서는 익숙한 인물로 보도되고 있다.[3]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1961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196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9] 1968년부터 1970년까지 미국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였다.[9] 197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사회사상사, 한국사회사, 역사사회학이다.[9]1965년부터 1974년까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전임강사 및 조교수를 지냈고, 1967년부터 1년간 미국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9]
연도 | 내용 |
---|---|
1961년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1] |
1964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취득 |
1965년-1974년 |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전임강사·조교수 |
1967년-1968년 | 미국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유학 |
1968년-1970년 |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 객원 연구원 |
1975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박사 취득 |
2. 2. 서울대학교 교수 시절 및 학회 활동
1965년부터 1974년까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전임강사·조교수를 지냈고, 1967년부터 1년간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9] 1975년 서울대 사회학과 조교수, 1976년 서울대 사회학과 부교수를 거쳐 1980년부터 1996년까지 한국사회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1981년부터 2003년까지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를 지냈다.[9] 1986년부터 1989년까지 독립기념관 부설 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1994년 한국사회학회 회장, 1998년부터 2000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였다.학문에만 머무르지 않고 독도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독도학회를 설립하고 회장에 취임했으며, 수많은 독도 관련 단체의 연합을 추진하여 독도연구보전협회를 설립했다. 이러한 단체들을 통해 학생들의 민족 교육, 독도 교육도 추진했다.[3]
이 시기 "학문에 머무르면, 그 지식은 죽은 것이다"라는 발언을 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에는 혁명적 운동에 뛰어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 일본의 침략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독립기념관 부설 독립운동사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3] 또한, "일본이 다케시마(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영토적 야심에서 비롯된 것이며, 즉 일본에는 아직도 침략의 의사가 있다"는 주장을 자주 펼쳤다.
2008년에는 일본 측 주장을 반영한 교과서 개정에 대해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4]
서울대학교 재직 중에 저서 45권, 논문 249편을 발표했다. 퇴관 후 5년(2008년 3월 시점)까지 추가로 저서 5권, 논문 21편을 발표했다.[4] 일본의 침략 관련, 독도의 한국 영유 정당성을 주장하는 저서는 30권을 넘어 한국의 논리적 기반이 되고 있다.
기간 | 직함 |
---|---|
1965년-1974년 |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전임강사·조교수 |
1967년-1968년 | 미국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유학 |
1968년-1970년 |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 객원 연구원 |
1975년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
1976년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
1980년-1996년 |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
1981년-2003년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1986년-1989년 | 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
1994년 | 한국사회학회 회장 |
1996년 | 독도학회 회장 |
1997년 | 독도연구보전협회 회장 |
1998년-2000년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
2. 3. 사회 참여 및 시민 운동
신용하는 학자로서의 연구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운동과 시민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한국사 연구 및 정리에 기여했다.[9]특히 독도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1996년 독도학회를 설립하여 회장을 맡았고,[9] 1997년에는 독도연구보전협회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활동하며 독도 수호 운동을 이끌었다.[9] 2000년부터 2003년까지는 독도수호전국연대 대표의장을 맡아 독도 수호 운동의 전국적 확산에 기여했다.[9] 그는 "일본이 다케시마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영토적 야심에서 비롯된 것이며, 즉 일본에는 아직도 침략의 의사가 있다"고 주장하며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비판했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를 역임하며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활동을 펼쳤고,[9] 2001년부터 2003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을 맡아 대학 사회의 민주화와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9] 2002년 6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아시아.태평양지역 한국학 국제학술회의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학의 국제적 교류와 발전에 힘썼다.[9]
2000년 4월부터 현재까지 백범 김구선생 기념사업협회 부회장을 맡아 김구 선생의 정신을 기리고 계승하는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9]
2. 4. 정년 퇴임 이후
2003년 2월 정년퇴임 이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되었고, 2003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독립유공자 서훈공적 심사위원회 위원장, 2006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한성학원 이사장, 2007년 2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2011년 1월부터 울산대학교 석좌교수로 있으며, 2012년 7월부터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9]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1937년 제주도에서 태어나,[3] 젊은 시절 김구의 저서 '백범일지'를 읽고 민족 문제 연구를 시작했다.[3]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민족주의를 연구했다.[3]
학문뿐만 아니라 독도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여, 독도학회를 설립하고 독도연구보전협회 설립을 주도하며 학생들의 민족 교육과 독도 교육을 추진했다.[3] 일본의 침략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독립기념관 부설 독립운동사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했다.[3] "일본이 다케시마(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영토적 야심"이라며 일본의 침략 의사를 경계했다.
