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상익은 대한제국 고종과 순종 시기에 활동한 관료이다. 1901년 내부참서관에 임명된 이후, 내부 지방국장, 법부협판, 비서감승, 전라남도 관찰사, 내부협판 등을 역임했다. 1910년에는 정2품 자헌대부에 올랐다. 그의 가계는 친가와 양가 모두 명문가 출신이다.
심상익은 조선 시대의 양반 가문 출신으로, 친가와 양가 모두 고위 관직을 역임한 명문가였다. 그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2. 가계
구분 14대조 13대조 12대조 11대조 10대조 9대조 8대조 7대조 6대조 5대조 고조부 증조부 조부 아버지 본인 친계 심연원 심강 심의겸 심엄 심정세 심진 심약사 심윤 심방현 심환 심술지 심능현 심의식 심건택 심상익 양계 심달원 심자 심우정 심집 심동귀 심유 심한주 심봉휘 심성희 심공헌 심염조 심응규 심정의 심건택 심상익
심상익은 전주 이씨(종정원경 이재하의 딸)와 혼인하였다. 형제자매로는 심상유(안산군수, 심이택에게 양자로 감), 심상각(비서승, 숙부 심위택에게 양자로 감), 심상연(대한제국 육군참령), 대구 서씨 (군수 서상연에게 출가), 전주 이씨 (일제 후작 청풍군 이해승에게 출가) 등이 있었다.
2. 1. 친계
구분 | 14대조 | 13대조 | 12대조 | 11대조 | 10대조 | 9대조 | 8대조 | 7대조 | 6대조 | 5대조 | 고조부 | 증조부 | 조부 | 아버지 | 본인 |
---|---|---|---|---|---|---|---|---|---|---|---|---|---|---|---|
친계 | 심연원 | 심강 | 심의겸 | 심엄 | 심정세 | 심진 | 심약사 | 심윤 | 심방현 | 심환 | 심술지 | 심능현 | 심의식 | 심건택 | 심상익 |
양계 | 심달원 | 심자 | 심우정 | 심집 | 심동귀 | 심유 | 심한주 | 심봉휘 | 심성희 | 심공헌 | 심염조 | 심응규 | 심정의 | 심건택 | 심상익 |
- 부인: 전주 이씨 (종정원경 이재하의 딸)
- 동생: 심상유(안산군수) - 심이택(대한제국 공작 청녕공 영의정 · 의정대신 심순택의 동생)에게 양자로 감
- 동생: 심상각(비서승) - 숙부 심위택에게 양자로 감
- 동생: 심상연 (대한제국 육군참령(대한민국의 육군소령))
- 여동생: 대구 서씨 (군수 서상연에게 출가)
- 여동생: 전주 이씨 (일제 후작 청풍군 이해승(항일계몽소설가 심훈의 처남)에게 출가)
2. 2. 양계
14대조 | 심달원 (기묘명현 · 승문원 판교 · 증 이조판서) |
---|---|
13대조 | 심자 (선공감 첨정 · 증 좌찬성) |
12대조 | 심우정 (여주목사 · 증 이조판서) |
11대조 | 심집 (정사공신 좌의정 청원부원군, 심기원의 당숙, 형조판서 · 예조판서) |
10대조 | 심동귀 (홍문관 응교 · 증 대사헌) |
9대조 | 심유 (홍문관 부제학 · 대사성) |
8대조 | 심한주 (고양군수 · 증 이조참의) |
7대조 | 심봉휘 (능주목사 · 증 이조참판) |
6대조 | 심성희 (이조참판 · 증 이조판서) |
5대조 | 심공헌 (증 좌찬성) |
고조부 | 심염조 (규장각 직제학 · 황해도 관찰사 · 증 영의정) |
증조부 | 심응규 (서흥부사 · 증 규장각 직제학, 영의정 심상규의 동생) |
조부 | 심정의 (승지 · 증 규장각 제학, 형조판서 심의면의 동생) |
아버지 | 심건택 (충청남도 관찰사 · 지돈녕사사) |
형 | 심상기 |
본인 | 심상익 (전라남도 관찰사 · 내부협판) |
부인 | 전주 이씨 (종정원경 이재하의 딸) |
동생 | 심상유 (안산군수, 이조판서 · 판돈녕부사 · 내무독판 심이택(대한제국 공작 청녕공 영의정 · 의정대신 심순택의 동생)에게 양자로 감) |
동생 | 심상각 (비서승, 숙부 심위택에게 양자로 감) |
동생 | 심상연 (대한제국 육군참령, 대한민국의 육군소령) |
여동생 | 대구 서씨 군수 서상연에게 출가 |
여동생 | 전주 이씨 일제 후작 청풍군 이해승(항일계몽소설가 심훈의 처남)에게 출가 |
심상익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다. 1901년 내부참서관, 중추원 의관을 역임하고 칙임관 4등에 올랐다. 1902년 내부참서관, 내부 지방국장을 역임하고 주임관 1등에 올랐으며, 기로연에서 영친왕부 찬위에 임명되었다.[1] 1903년 중추원 의관, 동지돈녕원사를 역임하고 칙임관 4등에 올랐다. 1904년 법부협판을 역임하고 칙임관 3등에 올랐다.[2] 1905년 비서감승을 역임하고 칙임관 3등에 올랐다. 1906년 시종원 부경, 봉상사 제조, 전라남도 관찰사를 역임하고 칙임관 3등에 올랐다.[3] 1907년 내부협판, 중추원 찬의를 역임하고 칙임관 2등에 올랐다.[4] 1910년 정2품 자헌대부에 올랐다.[5]
3. 생애
3. 1. 대한제국 고종 시기
1901년(고종 38년) 내부참서관(內部參書官),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에 임명되고 칙임관 4등에 올랐다.
1902년 내부참서관, 내부 지방국장(內部地方局長)에 임명되고 주임관 1등에 올랐다. 같은 해 기로연(耆老宴)에서 영친왕부 찬위(英親王府贊尉)에 임명되었다.[1]
1903년 중추원 의관, 동지돈녕원사(同知敦寧院事)에 임명되고 칙임관 4등에 올랐다.
1904년 법부협판(法部協辦)에 임명되고 칙임관 3등에 올랐다.[2]
1905년 비서감승(秘書監丞)에 임명되고 칙임관 3등에 올랐다.
1906년 시종원 부경(侍從院副卿), 봉상사 제조(奉常司提調), 전라남도 관찰사(全羅南道觀察使)에 임명되고 칙임관 3등에 올랐다.[3]
1907년 내부협판(內部協辦), 중추원 찬의(中樞院贊議)에 임명되고 칙임관 2등에 올랐다.[4]
3. 2. 대한제국 순종 시기
1910년 순종 3년에 정2품 자헌대부에 올랐다.[5]
참조
[1]
실록
고종실록 42권, 고종 39년 5월 6일 양력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실록
고종실록 44권, 고종 41년 4월 2일 양력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실록
고종실록 47권, 고종 43년 8월 2일 양력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실록
고종실록 48권, 고종 44년 5월 30일 양력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실록
순종실록 4권, 순종 3년 8월 27일 양력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