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즈마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즈마칸은 프랑스에서 건조되어 미국을 거쳐 일본으로 회항된 갑철함이다. 원래는 남북 전쟁 당시 아메리카 연합국의 장갑함 스톤월이었으나, 에도 막부가 구입하려다 보신 전쟁 발발로 메이지 신정부로 인도되어 일본 해군에 편입되었다. 1869년 미야코 만 해전과 하코다테 해전에 참전하여 보신 전쟁 종결에 기여했다. 아즈마칸은 일본 제국 해군의 초기 전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871년 아즈마로 개칭되어 1888년까지 현역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란사 사건 - 미야코섬 조난 사건
미야코섬 조난 사건은 1871년 류큐 왕국의 조공선이 태풍으로 표류하여 타이완 원주민에게 공격받은 사건으로, 일본이 류큐를 자국 영토로 편입하고 대만 침공을 감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 1864년 선박 - 류조 (철갑함)
1869년 스코틀랜드에서 건조된 철갑 코르벳함 류조는 구마모토 번이 발주하여 메이지 유신 후 일본 해군의 기함, 메이지 천황의 어소함, 훈련함 등으로 활약하다 해체되었으며, 이후 일본 해군 항공모함 함명의 유래가 되었다. - 철갑함 - 진원함
진원함은 청나라 북양함대가 독일에서 인도받은 군함으로, 황해 해전에서 활약 후 일본 해군에 나포되어 러일 전쟁에 참전하고 표적함으로 파괴되었다. - 철갑함 - 정원함
정원함은 청나라가 서구 열강에 대항하기 위해 건조한 작센급 장갑 프리깃의 확장판으로 북양함대의 기함으로 운용되었으며, 청일전쟁 후 자침되었고 현재 복제 복원함이 전시되어 있다.
아즈마칸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명 | 고테쓰(甲鉄) |
함명 (가명) | 아즈마(東) |
함명 (영어) | Kōtetsu |
함명 (일본어) | こうてつ |
함선 경력 (미국) | |
기국 | 미국 남부 연합 |
함명 | 스톤월 |
기공 | 1863년 |
진수 | 1864년 6월 21일 |
건조 | 아르망 형제 조선소, 보르도 |
완공 | 1865년 1월 |
운명 | 1865년 5월, 미국에 인도됨 |
함명 유래 | 스톤월 잭슨 장군 |
함선 경력 (일본) | |
기국 | 일본 제국 |
함명 | 고테쓰(甲鉄) |
획득 | 1869년 2월 3일, 미국으로부터 인수 |
퇴역 | 1888년 1월 28일 |
제명 | 1889년 12월 12일, 해체 |
개명 | 1871년 12월 7일, 아즈마(東)로 개명 |
함선 특징 | |
함 종류 | 장갑함 충각함 |
배수량 | 1,390 롱톤 |
길이 | 186피트 9인치 (전체 길이) |
폭 | 32피트 6인치 |
흘수 | 14피트 3인치 |
추진력 | 2축; 2개의 직동식 증기 기관 |
속도 | 10.5 노트 |
항속 거리 | 3,000 해리 |
승조원 | 135명 |
범장 | 브리그 범장 |
무장 | 1 × 300 파운더 (10인치) 강선 전장포 2 × 70 파운더 (6.4인치) 강선 전장포 |
동력 | 2개의 보일러 1,200 마력 |
장갑 | 수선대: 4.5인치 포탑: 5.5인치 |
제원 (일본) | |
건조 | 프랑스, 보르도, 아르망 형제 조선소 |
계획 배수량 | 1,358.43 톤 또는 1,800 톤 |
전체 길이 | 60.00 미터 |
수선 길이 | 55.70 미터 또는 55.78 미터 |
수선간 길이 | 47.44 미터 또는 47.77 미터 |
최대 폭 | 10.00 미터 |
깊이 | 5.20 미터 |
평균 흘수 | 4.40 미터 또는 15 |
추진 방식 | 4엽 스크류, 2축 |
주기관 | 마제린식 수평 직동 왕복동 기관 2기 또는 직립 직동 기계 |
출력 | 1,200 IHP |
보일러 | 마제린식 석탄 전소관 2기 또는 관입관 2기 |
범장 면적 | 750 m² |
속력 | 상용: 10.5 시운전: 10.8 kn |
연료 | 석탄: 상비 95톤, 만재 200톤 |
항속 거리 | 1,200 / 9노트 |
승무원 | 게이오 4년 1월 정원: 49명 1873년 10월 정원: 135명 + 대장장이장 2명 1883년 8월 정원: 130명, 연습원 약 100명 |
병장 (준공 시) | (구경 28 cm) 300파운드 암스트롱 전장식활강포 1문 (구경 12.7 cm) 70파운드 암스트롱 전장식 라이플포 2문 |
병장 (1871년) | (27.9 cm) 300파운드 전장 활강포 1문 패럿 16.5 cm 전장 라이플포 4문 6연장 개틀링 기관포 1기 |
장갑 | 현측: 125-90 mm 연철 + 1.25 철판 케이스메이트: 140-102 mm |
신호 부호 | GQBU(1886년-) |
2. 함의 제원 및 특징
''스핑크스''는 수선 간 길이가 약 50.29m였으며, 뾰족한 선수(naval ram)를 포함한 전체 길이는 약 56.69m였다. 배의 선폭은 약 9.75m였고 흘수는 약 4.27m였다.[1][2] 기생충과 생물 오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리로 피복된 복합 선체였으며, 현저한 tumblehome을 특징으로 했다. 약 1412305.33kg을 배수했으며 승무원은 135명의 장교와 선원이었다. 기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쌍둥이 방향타가 장착되었다.[3]
일본군은 70파운드 포 1문을 제거하고 암스트롱 6파운드 포 2문, 4파운드 야포 4문, 개틀링포를 추가했다.[2]
연료 소비량으로 계산하여 석탄 200ton을 만재하고 9노트로 를 항행할 수 있다고 계산되었다.
