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순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순택은 심의겸의 11대 손으로,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 시기의 문신이다. 1850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 1884년 우의정에 임명되었고, 갑신정변 당시 청나라 군대 출동을 요청했다. 민씨 정권 부활 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으며, 고종의 섭정을 맡았다. 대한제국 수립에 기여하여 초대 의정대신을 역임했고, 을사조약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1906년 사망했다. 사후 청녕공에 봉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의정대신 - 조병세 (1827년)
조병세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을사늑약에 저항하다 자결하였으며 그의 애국 행위는 건국훈장으로 인정받았으나, 일부 기록에 대한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 대한제국의 의정대신 - 김병시
김병시는 1855년 문과 급제 후 이조참의, 도승지, 총융사 등을 역임하고 충청도관찰사, 이조참판, 홍문관제학 등을 지낸 조선 말기 문신으로,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을 거치며 사대당 핵심 인물로 활동, 외무아문독판으로 수호통상조약을 체결, 동학농민운동 당시 청일 양군 개입을 반대, 영의정, 군국기무처 독판, 중추원 의장을 역임했으며 아관파천 이후 내각총리대신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개국 반대와 단발령 반대 등 보수적인 행보를 보였다. - 태극장 수훈자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태극장 수훈자 - 와카쓰키 레이지로
와카쓰키 레이지로는 재정 전문가로서 명성을 쌓고 재무대신과 내무대신을 거쳐 두 차례 일본 총리를 지낸 정치가로, 남자 보통선거법 제정과 치안유지법 제정에 동시에 관여했으며 런던 해군 군축 회의 수석 전권 대표로 활동했고 만주사변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종전을 위해 노력하고 평화주의적 입장을 견지했다.
심순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심순택 |
한자 | 沈舜澤 |
로마자 표기 | Sim Suntaek |
자 | 치화(穉華) |
신상 정보 | |
출생 | 1824년 |
출생지 | 청송, 경상도, 조선 |
사망 | 1906년 (향년 82세) |
사망지 | 한성부, 대한제국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심의린 |
어머니 | 의령 남씨 |
배우자 | 한산 이씨, 능성 구씨 |
형제 | 심훈택 (형), 심이택 (동생) |
자녀 | 심상진 (양자), 3녀 |
관직 | |
영의정 | 역임 |
총리대신 | 역임 |
의정대신 | 역임 |
조선의 영의정 | 1884년 11월 30일 ~ 1885년 1월 1일 |
주요 경력 | |
좌의정 | 역임 |
우의정 | 역임 |
총리대신 | 역임 |
의정부 영의정 | 역임 |
정치 성향 | |
정치 성향 | 온건개화파 |
작위 및 칭호 | |
시호 | 문충(文忠) |
작위 | 청녕공 (靑寧公, 고종이 1906년에 내림) |
훈장 | |
훈장 | 대한제국 건국 공신 훈1등 태극장 (1901년) |
훈장 | 대훈위 이화대수장 (1902년) |
2. 생애
심의겸의 11대 손이다. 1850년 문과에 급제하며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고, 1874년에는 충청도 관찰사를 지냈다. 이후 여러 판서직과 의정부의 요직을 거쳤다. 1884년 우의정에 임명되었고, 갑신정변 당시 청나라 군대 출동을 요청하였다. 정변 이후 영의정에 올라 고종의 섭정을 맡기도 하였다. 1887년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었다. 1905년 을사 조약 체결에 반대하였고, 이듬해 사망하였다.
2. 1. 관직 생활
심의겸의 11대 손으로, 1850년(철종 1년) 증광문과에 급제하며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예문관, 홍문관 등 청요직을 거치고 이조참의, 참판, 각 조의 판서, 의정부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아래는 심순택의 주요 관직 경력이다.
