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몰락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락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국이 일본 본토를 침공하기 위해 계획한 일련의 군사 작전으로, 올림픽 작전(규슈 침공)과 코로넷 작전(간토 평야 침공)으로 구성되었다. 이 작전은 체스터 니미츠, 더글러스 맥아더 등 미국의 주요 지휘관들이 참여하여 계획되었으며, 일본군의 완강한 저항과 가미카제 공격, 예상되는 막대한 인명 피해, 화학 무기 및 핵무기 사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여러 차례 재평가되었다. 일본군은 결호 작전을 통해 본토 결전을 준비하고, 모든 자원을 동원하여 연합군의 침공을 저지하려 했으며, 1억 총 옥쇄를 외치며 저항 의지를 다졌다. 그러나 미국의 핵무기 투하와 소련의 참전으로 일본이 항복하면서 몰락 작전은 실제로 실행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취소된 군사 작전 - 언싱커블 작전
    언싱커블 작전은 2차 세계 대전 직후 윈스턴 처칠의 지시로 영국군이 입안한 대소련 선제공격 계획으로,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여 폴란드 문제 해결을 명분으로 기습 공격을 계획했으나 실행되지는 못했으며 냉전 구도의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 미국의 취소된 군사 작전 - 파스텔 작전
    파스텔 작전은 내용이 없는 빈 문서로, 편집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관련 내용을 추가하여 문서를 완성해야 한다.
  • 영국의 취소된 군사 작전 - 언싱커블 작전
    언싱커블 작전은 2차 세계 대전 직후 윈스턴 처칠의 지시로 영국군이 입안한 대소련 선제공격 계획으로,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여 폴란드 문제 해결을 명분으로 기습 공격을 계획했으나 실행되지는 못했으며 냉전 구도의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 영국의 취소된 군사 작전 - 지퍼 작전
  • 제2차 세계 대전의 취소된 작전 - 결호 작전
    결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일본 제국이 연합군의 일본 본토 상륙에 대비해 계획한 방어 작전으로, 본토 결전을 준비하기 위한 총력전 체제 구축을 목표로 했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실행되지는 못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취소된 작전 - 바다사자 작전
    바다사자 작전은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영국을 침공하기 위해 계획했으나, 독일 해군의 능력 부족과 영국 본토 항공전의 실패로 무기한 연기된 상륙 작전이다.
몰락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작전 개요
명칭몰락 작전 (Operation Downfall)
일부태평양 전쟁
목표일본 제국의 패배
계획1945년 8월 이전
계획 주체체스터 니미츠
더글러스 맥아더
미국 합동참모본부
지휘관더글러스 맥아더
실행 주체전투 서열 참고
결과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후 취소
작전 지도
몰락 작전 지도
몰락 작전 계획도. 규슈 침공 작전은 "올림픽 작전", 혼슈 침공 작전은 "코로넷 작전"으로 불렸다.
배경
관련 전투일본 본토 공습
오키나와 전투
작전 계획
단계올림픽 작전: 규슈 남부 침공 (1945년 11월 1일 예정)
코로넷 작전: 간토 지방 침공 (1946년 3월 1일 예정)
목표 지역일본 본토 및 주변 도서, 해역
참가 세력
연합군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프랑스
일본군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해군
지휘관 및 지도자
연합군해리 S. 트루먼 (미국)
클레멘트 애틀리 (영국)
더글러스 맥아더 (미국)
체스터 니미츠 (미국)
칼 스파츠 (미국)
브루스 프레이저 (영국)
일본군히로히토
스즈키 간타로
스기야마 하지메
하타 슌로쿠
도요다 소에무
병력 규모
연합군6,000,000명 이상
일본군4,335,500명 (본토), 3,527,000명 (해외)
전력
연합군전함 24척
정규 항공모함 20척
경항공모함 6척
호위항공모함 45척
수송선, 양륙함 약 2000척
항공기 6,000기 이상
일본군항공기 6150기 (8월 기준)
전함 2척
항공모함 2척
순양함 2척
구축함 23척
잠수함 23척
해군기 6659기 (종전 시)
결과
결과작전 중단
비고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작전 취소
예상 사상자
연합군125,000 ~ 1,000,000명 사망 또는 부상
일본군5,000,000 ~ 10,000,000명 사망 또는 부상
관련 항목
관련 항목결호 작전
본토 결전
소련의 홋카이도 침공 계획

2. 계획

몰락 작전의 계획은 미국의 체스터 니미츠, 더글러스 맥아더합동참모본부어니스트 킹, 윌리엄 D. 리히, 조지 마셜, 헨리 "합" 아놀드 등이 담당했다.[230] 맥아더는 5성 장군들 위에서 작전 권한을 가질 수 있는 특별 등급으로 승진될 예정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비공식적인 논의에 머물렀다.[231]

니미츠, 맥아더, 리히 제독이 루스벨트와 회의를 하고 있다.


당시 맨해튼 계획은 극비였고, 고위 관계자만 원자 폭탄 개발을 알았다. 초기 계획에는 원자 폭탄이 고려되지 않았지만, 사용 가능해지자 마셜은 침공 지원에 활용할 계획이었다.[232]

태평양 전쟁은 단일 최고사령관 없이 지역별로 분할 지휘되었다. 체스터 니미츠는 태평양 전역, 더글러스 맥아더는 남서태평양 지역을 맡았다. 일본 침공에는 통일된 지휘가 필요했고, 미국 해군미국 육군 간의 경쟁이 심해 계획이 무산될 뻔했다. 결국 해군이 양보하여 필요시 맥아더가 모든 병력을 지휘하게 되었다.[233]

미국은 제2차 퀘벡 회담에서 일본 본토 침공 작전을 승인했고, 윈스턴 처칠은 영국군의 공헌 확대를 협의했지만, 영국은 병력 수송 및 보급 문제로 미국에 의존해야 했다. 맥아더는 인도군 참가를 거부했고, 영연방군은 3개 사단 75,000명으로 제한되었다.[101]

1945년 얄타 회담에서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소련의 대일 참전을 촉구, "극동 밀약"을 체결했다. 3월 29일, 미국 통합 참모 본부는 "대일 공격 전력 최종 계획"을 작성, 일본 본토 침공 작전을 "다운폴 작전", 규슈 침공을 "올림픽 작전", 간토 침공을 "코로넷 작전"으로 명명했다.[102]

1945년 4월 12일 루스벨트 사망 후 해리 S. 트루먼이 대통령이 되었지만, 전황과 전략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97] 일본 본토 침공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졌다.[103]

미 해군과 육군 항공대는 B-29에 의한 공습과 해상 봉쇄를 주장했다. 앨버트 웨더마이어는 중국 연안 상륙, 체스터 니미츠저우산 군도와 닝보 반도 공략 ("롱텀 작전")을 주장했다.[105] 맥아더는 이에 반발, 일본 직접 침공을 주장하며 "다운폴 작전"을 진행, "롱텀 작전"은 폐기되었다.[97][106]

독일 패전으로 올림픽 작전은 1945년 11월 1일로 앞당겨졌다. 6월 18일, 트루먼은 백악관 회의에서 "올림픽 작전"을 승인했다.[92]

태평양 전선은 육해공 3군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일원 통괄했던 유럽 전선과 달리, 태평양 전선은 맥아더와 체스터 니미츠가 이원 통괄했다. 맥아더는 지휘권 문제를 제기했고,[152] 루스벨트 사망 후 해군에 지휘권 부여를 요구했다. 제임스 포레스탈 해군 장관과 니미츠는 반발했고, 결국 맥아더가 작전 책임을 지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단, 니미츠에게는 상륙 단계에서 자유 재량이 부여되었다.[154]