2. 1. 함형

Sphinx영어의 이름처럼, 스핑크스의 턱처럼 함수의 수선면에서 선단부를 철로 피복한 '''충각'''(램)을 가진 목조 선체에 2개의 돛대(帆走)와 1개의 굴뚝을 가진 장갑 브리그이다. 선체 위의 2개의 마스트에는 본격적인 돛 설비(帆走)가 갖춰져 있었고, 증기 기관이 발명되었지만 이 시기에는 기관 기술의 신뢰성이 낮아 장기 항해 시에는 돛을 이용한 항해(帆走)를 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본 함의 돛의 총 면적은 750제곱미터나 되었다. 함수 수면 아래의 충각은 함수 수면 아래로 7m나 돌출되어 있었다.
이는 후의 리사 해전에서도 행해진 충각 공격(래밍)을 하기 위해 특화된 설계이다. 충각 공격이란, 대포가 발명되지 않은 시대에 적함의 선체를 효과적으로 파괴하기 위해 뱃머리를 상대의 현측에 들이받아 파괴하는 공격 방법으로, 추돌했을 때의 충격보다 자함을 후진시켜 뱃머리를 빼낼 때 생기는 대파구로부터의 침수로 인해 단시간에 상대를 격침시킬 수 있는 전법이다. 대형 대포가 개발되었지만, 이 시기의 포탄은 성능이 낮아, 효과적으로 적함을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충각 공격이 주류였다.
그 외 선체 형상에서 눈길을 끄는 함미 형상도 특징적인데, 당시로서는 매우 드물었던 크루저 스턴(순양함형 선미)을 채용하고 있었다. 수면 아래에서는, 타와 추진축의 주변 형상에는 트윈 스케그를 채용하고 있었다. 트윈 스케그란, 선저부에서 스크류 축을 따라 수직으로 뻗은 지느러미 모양(鰭状)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대로 스크류 프로펠러의 뒤에 주타를 배치하는 형식으로, 스크류에서 생긴 물의 흐름 바로 뒤에 타가 배치되기 때문에 타 효과가 좋고, 또한 스케그가 스크류 축을 둘러싸 보호하므로 스크류에 이물질이 말려들어가 행동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었다.
2. 2. 무장
암스트롱 포를 주포로 채용했다. 함수 포곽에는 300파운드 암스트롱 전장식 활강포(구경 27.9 cm) 1문을 단장 포가에 배치하여 136kg의 포탄을 발사할 수 있었다. 선체 중앙 포곽에는 70파운드 암스트롱 전장식 라이플포(구경 12.7 cm) 2문을 좌우 각각 1기씩 장비하여 32kg의 포탄을 발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포탄 성능이 좋지 않아 적함을 격파하기는 어려웠다.[44] 이후 미국제 패럿 포로 교체되었다.


포곽 바닥에는 피보팅 슬라이드 캐리지(Pivotting Slide Carriage)라는 원호형 레일이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인 포가를 선회, 이동시켜 포신을 꺼냈을 때 포문을 지점으로 포미를 부채꼴 모양으로 움직여 넓은 사계를 확보했다. 이는 적은 수의 포문으로도 신속하게 화포를 적함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설계였다.
기존 포가의 앙각은 10도 정도였지만, 본 함은 슬라이드 캐리지 포가 덕분에 앙각을 25도 이상으로 높여 사정거리를 연장했다. 또한 포곽의 포문에는 전투 시 적탄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장갑판과 같은 재질의 뚜껑을 부착하여 장전 시 개구부를 막았다.
