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앤드루 마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드루 마벌은 17세기 영국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1621년 3월 31일에 태어나 1678년에 사망했다. 그는 헐 문법 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유럽 여행을 통해 다양한 언어를 습득했다. 마벌은 1657년 올리버 크롬웰의 국무원 라틴어 비서로 임명되었으며, 킹스턴 어폰 헐 지역구의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왕정복고 이후에는 찰스 2세의 궁정 부패를 비판하는 풍자시를 썼으며, 존 밀턴의 '실낙원' 출판을 돕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신고전주의 전통에 기반하며, '수줍은 애인에게'와 같은 서정시와 시사 풍자, 종교적 주제를 다룬 산문을 남겼다. 마벌은 청렴한 삶과 사후의 가난으로 '영국의 아리스티데스'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21년 출생 - 다테 무네카쓰 (에도 시대)
    다테 무네카쓰는 에도 시대 센다이 번 초대 번주 다테 마사무네의 아들로, 형의 사후 번주를 보좌하며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다테 소동으로 인해 개역되어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 1621년 출생 - 루이 2세 드 부르봉콩데
    루이 2세 드 부르봉콩데는 17세기 프랑스의 명장으로, 30년 전쟁, 프롱드의 난 등 격동의 시대를 거치며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로크루아 전투에서 승리하고 유럽 정세에 영향을 미쳤으며, 1675년 은퇴 후 1686년 사망했다.
  • 1678년 사망 - 야코프 요르단스
    야코프 요르단스는 플랑드르 바로크 시대의 화가, 드로잉 작가, 태피스트리 및 판화 디자이너로서, 루벤스의 영향을 받아 사실적인 묘사와 민중적 요소를 결합한 독자적인 화풍으로 종교화, 신화화, 풍속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로 활동했다.
  • 1678년 사망 - 오삼계
    오삼계는 명나라 말 청나라 초의 무장으로, 명나라 멸망 후 청과 손잡고 이자성을 격파, 평서왕에 봉해졌으나 삼번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인물로, 배신과 야망의 상징이자 진원원과의 러브스토리로도 알려져 있다.
  • 17세기 시인 - 베르나르 퐁트넬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은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과학 저술가로, 르네 데카르트의 사상을 옹호하며 과학 지식의 대중화에 기여했고, 17세기와 18세기를 잇는 가교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 17세기 시인 - 마쓰오 바쇼
    마쓰오 바쇼는 에도 시대 일본의 하이쿠 거장이자 시인으로, 자연과 여정을 담은 작품과 '가루미' 미학을 추구하며 하이쿠의 새로운 경지를 열어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앤드루 마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앤드루 마벌 (대략 1655년 ~ 1660년 사이)
출생일1621년 3월 31일
출생지위네스테드, 잉글랜드
사망일1678년 8월 16일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직업시인
모교트리니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표 작품To His Coy Mistress
The Garden
An Horatian Ode

2. 생애

앤드루 마벌은 1621년 3월 31일 요크셔 이스트 라이딩의 윈스테드에서 잉글랜드 국교회 성직자인 아버지 앤드루 마벌 시니어의 아들로 태어났다.[1] 아버지가 의 홀리 트리니티 교회 강사로 임명되면서 가족은 헐로 이사했고, 마벌은 헐 문법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1] 13세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2]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2]

1642년 중반부터 마벌은 유럽 대륙을 여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잉글랜드 내전 동안 1647년까지 유럽 대륙에 머물렀으며, 1645년 로마 방문 중에는 리처드 플렉노를 만나 훗날 그에 대한 풍자시를 썼다.[4] 훗날 존 밀턴은 마벌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 4개 국어를 습득했다고 전했다.[5]

마벌의 초기 작품은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재학 시절 쓴 라틴어그리스어 시였다. 1650년경에 쓴 〈호라티우스 송시〉는 올리버 크롬웰의 아일랜드 귀환을 찬양하면서도 찰스 1세의 처형에 대한 슬픔을 표현했다.[6][7][8]