독일 항복 후, 유럽 전선 지휘관들은 참전을 희망했다. 조지 패튼은 "사단장 강등"까지 언급했지만, 맥아더는 거절하고 코트니 호지스 등 일부만 수용했다.[155] 맥아더는 작전에 세세히 개입, 유럽 전선 군단 지휘관들에게 "1개 부대 지휘관"으로 오라고 했다. 오마 브래들리도 참전을 희망했으나, 아이젠하워가 격노하여 포기했다.[156]

2. 1. 고려 사항

계획자들이 고려해야 했던 주요 사항은 시간과 연합군의 사상자 수, 그리고 일본의 항복을 최대한 빨리 이끌어내는 방법이었다. 제1차 퀘벡 회담 이전의 합동 계획팀은 1947~48년까지 일본 본토 침공을 요구하지 않는 계획을 수립했다.[234][235] 그러나 미국 합동참모본부는 전쟁이 길어지면 국가 사기에 위험하다고 판단했다. 퀘벡 회담에서 연합참모총장은 일본이 독일의 항복 후 1년 안에 항복하도록 강요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1][2]

미국 해군과 공군은 봉쇄와 공군력을 사용하여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내자고 주장했다. 그들은 상하이, 중화민국, 한반도에 공군 기지를 점령하여 일본을 폭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236] 반면, 미국 육군은 이러한 전략이 "무기한으로 전쟁을 연장"하고 불필요한 인명 피해를 낳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일본 본토에 직접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는 침공을 지지했다. 결국 육군의 견해가 우세했다.[237]

일본은 지리적으로 해상 침공에 적합한 해변이 거의 없었다. 규슈 (일본 최남단 섬)와 간토 평야의 해변(도쿄 남서쪽과 남동쪽)만이 현실적인 침공 구역이었다. 연합군은 2단계 침공을 계획했다. 올림픽 작전은 규슈 남부를 공격하고, 코로넷 작전은 도쿄 만을 공격하는 것이었다.

2. 2. 가정

계획 수립자들은 시간과 연합군의 사상자 수, 그리고 일본의 조기 항복 가능성을 고려해야 했다.[234][235] 1943년 퀘벡 회담에서 영미 연합 기획팀은 일본 본토 침공을 1947~1948년까지 상정하지 않은 "일본 패배에 대한 이해와 계획"을 수립했다.[234][235] 미국 합동참모본부는 전쟁 장기화가 국민 사기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했다. 퀘벡 회담에서 연합참모진은 독일 항복 이후 1년 이내에 일본을 항복시키는 작전을 수행하기로 합의했다.

미국 해군과 공군은 봉쇄를 통해 일본의 항복을 받아내려 했다. 조선이나 상하이를 점령하여 항공 기지로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했고, 미국 육군 항공대는 일본에 폭격 예정지 전단을 내리기도 했다.[236] 반면, 육군은 침공 없이는 전쟁이 무한정 길어지고 불필요한 희생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육군은 해군의 측면 공격을 수용하지 않고 일본 본토에 대한 대규모 상륙작전을 주장했고, 결국 육군의 관점이 채택되었다.[237]

일본 본토는 지리적으로 해상 침공에 유리한 해변이 적어 어려운 목표였다. 규슈섬과 간토 지방의 해변만이 현실적인 침공 지역이었다. 연합군은 2단계 침공을 계획했는데, 1단계 '''올림픽 작전'''은 규슈섬을 침공하여 항공 기지를 확보하고, 2단계 '''코로넷 작전'''은 도쿄 만을 침공하는 것이었다.

미군 계획자들은 일본의 지형은 알고 있었지만, 방어 병력에 대해서는 추정해야 했다. 1945년 초, 그들은 다음과 같이 가정했다.[238]

  • "점령 작전은 제국의 가용 군사력뿐만 아니라, 열광적인 적대적 시민들에 의한 저항에 부딪친다."[238]
  • "올림픽 작전 시행 시, 남부 규슈에 3개 사단, 북부 규슈에 3개 사단과 마주한다."[238]
  • "규슈 작전에서 총 적대 세력은 10개 사단을 넘지 않으며, 이 수준은 신속히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238]
  • "코로넷 작전 시행 시, 도쿄 근처에 약 21개 사단, 간토 평야에 약 14개 사단과 충돌한다."[238]
  • "적군은 우리의 중화기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아시아 본토에서 공군을 차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약 2,000대에서 2,500대의 항공기 차출이 예상되며, 규슈에서 이 병력과 맞서야 한다."[238]

3. 올림픽 작전(Operation Olympic)

'''올림픽 작전'''은 일본 규슈 남부 공격 작전이었다.


올림픽 작전은 1945년 11월 1일로 예정된 규슈 남부 침공 작전(X-데이)이었다. 이 작전에는 통합 연합군 해군 함대를 포함하여 42척의 항공모함, 24척의 전함, 400척의 구축함과 호위함이 동원될 예정이었다. 초기 상륙에는 14개의 미군 사단이 참여할 계획이었다. 오키나와를 준비 거점으로 사용하여 규슈 남부를 점령하는 것이 목표였으며, 이 지역은 이후 코로넷 작전에서 활용될 예정이었다.

올림픽 작전에는 기만 작전인 파스텔 작전도 포함되었다.

제21공군은 일본 본토 전략 폭격을 담당하고, 미국 극동공군(FEAF)의 제5공군, 제7공군, 제13공군은 전술 항공 지원을 맡았다. FEAF는 규슈와 혼슈 남부의 일본 비행장과 주요 교통로(간몬 터널 등)를 폭격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X-5일에는 다네가섬, 야쿠섬, 고시키지마 열도 등 주요 연안 섬을 점령할 예정이었다.[240] 오키나와 점령은 본토에서 가까운 정박지 확보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으며, 상륙 해변으로의 수송과 공중 폭격 후 손상된 병력 수송에 필수적이었다.

미국 제6군미야자키시, 아리아케, 구시키노시를 목표 지점으로 설정했다. 이 지점들은 시계 방향으로 4시, 5시, 7시에 해당하며, 오스틴, 뷰익, 캐딜락 등 자동차 회사 이름과 스튜드 베어켓, 윈턴, 제퍼 등 35개의 상륙 장갑차 모델명이 사용되었다.[241] 각 상륙 지점에 할당된 군단들을 통해 미일 간의 군사력 격차는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1945년 초, 아리아케는 방어가 강화된 반면 미야자키는 거의 방비가 없었다. 구시키노는 지형 때문에 미국 해병대가 상륙을 거부했다.

침공 목표는 섬 전체가 아닌 남부 3분의 1 지역으로 제한되었으며, 이는 코로넷 작전에 필요한 기지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몰락 작전 계획은 체스터 니미츠, 더글러스 맥아더, 합동참모본부어니스트 킹, 윌리엄 D. 리히, 조지 마셜, 헨리 "합" 아놀드 등 미국의 지휘관들이 담당했다.