2. 3. 장갑
Armour Packing영어으로 티크재를 사용하고 복합 장갑을 채택했다. 대 15인치 포 방어를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장갑판 재질은 연철을 사용했다. 포곽은 102mm에서 140mm, 선체 수선부는 중앙 125mm, 선수와 선미는 90mm 두께였다.[4][10]포곽부는 타원통형이며, 장갑판을 장착하기 위한 코킹이라는 완충재 위에 두께 80mm의 티크재 아머 패킹을 덧대었다. 이 위에 연철제 장갑판을 볼트로 고정했다. 당시 건함 기술로는 복잡한 곡선 선체에 장갑판을 균일하게 부착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프랑스의 기술력을 엿볼 수 있다.
당시 함체 방어는 수선부에 장갑판을 두르는 방식이 주류였다. 본 함은 높이 2.7m 장갑판으로 수선 위 1.5m, 아래 1.2m 범위를 덮었다. 두께는 선체 중앙부 125mm, 선수와 선미 90mm였고, 그 위에 두께의 장갑을 추가한 복합 장갑이었다.
북부 합중국군의 모니터는 포를 탑재하여, 본 함의 방어력이 높은 수준이었음을 알 수 있다.
2. 4. 기관
Mazeline프랑스어식 튜블러 보일러 2기, Mazeline프랑스어식 수평형 레시프로 기관 2기 2축으로 구성되었다. 추진 기관인 레시프로 기관은 1기당 600마력의 출력을 낼 수 있었고, 2기를 탑재하여 최대 1200PS의 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추진축에 부착된 스크류 프로펠러는 한 장이 추진축에 대해 45도로 기울어진 직사각형 판 모양의 4엽 프로펠러로, 직경은 약 3.6m였다. 본 함은 공시에서 최고 속력 10.8노트를 발휘했으며 실용 속력은 10.5노트였다.[1]3. 건조 배경 및 초기 경력
아즈마는 프랑스 보르도의 라르망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원래 이름은 '스핑크스'였다. 이 배는 건조 당시 남북전쟁에서 남부 연합에 매각될 예정이었으나, 인도되기 전 프랑스 정부가 남부에 군함을 매각하는 것을 금지하면서 '스텔쾨더(Stærkodder)'라는 이름으로 덴마크에 매각되었다.[109] 1864년 6월 21일, 덴마크인 선원들이 이 배를 보르도에서 인도받아 시운전을 했지만, 덴마크 해군성과 라르망 간의 최종 조정은 난항을 겪었다. 결국 협상이 결렬되자 라르망은 10월 30일 선박 인도를 거부했지만, 덴마크 정부는 선박에 대한 권리를 요구하는 등 혼란이 있었다.[109]
1865년 1월 7일 이후, 배는 남군 해군에 인도되어 해상에서 CSS 스톤월로 개칭되었다. 북군은 이 배가 남부에 도달하는 것을 막기 위해 USS 나이애가라와 USS 새크라멘토를 스페인에 파견하는 등 여러 차례 차단하려 했으나, 스톤월 호는 큰 방해 없이 출항할 수 있었다.[109]
그러나 대서양 횡단 후 미국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남북전쟁이 끝나가고 있었고, 남부 해군도 괴멸된 상태였기 때문에 활약할 기회가 없었다. 결국 북군에 배가 넘어갈 것을 우려한 토머스 제퍼슨 페이지 선장은 배를 아바나로 이동시켜 쿠바 해군 대령에게 16000USD에 매각했다. 이후 미국이 이 배를 다시 회수했다.[110]
본 함은 마스트 2개를 가진 브리그형 배이다. 왼쪽 그림은 본 함의 장갑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 구조는 함수에 날카로운 형태의 '''충각'''(램)을 가진 목조 선체에 2개의 돛대(마스트)와 1개의 굴뚝을 가진 장갑 브리그이다. 선체 위의 2개의 마스트에는 본격적인 돛 설비가 갖춰져 있었다. 증기 기관이 발명되었지만 이 시기에는 기관 기술의 신뢰성이 낮아 장기 항해 시에는 돛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본 함의 돛 면적은 750제곱미터였다. 함수 수면 아래의 충각은 함명 "스핑크스(''Sphinx'')"처럼, 스핑크스의 턱과 같이 함수의 수선면에서 선단부를 철로 덮은 충각이 수중에 7m나 돌출되어 있었다.
이는 후의 "리사 해전"에서도 행해진 "충각 공격(래밍)"을 하기 위해 특화된 설계이다. 충각 공격은 대포가 발명되지 않은 시대에 적함의 선체를 효과적으로 파괴하기 위해 뱃머리를 상대의 현측에 들이받아 파괴하는 공격 방법이다. 추돌했을 때의 충격보다 자함을 후진시켜 뱃머리를 빼낼 때 생기는 큰 파손 구멍으로 인한 침수로 단시간에 상대를 격침시킬 수 있는 전법이다. 대형 대포가 개발되었지만, 이 시기의 포탄은 성능이 낮아 효과적으로 적함을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충각 공격이 주류였다.
