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언싱커블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싱커블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영국, 미국, 소련 3개국의 협력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소련을 잠재적 적국으로 간주한 영국 정부가 소련에 대한 군사 작전을 계획한 것이다. 이 작전은 크게 공세 계획과 방어 계획으로 나뉘었으며, 공세 계획은 1945년 7월 1일 소련 점령 지역 기습 공격을 목표로 했으나, 병력 열세로 인해 실현 불가능하다고 평가되었다. 방어 계획은 소련의 서유럽 공격에 대비해 영국 본토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작전은 냉전 구도의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되며, 영국 본토 방어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소련군의 군사력 증강으로 인해 미영군의 패배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냉전 전쟁사 - 6.25 전쟁 기간 영국의 군사사
    6.25 전쟁 기간 영국의 군사사는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영국이 해군과 육군을 파견하고 총 81,084명이 참전하여 1,108명이 전사했으며, 임진강 전투, 가평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고, 파주 설마리 전투 추모 공원과 런던 한국전쟁 기념비로 참전을 기린다.
  • 영국의 냉전 전쟁사 - 정글 작전
    정글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MI6가 발트해 연안에서 첩보 및 파괴 공작을 수행하기 위해 연합군 훈련 요원을 침투시키고, 냉전 시대에는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고자 발트 3국 출신 망명자들을 훈련시켜 본국에 침투시킨 비밀 작전이다.
  • 미국의 취소된 군사 작전 - 몰락 작전
    몰락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연합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계획한 작전으로, 올림픽 작전과 코로넷 작전으로 구성되었으며, 미군 주도로 소련 참전, 화학 및 핵무기 사용까지 고려되었으나 일본 항복으로 실행되지는 않았고, 막대한 인명 피해와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 적대적인 민간인의 저항이 예상되었다.
  • 미국의 취소된 군사 작전 - 파스텔 작전
    파스텔 작전은 내용이 없는 빈 문서로, 편집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관련 내용을 추가하여 문서를 완성해야 한다.
  • 영국의 취소된 군사 작전 - 몰락 작전
    몰락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연합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계획한 작전으로, 올림픽 작전과 코로넷 작전으로 구성되었으며, 미군 주도로 소련 참전, 화학 및 핵무기 사용까지 고려되었으나 일본 항복으로 실행되지는 않았고, 막대한 인명 피해와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 적대적인 민간인의 저항이 예상되었다.
  • 영국의 취소된 군사 작전 - 지퍼 작전
언싱커블 작전
개요
작전명언싱커블 작전
영문명Operation Unthinkable
계획 시기1945년
성격가상의 군사 작전 계획
계획 주체영국
목표소련유럽 지배 방지
결과실행되지 않음
배경
전후 상황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냉전의 초기 단계
서방 연합국의 우려소련의 영향력 확대와 동유럽 점령
작전 목표
주요 목표소련군을 폴란드에서 몰아내기
궁극적 목표소련유럽 지배 방지
계획 내용
공격 시점1945년 7월 1일 (가정)
초기 병력영국미국 연합군, 그리고 폴란드
추가 병력최대 10개 사단의 독일 국방군 투입 가능성 고려
작전 방식소련에 대한 기습 공격
실행 가능성 평가
당시 평가성공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평가됨
이유소련군의 병력 규모와 유럽 내에서의 위치
결과 및 영향
작전 폐기실행되지 않고 계획 단계에서 폐기됨
의미전후 냉전 구도 형성 과정에서 서방의 대 소련 인식 반영
관련 문서
관련 문서풀턴 연설

2. 역사적 배경

1941년 모스크바 전투에서 소련군독일군에 승리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영국, 미국, 소비에트 연방 3개국이 협력하여 세계 질서를 담당할 가능성이 높아졌다.[12] 그러나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은 소련의 볼셰비즘을 비문명적인 것으로 적대시했다.[12]

영국군의 참모총장 회의와 전후 계획 본부에서는 소련을 잠재적 적국으로 간주했고, 외무부는 장기적으로 소련이 중대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2] 한편, 소련은 막심 리트비노프를 통해 3개국 협력과 평화를 추구했지만, 터키 압박과 이탈리아북아프리카 진출을 시도하며 영국과 갈등을 빚었다.[12]

미국프랭클린 D. 루스벨트테헤란 회담 이후 처칠을 배제하는 듯했으나, 1945년 폴란드 문제와 티토트리에스테 점령 등으로 소련의 위협이 커지자 영국과 연계하여 소련에 대항했다.[13] 이러한 상황에서 처칠은 소련에 대한 군사 작전 계획 수립을 지시했으며, 이는 영국 정부 최초의 본격적인 대소련 전쟁 계획이었다.[13]

3. 작전 계획

언싱커블 작전은 크게 공세 계획과 방어 계획으로 나뉜다.