3. 0. 1. 파스텔 작전(Operation Pastel)

파스텔 작전은 올림픽 작전을 은폐하기 위한 기만 작전이었다. 이 작전은 연합군이 일본 본토를 직접 침공하는 대신, 일본을 포위하고 폭격할 것이라고 일본군에게 믿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2] 이를 위해 포르모사, 중국 해안, 황해 지역의 기지를 점령하는 것처럼 위장할 계획이었다.[2]

이 작전의 일환으로 미군 제9군단 (8만 명)이 1945년 10월 23일~30일에 고치현 앞바다에서 기만 상륙 작전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차출된 아브로 랭커스터 장거리 폭격기들은 영국 본토의 폭격기 군단과 함께 "타이거 포스"라는 연방 폭격기 파견단을 구성하여 오키나와에서 출격할 예정이었다.

한편, 중국군도 같은 시기 중국 대륙에서 전면 공세를 계획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만 작전들은 일본군의 병력을 분산시켜 올림픽 작전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4. 코로넷 작전(Operation Coronet)

혼슈 섬과 간토 평야를 침공하는 코로넷 작전은 1946년 3월 1일로 예정된 "Y-Day"에 시작될 예정이었다.[5] 코로넷 작전은 초기 점령을 위해 25개 사단이 상륙하는 대규모 상륙작전이 될 예정이었다. (오버로드 작전 당시에는 12개 사단이 상륙했다.)[5] 미국 제1군보소반도구주쿠리 해변에, 미국 제8군히라쓰카시사가미만에 상륙할 예정이었다.[6] 두 군대는 북쪽 내륙의 도쿄에서 만날 예정이었다.

코로넷 작전은 도쿄 점령을 계획했다.


코로넷 작전은 초기 상륙과 후속 작전에 최대 45개 미군 사단이 투입될 예정이었다.[5] 초기 단계에서 제1 육군은 보소 반도의 구주쿠리 해변에, 제8 육군은 사가미 만의 히라츠카에 상륙할 예정이었으며, 이 두 육군은 25개 사단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이후 최대 20개 미군 사단과 5개 이상의 영국 연방 사단으로 구성된 후속 부대가 증원군으로 상륙할 예정이었다.[6] 연합군은 이후 북쪽 내륙으로 진격하여 도쿄를 포위하고 나가노를 향해 진격할 계획이었다.

작전올림픽 작전[8]코로넷 작전[9]
투입 인원705,5561,171,646
투입 차량136,812222,514
수송 병력 수송 요구량
(톤)
1,205,730[10]1,741,023
보병 사단1120
해병 사단33
기갑 사단02
항공대4050[10]



코로넷 작전의 수치는 3개 사단 규모의 즉각적인 전략 예비대와 미국 내 17개 사단 규모의 전략 예비대, 그리고 영국/영연방군 병력에 대한 값은 제외한다.

코로넷 작전 상륙 일정[80]
날짜사가미 만보소 반도예비대전략 예비대
필리핀미국 본토영연방 군단[81]
Y-데이제24사단, 제31사단, 제37사단, 제6사단, 제32사단, 제38보병사단, 제13기갑사단, 제20기갑사단제7사단, 제27사단, 제96보병사단, 제1해병사단, 제4해병사단, 제6해병사단제97보병사단 (서부 부대 포함)
Y+30제4사단, 제87사단, 제8보병사단제86사단, 제44사단, 제5보병사단
Y+35(예비대에서)제2사단, 제28사단, 제35보병사단, 제11공수사단
Y+60(후방 부대)
Y+60 이후(전략 예비대에서)제95사단, 제104사단, 제91보병사단제10산악사단, 5개 기갑사단 (명칭 미상), 11개 보병사단 (명칭 미상)[82]제3영국사단, 제6캐나다사단, 제10호주사단, 제2뉴질랜드사단, 1개 호주사단 (명칭 미상)
25개 사단25개 사단
1,171,646명120,000명735,000명[32]200,000명



모두 작전 개시 전의 예정이며, 상황에 따라 추가·삭감 등이 있을 수 있다.

5. 이동

태평양 전쟁 전반에 걸쳐, 유럽 전역과 달리 연합군은 총사령관에 동의할 수 없었다. 연합군은 지역별로 나뉘었는데, 예를 들어 1945년에 체스터 니미츠는 연합군 태평양 지역 최고사령관이었고, 더글러스 맥아더는 남서태평양 지역 최고사령관이었다. 일본 침공을 위해서는 통일된 명령이 필요했다. 군 간의 알력(미국 해군은 니미츠를 원했지만 실제로는 맥아더가 지휘)은 계획에 참견을 하고 위협적으로 심각했다. 궁극적으로, 해군은 부분적으로 인정하고, 상황에 따라 필요할 때 맥아더가 지휘를 하게 하였다.[233]

올림픽 작전은 태평양의 거의 모든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었으며, 영국 연방의 영국 태평양 함대를 포함하여 18척의 항공모함(연합군 공군 전력의 25%)과 4척의 전함을 포함하기로 하였다. 필리핀 전역의 오스트레일리아 제1전술공군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미군에게 일본 전역에서의 근접항공지원 임무를 맡았다. 올림픽 작전을 위해 타이거 포스는 장거리 중폭격기로 구성되어 10개 편대로 유럽의 RAF 폭격 분대에서 오키나와로 이동할 예정이었다.

만약 올림픽 작전에서 증원이 필요하면 코로넷 작전에서의 병력을 이용할 수 있었고, 유럽, 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병력으로 재배치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 제1군(15개 사단)과 제8공군은 유럽에 있었다. 미군의 재배치는 미국에서의 동원 해제로 인해 복잡해졌는데, 이는 가장 경험이 풍부한 군인과 장교가 전역함에 따라 사단의 전투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역사학자 존 레이 스케이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242]

> 미국의 계획은 미군이 아닌 연합군의 육군은 관동 평야에 대한 침공 참여 가능성이 없었다. 이 계획에서 모든 전투, 예비 병력, 추가 증원은 모두 미군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코로넷 작전의 계획은 1945년 끝여름으로 예상되고, 모든 주요 연합군은 병력을 제공하고 여러 토론에서 크기, 임무, 장비 등은 이들을 지원하고도 남을 정도의 높은 수준이었다.

호주 정부는 호주 육군의 1개 사단을 올림픽 작전에 지원하려 하였으나, 미국 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243] 서방 연합군 간의 협상에 따라, 코로넷 작전에서 호주 보병 부대와 영국 육군, 캐나다 육군으로 이루어진 영국연방 군단이 지원하기로 하였다. 지원팀에는 이들 국가뿐 아니라 다른 영국 연방 국가도 속해 있었다. 때문에 맥아더 장군은 언어, 조직, 구성, 장비, 훈련, 교리의 차이로 영국령 인도군을 제외하는 것을 제안했다.[244] 그는 또한 군단은 미국 군단의 지휘하에 있어야 하며 오직 미국 장비 및 군수품을 이용해야 하고, 작전 시행 6개월 전에 미국에서 훈련받는 것을 제안했다.[245] 영국 장교인 찰스 케이틀리 대위는 영국연방 군단을 이끌 지휘관이 되었다. 호주 정부는 그 장교는 일본과의 전투 경험이 없음을 비판하며 레슬리 모르체드 중장이 임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46] 군단의 세부 사항이 정해지기 전에 전쟁이 끝났다.