함미 형상은 당시로서는 매우 드물었던 크루저 스턴(순양함형 선미)을 채용하고 있었다. 수면 아래에서는 타와 추진축 주변 형상에 트윈 스케그를 채용했다. 트윈 스케그는 선저부에서 스크류 축을 따라 수직으로 뻗은 지느러미 모양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대로 스크류 프로펠러 뒤에 주타를 배치하는 형식이다. 스크류에서 생긴 물의 흐름 바로 뒤에 타가 배치되기 때문에 타 효과가 좋고, 스케그가 스크류 축을 둘러싸 보호하므로 스크류에 이물질이 말려들어 행동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었다.
3. 1. 남북전쟁과 프랑스의 개입
1863년 6월, 남부 연합 특사 존 슬리델은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에게 철갑함 건조 가능성을 문의했다. 남부 연합과 같은 교전국을 위해 군함을 건조하는 것은 프랑스 법에 저촉되었지만, 나폴레옹 3세는 비밀 유지 조건으로 프랑스에서의 철갑함 건조에 동의했다.[7] 루시앙 아르망은 나폴레옹 3세의 측근으로, 제임스 D. 불로크는 아르망과 남부 연합 해상 봉쇄를 돌파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철갑 램 2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함포는 별도로 제작되었고, 이집트 해군용이라는 소문을 퍼뜨려 ''케옵스''(Cheops)와 ''스핑크스''(Sphinx)로 명명되었다.[8]그러나 조선소 직원의 폭로로 파리 주재 미국 공사관에 건조 사실이 알려졌다.[9] 프랑스 정부는 미국의 압력으로 판매를 금지했지만, 아르망은 함선을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대립 중이던 덴마크와 프로이센 왕국에 판매할 수 있었다. ''케옵스''는 프로이센에, ''스핑크스''는 1864년 3월 31일 ''Stærkodder''라는 이름으로 덴마크에 판매되었다.[10]
3. 2. 덴마크로의 매각과 불발
1863년 6월, 프랑스 주재 남부 연합 특사 존 슬리델은 나폴레옹 3세에게 남부 연합 정부가 프랑스에서 철갑 전함을 건조할 수 있는지 문의했다. 남부 연합과 같이 공인된 교전국을 위해 군함을 무장시키는 것은 프랑스 법에 따라 불법이었지만, 슬리델과 그의 대리인 제임스 D. 불로크는 프랑스 황제가 비밀 계약을 통해 법을 회피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7] 나폴레옹 3세는 목적지가 비밀로 유지된다는 조건으로 프랑스에서 철갑함 건조에 동의했다.[7] 불로크는 루시앙 아르망과 연합 해상 봉쇄를 돌파할 수 있는 철갑 램 2척을 건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의심을 피하기 위해, 함선의 대포는 선체와 별도로 제작되었으며, 이집트 해군을 위해 제작되었다는 소문을 퍼뜨리기 위해 ''케옵스''(Cheops)와 ''스핑크스''(Sphinx)로 명명되었다.[8]그러나 인도가 이루어지기 전에, 한 조선소 직원이 파리 주재 미국 공사관에 들어가 관련 문서를 제출했다.[9] 프랑스 정부는 미국의 압력으로 판매를 막았지만, 아르망은 이 함선을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서로 대립하고 있던 덴마크와 프로이센 왕국에 판매할 수 있었다. ''케옵스''는 프로이센에 판매되었고, ''스핑크스''는 1864년 3월 31일 ''Stærkodder''라는 이름으로 덴마크에 판매되었다.[10]

덴마크 선원이 탑승한 이 배는 1864년 6월 21일 보르도를 출발하여 시운전을 시작했다. 덴마크 해군부와 아르망 사이의 최종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승무원은 이 선박을 시험했다. 최종 가격에 대한 이견과 회사에서 언급된 문제 및 늦은 인도에 대한 보상 문제로 인해, 1864년 10월 25일에 코펜하겐으로 출항했음에도 불구하고 10월 30일에 협상이 결렬되었다. 덴마크 정부는 협상과 관련된 혼란을 주장하며 선박 인도를 거부했다. 이 배는 11월 10일에 코펜하겐에 도착했고 1865년 초 Orlogsværftet 조선소에 있었다.[10]

미국 남북 전쟁 중인 1863년에 남군의 무기 조달 위원 제임스 바로크는 이집트에서 온 것으로 위장하여 슬루프 4척과 장갑 충각함 2척을 보르도의 알만 사에 발주했다.[45] 이 장갑 충각함 중 한 척이 가칭 "스핑크스(''Sphynx'')"[45]이다. 이들은 결국 북군의 항의로 인해 인도할 수 없게 되었고, "스핑크스"는 1864년 3월 31일에 제2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 중 덴마크에 80000만덴마크 크로네로 매각하는 계약이 성립되었다.[46] "스테어코더(''Stærkodder'')"로 명명되었으며[47], 1864년 6월 21일에 진수하여 11월에 코펜하겐에 도착했지만, 패전이 확실시되었던 덴마크는 인수하지 않았다.[47]
