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나기모토 류사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나기모토 류사쿠는 일본 해군 군인으로,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항공모함 소류의 함장으로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삼국 동맹 체결에 반대하고 레이더 기술을 옹호하는 등 선진적인 사고를 보였으나, 미드웨이 해전에서 소류가 격침될 때 퇴함을 거부하고 함과 함께 사망했다. 사후 해군 소장으로 추서되었으며 욱일장 2등급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해군 소장 - 사노 쓰네하
사노 쓰네하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백작이며, 일본 보이스카우트 운동의 선구자로서, 해군 장교로 청일 전쟁과 의화단 운동에 참전, 독일 대사관 무관 시절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접하고 일본에 도입하는 데 기여, 퇴역 후 소년단을 결성하고 세계 잼버리에 참가하는 등 일본 보이스카우트 연맹의 지도자 훈련 체계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일본 해군 소장 - 시마즈 다다시게
시마즈 다다시게는 가고시마 출신의 해군 군인이자 귀족원 의원으로서, 해군 장교 복무 후 귀족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교육 및 농촌 진흥에 힘썼고, 난초 육종가로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 진주만 공격 관련자 - 후치다 미쓰오
후치다 미쓰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항공모함 아카기의 비행대장으로서, 진주만 공격의 제1차 공격대 총지휘관으로 참여하여 기습 성공 암호를 발신하고 미드웨이 해전에도 참전했으며, 종전 후 기독교 전도사로 활동하며 회고록과 미드웨이 해전 기록을 출판하는 등 그의 행적에 대한 역사적 논쟁이 있다. - 진주만 공격 관련자 - 미카와 군이치
미카와 군이치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작전에서 지휘관을 맡았으며, 과달카날 전역에서의 소극적인 태도와 아키카제 학살 사건 연루 의혹 등으로 엇갈린 평가를 받고 종전 후 B급 전범으로 수감되었다. - 배와 운명을 함께한 선장 - 이토 세이이치
이토 세이이치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으로, 해군 대장까지 승진하여 연합함대 참모장, 군령부 차장 등을 역임하고, 제2함대 사령장관으로서 덴고 작전을 지휘하다 오키나와 해전에서 전사했다. - 배와 운명을 함께한 선장 - 야마구치 다몬
야마구치 다몬은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해군 중장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드웨이 해전에서 제2항공전대 사령관으로서 항공모함 히류를 지휘하다 전사 후 해군 중장으로 추서되었으며 그의 유품은 해군 관련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야나기모토 류사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야나기모토 류사쿠 (柳本 柳作) |
출생 | 1894년 1월 9일 |
출생지 | 나가사키현 히라도시, 일본 |
사망 | 1942년 6월 5일 |
사망 장소 | 태평양 |
묘소 | 미확인 |
군사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916년 – 1942년 |
최종 계급 | 해군 소장 (사후 추서) |
지휘 | 노토로, 소류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진주만 공격 웨이크 섬 전투 다윈 공습 인도양 작전 미드웨이 해전 |
수훈 | 욱일장 2등 |
2. 생애
나가사키현 히라도 출신으로, 해군병학교 44기를 졸업하였다. 군령부 제2부 제3과장 재직 중에는 삼국동맹 체결에 반대했다. 그는 레이더와 선진 기술, 합리적 사고에 뛰어났다. 태평양 전쟁 발발 시 항공모함 소류의 함장이 되어 하와이 작전, 웨이크 섬 공략전, 인도양 작전 등에 참가했으나, 미드웨이 해전에서 함과 함께 최후를 맞이했다. 사후 해군 소장으로 추서되었다.[1][2]
항공모함 소류가 모든 기능을 상실했다는 판단을 내린 야나기모토는 곧바로 퇴함명령을 내렸다. 이후 그는 함교에 혼자 남아 있었다. 소류의 비행대장과 야마모토 이소로쿠 연합함대 사령장관이 퇴함을 권고했으나, 그는 함교에 남았다. 남은 승무원과 비행대장이 설득했지만, 듣지 않자 이들은 구축함과 비행기로 탈출했다.