코로넷 작전(Operation Coronet)은 수도 남쪽의 간토 평야에서 혼슈에 상륙하는 작전으로, 잠정적으로 1946년 3월 1일로 예정된 "Y-Day"에 시작될 예정이었다. 코로넷 작전은 올림픽 작전보다 훨씬 더 큰 규모로, 초기 상륙과 후속 작전에 최대 45개 미군 사단이 투입될 예정이었다.[5] (이에 비해 오버로드 작전은 초기 상륙에 12개 사단을 투입했다.) 초기 단계에서 제1 육군은 보소 반도의 구주쿠리 해변에, 제8 육군은 사가미 만의 히라츠카에 상륙할 예정이었으며, 이 두 육군은 25개 사단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이후 최대 20개 미군 사단과 5개 이상의 영국 연방 사단으로 구성된 후속 부대가 증원군으로 상륙할 예정이었다.[6] 연합군은 이후 북쪽 내륙으로 진격하여 도쿄를 포위하고 나가노를 향해 진격할 계획이었다.

작전올림픽 작전[8]코로넷 작전[9]
투입 인원705,5561,171,646
투입 차량136,812222,514
수송 병력 수송 요구량
(톤)
1,205,730[10]1,741,023
보병 사단1120
해병 사단33
기갑 사단02
항공대4050[10]



코로넷 작전의 수치는 3개 사단 규모의 즉각적인 전략 예비대와 미국 내 17개 사단 규모의 전략 예비대, 그리고 영국/영연방군 병력에 대한 값은 제외한다.

올림픽 작전 상륙 일정[79]
날짜미야자키 평원아리아케 만가고시마사쓰마 반도예비대부속 도서
X-5제40사단, 제158연대 전투단
X-데이제25사단, 제33사단제43사단, 제1기병사단제2, 제3, 제5 해병사단
X+1상기 사단의 잔여 병력
X+2제41사단아메리칼 사단, 제112연대 전투단
X+3(예비대에서)제98사단, 제81사단제158연대 전투단
X+4아메리칼 사단 잔여 병력
X+5제77사단
X+22(예비대에서)제11공수사단
13개 사단, 2개 연대 전투단1개 사단, 1개 연대 전투단
최종815,548명



코로넷 작전 상륙 일정[80]
날짜사가미 만보소 반도예비대전략 예비대
필리핀미국 본토영연방 군단[81]
Y-데이제24사단, 제31사단, 제37사단, 제6사단, 제32사단, 제38보병사단, 제13기갑사단, 제20기갑사단제7사단, 제27사단, 제96보병사단, 제1해병사단, 제4해병사단, 제6해병사단제97보병사단 (서부 부대 포함)
Y+30제4사단, 제87사단, 제8보병사단제86사단, 제44사단, 제5보병사단
Y+35(예비대에서)제2사단, 제28사단, 제35보병사단, 제11공수사단
Y+60(후방 부대)
Y+60 이후(전략 예비대에서)제95사단, 제104사단, 제91보병사단제10산악사단, 5개 기갑사단 (명칭 미상), 11개 보병사단 (명칭 미상)[82]제3영국사단, 제6캐나다사단, 제10호주사단, 제2뉴질랜드사단, 1개 호주사단 (명칭 미상)
25개 사단25개 사단
1,171,646명120,000명735,000명[32]200,000명



모두 작전 개시 전의 예정이며, 상황에 따라 추가·삭감 등이 있을 수 있다.


  • 영국 태평양 함대(사령관 브루스 프레이저 제독 · Bernard Rawlings (Royal Navy officer)|버나드 롤링스영어 중장)
  • 정규 항공모함 6척
  • 항공모함 4척
  • British Pacific Fleet|항공기 보수 항공모함영어 2척
  • 호위 항공모함 9척
  • 전함 4척
  • 순양함 10척
  • 구축함 35척
  • 전략 폭격대 Tiger Force (air)|타이거 포스영어 아브로 랭커스터 폭격기 580기
  • 영연방 육군 부대
  • 영연방 제10군 (사령관: Charles Keightley|찰스 케이틀리영어 중장)
  • 3rd Infantry Division (United Kingdom)|영국 제3보병사단영어
  • 6th Canadian Infantry Division|캐나다 제6보병사단영어
  • 10th Division (Australia)|호주 제10보병사단영어


영국군은 상륙 후 40일 이후에 2개 사단을 추가로 파견할 예정이었다.

6. 케츠고(決號, 결호) 작전

일본은 오키나와 전투 이후 연합군이 태풍 시기로 인해 수륙양용 상륙 작전이 위험하다고 판단, 다른 작전을 시행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은 침공 예상 지역으로 남부 규슈의 미야자키현, 아리아케해 또는 사쓰마반도를 지목했다.[247]

1945년 7월 9일 규슈에서의 미군의 일본군 병력 예상도.


1945년 8월 2일 규슈에서의 미군의 일본군 병력 예상도.


일본 지도자들은 전쟁 승리에 대한 현실적인 전망이 없었음에도, 연합군의 일본 정복 대가가 너무 크다고 판단하여 휴전보다는 전면적인 패배를 선택했다. 일본의 계획은 침공을 물리치기 위한 "케츠고 작전"(決号作戦일본어)이었다. 일본군은 비밀리에 나가노 지하 제국 본부를 건설하여 연합군 공격 시 천황과 제국 참모 총장이 대피할 수 있도록 했다.

일본은 본토 침공 및 점령 비용을 높여 연합군이 완전한 패배보다는 일종의 휴전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려 했다. 이를 위해 決号作戦|결호작전|ketsugō sakusen일본어("결정 작전" 또는 "최종 전투")을 계획하고, 1945년 6월부터 "1억 명의 영광스러운 죽음"을 외치는 선전 캠페인을 시작했다.[252] 이 캠페인은 "일본의 성스러운 천황을 위해 죽는 것은 영광스러운 일이며, 연합군이 도착하면 모든 일본 남녀노소는 천황을 위해 죽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252]

당시 미국과 일본 장교들은 일본의 사망자가 수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252] 사이판 전투 이후 일본 선전은 애국적인 죽음의 영광을 강화하고 미국을 무자비한 "백인 악마"로 묘사했다.[252] 오키나와 전투 중 일본 장교들은 민간인들에게 미국에 항복하느니 자살하라고 명령했으며, 이는 본토에서도 동일한 명령이 내려졌을 것임을 시사한다.[252] 일본은 침공 시 천황과 대본영을 보호하기 위해 나가노현 마쓰시로 지하 제국 본부에 비밀 지하 본부를 건설했고, 연합군 침공 규모를 과대평가했다.[252]

일본군은 규슈 방어를 위해 해안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진 내륙에 방어 병력 주력을 배치하고, 반격 병력은 더 뒤에 배치하여 가장 큰 상륙에 대응할 준비를 했다.[250] 1945년 3월, 규슈에는 전투 사단이 1개뿐이었으나, 이후 만주관동군에서 4개 사단을 철수시키고 45개 신규 사단을 창설했다. 8월까지 3개 전차 여단을 포함, 총 90만 명에 달했지만 장비는 부족했다. 일본군은 65개 사단 병력을 보유했지만 장비는 40개, 탄약은 30개 사단 분밖에 없었다.[251]

일본은 의용 전투대를 조직, 15~60세 남성과 17~40세 여성을 포함하여 총 2,800만 명을 전투 지원 및 전투 임무에 투입했다. 무기, 훈련, 제복은 부족했고, 많은 사람들이 낡은 총기, 화염병, 장궁, 칼, 단검, 대나무 창 등으로 무장했다. 이들은 "두 번째 방어선" 역할 및 게릴라전을 수행할 예정이었다.[253] 징집된 여고생은 송곳을 받으며 "미군 병사 한 명만 죽여도 돼. ... 복부를 노려야 해."라는 말을 들었다.[254]