3. 3. 남부연합 해군으로의 인도
1865년 1월 7일 이후, 이 배는 남군 해군에 인도되어 해상에서 CSS 스톤월로 개칭되었다.[11] 이 배가 남부에 도달하는 것을 두려워한 북군은 이 배의 이동을 차단하려 했으며, 2월과 3월에는 북군 해군 소속 USS 나이애가라와 USS 새크라멘토가 스페인에서 출발하여 스톤월 호의 출발을 막으려 했으나, 이 강력한 남군의 선박은 큰 방해 없이 출항할 수 있었다.[109]그러나 대서양을 횡단하여 미국에 도착했을 때는 1864년 10월 이래 남부동맹이 거의 해체되었고 남부 해군은 괴멸된 상태로 이미 남북전쟁은 끝나가고 있었기 때문에 이 배가 활약할 기회는 없었다.[110] 결국 북군의 손에 이 배가 넘어갈 것을 우려한 토머스 제퍼슨 페이지 선장은 이 배를 아바나로 이동시켜 쿠바의 해군 대령에게 16000USD에 매각했다.[110] 미국은 이 배의 비용을 지불하고 다시 회수했다.[110]
4. 일본으로의 인도와 보신 전쟁
1867년, 도쿠가와 막부는 오노 도모고로를 대표로 하는 방미사절단을 통해 미국 정부로부터 철갑선 '스톤월' 함을 구매하고 '고테쓰(甲鉄)'로 개명했다. 그러나 1868년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서구 열강은 중립을 지켰고, '고테쓰'함의 인도도 지연되었다.[111]
1869년 2월, '고테쓰'는 메이지 신정부에 인도되어 일본 제국 해군에 합류, 다른 7척의 군함과 함께 홋카이도로 파견되어 막부 잔존 함대와 전투를 벌였다. 당시 에노모토 다케아키를 비롯한 막부 잔존 세력은 홋카이도에서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에조 공화국을 수립하려 했다.
'고테쓰'는 미야코 만 해전과 하코다테 해전 등 주요 해전에 참전했다. 특히, 미야코 만 해전에서는 신선조 잔여 병력이 탑승한 가이텐마루回天丸|회천환일본어의 야간 기습을 개틀링 포로 격퇴하며 신정부군의 승리에 기여했다.[19]
1871년 12월 7일, '고테쓰'는 '아즈마東|아즈마일본어'로 개칭되었고, 1888년까지 현역으로 활약하다가 이후 항구 경비 임무를 맡았다. '아즈마'는 잘 배치된 장갑 회전 포탑을 갖추어 당시 목조 전함을 상대로는 무적의 위력을 보였다.
4. 1. 도쿠가와 막부의 구매 시도
1867년, 도쿠가와 막부는 오노 도모고로를 대표로 하는 방미사절단을 통해 미국 정부에 30000USD를 지불하고 '스톤월'함 구매를 제안했다. 잔금 10000USD는 선박 인수 후에 지불하기로 계약했다.[19] 그러나 1868년 1월 22일 시나가와 항에 도착했을 때, 보신 전쟁이 발발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 미국은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며 '고테츠'(스톤월 함의 일본 명칭)를 포함한 군수 물자의 막부 인도를 중단했다.[4]
막부 붕괴 이후, 메이지 신정부가 구매 협상 대상이 되었으나, 보신 전쟁으로 인해 서구 열강들은 일본 내전에 중립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선박 인도가 지연되었다.[111] 신정부는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1869년 2월 3일, 스톤월(갑철함) 구매를 단행했다.[20]
4. 2. 메이지 신정부로의 인도와 활약
1869년 2월, '고테쓰'함은 메이지 신정부에 인도되었다. 메이지 정부는 '고테쓰'함을 포함한 7척의 군함을 홋카이도로 파견하여 막부 잔존 세력과 전투를 벌였다. 당시 에노모토 다케아키를 비롯한 막부 잔존 세력은 홋카이도에서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에조 공화국을 세우려 했다.[111]1869년 3월 25일, 미야코 만 해전에서 '고테쓰'함은 신선조 잔여 병력이 탑승한 가이텐마루回天丸|회천환일본어의 야간 기습을 받았다. 그러나 신형 개틀링 포를 이용해 성공적으로 격퇴했다.[19][21][22][20] 이는 해상 백병전의 야간 기습 시도를 개틀링 건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격퇴한 것이다. 이후 '고테쓰'함은 하코다테 해전에 참가하여 구 막부 군함을 격파하고 신정부 승리에 기여했다.[19]
구 막부 해군은 기함 개양환을 좌초로 잃었고, 메이지 정부의 스톤월(철갑함) 구매 소식이 하코다테에 도착하여 위기를 느낀 에노모토 등은 이승 공격에 의한 탈취 작전을 계획, 미야코 만 해전이 일어났다.