== 공세 계획 ==

작전의 초기 주요 목표는 "미국대영 제국의 뜻을 러시아에 강요하는 것"이었다. 비록 이 두 나라의 '뜻'이 폴란드에 대한 공정한 거래에 불과하다고 정의될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군사적 약속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었다."[29]

참모장위원회는 전쟁 말기 유럽 전역에 배치된 소련군의 막대한 규모와 소련의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을 신뢰할 수 없다는 인식이 있어 서유럽을 향한 소련의 위협이 도사린다는 군사적 의식이 있었다. 또한 당시 소련군은 일본군을 향한 공격도 시작하기 전이었어서 보고서의 가정 중 하나로 서방 연합군이 소련을 향한 적대행위를 시작할 시 소련이 대신 일본과 동맹을 맺는다는 가정도 있었다.

1945년 영국 총선 나흘 전인 1945년 7월 1일이 소련이 점령한 동유럽을 향한 연합국의 가설적인 침공 계획일로 예정되었다.[21] 이 계획에서는 소련군 전선 한가운데 지역인 드레스덴 지역에 영국군과 미국 47개 사단을 동원하여 기습 공격한다고 가정했다.[21] 이는 당시 영국군, 미군, 캐나다군 사령부가 가용한 100여개 사단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였다.[28]

하지만 영국군 참모장위원회가 전쟁 발발이 예상되는 7월 1일까지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 소련 지상군의 사단 수가 2.5:1로 우세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 계획은 군사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24] 대부분의 공세 작전은 미군과 영국군, 폴란드군, 그리고 포로로 잡혔다 재동원된 독일군 10개 사단이 수행할 예정이었다. 겨울이 시작되기 전까지 빠르게 성공하지 못하면 연합군은 장기간의 전면전을 치르게 되리란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1945년 5월 22일의 보고서에서는 공세 작전이 수행하기에 "너무 위험"하다고 간주했다.

오데르-나이세 선에서 승패를 결정짓는 전차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이에 영미군이 승리할 경우 단치히브로츠와프를 잇는 선까지 진군이 가능하지만, 패배할 경우에는 전면전으로의 이행이 예상되었다.

== 병력 비교 (1945년 7월 1일 기준, 연합군 추산) ==

연합군소련군
총계227개 사단679개 사단 및 여단 당량
보병사단168개 사단513개 사단 및 여단 당량
기갑사단23개 사단36개 사단
전차6,484대11,996대
전술 항공기6,714대11,388대



== 방어 계획 ==

1945년 6월 10일, 윈스턴 처칠은 "근미래에 러시아와 전쟁이 일어날 경우 브리튼 제도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후속 조치"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시했다.[30][8] 당시 미군태평양 전쟁에 집중하기 위해 유럽 주둔 미군을 본토 침공을 위해 태평양 방면으로 재배치하고 있었다.[30] 처칠은 이로 인해 소련이 서유럽을 공격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것을 우려했다.[30][8] 보고서는 미군이 태평양 전선에만 집중할 경우 영국의 승산은 "공상적일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31][9]

합동참모본부는 유럽 대륙에 교두보를 유지하려는 처칠의 구상에 대해 작전상 이점이 없다고 판단했다.[30][8] 영국은 공군과 해군을 사용하여 저항하겠지만, 대규모 로켓 공격에는 전략폭격 외에 마땅한 대응 수단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30]

소련 지상군이 영국 육군미국 육군에 비해 수적으로 압도적인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제한적인 군사 작전으로 신속한 승리를 거두는 것이 본 작전에서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다.[15] 발트해 연안을 중심으로 한 유럽 북동부에서 대규모 육상 기습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 기대되었다.[14] 영미군은 47개 사단 (그중 기갑 사단 14개)을 투입할 수 있었으며, 발트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영국 해군의 함포 사격과 함재기 공격의 지원을 받으면서, 170개 사단 (그중 기갑 사단 30개)을 보유한 소련군에 대해 우익에서 반복적으로 공세를 가하는 방침이 제시되었다.[14] 오데르-나이세 선에서 승패를 결정짓는 전차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영미군이 승리할 경우 단치히브로츠와프를 잇는 선까지 진군이 가능하지만, 패배할 경우에는 전면전으로의 이행이 예상되었다.[15]