일본군은 육군 병력을 다음과 같이 조직했다:[14]

동원 계획
지역동원 수
규슈900,000
간토 (도쿄)950,000
한국247,000
총계3,150,000
결정적 전투
규슈990,000
간토1,280,000


6. 1. 가미카제

우가키 마토메 제독은 1945년 2월 규슈의 제5해군항공대 지휘를 맡았다. 제5해군항공대는 오키나와 전투에서 가미카제 공격 (텐고 작전)에 투입되었고, 연합군의 규슈 침공 가능성에 대비해 조종사 훈련을 시작했다.[248]

일본의 방어는 가미카제 공격에 크게 의존했다. 전투기와 폭격기뿐만 아니라, 성능이 떨어지는 시험용 비행기까지 동원되었고, 거의 모든 훈련기가 임무에 투입되었다. 7월 기준으로 육군과 해군이 보유한 1만 기의 항공기(10월에도 다소 있었음)는 침공에 대비해 거의 모두 동원되었다. 우가키 제독은 또한 규슈 해안 근처에서 연합군 함선을 공격하기 위한 소형 자폭 보트도 수백 척 생산했다.[248]

오키나와 전투에서 2천 기의 가미카제 전투기가 투입되어 9척의 함선을 파손시켰다. 규슈에서는 지형상 미국의 레이더 효율이 감소하는 등 더 유리한 조건이었기 때문에, 가미카제 공격으로 미군 방어 병력의 6분의 1 정도를 압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 항공기는 약 400척 이상의 함선이 좌초될 것이라고 예상했고, 조종사 훈련 후에는 순양함이나 구축함으로 표적을 바꾸어 오키나와보다 더 큰 사상자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한 참모의 연구에서는 가미카제가 상륙 전 침공 부대의 절반에서 3분의 1 정도를 파괴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248]

미 해군 총사령관 어니스트 킹 제독은 가미카제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매우 우려하여, 다른 고위 해군 장교들과 함께 몰락 작전 대신 일본 도시에 대한 소이탄 공격과 봉쇄를 통해 일본의 항복을 받아낼 것을 주장했다.[248] 그러나 조지 마셜 장군은 그러한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고 주장했고, 결국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해군 장관은 사상자에 관계없이 일본을 침공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248]

미국 군사 정보국은 처음에는 일본 항공기의 수를 약 2,500대로 추정했다.[248] 오키나와에서의 경험은 미국에게 좋지 않았다. 출격 당 거의 두 명의 사망자와 비슷한 수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규슈는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오키나와 해안에서 함대를 공격하기 위해 일본군은 먼 거리를 물 위로 비행해야 했지만, 규슈 해안에서 함대를 공격하기 위해서는 육로를 통해 짧은 거리를 비행한 후 상륙 함대에 접근할 수 있었다. 점차 정보국은 일본군이 모든 항공기를 가미카제 임무에 투입하고 전투 전까지 이를 보존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5월의 육군 추정치는 3,391대, 6월에는 4,862대, 8월에는 5,911대였다. 7월 해군 추정치는 훈련기와 전투기를 구분하지 않고 8,750대였으며, 8월에는 10,290대였다.[248] 전쟁이 끝날 무렵 일본군은 실제로 본토에 약 12,700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 중 약 절반이 가미카제였다.[248]

규슈에 대한 결호 작전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거의 9,000대의 항공기를 투입하는 것을 구상했다:[15]

  • 연합군 함대의 접근을 탐지하기 위한 정찰기 140대.
  • 상륙 호위를 지원하지 못하도록 연합군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공격하기 위해 숙련된 조종사가 조종하는 해군 폭격기 330대.
  • 호위함을 야간에 공격하기 위해 숙련된 조종사가 조종하는 "지상 공격기" 50대, 수상기 폭격기 50대, 어뢰 폭격기 50대.
  • 규슈에 상륙하기 전에 상륙 호송대를 공격하기 위한 해군 가미카제 825대.
  • 상륙 함대가 도착하여 닻을 내릴 때 공격하기 위한 육군 항공기 2,500대 (일반 항공기 및 자살 공격기)와 해군 훈련기 2,900대 (총 5,400대).
  • 가미카제를 호위하고 상륙 선박을 기총 소사하기 위한 육군 및 해군 "제공" 전투기 2,000대.
  • 이전의 소규모 작전 성공에 따라 오키나와에 있는 미군 비행 기지를 급습하기 위해 1,200명의 특공대를 수송하는 수송기 100대.


일본군은 연합군 함대가 규슈에 도착한 후 10일 이내에 공군력의 대부분을 투입할 계획이었다. 그들은 하선 전에 미국 수송선의 최소 15~20% (또는 심지어 절반까지)가 파괴되기를 희망했다.[16] 이후 미국 전략 폭격 조사단은 일본군이 5,000회의 가미카제 출격을 성공시켰다면 약 90척의 선박을 침몰시키고 900척을 손상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는데, 이는 오키나와에서의 해군 손실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였다.[17]

일본 측은 기동 부대 공격을 통해 승리하려는 해군과, 공략 선단 공격을 통해 승리하려는 육군으로 입장이 달랐다. 그러나 이전의 전훈과 기동 부대 공격으로는 완전한 승리를 거두지 못한 해군은 육군에 양보하여, 특공에 의한 대(對) 공략 선단을 중심으로, 일부 성능이 우수한 기체에 의한 기동 부대 공격이라는 형태로 결정되었다. 이 계획은 1945년, 항공 총군이 육해군의 항공 함대, 항공군을 함께 운용하여 육해군의 전력 집결 및 항공전의 지휘를 맡는 방식이었다.[183]

성능이 우수한 기체가 기동 부대 공격을 수행하는 이유는 항속 거리, 순항 속도 등의 우수한 성능을 가진 기체가 적 기동 부대로 향함으로써 요격기를 유인하고, 기동 부대에 타격을 입히는 데 성공하면 공략 선단에 대한 돌입 성공률도 향상되기 때문이다. 연습기를 특공에 투입하여도 적의 기동 부대에 대한 공격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구축함이나 수송선에는 돌입할 수 있었던 선례가 있다. 육해군 약 17,000기의 특공기라도 가동률 6할, 성공률 1/6로 계산하면 1,700기가 돌입에 성공하여 공략 선단 1,500척을 충분히 해상에서 격멸할 수 있다고 계산되었다.

해상, 수중 특공에서는 신요 (20개 전대, 2,000척) 기지 소모 1/10 × 성공률 1/10으로 180척, 가이텐, 가이류 기지 소모 1/10 × 성공률 1/3, 교류 기지 소모 1/10 × 성공률 2/3를 통해 공략 선단을 격멸할 계획이었다. 만약 격멸에 실패하더라도 해상에서 전력을 소모시키고 장비를 해몰시키면 지상군의 작전도 수행하기 쉬워진다.

