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응은 남원부사를 지낸 심치의 아들로, 1460년 무과에 장원 급제하여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성종 때 회령부사를 거쳐 풍산군에 봉해졌으며, 1484년 봉조하가 되었다. 아들 심정이 정국공신에 책록됨에 따라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양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33년 출생 - 마르실리오 피치노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1433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나 코시모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플라톤 아카데미를 이끌며 플라톤 철학을 연구하고, 플라톤 전집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서양에 플라톤 철학을 알리는 데 기여한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자이다. - 1433년 출생 - 샤를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샤를 1세 드 부르고뉴 공작은 '용담공'으로도 불리며 1467년부터 1477년까지 부르고뉴 공국을 통치하며 프랑스에 대항하여 독립을 추구하고 영토 확장에 힘썼으나 낭시 전투에서 전사하여 야망이 좌절되었다. - 풍산 심씨 - 심국무
심국무는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2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이후 선거에서는 낙선하였다. - 풍산 심씨 - 심정 (1471년)
심정은 조선의 문신으로, 태종을 도운 심귀령의 증손이며, 연산군과 중종 시대에 기묘사화를 일으켜 조광조를 숙청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나 김안로와의 갈등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다. - 적개공신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적개공신 - 김국광
김국광은 조선 초 세조의 측근 문신으로, 《경국대전》 편찬에 기여하고 이시애의 난 토벌에 공을 세워 광산군에 봉해졌으며, 병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사후 불천지위의 은전을 받았다.
심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풍산부원군 |
출생일 | 1433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504년 (72세) |
사망지 | 조선 |
국적 | 조선 |
학력 | 1460년 (세조 6년) 무과에 장원 급제 |
종교 | 유교 (성리학) |
배우자 | 증 정경부인 대구 서씨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심치 |
어머니 | 증 정부인 박씨 |
자녀 | 심원 (아들) 심형 (아들) 심정 (아들) 심의 (아들) |
친인척 | 박화 (외조부) 서문한 (장인) 심실 (숙부) 심주 (사촌) 심사손 (손자) 심사순 (손자) 심수경 (증손자) 심일장 (고손자) 심일취 (고손자) 심일매 (서고손자) 심일준 (서고손자) 심일운 (서고손자) |
2. 생애
심응은 호조판서에 추증된 심치(沈寘)의 아들로, 1460년(세조 6년) 무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책록되고,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용양위 호군(行龍驤衛護軍)에 제수되었다.[2] 성종 때 첨지중추부사, 가선대부(嘉善大夫) 회령부사를 지냈으며,[3]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졌다. 1484년(성종 15년)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4] 사후, 아들 심정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에 따라 영의정에 추증되고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으로 진봉되었으며, 양호(襄胡)라는 시호를 받았다.
2. 1. 관직 경력
1460년(세조 6년) 무과에 장원 급제하였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용양위 호군(行龍驤衛護軍)에 제수되었으며,[2] 성종 때 첨지중추부사, 가선대부(嘉善大夫) 회령부사를 역임하였다.[3] 1484년(성종 15년)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4]2. 2. 공신 책록
1460년(세조 6년) 무과에 장원 급제하였고,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책록되고, 절충장군(折衝將軍) 행 용양위 호군(行龍驤衛護軍)에 제수되었다.[2] 성종 때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졌으며,[3] 사후에는 아들 심정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에 따라 영의정에 추증되고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으로 진봉되었다. 양호(襄胡)의 시호를 받았다.[4]2. 3. 사후
사후 아들 심정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에 따라 영의정에 추증되고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으로 진봉되었다. 적개공신(敵愾功臣)으로서 양호(襄胡)의 시호를 받았다.[2]3. 가계
심응의 가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가문으로, 할아버지 심귀령은 좌명공신에 책봉되었고, 아버지 심치는 남원부사를 지냈다. 심응의 가계는 소헌왕후 가문, 대구 서씨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심귀령(沈龜齡) | 좌명공신 풍천군(豐川君), 의흥삼군부 도총제, 지의흥부사 |
아버지 | 심치(沈寘) | 남원부사, 증 호조판서 |
어머니 | 증 정부인 박씨 | 용구현령 박화(朴華)의 딸 |
부인 | 증 정경부인 대구 서씨 | 광흥창부승 서문한(廣興倉副丞 徐文翰)의 딸 |
아들 | 심원(沈元) | 내자시정 |
아들 | 심형(沈亨) | 무과 급제, 의주목사, 정국공신 풍창군(豊昌君), 충청도 수군절도사 |
아들 | 심정(沈貞) | 문과 급제, 정국공신, 좌의정,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 |
아들 | 심의(沈義) | 문과 급제, 호당(사가독서), 이조정랑, 소격서령 |
숙부 | 심실(沈實) | 군수 |
숙모 | 청송 심씨 | 소헌왕후의 숙부 의흥삼군부 도총제 심인봉(沈仁鳳)의 딸, 청성백 심덕부(靑城伯 沈德符)의 손녀 |
사촌 | 심주(沈胄) | 상호군 |
장인 | 서문한(徐文翰) | |
외조부 | 박화(朴華) |
3. 1. 직계 가족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심치(沈寘) | 남원부사, 증 호조판서 |
어머니 | 증 정부인 박씨 | 용구현령 박화(朴華)의 딸 |
부인 | 증 정경부인 대구 서씨 | 광흥창부승 서문한(廣興倉副丞 徐文翰)의 딸 |
아들 | 심원(沈元) | 내자시정 |
아들 | 심형(沈亨) | 무과 급제, 의주목사, 정국공신 풍창군(豊昌君), 충청도 수군절도사 |
아들 | 심정(沈貞) | 문과 급제, 정국공신, 좌의정,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 |
아들 | 심의(沈義) | 문과 급제, 호당(사가독서), 이조정랑, 소격서령 |
3. 2. 방계 가족
- 조부: 심귀령 - 좌명공신 풍천군, 의흥삼군부 도총제, 지의흥부사
- 숙부: 심실 - 군수
- 숙모: 청송 심씨 - 소헌왕후의 숙부 의흥삼군부 도총제 심인봉의 딸, 청성백 심덕부의 손녀
- 사촌: 심주 - 상호군
3. 3. 혼인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장인 | 서문한 | 광흥창 부승 |
외조부 | 박화 | 용구 현령 |
3. 4. 후손
심응의 후손들은 조선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구분 | 이름 | 주요 경력 |
---|---|---|
손자 | 심사손(沈思遜) | 홍문관 직제학, 만포진 첨절제사, 증영의정 |
증손자 | 심수경(沈守慶) | 문과 장원급제, 호당(사가독서), 좌의정 |
고손자 | 심일장(沈日將) | 찰방 |
심일취(沈日就) | 첨지중추부사, 증 이조참판 | |
서고손자 | 심일매(沈日邁) | 관상감정 |
심일준(沈日遵) | 인동부사 | |
심일운(沈日運) | 해미현감 |
참조
[1]
문서
심응사당 표지판
김포시
[2]
실록
세조실록 13년(1467) 11월 2일 1번째 기사
[3]
실록
성종실록 9년(1478) 10월 4일 4번째 기사
[4]
실록
성종실록 15년(1484) 12월 27일 3번째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