1869년 4월 19일(메이지 2년 3월 8일), 코테츠, 요슌마루, 카스가마루, 히류마루, 제1정묘, 무신마루, 신풍마루, 호안마루 7척이 시나가와를 출항, 하코다테로 향했다.[48] 본 함은 미야코 만 해전에서 구 막부 군함을 추격한 후 아오모리에서 대기했고, 같은 해 4월 9일 신정부군의 상륙에 즈음하여 하코다테 만에 출격, 하코다테 만 해전을 거쳐 구 막부군의 항복에 이르렀다.
5. 일본 제국 해군에서의 활약
1867년, 도쿠가와 막부는 오노 도모고로를 대표로 하는 방미사절단을 통해 미국 정부로부터 3만 달러에 이 배를 구입하고, 잔금 1만 달러는 배를 인도받은 후에 지불하기로 했다. 그러나 1868년 막부가 무너지면서 보신 전쟁이 발발했고, 서구 열강들은 중립을 지켜 선박 인도가 지연되었다.[111]
1869년 2월, 메이지 신정부에 인도된 코테츠는 메이지 정부군에 합류하여 다른 7척의 군함과 함께 홋카이도로 파견되어 막부군 잔존 함대와 전투를 벌였다. 에노모토 다케아키를 비롯한 막부 잔존 세력은 홋카이도에서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에조 공화국을 수립하려 했다.
1869년 3월 25일, 미야코 만 해전에서 코테츠는 막부 측 신센구미 잔여 병력이 탄 돌격함 가이텐마루(ja)의 야습을 받았으나, 신형 개틀링 포의 위력으로 이를 막아냈다. 이후 하코다테 해전에도 참가했다.
코테츠는 1871년 12월 7일 아즈마(東|아즈마일본어)로 개칭되었고, 1888년까지 현역으로 활동하다가 이후 비전투 항구 경비 임무에 투입되었다. 아즈마는 잘 배치된 장갑 회전 포탑을 갖추고 있어 당시에는 무적의 불침함으로 여겨졌으며, 당시 함포로는 장갑을 관통할 수 없어 목조 전함을 상대로는 무적의 위력을 보였다.
5. 1. 보신 전쟁 이후의 활동
1871년 12월 7일, '아즈마'(東|아즈마일본어)로 개칭되었다.[55][56][57]1874년 사가의 난과 대만 출병에 참가하였다. 대만 출병 중 1874년 8월 19일 가고시마에서 태풍으로 좌초되었으나, 다시 복구되어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수리되었다.[71]
1877년 세이난 전쟁 동안에는 세토 내해에서 경비 임무를 수행했다.[79][80]
1888년 1월 28일에 해군 함정 목록에서 제외되었고,[19] 1889년 12월 12일에 스크랩으로 판매되었다.[19]
5. 2. 퇴역과 그 이후
아즈마는 1888년 1월 28일에 해군 함정 목록에서 제적되었고,[19] 1889년 12월 12일에 스크랩으로 판매되었다.[19] 아즈마의 장갑판은 1895년 도쿄에 건설된 아사쿠사 화력 발전소의 전기자 샤프트를 만드는 데 재사용되었다.[5] 구체적으로는 이시카와지마 조선소가 아사쿠사 발전소의 200kW 발전기를 제작할 때, 아즈마의 장갑판을 철심 재료로 사용했다.[93]6. 역사적 의의
아즈마함은 근대 일본 해군력 강화에 기여하고 메이지 유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잘 배치된 장갑회전포탑 덕분에 당시에는 무적의 불침함선으로 여겨졌으며, 목조전함을 상대로는 무적의 위력을 보였다.
6. 1. 근대 일본 해군력 강화 기여
1867년, 도쿠가와 막부는 오노 도모고로를 대표로 하는 방미사절단을 통해 해군 현대화를 위해 미국 정부에 3만달러를 지불하고 이 배를 구입했으며, 잔금 1만달러는 선박 인수 후에 지불하기로 했다.[111] 1868년 막부가 와해되자 신정부 측이 교섭 대상이 되었으며, 당시 보신 전쟁으로 인해 서구 열강들은 중립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선박 인도도 지연되었다.[111]1869년 2월, 메이지 신정부에 인도된 코테츠는 메이지 정부군에 합류하여 다른 7척의 군함과 함께 홋카이도로 파견되어 막부군 잔존 함대와 전투를 벌였다. 1869년 3월 25일, 미야코 만 해전에서 막부 측 신센구미 잔여 병력이 탄 돌격함 가이텐마루(回天丸일본어)에게 야습을 당했으나 신예 개틀링 포로 막아냈고, 이후 하코다테 해전에도 참가했다.