1650년에서 1652년경, 마벌은 토머스 페어팩스의 딸 메리의 가정교사로 일하며 요크 근처 넌 애플턴 홀에서 거주했다. 이 시기에 쓴 가장 유명한 시는 〈수줍은 애인에게〉이다.[9]

1652년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 앤드루 마벌은 네덜란드를 비난하는 풍자시 〈홀란드의 특징〉을 썼다.[10] 1653년에는 크롬웰의 후견인이었던 윌리엄 더튼의 가정교사가 되었고, 1656년에는 더튼과 함께 프랑스의 프로테스탄트 학교인 소뮈르 아카데미를 방문했다.[10][11]

1657년 마벌은 존 밀턴과 함께 크롬웰 국무원의 라틴어 비서로 임명되어 당시 기준으로 넉넉한 수준인 연봉 200GBP를 받았다.[12]

1659년 제3차 보호령 의회에서 킹스턴 어폰 헐 지역구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41] 1660년 소집 의회[41]1661년 기사 의회에서도 재선되었다.[12]

1660년 찰스 2세 아래에서 왕정복고가 이루어졌지만, 마벌은 공화제에 협력했음에도 처벌을 피했다. 그는 찰스 2세에게 존 밀턴이 군주제에 반대하는 글을 쓰고 혁명적인 행동을 한 것에 대해 처벌하지 않도록 설득했으며,[14]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 제2판에 "밀턴 씨의 실낙원에 관하여"라는 서문 시를 기고하여 두 사람의 친밀함을 보여주었다.[15]

1661년 기사 의회에서 헐의 국회의원으로 다시 선출된[12] 마벌은 궁정의 부패에 대해 길고 통렬한 풍자시를 여러 편 썼다. 1667년에 쓰여진 그의 가장 긴 풍자시인 ''화가에게 보내는 마지막 지침''에서 마벌은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동안 영국의 실패에 기여한 정치적 부패에 대해 썼다.[16]

1659년부터 1678년 사망할 때까지 마벌은 헐 트리니티 하우스 선주 길드의 런던 대리인으로 활동했으며, 네덜란드 공화국, 러시아, 스웨덴, 덴마크 등 유럽 대륙으로 두 차례 파견 근무를 다녀왔다.

1678년, 앤드루 마벌은 헐에서 열린 옛 선거구민들의 대중 집회에 참석하던 중 갑자기 사망했다. 그는 런던 중심부의 세인트 자일스 인 더 필즈 교회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앤드루 마벌은 1621년 3월 31일 잉글랜드 요크셔 이스트 라이딩의 윈스테드에서 잉글랜드 국교회 성직자인 아버지 앤드루 마벌 시니어의 아들로 태어났다.[1] 아버지가 의 홀리 트리니티 교회 강사로 임명되면서 가족은 헐로 이사했고,[1] 마벌은 헐 문법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1] 13세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2]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2] 고드프리 넬러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마벌의 초상화가 트리니티 칼리지에 소장되어 있다.[3]

2. 2. 유럽 여행과 초기 작품 활동

1642년 중반부터 마벌은 유럽 대륙을 여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귀족의 튜터로 일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이 사실은 명확하지 않다. 잉글랜드 내전 동안 마벌은 1647년까지 유럽 대륙에 머물렀다. 1645년 로마 방문 중에는 빌리어스 형제인 프란시스 경과 제2대 버킹엄 공작, 그리고 리처드 플렉노를 만났을 것으로 추정되며, 훗날 플렉노에 대한 풍자시를 썼다.[4] 정확한 여행 경로는 불분명하지만, 훗날 밀턴은 마벌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 4개 국어를 습득했다고 전했다.[5]

마벌의 초기 작품은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재학 시절 쓴 라틴어그리스어 시였다. 이 시들은 페스트 유행을 애도하고 찰스 1세와 앙리에타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의 탄생을 축하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6] 1650년경에 쓴 〈호라티우스 송시〉는 올리버 크롬웰의 아일랜드 귀환을 찬양하면서도 찰스 1세의 처형에 대한 슬픔을 표현했다.[6][7][8]