3. 1. 공세 계획

작전의 초기 주요 목표는 "미국대영 제국의 뜻을 러시아에 강요하는 것"이었다. 비록 이 두 나라의 '뜻'이 폴란드에 대한 공정한 거래에 불과하다고 정의될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군사적 약속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었다."[29]

참모장위원회는 전쟁 말기 유럽 전역에 배치된 소련군의 막대한 규모와 소련의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을 신뢰할 수 없다는 인식이 있어 서유럽을 향한 소련의 위협이 도사린다는 군사적 의식이 있었다. 또한 당시 소련군은 일본군을 향한 공격도 시작하기 전이었어서 보고서의 가정 중 하나로 서방 연합군이 소련을 향한 적대행위를 시작할 시 소련이 대신 일본과 동맹을 맺는다는 가정도 있었다.

1945년 영국 총선 나흘 전인 1945년 7월 1일이 소련이 점령한 동유럽을 향한 연합국의 가설적인 침공 계획일로 예정되었다.[21] 이 계획에서는 소련군 전선 한가운데 지역인 드레스덴 지역에 영국군과 미국 47개 사단을 동원하여 기습 공격한다고 가정했다.[21] 이는 당시 영국군, 미군, 캐나다군 사령부가 가용한 100여개 사단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였다.[28]

하지만 영국군 참모장위원회가 전쟁 발발이 예상되는 7월 1일까지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 소련 지상군의 사단 수가 2.5:1로 우세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 계획은 군사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24] 대부분의 공세 작전은 미군과 영국군, 폴란드군, 그리고 포로로 잡혔다 재동원된 독일군 10개 사단이 수행할 예정이었다. 겨울이 시작되기 전까지 빠르게 성공하지 못하면 연합군은 장기간의 전면전을 치르게 되리란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1945년 5월 22일의 보고서에서는 공세 작전이 수행하기에 "너무 위험"하다고 간주했다.

오데르-나이세 선에서 승패를 결정짓는 전차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이에 영미군이 승리할 경우 단치히브로츠와프를 잇는 선까지 진군이 가능하지만, 패배할 경우에는 전면전으로의 이행이 예상되었다.

3. 1. 1. 병력 비교 (1945년 7월 1일 기준, 연합군 추산)

연합군소련군
총계227개 사단679개 사단 및 여단 당량
보병사단168개 사단513개 사단 및 여단 당량
기갑사단23개 사단36개 사단
전차6,484대11,996대
전술 항공기6,714대11,388대


3. 2. 방어 계획

1945년 6월 10일, 윈스턴 처칠은 "근미래에 러시아와 전쟁이 일어날 경우 브리튼 제도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후속 조치"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시했다.[30][8] 당시 미군태평양 전쟁에 집중하기 위해 유럽 주둔 미군을 본토 침공을 위해 태평양 방면으로 재배치하고 있었다.[30] 처칠은 이로 인해 소련이 서유럽을 공격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것을 우려했다.[30][8] 보고서는 미군이 태평양 전선에만 집중할 경우 영국의 승산은 "공상적일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31][9]

합동참모본부는 유럽 대륙에 교두보를 유지하려는 처칠의 구상에 대해 작전상 이점이 없다고 판단했다.[30][8] 영국은 공군과 해군을 사용하여 저항하겠지만, 대규모 로켓 공격에는 전략폭격 외에 마땅한 대응 수단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30]

소련 지상군이 영국 육군미국 육군에 비해 수적으로 압도적인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제한적인 군사 작전으로 신속한 승리를 거두는 것이 본 작전에서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다.[15] 발트해 연안을 중심으로 한 유럽 북동부에서 대규모 육상 기습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 기대되었다.[14] 영미군은 47개 사단 (그중 기갑 사단 14개)을 투입할 수 있었으며, 발트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영국 해군의 함포 사격과 함재기 공격의 지원을 받으면서, 170개 사단 (그중 기갑 사단 30개)을 보유한 소련군에 대해 우익에서 반복적으로 공세를 가하는 방침이 제시되었다.[14] 오데르-나이세 선에서 승패를 결정짓는 전차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영미군이 승리할 경우 단치히브로츠와프를 잇는 선까지 진군이 가능하지만, 패배할 경우에는 전면전으로의 이행이 예상되었다.[15]

