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강역은 1918년 12월 28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24년 9월 26일부터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는 경상북도 경주시의 철도역이다. 동해선과 대구선이 지나가며, 2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서경주역과 포항역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선 무궁화호, 동해선 무궁화호, 누리로, ITX-마음 열차가 정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의 건축물 - 서경주역
서경주역은 1919년 금장역으로 시작하여 역명 변경과 이설을 거쳐 동해선 무궁화호와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 경주시의 건축물 - 경주시민운동장
경주시민운동장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스포츠 시설로, 주 경기장과 다양한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1987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 동해선 - 신해운대역
신해운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4년 해운대역으로 시작하여 201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2016년 동해선 편입과 함께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동해선 - 서경주역
서경주역은 1919년 금장역으로 시작하여 역명 변경과 이설을 거쳐 동해선 무궁화호와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 1918년 개업한 철도역 - 한림정역
한림정역은 1918년 경전선에 간이역으로 개업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1960년 새 역사 준공, 2010년 승강장 이전 및 역사 신축, 복선 전철화 사업 완료를 거쳐 2022년 무인역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2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1918년 개업한 철도역 - 약목역
약목역은 1918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으로,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이용되고, 주변에 지역 공공시설이 위치해 있다.
안강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안강역 |
한자 표기 | 安康驛 |
로마자 표기 | Angang |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갑산리 900-2 |
소속 노선 | 동해선 |
이전 역 | 서경주 |
역간 거리 | 10.8 km |
다음 역 | 부조 |
역간 거리 | 5.8 km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포항관리역 |
역 종류 | 일반역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133.7 km |
기점역 | 부산진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
개업일 | 1918년 12월 28일 |
이미지 | |
![]() | |
![]() |
2. 역사
1918년 12월 28일 :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2]
1945년 7월 10일 : 표준궤로 개량되었다.[3]
1966년 9월 21일 : 현재 사용 중인 역사가 준공되었다.
1992년 12월 5일 : 새마을호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1994년 1월 11일 :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4]
1997년 10월 1일 :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5]
2013년 11월 7일 : 부산진역 기점 129.9km로 변경되었다.[6]
2015년 4월 2일 : 서울역~포항역 간 새마을호 운행이 종료되었다.
2016년 4월 29일 : 부산진역 기점 126.3km로 변경되었다.[7]
2016년 12월 30일 : 동해남부선이 동해선에 편입되었다.[1]
2021년 8월 26일 : 부산진역 기점 125.4km 로 변경되었다.[8]
2021년 12월 28일: 태화강역 ~ 모량역 구간의 복선 전철화 완료로 안강리에서 갑산리로 이전되었다.
2024년 9월 26일: ITX-마음 정차 개시
2. 1. 연혁
1918년 12월 28일 :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2]1945년 7월 10일 : 표준궤로 개량되었다.[3]
1966년 9월 21일 : 현재 사용 중인 역사가 준공되었다.
1992년 12월 5일 : 새마을호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1994년 1월 11일 :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4]
1997년 10월 1일 :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5]
2013년 11월 7일 : 부산진역 기점 129.9km로 변경되었다.[6]
2015년 4월 2일 : 서울역~포항역 간 새마을호 운행이 종료되었다.
2016년 4월 29일 : 부산진역 기점 126.3km로 변경되었다.[7]
2016년 12월 30일 : 동해남부선이 동해선에 편입되었다.[1]
2021년 8월 26일 : 부산진역 기점 125.4km 로 변경되었다.[8]
2021년 12월 28일: 태화강역 ~ 모량역 구간의 복선 전철화 완료로 안강리에서 갑산리로 이전되었다.
2024년 9월 26일: ITX-마음 정차 개시
2. 2. 승강장
wikitext
2. 2. 1. 세부 정보
wikitable
2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이용한다. 역과 가까운 1번선에는 포항행 열차가 정차하고, 3번선은 부전·동대구행 열차가 정차한다. 가운데 2번선은 괴동선 열차가 주로 사용한다.
3. 역 구조
4. 인접한 역
동대구·부전 방면 포항 포항 방면 서경주 누리로
동해선동대구 방면 포항 포항 방면 아화 ITX-마음
동해선동대구 방면 포항 포항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