1871년 12월 7일, '아즈마'(東일본어)로 개칭되었고 1888년까지 현역으로 남아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비전투 항구 경비 임무에 투입되었다.
아즈마는 잘 배치된 장갑회전포탑을 장비하고 있어 당시에는 무적의 불침함선으로 여겨졌으며, 당시의 함포로는 장갑을 관통할 수 없었기에 목조전함을 상대로는 무적의 위력을 보였다.
6. 2. 메이지 유신의 상징
1867년,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는 오노 도모고로를 대표로 하는 방미사절단을 통해 미국 정부에 3만달러를 지불하고 이 배를 구입했으며, 잔금 1만달러는 선박 인수 후에 지불하기로 했다.[111] 1868년 막부가 와해되자 신정부 측이 교섭대상이 되었으며, 당시 보신 전쟁으로 인해 서구 열강들이 중립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선박 인도가 지연되었다.[111]1869년 2월, 메이지 신정부에 인도된 코테츠는 메이지 정부군에 합류하여 다른 7척의 군함과 함께 홋카이도로 파견되어 막부군 잔존함대와 전투를 벌였다. 당시 에노모토 다케아키를 비롯한 막부 잔존세력은 홋카이도에서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에조 공화국을 수립할 계획이었다.
1869년 3월 25일, 미야코 만 해전에서 코테츠는 막부 측 신선조 잔여병력이 탄 돌격함 가이텐마루(回天丸)에게 야습을 당했으나, 신예 개틀링 포로 습격을 막아내었고, 이후 하코다테 해전에도 참가하였다.
1871년 12월 7일, 코테츠는 '''아즈마'''(東)로 개칭되었고 1888년까지 현역으로 남아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비전투 항구 경비임무에 투입되었다.
아즈마는 잘 배치된 장갑회전포탑을 장비하고 있어 당시에는 무적의 불침함선으로 여겨졌으며, 당시의 함포로는 장갑을 관통할 수 없어 목조전함을 상대로는 무적의 위력을 보였다.
참조
[1]
서적
Jentschura, Jung & Mickel
[2]
서적
Lengerer
[3]
서적
Canney
[3]
서적
Silverstone
[4]
서적
Lengerer
[5]
서적
Lengerer
[6]
서적
Watts
[7]
서적
Case & Spencer
[8]
서적
Case & Spencer
[9]
서적
Case & Spencer
[10]
문서
Steensen. An English translation by Søren Nørby may be found at
http://milhist.dk/va[...]
[11]
서적
Scharf
[12]
웹사이트
Stonewall
https://www.history.[...]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US Navy
2022-09-02
[13]
서적
Bennett
[14]
서적
Canney
[15]
서적
Scharf
[16]
간행물
United States, Official Records
[17]
서적
Scharf
[18]
간행물
United States, Official Records
[19]
편지
Letter from Susumu Nishiura, Staff-in-Chief, War History Room, Ministry of Defense, Japan, to Faith Kravitz, Eleutherian Mills, Hagley Museum, Delaware, USA dated Sept. 25, 1965
https://archive.org/[...]
[20]
논문
Admiral Enomoto And The Imperial Restoration
https://www.usni.org[...]
U.S. Naval Institute
1953-04
[21]
서적
Ballard
[22]
서적
Greene & Massignani
[23]
서적
日本海軍全艦艇史
[24]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
[25]
서적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26]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
[27]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
[28]
서적
帝国海軍機関史(1975)
[29]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
[30]
서적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31]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
[32]
서적
図示馬力(IHP) 元綱
[33]
서적
日本の戦艦(下)2001
[34]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
[35]
서적
西村
[36]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 上巻pp.201-202人、乗員定員表。船将(代軍艦役)1人、軍艦役竝勤方一等2人、軍艦取調役2人、軍艦役竝勤方二等5人、医師2人、軍艦役竝勤方三等3人、下役2人、手伝医師2人、当分出役2人(以上士官)、水夫小頭・火焚小頭10人、平水夫・平火焚・銃卒14人、大工2人、鍛冶2人。
[37]
문서
海軍制度沿革10-1(1972) pp.153-155、明治6年10月闕月(軍務局)艦船乗組定員。合計135名、外に鍛冶長(下士12等)2人有り
[38]
문서
海軍制度沿革10-1(1972) pp.159-161、明治16年8月18日(丙71)迅鯨艦外四艘ノ乗員
[39]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
[40]
서적
幕末の蒸気船物語
[41]
문서
1871年12月改装以降の備砲については泉 江三 「軍艦メカニズム図鑑 日本の戦艦 上巻」18頁参照
[42]
간행물
公文類聚・第十編・明治十九年・第三十三巻・運輸三・船舶車輌・津港・河渠・橋道:逓信省海軍艦船及西洋形商船ニ信号符字ヲ点付ス・其二
https://www.jacar.ar[...]