2008년에는 일본 측 주장을 반영한 교과서 개정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했다.[4] 서울대학교 재직 중 저서 45권, 논문 249편을 발표했고, 퇴임 후에도 연구를 지속하여 독도(다케시마)의 한국 영유 정당성을 주장하는 저서를 30권 이상 출간하여 한국의 논리적 기반을 다졌다.[4]
독도 문제 외에도 고조선 문명이 동양 문명의 기원이며 황하 문명에도 영향을 미쳤고, 조선이 세계 최초로 단립종 쌀과 콩 재배에 성공했다는 주장을 담은 '고조선 문명의 사회사'를 출판했다.[5]
4. 수상
수상 연도 | 수상 내역 |
---|---|
1976년 | 월봉저작상(제2회,《독립협회연구》) |
1982년 | 3·1문화상 |
1987년 | 국민훈장 동백장 |
1994년 | 서울시문화상 |
1995년 | 국민훈장모란장 |
1997년 |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 |
1998년 |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사회과학) |
1999년 | 운경상 사회문화 |
2000년 | 만해상 만해사상실천선양회 학술상 |
2002년 | 4.19 문화상 |
2006년 | 보훈문화상(학술부문) |
2007년 | 독립기념관 학술상[9] |
5. 저서
- 1976년 《독립협회연구》, 일조각
- 1977년 《조선왕조시대 인구추정에 관한 일시론》, 동화문화 (공저)
- 1979년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 지식산업사
- 1980년 《한국근대사와 사회변동》, 문학과지성사
- 1982년 《朴殷植|박은식중국어의 사회사상연구》, 서울대출판부
- 1984년 《申采浩|신채호중국어의 사회사상연구》, 한길사
- 1985년 《한국민족독립운동사연구》, 을유문화사
- 1987년 《한국근대사회사상사연구》, 일지사
- 1987년 《한국근대사회사연구》, 일지사
- 1988년 《한국근대민족운동사연구》, 일조각
- 1990년 《한국현대사와 민족문제》, 문학과지성사
- 1993년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연구 등》, 일조각
- 1994년 《한국 근대의 선구자와 민족운동》, 집문당
- 1995년 《21세기 한국과 최선진국 발전전략》, 지식산업사
- 1995년 《한국근대사회의 구조와 변동》, 지식산업사
- 1994년 《세계체제 변동과 현대한국》, 집문당
- 1996년 《독도, 보배로운 한국 영토》, 지식산업사
- 1996년 《독도의 민족영토사 연구 지식산업사 조선후기의 실학파의 사회사상연구》, 지식산업사
- 1998년 《일제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문학과 지성사
- 1999년 《독도영유권 자료의 탐구》 (I.II), 독도 연구보전 협회
- 2000년 《초기개화사상과 갑신정변 연구》, 지식산업사
- 2000년 《한국 근대사회변동사 강의》, 지식산업사
- 2000년 《Modern Korean History and Nationalism》, Jimoondang Publishing Company영어
- 2001년 《한국 근대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문학과지성사
- 2001년 《갑오개혁과 독립협회운동의 사회사》,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1년 《3·1 운동과 독립운동의 사회사》,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1년 《한국민족의 형성과 민족사회학》, 지식산업사
- 2001년 《독도영유권에 대한 일본주장 비판》,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1년 《일제강점기 한국민족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2년 《일제강점기 한국민족사(중)》,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3년 《한국과 일본의 독도영유권 논쟁》, 한양대학교출판부
- 2003년 《의병과 독립군의 무장독립운동》, 지식산업사
- 2003년 《Essays in Korean Social History》, Jisik-sanup영어
- 2003년 《백범중국어 金九|김구중국어의 사상과 독립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4년 《한말 애국계몽운동의 사회사》, 나남출판
- 2004년 《21세기 한국사회와 공동체문화》, 지식산업사
- 2004년 《한국근대지성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5년 《동학농민혁명운동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 2005년 《한국 원민족 형성과 역사적 전통》, 나남출판
- 2005년 《신용하 교수의 독도이야기》, 살림출판사
- 2006년 《한국 항일독립운동사연구》, 경인문화사
- 2006년 《일제 식민지정책과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문학과지성사
- 2006년 《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 경인문화사
- 2006년 《신판 독립협회 연구(상, 하)》, 일조각
- 2007년 《신간회의 민족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2008년 《한국근현대사회와 국제환경》, 나남출판
- 2010년 《고조선 국가형성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 2010년 《한국개화사상과 개화운동의 지성사》
- 2011년 《개정증보, 독도영유권에 대한 일본주장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12년 《독도영유의 진실이해: 16포인트와 150문답》,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2012년 《사회학의 성립과 역사사회학: 오귀스트 꽁트의 사회학 창설》, 지식산업사
- 1997년 《사적 해명 독도(竹島)》, 번역: 한성, 출판: 인터아마추어사[6]
- 2007년 《독도 학회장 신용하 교수(전 서울대학교 교수)의 독도 문제 100문 100답: 독도 문제의 기초 자료 제시》, 번역: 조형균, 출판: 홍익재[7]
참조
[1]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신용하
http://sociology.snu[...]
2018-08-19
[2]
웹사이트
(150)거창 신씨(居昌愼氏)-43,890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3]
뉴스
"[신용하가 걸어온 길] 민족과 함께한 ‘젊은이’"
http://www.snunews.c[...]
ソウル大学 大学新聞
2005-03-21
[4]
뉴스
シン・ヨンハ教授「日本新植民地主義の歴史観流入」韓国教科書改訂を批判
http://news.khan.co.[...]
京郷新聞
2008-03-26
[5]
뉴스
ソウル大名誉教授「古朝鮮こそ東洋文明の起源、黄河文明にも影響与えた」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8-08-12
[6]
도서
Webcat Plus史的解明独島(竹島)
http://webcatplus.ni[...]
国立情報学研究所
[7]
도서
Webcat Plus独島学会長慎鏞廈の独島問題100問100答
http://webcatplus.ni[...]
国立情報学研究所
[8]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9]
웹사이트
신용하 교수 소개
https://sociology.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