2. 3. 가정교사 생활과 넌 애플턴 시기

1650년에서 1652년경, 마벌은 올리버 크롬웰에게 의회군 지휘권을 넘겨준 토머스 페어팩스의 딸 메리의 가정교사로 일했다.[9] 이 기간 동안 마벌은 요크 근처 넌 애플턴 홀에서 거주하며 시를 썼다. 〈애플턴 하우스에, 나의 로드 페어팩스에게〉는 전쟁과 정치적 변화 시기에 페어팩스와 마벌 자신의 사회적 상황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저택을 묘사했다.[9] 이 시기에 쓴 가장 유명한 시는 〈수줍은 애인에게〉이다.

2. 4. 영국-네덜란드 전쟁 시기와 라틴어 비서

1652년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 앤드루 마벌은 네덜란드를 비난하는 풍자시 〈홀란드의 특징〉을 썼다. 이 시에서 마벌은 당시 네덜란드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반복하며, "바다의 소화되지 않은 토사물,/ 정당한 소유권에 의해 네덜란드인에게 떨어졌다."라고 묘사했다.[10]

1653년, 마벌은 크롬웰의 후견인이었던 윌리엄 더튼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그는 이튼에서 존 옥센브리지와 함께 살았는데, 옥센브리지의 버뮤다 방문 경험은 마벌의 시 〈버뮤다〉에 영감을 주었다.[10] 1656년 마벌과 더튼은 프랑스의 프로테스탄트 학교인 소뮈르 아카데미를 방문했다.[10][11]

1657년 마벌은 존 밀턴과 함께 크롬웰 국무원의 라틴어 비서로 임명되었다. 그는 연봉 200GBP를 받았는데, 이는 당시 기준으로 넉넉한 수준이었다.[12]

2. 5. 의회 활동과 왕정복고

1659년 제3차 보호령 의회에서 킹스턴 어폰 헐 지역구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의회 회기 동안 하루 6실링 8펜스의 급여를 받았다.[41] 1660년 소집 의회[41]1661년 기사 의회에서 킹스턴 어폰 헐 지역구 의원으로 재선되었다.[12]

1660년 잉글랜드에서 왕정이 부활했고, 찰스 2세가 왕위에 올랐다. 마벌은 왕정복고 이후, 찰스 2세의 궁정 부패를 비판하는 풍자시를 썼다. 〈화가에게 보내는 마지막 지침〉(1667)은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1665-1667) 중 영국의 실패에 기여한 정치적 부패를 비판했다.[16]

1659년부터 1678년 사망할 때까지 헐 트리니티 하우스 선주 길드의 런던 대리인으로 활동했다.

2. 6. 왕정복고 이후의 활동과 죽음

1660년 찰스 2세 아래에서 왕정복고가 이루어졌다. 마벌은 공화제에 협력했음에도 처벌을 피했고, 찰스 2세에게 존 밀턴이 군주제에 반대하는 글을 쓰고 혁명적인 행동을 한 것에 대해 처벌하지 않도록 설득했다.[14] 마벌은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 제2판에 "밀턴 씨의 실낙원에 관하여"라는 서문 시를 기고하여 두 사람의 친밀함을 보여주었다. 한 전기 작가는 마벌에 대해 "자기 보존술에 뛰어나지만 아첨꾼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15]