본토 결전의 특공 병기로서 각지에 배치된 특수 잠항정 해룡


해군 대신 요나이 미쓰마사결호 작전 준비로서 전 해군 부대를 지휘할 수 있는 해군총대를 신설하고, 그 사령 장관에 연합함대 사령 장관 도요다 소에무 대장을 겸임시켜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여 본토 결전 준비를 진행했다. 또한 5월 29일에는 도요다가 군령부 총장에 임명되었고, 군령부 차장에는 "특공의 아버지" 오니시 다키지로 중장이 임명되었다.[187]

대본영의 계획으로는 필리핀과 오키나와에서 할 수 없었던, 연합군의 요격을 무력화할 정도의 충분한 수의 특공기를 모아 육해군 교대로 300기 - 400기의 특공기가 1시간마다 연합군 함대에 덮치는 광경을 그렸다. 이를 위해 가동기는 연습기든 구식기든 가리지 않고 모두 특공기로 개조할 생각이었다.[192]

수중·수상 특공 병기도 대량으로 투입될 계획이었다. 생산이 용이한 특공정 신요는 1945년 7월까지 2,500척을 정비할 계획이었지만, 물자 부족과 공습으로 계획대로 생산하지 못했다. 지상 기지에서 발사되는 기지 가이텐이나 특수 잠항정 해룡이나 교룡의 생산도 병행하여 계획의 41%였다.[193]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합군의 올림픽 작전에 대비하여 정비된 수상·수중 특공 병기는, 특수 잠항정 100척, 가이텐 120기, 특공정 4,000척(육군 마루레 포함)이 되었고, 연합군의 상륙이 예상되는 남규슈에서 시코쿠에 걸친 각 기지에 배치되었다. 주요 예로는, 가고시마에는 해룡 20척, 신요 500척, 미야자키의 유쓰에는 해룡 20척, 가이텐 12기, 신요 325척, 오이타 사에키에는 해룡 20척, 고치 스쿠모에는 해룡 12척, 가이텐 14기, 신요 50척, 고치 스사키에는 해룡 12척, 가이텐 24기, 신요 175척 등이다. 또한, 코로넷 작전에 대비하여, 해룡 180척, 가이텐 36기, 신요 775척이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간토 일원에 배치되었다.[194] 또한, 잠수복을 착용한 병사가 자루가 달린 폭뢰로 적 상륙용 주정을 공격하는 특공 병기 후쿠류도 준비되었고, 650명으로 구성된 후쿠류 부대가 편성되었다. 해군은 연합군이 침공해 오기 전에 4,000명의 후쿠류 부대를 훈련시킬 계획이었다.[195]

6. 2. 해군

1945년 8월, 일본 제국 해군은 사실상 해체 직전이었다. 남은 가용 군함은 항공모함 6척, 순양함 4척, 전함 1척뿐이었다. 해군은 "20척의 작전 구축함과 40척의 잠수함이 바다에서 며칠 동안 유지 중"이라고 말했다.[249]

해군은 결호 작전의 일환으로 자살 특공 병기를 대량 생산했다. 코루급 잠수함 100척, 카이루급 잠수함 250척, 가이텐 유인 어뢰 400척, 신요 자살 보트 800척을 생산했다.

요나이 미츠마사 해군 대신은 결호 작전 준비를 위해 해군총대를 신설하고, 연합함대 사령장관 도요다 소에무 대장을 겸임시켜 강력한 권한을 부여했다. 1945년 5월 29일에는 도요다가 군령부 총장에 임명되었고, 군령부 차장에는 "특공의 아버지" 오니시 다키지로 중장이 임명되었다.[187]

어전 회의에서 가와베 도라시로 참모 본부 차장은 특공을 주전술로 하여 본토 결전을 치를 방침을 제시했다. 도요다 군령부 총장은 연합군을 반감시킬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했지만, 이는 스스로도 과대하다고 생각했다.[189]

해군은 결호 작전에서 상륙 부대 절반을 해상에서 격멸한다는 방침을 세웠다.[190] 1945년 7월 13일, 해군 총사령 장관은 특공 공격으로 적 상륙 선단을 격멸하는 데 주력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91] 구사카 류노스케에 따르면, 본토 결전에서는 10,000기의 특공기로 공격을 가할 예정이었다.

대본영은 육해군 교대로 300기에서 400기의 특공기가 1시간마다 연합군 함대에 공격을 가하는 상황을 계획했다. 가동기는 연습기든 구식기든 가리지 않고 모두 특공기로 개조할 생각이었다.[192]

수중·수상 특공 병기도 대량 투입될 계획이었다. 신요는 1945년 7월까지 2,500척을 정비할 계획이었지만, 물자 부족과 공습으로 계획대로 생산하지 못했다. 가이텐, 해룡, 교룡 생산도 병행했지만 계획의 41%에 그쳤다.[193] 연합군의 올림픽 작전에 대비하여 특수 잠항정 100척, 가이텐 120기, 특공정 4,000척(육군 마루레 포함)이 남규슈에서 시코쿠에 걸쳐 배치되었다.[194] 후쿠류도 준비되었고, 650명으로 구성된 후쿠류 부대가 편성되었다. 해군은 4,000명의 후쿠류 부대를 훈련시킬 계획이었다.[195]

미국 해군의 고위 장성들은 몰락 작전의 손실 추정에 대해 비관적이었다. 니미츠는 해군 작전 본부장 킹에게 막대한 피해를 경고하며, 몰락 작전 첫 30일간 희생자를 49,000명으로 추정했다.[222]

전쟁이 끝나자, 미국 전략 폭격 조사단은 몰락 작전에 출격 가능했던 일본군의 특공기를 5,350기로 추정하고, 특공기가 약 90척을 격침시키고 추가로 900척에 손상을 입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17]

6. 3. 육군

일본은 더 이상 전쟁에서 승리할 현실적인 전망이 없었지만, 일본 지도자들은 본토 침공 및 점령 비용을 연합군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여, 완전한 패배보다는 휴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본의 침공 격퇴 계획은 ("결정 작전" 또는 "최종 전투")이라고 불렸다. 일본은 모든 국민을 침공에 저항하는 데 투입할 계획이었다.[252]

모든 상륙 작전에서 수비군은 해변 방어 또는 종심방어 두 가지 전략을 선택할 수 있었다. 전쟁 초기(타라와 전투 등) 일본군은 해변에 강력한 방어를 전개했지만, 이 전술은 함포사격지원에 매우 취약했다. 전쟁 후반 (팔라우 전투, 이오 섬 전투, 오키나와 전투) 일본군은 전략을 전환하여 전략적 위치에 병력을 배치, 종심 방어를 하는 방향으로 바꾸었다.[250]

규슈 방어를 위해, 해안에서 미군이 상륙 후 거점을 만들기 전 안전한 교두보를 확립하지 못하는 상황의 전진선인 약 몇십 킬로미터 내륙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반격은 멀리 돌아서 행하며, 주요 활동은 상륙에 대한 준비 이동이었다.[250]

1945년 3월, 규슈에 전투 사령부를 설치했다. 4개월 후, 일본 제국 육군은 만주국, 조선, 일본 북부 등에서 병력을 징집했다. 8월, 일본군은 총 90만 명의 14개 사단과 3개 전차 여단을 모집했다.[250] 일본군은 새로운 병사를 징집하기 쉬웠으나 무장시키는 것이 더 어려웠다. 8월, 일본군은 65만 명을 징집했으나 충분한 장비는 40만 명, 기본적인 무장도 30만 명밖에 되지 않았다.[251]

일본은 전투 자원군을 조직, 남자 15-60세, 여자 17-40세까지 모집하여 총 280만 명을 모았다. 무기, 교육, 훈련은 매우 부족했으며, 어떤 사람들은 무강선 머스킷, 장궁, 죽창 등으로 무장했다.[253]

징집된 한 고등학생 카사이 유키코는 스크래치 송곳으로 무장하며 "나는 미군을 죽이는 것이 목표다. ... 나는 복부를 목표로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254]