야나기모토는 일본도를 뽑아든 채 함교에 서서 승조원들의 퇴함을 지켜보았다. 마지막으로 퇴함하는 승무원들을 불타는 함교에서 바라보며 전송한 후, "소류, 만세!"를 연호하면서 함과 함께 침몰했다. 탈출한 승무원들은 불타는 함교 위에서 손을 흔드는 그의 마지막 모습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나가사키현 히라도시 출신으로, 에도 시대에 이세 신궁에서 히라도로 파견된 신관의 후손이다. 어린 시절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집안 형편이 넉넉하지 않아 고등학교에 다니면서 모교에서 임시 교사로 일해야 했다.[1]1913년 해군병학교에 입교하여 1916년에 졸업했다. 당시 졸업 성적은 95명 중 21등이었다.[1] 1924년 해군대학교 갑종 제25기에 입교, 1926년에 졸업했는데, 졸업 성적은 20명 중 5등이었다.[1]
2. 2. 해군 경력
야나기모토는 1916년 일본 해군 사관학교 제44기를 졸업했다. 졸업 성적은 95명 중 21등이었다. 졸업 후, 사관후보생으로서 순양함 도키와에 배속되어 1917년 캐나다와 미국, 남양군도, 홍콩 등을 방문하는 장거리 항해 훈련에 참가했다.[1] 귀국 후에는 전함 기리시마에 배속되었다.[1] 1918년에는 순양함 니이타카에서, 1919년에는 쓰가루에서 복무했다.[1] 1919년 소위로 진급한 후, 1920년에는 전함 가토리에, 1921년에는 전함 이세에 배속되었다.[1] 고급 포술 학교를 수료한 후, 1923년 12월에는 구축함 아사카제의 포술 장교로 임명되었다.[1]1925년, 야나기모토는 해군 참모 대학 제25기를 20명 중 5등으로 졸업했다.[1] 1928년 12월 중령으로 진급했으며, 전함 히에이의 부 포술 장교로 근무했다.[1] 1929년 9월, 요코스카 진수부의 참모로 배속되었고, 1930년 2월부터는 해군성 인사부에 배속되었다.[1]
1933년 5월, 야나기모토는 영국으로 무관으로 파견되었고, 같은 해 대령으로 진급했다.[1] 일본 해군 기술부에 배속되어 1934년 제2차 런던 해군 군축 조약 협상에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다.[1] 1935년 5월 일본으로 귀국 명령을 받았다.[1] 그 후 일본 제국 해군 참모 본부에서 여러 참모 직책을 수행했다.[1] 1937년 12월, 그는 처음으로 함대 지휘관이 되었으며, 보조 수상기 모함 노토로를 지휘했다.[1]
1938년 11월부터 일본 제국 해군 참모 본부 내에서 행정직을 맡았다. 그는 삼국 동맹 조약 협상에 관여했지만, 이 조약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했다.[1] 그는 군령부 제2부 제3과장 재직 중 하시모토 쇼조 제2부 제4과장과 함께 삼국 동맹 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또한 그는 레이더 기술의 조기 옹호자였으며, 이노우에 시게요시 제독과 다른 고위 해군 참모들의 "낡은 사고방식"과 새로운 기술의 중요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점을 비판했다.[1][4]
2. 3. 태평양 전쟁 참전
1941년 10월 6일, 야나기모토는 항공모함 소류의 함장으로 임명되었다.[1] 그는 소류를 이끌고 진주만 공격, 웨이크 섬 공략 작전, 인도양 작전 등 태평양 전쟁 초기의 주요 작전에 참전했다.[2]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소류가 미군 급강하 폭격기의 공격을 받아 침몰하게 되자, 야나기모토는 퇴함을 거부하고 함과 함께 최후를 맞이했다.[1][2] 그는 사후 해군 소장으로 추서되었으며 욱일장 2등급을 수여받았다.3. 미드웨이 해전 최후
항공모함 소류가 기능을 상실하자 야나기모토는 퇴함 명령을 내렸지만, 함교에 혼자 남았다.[1][2] 소류의 비행대장이 그를 설득하려 했으나 야나기모토는 완강히 거부했다. 야마모토 이소로쿠 연합함대 사령장관의 퇴함 권고에도 불구하고, 그는 일본도를 든 채 함교에 남아 승조원들의 퇴함을 지켜보았다.