연도 | 관직 및 활동 |
---|---|
1850년 | 증광문과 급제. 같은 해 종2품으로 승진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는 이례적인 경우이다. |
1852년 | 예문관 검열(한림) |
1853년 | 옥당(홍문관 부수찬 ~ 직제학) |
1861년 | 홍문관 부제학(옥당장), 이조참의 |
1862년 | 예방승지(우승지) |
1867년 | 이조참판 |
1874년 | 충청도 관찰사 |
1876년 | 형조판서, 정2품 승진 |
1878년 | 예조판서 |
1879년 | 세자시강원 좌빈객, 예조판서로서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 요시타다와 강화도 조약에 의거하여 함경도 원산진 개항 의결, 세자시강원 우빈객 |
1880년 | 이조판서, 한성부 판윤 |
1881년 | 경리통리기무아문사 |
1882년 | 종묘제조, 판의금부사, 도봉소 당상. 임오군란 발생 시 책임 문제로 파직되었으나 곧 판의금부사로 복직. 이후 여러 차례 판의금부사를 지내고 의정부 좌참찬 역임, 종1품 승진 |
1883년 | 예문관 제학, 홍문관 제학 (홍문관 예문관 양관 제학) |
1884년 | 판돈녕부사, 우의정 겸 총리군국사무. 갑신정변 발생 시 청나라 군대의 출동을 요청. 정변 진압 후 보수사대당(온건개화파)의 영수로서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어 고종의 섭정을 맡음. |
1885년 | 영의정 겸 내의원 도제조, 영의정 겸 총리내무부사(총리대신), 영의정 겸 총리대신, 영돈녕부사, 영의정 겸 가상존호도감 도제조 |
1886년 | 영의정 겸 중서 총리, 판중추부사, 영의정 겸 상호도감 도제조 |
1887년 | 의정부 의정대신 임명 |
1888년 | 영의정 겸 대전(大殿)의 옥책문 제술관, 영의정 겸 자미당(紫薇堂)의 상량문 제술관 |
1889년 | 영의정 겸 세자시강원 사 (왕세자 순종의 사부), 영의정 겸 영조대왕(英祖大王)의 옥책문 제술관 |
1890년 | 영의정 겸 국장도감(國葬都監) 애책문 제술관 |
1891년 | 영의정 겸 친군영 도제조(親軍營都提調)로서, 병조판서와 통위사(統衛使)를 특별히 겸직 |
1892년 | 선조대왕(宣祖大王)의 옥책문 제술관, 부묘도감(祔廟都監) 도제조 |
1894년 | 갑오개혁 단행 및 친일 내각 구성으로 영의정에서 물러나 영중추원사로 전임 |
1895년 | 궁내부 특진관 |
1897년 | 궁내부 특진관 겸 태의원 도제조. 의정부 의정대신 임명. 대한제국 국호, 광무 연호, 황제 칭호 사용을 주청하여 채택됨. 의정대신으로서 원구단 건립 및 고종의 황제 즉위식 총괄. 대한제국 초대 의정대신 역임. 이후 의정대신 겸 장생전 도제조(長生殿都提調)를 맡다가 스스로 사직하여 궁내부 특진관이 됨. |
1898년 | 궁내부 특진관 (태의원 도제조, 산릉석의중수도감 도제조 겸임). 다시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었으나, 공홍식(孔洪植) 사건으로 윤치호의 강한 비판을 받고 스스로 사직하여 다시 궁내부 특진관이 됨. |
1899년 | 대왕의 옥책문 제술관, 홍릉석의중수도감 도제조, 황제의 옥책문 제술관 |
1900년 | 궁내부 특진관 겸 태의원 도제조, 영희전 상량문 제술관, 천릉지문 제술관. 명성황후의 홍릉 천장 총호사 임명. 이후 창덕궁 선원전 제1실 상량문 제술관, 영정모사도감과 진전중건도감 도제조, 이모중건도감 도제조, 영돈녕원사 역임. |
1901년 | 대한제국 건국 1등 공신 책록, 훈1등 태극장 수여. 목청전 상량문 제술관, 총호사 재임명. 다시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고 영돈녕원사가 됨. |
1902년 | 대훈위 책록, 이화대수장 수여. 다시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어 기로소에 들어가고 궤장을 하사받음. 이후 영돈녕원사, 총호사 역임. |
1904년 | 애책문 제술관, 영돈녕원사 겸 태의원 도제조 |
1905년 | 중화전(中和殿) 상량문 제술관. 영돈녕사사(領敦寧司事) 겸 태의원 도제조 재직 중 을사조약 체결. |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를 강제한 을사 5적을 처벌하라는 상소를 올렸다. 1906년 광무황제는 심순택을 나라의 큰 공로가 있는 원로로서 특별히 공작(公爵)에 봉하고 청녕공(靑寧公)이라는 작위를 내렸다. 그러나 공작에 봉작된 지 5일 후에 별세하였고, '문충(文忠)'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2. 2. 갑신정변과 정치적 부상
1884년 8월 우의정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0월,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에 대해 청나라 군대의 출동을 요청했다. 정변이 실패하고 민씨 정권이 복귀하자,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며, 고종의 섭정을 맡았다. 1887년에는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었다.2. 3. 대한제국 수립과 활동
1897년 궁내부 특진관 겸 태의원 도제조로 있던 중,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었다. 그는 '대한제국' 국호, '광무' 연호, '황제' 칭호 사용을 고종에게 적극 건의하여 관철시켰다. 고종실록에 따르면, 심순택의 건의로 연호는 '광무'로 정해졌고, 여러 차례의 정청(庭請) 끝에 고종은 황제 칭호 사용을 수락했다. 또한 삼한의 역사성을 근거로 국호를 '대한(大韓)'으로 정할 것을 제안하여 받아들여졌다.의정대신으로서 심순택은 원구단 건립과 고종의 황제 즉위식을 총괄하였다. 1897년 10월 12일, 원구단에서 거행된 즉위식에서 그는 백관을 거느리고 절차를 주관하며 대한제국의 출범을 이끌었다. 고종의 황제 즉위와 함께 심순택은 '''대한제국 초대 의정대신'''이 되었다. 이후 장생전 도제조(長生殿都提調)를 겸하다가 사직하고 궁내부 특진관으로 물러났다.