1661년 마벌은 기사 의회에서 헐의 국회의원으로 다시 선출되었다.[12] 그는 궁정의 부패에 대해 길고 통렬한 풍자시를 여러 편 썼다. 이 시들은 주로 필사본 형태로 유통되었지만, 일부는 익명으로 인쇄되어 출판되기도 했다. 이 시들은 정치적으로 너무 민감하고 위험했기 때문에, 마벌이 죽은 후 한참이 지나서야 그의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마벌은 '궁정 당'에 반대하며 그들을 주요 공격 대상으로 풍자했다. 1667년에 쓰여진 그의 가장 긴 풍자시인 ''화가에게 보내는 마지막 지침''에서 마벌은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동안 영국의 실패에 기여한 정치적 부패에 대해 썼다. 이 시는 명예 혁명 이후에야 인쇄되어 출판되었다. 이 시는 상상의 화가에게 제대로 된 해군 없이 나라를 방어할 수 없는 상태, 지능이나 용기가 없는 사람들, 부패하고 방탕한 궁정, 그리고 부정직한 관리들에 의해 이끌어지는 국가를 어떻게 묘사해야 하는지 지시한다. 또 다른 풍자 작품에 대해, 정부 관료였던 사무엘 페피스는 자신의 사무엘 페피스 일기에 "여기서 네덜란드인들이 들어오고 전쟁이 끝나는 것에 대한 네 번째 화가에게 보내는 조언을 만났는데, 너무 날카롭고 사실적이어서 읽는 것이 가슴 아팠다."라고 적었다.[16]

1659년부터 1678년 그가 죽을 때까지 마벌은 헐 트리니티 하우스 선주 길드의 런던 대리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네덜란드 공화국, 러시아, 스웨덴, 덴마크 등 유럽 대륙으로 두 차례 파견 근무를 다녀왔다. 그는 런던 북부의 하이게이트 힐에 있는 작은 별장에 잠시 살았는데, 그곳에서의 그의 체류는 현재 비문이 새겨진 청동판으로 기록되어 있다.[17] 근처 로더데일 하우스에 있는 꽃 해시계에는 그의 시 "정원"의 구절이 새겨져 있다.[18]

앤드루 마벌은 1678년 헐에서 열린 옛 선거구민들의 대중 집회에 참석하던 중 갑자기 사망했다. 그의 건강은 매우 좋았기에, 일부 사람들은 그의 정치적 또는 성직자 적의에 의한 독살설을 제기했으나, 이는 입증되지 않았다. 마벌은 런던 중심부의 세인트 자일스 인 더 필즈 교회에 묻혔다.

3. 사상 및 견해

앤드루 마벌은 의회파였지만, 청교도는 아니었다. 주교제에는 반대했지만, 말년에는 성공회에 순응했던 것으로 보인다.[22] 마벌은 팸플릿에서 스스로를 "개신교도"라고 명확히 밝혔다.[23] 그는 젊은 시절 잠시 가톨릭교회와 관계를 맺었으며, 30대에는 "주목할 만한 영국-이탈리아 마키아벨리주의자"로 묘사되었다.[25][26]

그의 강한 성경적 영향은 "정원", "화관", "버뮤다"와 같은 시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27]

빈센트 팔미에리는 마벌이 청렴결백한 삶과 죽음 이후의 빈곤함 때문에 때때로 "영국의 아리스티데스"로 불렸다고 언급했다.[28]

4. 작품 세계

앤드루 마벌은 당대의 신고전주의 전통 양식에 충실했다. 그의 서정시 〈수줍은 연인에게〉는 카르페 디엠 서정시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익숙한 형식을 통해 독특한 비유, 유추, 성찰, 삶과 죽음에 대한 질문을 담아냈다.[29] T.S. 엘리엇은 마벌의 스타일에 대해 "가벼운 서정적 우아함 아래의 강인한 합리성"이라고 평가했다.[30] 그의 작품들은 시사 풍자 및 종교적 주제를 통합하기도 한다.

4. 1. 시

마벌은 라틴어그리스어로 초기 시를 썼으며, 케임브리지 재학 중 출판되었다. 이 시들은 페스트 유행을 애도하고 찰스 1세와 앙리에타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의 탄생을 축하하는 내용이었다. 1649년 1월 30일 찰스 1세 처형 이후, 마벌은 공화정 시대 동안 차례로 들어선 정권에 뒤늦게 동정심을 갖게 되었다. 1650년에 쓰여진 정치적인 시 "호라티우스 송시 (An Horatian Ode upon Cromwell's Return from Ireland)"는 올리버 크롬웰의 아일랜드 귀환에 대한 전반적인 찬양에도 불구하고 국왕 시해에 대한 슬픔을 담고 있다.[6][7][8]