마지막으로 퇴함하는 승무원들을 불타는 함교에서 바라보며 전송한 후, "소류, 만세!"를 연호하면서 함과 함께 침몰했다.[5] 탈출한 승무원들은 불타는 함교 위에서 손을 흔드는 그의 마지막 모습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4. 평가
야나기모토 류사쿠는 선진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가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레이더 기술의 중요성을 조기에 인식하고 이를 옹호했으며, 삼국 동맹 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등 국제 정세를 읽는 안목도 있었다.[3] 하지만, 그의 상관이었던 이노우에 시게요시는 야나기모토가 담당했던 군비 계획을 "너무 구식"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4]
미드웨이 해전에서 야나기모토가 보여준 최후는 일본 해군 내에서 용감한 군인 정신의 표상으로 여겨진다. 그는 항공모함 소류가 미군 급강하 폭격기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침몰할 위기에 처하자, 총원 퇴함 명령을 내렸지만 자신은 함교에 남아 배와 운명을 함께 했다.[1][2] 이러한 그의 행동은 장렬한 최후로 칭송받았으나, 일각에서는 그의 판단이 최선이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5. 연보
연도 | 내용 |
---|---|
1894년 | 나가사키현히라도 출생[1] |
1913년 | 해군병학교 입교 |
1916년 | 해군병학교 졸업 (44기). 해군소위 후보생. 장갑순양함 도키와 승선, 연습함대 근해 및 원양 항해[1] |
1917년 | 해군소위 임관, 순양전함 기리시마 승선[1] |
1918년 | 2등 순양함 니이타카 승선[1] |
1919년 | 2등 순양함 쓰가루 승선, 해군중위 진급, 해군 포술학교 보통과 학생[1] |
1920년 | 해군 수뢰학교 보통과 학생[1] |
1921년 | 전함 이세 분대장[1] |
1922년 | 해군대위 진급, 해군 포술학교 고등과 제22기 학생[1] |
1923년 | 1등 구축함 아사카제 포술장 겸 분대장[1] |
1924년 | 해군대학교 갑종 제25기 입교[1] |
1926년 | 해군대학교 갑종 졸업 (25기). 졸업 성적 20명 중 5등.[1] |
1928년 | 해군소령 진급, 순양전함 히에이 부포장 겸 분대장[1] |
1929년 | 요코스카 진수부 참모[1] |
1930년 | 해군성 인사부[1] |
1933년 | 영국 주재 무관 보좌관보[1], 해군중령 진급[1] |
1934년 | 제2차 런던 해군 군축 조약 협상 일본 대표단[1] |
1937년 | 해군대좌 진급, 보조 수상기 모함 노토로 함장[1] |
1939년 | 해군 군령부 제2부 제3과장[1] |
1941년 | 항공모함 소류 함장[1] |
1942년 |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국 해군 항공기의 공격으로 소류가 격침될 때 전사. 해군소장 추서.[1][2] 욱일장 2등급 수여.[1] |
6. 훈장
참조
[1]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12-18
[2]
서적
y: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U.S. Navy's Greatest Victory
Naval Institute Press
2013
[3]
서적
太平洋戦争名将勇将総覧
[4]
서적
井上成美
[5]
서적
太平洋海戦2 激闘篇
講談社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