1898년 다시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었으나, 공홍식(孔洪植) 사건으로 윤치호의 강한 비판을 받고 스스로 물러나 궁내부 특진관이 되었다. 이후에도 태의원 도제조, 산릉석의중수도감 도제조 등 여러 관직을 겸임하며 활동했다.
1900년에는 명성황후의 홍릉 천장(遷葬, 무덤을 옮김) 총호사(總護使)에 임명되었고, 영돈녕원사 등의 직책을 맡았다.
1901년 대한제국 건국에 기여한 공로로 1등 공신에 책록되고 훈1등 태극장을 받았다. 그해 다시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고 영돈녕원사가 되었다.
1902년 대훈위(大勳位)에 오르고 이화대수장을 수여받았다. 또다시 의정부 의정대신에 임명되어 기로소에 들어가고 궤장을 하사받는 영예를 안았다.
1905년 영돈녕사사(領敦寧司事) 겸 태의원 도제조로 있을 때, 일제가 강압적으로 을사조약을 체결하자, 이에 강력히 반대하며 조약 체결에 가담한 을사 5적을 처벌하라는 상소를 올렸다.
1906년 광무황제는 심순택을 '나라의 큰 공로가 있는 원로'라 칭하며 특별히 공작(公爵) 작위를 내려 청녕공(靑寧公)에 봉했다. 그러나 공작에 봉해진 지 5일 만에 세상을 떠났으며, 사후 '문충(文忠)'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2. 4. 을사조약 반대와 죽음
1905년 영돈녕사사(領敦寧司事) 겸 태의원 도제조로 재직하던 중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에 반대하여 조약 체결에 가담한 을사 5적을 처벌할 것을 고종 황제에게 상소하였다.1906년 2월 20일, 광무황제는 "시귀(蓍龜)의 원로로서 나라에 큰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는 응당 특별한 은전을 베풀어야 한다"며 심순택을 특별히 공작에 봉하는 조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궁내부에서는 그를 청녕공(靑寧公)에 봉하였다. 그러나 공작에 봉해진 지 불과 5일 후인 2월 25일에 세상을 떠났다. 고종은 그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며 "벼슬이 정승에 오른 지 10여 년 동안 충성과 지성을 다하여 짐(朕)을 도와 정사를 다스려 보익(補益)한 것이 실로 많았다"고 애도하였다. 또한 예장(禮葬)을 명하고, 시장(諡狀)을 기다리지 않고 장례 전에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내리도록 하였다.
3. 가계
- 증조부 : 심풍지(沈豊之) - 예조판서, 증 좌찬성, 시호는 정간(貞簡)
- 증조모 : 증 정경부인 기계 유씨 - 첨정 유언수(兪彦銖)의 딸, 영의정 유척기(兪拓基)의 손녀
- * 조부 : 심능악(沈能岳) - 이조판서, 좌참찬, 판의금부사, 판돈녕부사
- * 조모 : 정경부인 평산 신씨
- ** 부 : 심의린(沈宜麟) - 증 영의정
- ** 모 : 증 정경부인 의령 남씨
본인 : 심순택
부인(초취) : 정경부인 한산 이씨 - 자녀 없음.
부인(재취) : 공작부인 능성 구씨
* 양자: 심상진(沈相璡) - 승지, 대사성. 생부는 동생 심이택(沈履澤)이다. 따라서 심순택은 원래 상진의 재종숙이었다.
* 며느리: 청풍 김씨 - 예조판서 김규홍(金奎弘)의 딸, 좌찬성 김학성(金學性)의 손녀.
** 손자: 심영섭(沈永燮)
* 장녀: 심씨(夫人 沈氏) - 안동 김씨 승지 김병식(金炳軾)에게 출가.
* 차녀: 심씨(夫人 沈氏) - 전주 이씨 비서승 이중철(李重轍)에게 출가.
* 삼녀: 심씨(夫人 沈氏) - 한산 이씨 군수 이상규(李尙珪)에게 출가.
형: 심훈택(沈勛澤) - 평양서윤, 증 이조참판
형수: 증 정부인 한산 이씨
* 조카 : 심상찬(沈相瓚) - 규장각 직각, 대사성, 이조참의, 봉상시 제조, 중추원 1등의관
동생: 심이택(沈履澤) - 이조판서, 판돈녕부사, 내무독판. 형조판서 심의면(沈宜冕, 심능악의 동생 심능달의 아들)에게 입양됨.
제수: 정경부인 양주 조씨
여동생: 심씨(夫人 沈氏) - 전주 이씨 군수 이준하(李遵夏, 판서 이인솔(李寅率)의 아들)에게 출가.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http://people.aks.ac[...]
2011-03-27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3-08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3-08
[4]
웹인용
고종실록 47권, 고종 43년 2월 20일 양력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019-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