1650년에서 1652년경, 마벌은 크롬웰에게 의회군 지휘권을 넘겨준 토머스 페어팩스의 딸 메리의 가정교사로 일했다. 이 기간 동안 마벌은 요크 근처 넌 애플턴 홀에서 거주하며 시를 계속 썼다. "애플턴 하우스에, 나의 로드 페어팩스에게 (Upon Appleton House, to My Lord Fairfax)"는 전쟁과 정치적 변화 시기에 페어팩스와 마벌 자신의 사회적 상황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저택을 묘사한다.[9] 이 시기에 쓴 가장 유명한 시는 "수줍은 애인에게 (To His Coy Mistress)"일 것이다.

1652년,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발발 전 긴장이 고조되는 시기에 마벌은 풍자시 "홀란드의 특징 (The Character of Holland)"을 썼다. 이 작품은 네덜란드인을 "술에 취하고 불경스러운" 존재로 묘사하는 당시의 고정관념을 되풀이했다. "바다의 소화되지 않은 토사물이,/ 정당한 소유권에 의해 네덜란드인에게 떨어졌다."

1653년, 마벌은 크롬웰의 후견인 윌리엄 더튼의 가정교사가 되어 존 옥센브리지의 이튼 저택에서 제자와 함께 살았다. 옥센브리지는 이전에 버뮤다를 두 차례 방문했는데, 이는 마벌이 시 "버뮤다 (Bermudas)"를 쓰도록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또한 당시 잉글랜드의 호국경이었던 크롬웰을 찬양하는 여러 시를 썼다. 1656년 마벌과 더튼은 프랑스로 여행하여 프로테스탄트 소뮈르 아카데미를 방문했다.[10][11]

4. 2. 산문

마벌은 익명의 산문 풍자물을 썼는데, 군주제로마 가톨릭을 비판하고, 청교도 반체제 인사들을 옹호하며, 검열을 비난했다.[19]

새뮤얼 파커를 공격하는 글인 ''The Rehearsal Transpros'd''는 1672년과 1673년에 두 부분으로 출판되었다.

''Mr. Smirke; or The Divine in Mode''(1676)는 영국 성공회의 불관용을 비판했으며, "종교 문제에 관한 일반 공의회, 신조, 그리고 강요에 대한 짧은 역사적 에세이"와 함께 출판되었다.

마벌의 팸플릿인 ''An Account of the Growth of Popery and Arbitrary Government in England''는 1677년 말에 출판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수년간, '영국'의 합법적인 정부를 절대적인 폭정으로 바꾸고, 확립된 개신교 종교를 완전한 교황주의로 바꾸려는 계획이 진행되어 왔다."[19] 존 필립스 케니언은 이 팸플릿을 "1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팸플릿 중 하나"라고 묘사했으며,[20] G. M. 트레벨리안은 이를 "휘그당의 형성을 촉발한 원인에 대한 빛을 비추는 훌륭한 팸플릿"이라고 불렀다.[21]

1678년 익명으로 출판된 ( "어떤 개신교도에 의해" ) 작품은 동료 반체제 인사였던 엄격한 칼뱅주의자인 토머스 댄슨의 공격에 맞서 존 하우를 옹호하는 내용으로, 마벌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 이 작품의 전체 제목은 ''Remarks upon a late disingenuous discourse, writ by one T.D. under the pretence de causa Dei, and of answering Mr. John Howe's letter and postscript of God's prescience, &c., affirming, as the Protestant doctrine, that God doth by efficacious influence universally move and determine men to all their actions, even to those that are most wicked''이다.