일본군은 육군 병력을 다음과 같은 계획에 따라 조직했다:[14]

동원 계획
지역동원 수
규슈900,000
간토 (도쿄)950,000
한국247,000
총계3,150,000
결정적 전투
규슈990,000
간토1,280,000


7. 연합군의 올림픽 작전 재평가

1945년 4월, 5월, 6월 동안 연합군 정보부는 일본 지상군의 증강을 주시했다. 처음에는 11월까지 규슈 전체 병력이 약 35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7월에 새로운 4개 사단이 발견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8월까지 병력은 60만 명으로 늘어났고, 매직 암호 해독을 통해 규슈 남부에 9개 사단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예상치의 3배에 달하는 수치였다. 연합군은 일본군의 전력을 심각하게 과소평가했던 것이다.[18]

7월 초 추정 병력은 35만 명이었고, 8월 초에는 54만 5천 명으로 증가했다.[18] 7월 중순, 규슈에서 진행된 일본군의 준비에 대한 정보는 태평양과 워싱턴에 큰 충격을 주었다. 7월 29일, 맥아더의 정보 참모 찰스 A. 윌러비는 4월의 추정치가 일본군이 규슈에 6개 사단을 배치할 수 있으며, 최대 10개 사단을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했다고 언급하며, "이 [6개] 사단이 예측대로 나타났으며, 끝이 보이지 않는다. 만약 통제하지 않는다면, 이는 우리가 1 대 1의 비율로 공격하는 지경으로 커질 위험이 있으며, 이는 승리를 위한 방법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211]

항복 시점에 일본군은 규슈에만 73만 5천 명 이상의 군 병력을 배치했거나 배치 준비를 하고 있었다.[18] 일본 본토의 전체 군 병력은 433만 5,500명에 달했으며, 이 중 육군은 237만 2,700명, 해군은 196만 2,800명이었다.[18] 규슈에 일본군이 증강되면서 조지 마셜 장군을 비롯한 미국 전쟁 계획가들은 올림픽 작전에 대한 대대적인 변경을 고려하거나, 다른 침공 계획으로 대체하는 것을 고려하게 되었다.

7. 1. 공중 위협

일본군은 가미카제를 이용한 공격에 크게 의존했다. 훈련기와 전투기를 포함하여 7월에 이미 10,000대 이상의 항공기를 준비했고, 수백 척의 소형 자폭 보트도 준비했다.[11]

오키나와 전투에서는 약 2,000대의 가미카제 공격으로 9번의 공격당 1번의 명중률을 기록했지만, 규슈에서는 지형적 이점과 더 많은 훈련기를 가미카제 역할로 투입하여 6번의 공격당 1번의 명중률을 달성하고자 했다. 일본군은 이 공격으로 400척 이상의 함선을 격침시킬 수 있다고 예상했으며, 조종사들은 항공모함과 구축함보다는 수송선을 목표로 훈련받았기 때문에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 참모 연구에서는 가미카제가 상륙 전에 침공 부대의 3분의 1에서 절반을 파괴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15]

미국 군사 정보국은 처음에는 일본 항공기 수를 약 2,500대로 추정했지만, 점차 일본군이 모든 항공기를 가미카제 임무에 투입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육군 추정치는 5월에 3,391대, 6월에 4,862대, 8월에 5,911대로 증가했고, 해군 추정치는 7월에 8,750대, 8월에는 10,290대였다. 전쟁이 끝날 무렵 일본군은 실제로 본토에 약 12,700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고, 그 중 절반 정도가 가미카제였다.[15]

규슈에 대한 ''결호'' 작전 계획은 다음과 같이 거의 9,000대의 항공기를 투입하는 것을 구상했다:[15]

  • 연합군 함대 접근을 탐지하기 위한 정찰기 140대.
  • 상륙 호위를 지원하지 못하도록 연합군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공격하기 위한 해군 폭격기 330대.
  • 호위함을 야간에 공격하기 위한 "지상 공격기" 50대, 수상기 폭격기 50대, 어뢰 폭격기 50대.
  • 상륙 호송대를 공격하기 위한 해군 가미카제 825대.
  • 상륙 함대가 도착하여 정박할 때 공격하기 위한 육군 항공기 2,500대 (일반 항공기 및 자살 공격기)와 해군 훈련기 2,900대 (총 5,400대).
  • 가미카제를 호위하고 상륙 선박을 기총 소사하기 위한 육군 및 해군 "제공" 전투기 2,000대.
  • 오키나와에 있는 미군 비행 기지를 급습하기 위해 1,200명의 특공대를 수송하는 수송기 100대.


일본군은 연합군 함대가 규슈에 도착한 후 10일 이내에 공군력 대부분을 투입할 계획이었으며, 하선 전에 미국 수송선의 최소 15~20% (또는 심지어 절반까지)가 파괴되기를 희망했다.[16]

연합군은 가미카제에 대응하기 위해 빅 블루 블랭킷으로 알려진 대비책을 마련했다. 여기에는 항공모함에 더 많은 전투기 비행대를 추가하고, B-17 플라잉 포트리스를 공중 레이더 초계기로 전환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또한, 체스터 니미츠 제독은 실제 침공 몇 주 전에 가짜 함대를 보내 일본군을 유인하는 기만 작전을 계획했다.

일본 공습에 대한 주요 방어는 류큐 열도에 배치될 대규모 전투기 부대에서 나올 예정이었다. 미 육군 제5 및 제7 항공군과 미 해병 항공대는 침공 직후 이 섬으로 이동했으며, 일본 본토에 대한 전면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공군력이 증강되었다.

7. 2. 지상 위협

1945년 4월, 5월, 6월 동안 연합군 정보부는 일본 지상군의 증강을 주시했다. 처음에는 11월까지 규슈 전체 병력이 약 35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7월에 새로운 4개 사단이 발견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8월까지 병력은 60만 명으로 늘어났고, 매직 암호 해독을 통해 규슈 남부에 9개 사단이 확인되었다. 이는 예상치의 3배에 달하는 수치로, 실제 일본군의 전력을 심각하게 과소평가한 것이었다.

7월 초 추정 병력은 35만 명이었고, 8월 초에는 54만 5천 명으로 증가했다.[18] 7월 중순, 규슈에서 진행된 일본군의 준비에 대한 정보는 태평양과 워싱턴에 큰 충격을 주었다. 7월 29일, 맥아더의 정보 참모 찰스 A. 윌러비는 4월의 추정치가 일본군이 규슈에 6개 사단을 배치할 수 있으며, 최대 10개 사단을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했다고 처음 언급했다. 그는 "이 [6개] 사단이 예측대로 나타났으며, 끝이 보이지 않는다"라고 언급했다. 만약 통제하지 않는다면, 이는 "우리가 1(1) 대 1(1)의 비율로 공격하는 지경으로 커질 위험이 있으며, 이는 승리를 위한 방법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211]

항복 시점에 일본군은 규슈에만 73만 5천 명 이상의 군 병력을 배치했거나 배치 준비를 하고 있었다.[18] 일본 본토의 전체 군 병력은 433만 5,500명에 달했으며, 이 중 육군은 237만 2,700명, 해군은 196만 2,800명이었다.[18] 규슈에 일본군이 증강되면서 미국 전쟁 계획가들, 특히 조지 마셜 장군은 올림픽 작전에 대한 대대적인 변경을 고려하거나, 다른 침공 계획으로 대체하는 것을 고려하게 되었다.