4. 후속 논의 및 평가

1946년 무렵, 서방 연합군과 소련군 점령 지역 사이의 갈등과 긴장이 고조되면서 전면전으로 비화될 수 있다는 위협이 제기되었다. 특히 베네치아줄리아(현재의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이탈리아로 분할된 동남유럽 지역)가 분쟁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거론되었다.[32][10] 1946년 8월 30일, 영국과 미국의 참모총장들은 분쟁 발생 시나리오와 유럽 전쟁 수행 전략에 대한 비공식적인 논의를 가졌다.[32][10] 이 자리에서 유럽 대륙 교두보 유지 문제가 다시 논의되었고,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이탈리아보다는 영국과 가까운 베네룩스 3국으로 후퇴하여 교두보를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32][10]

영국 육군 참모총장 앨런 브룩은 작전 성공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판단했으며, 5월 31일 참모장 회의에서도 작전 실행은 "상상할 수 없는(Unthinkable)" 것으로 평가되었다.[17] 6월 8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트리에스테 반환에 동의하면서 작전 발동 가능성은 사라졌다.[18] 한편, 윈스턴 처칠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 성공과 7월 18일 해리 S. 트루먼과의 회담에서 연합 참모 본부 존속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후, 원자 폭탄을 이용한 소련 공격을 검토했다.[19] 그러나 총선에서 노동당이 승리하고, 8월 9일 소련 대일 참전이 개시되면서 대소 개전 계획은 무산되었다.[19]

언싱커블 작전은 영미가 소련을 군사적으로 굴복시킬 수 없었고, 영국 본토 방어는 가능하다는 점에서 냉전 구도의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된다.[20] 윈스턴 처칠은 미군이 유럽에서 전면 철수하고 소련군이 프랑스네덜란드까지 진군할 경우를 대비한 영국 본토 방어 작전(이 또한 '상상할 수 없는 작전'으로 명명됨)을 6월 10일에 입안을 명령했는데,7월 11일에 완성된 보고서에서는 소련군에게는 위협이 될 해군력이나 상륙 작전의 경험이 없고, 공군에 의한 공격의 영향도 제한적이며, 로켓 병기에 의한 공격을 제외하면 앞으로 몇 년 동안은 소련에 의해 본토의 안전이 위협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군의 군사 훈련이 활발해지면서, 미영군의 패배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9]

참조

[1] 서적 Britain's War: A New World, 1942-1947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https://www.national[...] 1945-05-22
[3]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https://web.archive.[...] Northeastern University 2017-05-02
[4]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https://web.archive.[...] Northeastern University 2018-05-05
[5] 문서 Reynolds, p. 250
[6] 문서 Gibbons, p. 158
[7]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p. 1 http://www.history.n[...] 2015-09-25
[8]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p. 30 (Annex) http://www.history.n[...] 2010-11-16
[9]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p. 24 http://www.history.n[...] 2015-05-12
[10]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p. 35 http://www.history.n[...] 2010-11-16
[11] 문서 柴山 (2006: 1406)
[12] 문서 鈴木 (2006: 73)
[13] 문서 鈴木(2006: 74)
[14] 문서 柴山 (2006: 1436)
[15] 문서 鈴木 (2006: 75)
[16] 문서 柴山 (2006: 1437)
[17] 문서 柴山 (2006: 1438)
[18] 문서 柴山(2006: 1440)
[19] 문서 鈴木 (2006: 76)
[20] 문서 鈴木 (2006: 79)
[21] 문서 Reynolds, p. 250
[22] 문서 Daniel Todman, ''Britain's War: A New World, 1942–1947'' (2020) p 744.
[23] 웹인용 "Operation Unthinkable" https://www.national[...] 1945-05-22
[24]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https://web.archive.[...] Northeastern University 2017-05-02
[25] 웹사이트 "Operation Unthinkable" https://web.archive.[...] Northeastern University 2018-05-05
[26] 문서 Reynolds, p. 250
[27] 문서 Costigliola, p. 336
[28] 문서 Gibbons, p. 158
[29] 웹인용 Operation Unthinkable..., p. 1 http://www.history.n[...] 2015-09-25
[30] 웹인용 Operation Unthinkable..., p. 30 (Annex) http://www.history.n[...] 2010-11-16
[31] 웹인용 Operation Unthinkable..., p. 24 http://www.history.n[...] 2015-05-12
[32] 웹인용 Operation Unthinkable..., p. 35 http://www.history.n[...] 2010-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