[43]
문서
艦船名考(1928) pp.16-18「東(初代) 吾妻(二代)あづま Aduma.」
[44]
서적
新選組
[45]
서적
海防戦艦
[46]
서적
海防戦艦
[47]
서적
海防戦艦
[48]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8-9、明治二年己巳 軍務官 兵部省 (明治時代)|兵部省、3月。
[49]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p.7、明治3年7月28日(太政官)。
[50]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 上巻p.290
[51]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13、明治3年7月。
[52]
문서
海軍制度沿革8(1971) p.33、明治4年3月7日(御沙汰)諸港守備ノ軍艦ヲ解クノ件「兵部省 諸港守衛トシテ出張之軍艦解備被仰付候間帰艦之儀其省ヨリ可相達候事」
[53]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p.7、明治4年
[54]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17、明治4年5月。
[55]
문서
明治4年10月28日制定 「海軍規則並俸給表」 第三條、および明治4年11月15日付 「諸艦等級附」。
[56]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p.354。「◉甲鐡艦ヲ東艦ト改稱ノ件 明治四年十二月七日(兵部省一五七) 甲鐡艦ノ儀自今東艦ト改號候條此旨相達候事」
https://dl.ndl.go.jp[...]
[57]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21-22、明治4年12月。
[58]
문서
海軍制度沿革4-1(1971) p.7、明治5年
[59]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26-27、明治5年4月。
[60]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27-29、明治5年5月。
[61]
문서
明治5年10月5日付 乙第238号但し書き。
[62]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32-33、明治5年10月。
[63]
문서
M9布達/4月 画像42、明治9年4月8日記三套第33号
[64]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36-37、明治6年1月。
[65]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37-38、明治6年2月。
[66]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39、明治6年4月。
[67]
문서
해군제도연혁4-1(1971) p.7、명치6년
[68]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49-51、明治7年2月。
[69]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画像53、明治7年6月。
[70]
문서
해군제도연혁4-1(1971) p.7、명치7년
[71]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4-07-01
[72]
서적
横須賀海軍船廠史(1973)
[73]
서적
海軍制度沿革4-1(1971)
1875-01-01
[74]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5-10-01
[75]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6-04-01
[76]
문서
記三套第33号
1876-04-08
[77]
문서
M9.7-M10.6海軍省報告書/沿革
1876-07-01
[78]
문서
M9.7-M10.6海軍省報告書/沿革
1877-01-01
[79]
문서
M10公文類纂11/東日進浅間神戸回艦
[80]
문서
M9.7-M10.6海軍省報告書/沿革
1877-02-01
[81]
문서
M10.7-M11.6海軍省報告書
1877-08-01
[82]
문서
M12.7-M13.6海軍省報告書
[83]
문서
M11.7-M12.6海軍省報告書
[84]
문서
M10.7-M11.6海軍省報告書
1878-02-01
[85]
문서
M11布達/2月
1878-02-19
[86]
문서
M12.7-M13.6海軍省報告書
[87]
문서
M11.7-M12.6海軍省報告書
[88]
문서
M13.7-M14.6海軍省報告書
[89]
문서
M13.7-M14.6海軍省報告書
[90]
문서
M13.7-M14.6海軍省報告書
[91]
문서
M14.7-M15.6海軍省報告書
[92]
문서
M16海軍省報告書
[93]
서적
幕末の蒸気船物語
[94]
서적
国立公文書館所蔵 勅奏任官履歴原書 上巻
柏書房
1995-01-01
[95]
문서
M4公文類纂11/福島弥太六甲鉄艦長代外数件達
[96]
서적
日本海軍史
[97]
서적
日本海軍史
[98]
문서
M1-M9海軍省報告書
1875-11-01
[99]
문서
M10.7-M11.6海軍省報告書
1878-04-01
[100]
서적
日本海軍史
[101]
서적
日本海軍史
[102]
서적
日本海軍史
[103]
뉴스
官報
1885-11-10
[104]
뉴스
官報
1886-06-26
[105]
뉴스
官報
1887-04-20
[106]
간행물
官報
1887-06-14
[107]
간행물
官報
1887-10-28
[108]
간행물
官報
1888-01-31
[109]
논문
The Career of the Confederate Cruiser Stonewall
Richmond, Virginia
1879
[110]
서적
미 연방 해군 공문서목록
1895-07-18
[111]
서적
일본근대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