5. 유산

헐(Hull)에는 앤드루 마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중등학교인 앤드루 마벌 비즈니스 앤드 엔터프라이즈 칼리지가 있다.[31]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Parliament: The House of Commons 1640-1660 https://www.cambridg[...] Boydell & Brewer 2023
[2] 문서 Marvell, Andrew
[3] 웹사이트 Trinity College, University of Cambridge https://archive.toda[...] BBC Your Paintings 2018-02-12
[4] 문서 The Grand Tour and the Great Rebellion Geneva 1985
[5] 문서 Andrew Marvell 1999
[6] 문서 An Horatian Ode upon Cromwell's Return from Ireland
[7] 웹사이트 Online text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Understanding Poetry (Brooks/Penn Warren): Marvell's Horatian Ode http://writing.upenn[...]
[9] 웹사이트 Upon Appleton House, to my Lord Fairfax http://www.luminariu[...] Luminarium 2017-08-06
[10] 웹사이트 Andrew Marvell: Chronology of Important Dates http://www.luminariu[...]
[11] 문서 Andrew Marvell 1999
[12] 웹사이트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 Marvell, Andrew http://www.historyof[...]
[13] 문서 Considerations on Representative Government Oxford World's Classic edition 1991
[14] 문서 The Works of Andrew Marvell Ware 1995
[15] 문서 Andrew Marvell 1999
[16] 간행물 The Diary of Samuel Pepys https://books.google[...] 1667-09-16
[17] 웹사이트 Andrew Marvell's cottage : London Remembers, Aiming to capture all memorials in London http://www.londonrem[...]
[18] 웹사이트 Poetry Landmarks https://web.archive.[...] 2013-09-29
[19] 서적 An Account of the Growth of Popery and Arbitrary Government in England Gregg International Publishers Limited 1971
[20] 서적 The Popish Plot Phoenix 2000
[21] 서적 England under the Stuarts Routledge 2002
[22] ODNB Marvell, Andrew (1621–1678), poet and politician http://www.oxforddnb[...]
[23] ODNB Beaton, James (c. 1473–1539), administrator and archbishop of St Andrews http://www.oxforddnb[...]
[24] 문서 Andrew Marvell: his life and writings Paul Elek 1978
[25] 웹사이트 Chronology of Andrew Marvell http://www.english.o[...]
[26] 서적 An Andrew Marvell Companion Routledge 1998
[27] 웹사이트 Andrew Marvell: Poems "Bermudas" Summary and Analysis http://www.gradesave[...]
[28] 문서 Andrew Marvell 1999
[29] 간행물 The Voices of Seduction in "To His Coy Mistress": A Rhetorical Analysis http://www.jstor.org[...] 1968
[30] 문서 The Metaphysical Poets and Andrew Marvell Harcourt 1975
[31] 웹사이트 Andrew Marvell College http://www.andrew-ma[...]
[32] 웹사이트 Andrew Marvell College http://www.andrew-ma[...] 2015-10-27
[33] 문서 Marvell, Andrew
[34] 웹사이트 Trinity College, University of Cambridge http://www.bbc.co.uk[...] BBC Your Paintings 2015-10-27
[35] 문서 Andrew Marvell 1999
[36] 문서 An Horatian Ode upon Cromwell's Return from Ireland
[37] 웹사이트 Online text http://www.geocities[...] 2015-10-27
[38] 웹사이트 Understanding Poetry (Brooks/Penn Warren): Marvell's Horatian Ode http://writing.upenn[...]
[39] 웹사이트 Andrew Marvell: Chronology of Important Dates http://www.luminariu[...]
[40] 서적 Andrew Marvell 1999
[41] 웹사이트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 Marvell, Andrew https://www.historyo[...]
[42] 서적 Considerations on Representative Government Oxford World's Classic edition 1991
[43] 서적 The Works of Andrew Marvell 1995
[44] 서적 Andrew Marvell 1999
[45] 웹사이트 Andrew Marvell's cottage : London Remembers, Aiming to capture all memorials in London http://www.londonrem[...]
[46] 웹사이트 Poetry Landmarks - Individual Landmark http://more.poetryso[...]
[47] 서적 Andrew Marvell: his life and writings Paul Elek 1978
[48] 웹사이트 http://www.english.o[...] 2009-01-13
[49] 서적 An Andrew Marvell Companion Routledge 1998
[50] 문서 Andrew Marvell
[51] 서적 Andrew Marvell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