7. 3. 화학 무기

제네바 의정서에 의해 화학전이 금지되었지만, 당시 미국과 일본은 모두 서명국이 아니었다. 미국은 가스전을 시작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일본은 전쟁 초기에 중국에 가스를 사용한 전례가 있었다.[22]

미군은 사람뿐만 아니라 일본의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농작물을 파괴하는 화학 공격도 고려했다. 1944년 4월, 육군은 작물 파괴 화합물 실험을 시작하여 1년 안에 1,000가지 이상의 제제 중 페녹시아세트산을 함유한 9가지 유망 제제로 범위를 좁혔다. LN-8로 지정된 화합물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대량 생산에 들어갔다. 제초제 투하 및 살포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1945년 7월에는 탄저병이나 리신 같은 생물학 무기 탑재용으로 제작된 SPD Mark 2 폭탄을 이용, 공중에서 껍질을 터뜨려 화학 제제를 살포하는 실험이 실시되었다. 종전 무렵까지 육군은 넓은 지역에 살포하기 위한 최적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노력했다. LN-8과 다른 시험 화합물의 성분은 훗날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된 고엽제 제조에 사용되었다.[23]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가스전을 경험한 미국군은 전후에도 화학 무기 연구와 생산을 지속했다. 그러나 화학 무기 예산은 적었고, 1941년 시점에는 500톤의 비축량밖에 없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군이 하루에 사용한 양에도 미치지 못했다.[128] 태평양 전쟁 발발 후, 미국 육군은 독일군과 일본군이 생화학 무기 연구를 진행한다는 정보에 따라 대항책으로 연구를 강화했다. 1942년 9월, "생물전 연구부"(지휘관: 윌리엄 N. 포터 소장)가 발족되었고,[128] 화학 무기 예산은 30배로 증가, 에지우드 육군 병기 공창을 중심으로 대량의 독가스가 생산되었다. 각지에 실험 시설이 설치되었고, 모든 종류의 독가스가 연구되었다. 대일전 사용을 위해 플로리다주 Bushnell, Florida|부시넬영어파나마 Isla San José (Panama)|산호세 섬영어에 열대 조건 실험 시설이 설치되었고,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브루크 섬에도 미국군 독가스 실험 시설이 설치되었다.[129]

약 65,000명의 군 관계자가 실험 시설 지원에 참여했고, 가스 마스크와 방호복을 착용하고 가스가 가득 찬 방에 최장 1시간 동안 들어가는 인체 실험이 반복되었다. 실험 전후 세심한 건강 진단이 이루어졌지만, 중독자는 끊이지 않았고 많은 군 관계자가 병원에 수용되었다. 일본군 대상 화학 무기 사용은 1943년 11월 타라와 전투에서 미 해병대가 막대한 피해를 입은 후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했다. 포터는 "독가스를 적절히 사용하면 태평양 전쟁을 조기에 종결하고 많은 미국인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고, 미국 육군 참모총장 조지 마셜도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은 유일한 무기 중 즉시 사용 가능하고 미국인 인명 손실을 줄이며 물리적으로 전쟁 종결을 앞당기는 것은 독가스"라고 말했다.[130] 일본계 2세 병사 지원자를 대상으로 독가스가 아시아인에게 백인과 다른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실험도 진행되었으나,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131]

독가스 실험 및 연구와 병행하여 독가스 무기 생산도 빠르게 진행되었다. 1945년까지 550만 발의 독가스 포탄, 100만 발의 독가스 폭탄, 10만 개 이상의 항공기 살포용 독가스 탱크가 생산되었다.[132] 시안화 수소를 채운 유리병을 적 전차나 참호에 던지는 독가스 수류탄, 1갤런 용량의 금속 캔에 겨자 가스를 넣고 도화선이나 전자 신관을 장착하여 일정 시간 후 독가스를 분출시키는 겨자 가스 지뢰 등 새로운 무기도 개발되었다. 독가스 수류탄은 수송 위험성과 유리 용기 파손 여부의 불확실성 때문에 대량 생산되지 않았지만, 겨자 가스 지뢰는 제조가 용이하여 용기만 200만 개가 제조되었고, 다운폴 작전을 대비해 1945년 4월까지 태평양 각지 저장고에 겨자 가스를 채운 지뢰 43,000발이 저장되었다.[133]

일본 본토 공습이 시작되자, 미군은 도쿄에 효과적인 화학 무기 살포를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살포 계절, 기상 조건, 살포할 가스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겨자 가스, 포스겐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다.[134] 나치 독일 항복 후, 미군은 나치 독일이 개발하던 사린 등의 독가스 제조법을 입수하여 대일전 사용 후보에 포함시켰다.[135]

미군은 올림픽 작전 준비의 일환으로 오스트레일리아와 하와이에 대규모 생화학 무기 저장 창고를 건설했고, 태평양 섬들에는 소규모 저장 시설을 설치했다. 루손 섬과 오키나와 점령 후, 미군은 각각 7,500톤과 16,000톤의 생화학 무기를 저장할 계획을 세웠다. 올림픽 작전 개시 시점에는 8,500톤의 생화학 무기를 적재한 수송함을 마닐라 만에 대기시켜 전선 투입 준비를 갖출 예정이었다.[142] 미국 육군 항공군 사령관 아놀드는 스틸웰의 독가스 사용 제안에 대해 "대일전 독가스 사용이 고려되고 있으며, 화학전 부대를 가진 미 육군 항공군은 항공기를 이용한 전략적, 전술적 가스 사용 검토를 지속하고 있다"고 답했다. 미 해군도 독가스 사용 허가 시, 전체 폭격 작전의 20%를 독가스 폭탄 투하로 전환하고 6만 발 이상의 독가스 폭탄을 전선에 상시 공급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출 계획이었다. 이는 60일분 전투 비축량에 해당했다.[142] 지상 부대에서도 "일본 동굴 요새 소탕"을 위한 "독가스의 공격적 사용" 훈련이 진행되었다.

미군은 일본 농산물에 대한 유독 무기 사용도 계획했다. 1942년, Beltsville, Maryland|메릴랜드주 벨츠빌영어 미국 농무부 연구 본부에서 미 육군 요청으로 일본 특정 농작물을 고사시키는 생물 무기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 고구마 등 일본 주요 농작물이 세균에 강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어, 세균 대신 화학 물질 살포가 결정되었다. B-29를 이용해 일본 경작지에 원유와 폐유를 살포했으나 효과는 없었다. 이후 2,4-디클로로페녹시 아세트산을 농작물 관개 용수에 살포하는 계획이 진행되었다.[142]

7. 4. 핵무기

조지 마셜은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전술 핵무기 사용을 검토했다. 이는 일본에 두 발의 전략 핵무기가 투하된 이후에도 이루어졌는데, 마셜은 일본이 즉시 항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릴 E. 시먼 대령은 X-데이(상륙 예정일)까지 최소 7개의 팻 맨형 플루토늄 폭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방어 병력에 투하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시먼은 미군이 폭탄이 떨어진 지역에 "최소 48시간" 동안 들어가지 않도록 권고했다. 당시에는 방사성 낙진의 위험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폭발 후 짧은 시간 안에 미군이 상당한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었다.

맨해튼 계획에 참여했던 켄 니콜스는 1945년 8월 초, "일본 본토 침공 계획이 최종 단계에 이르렀으며, 만약 상륙 작전이 실제로 진행된다면, 우리는 약 15개의 원자 폭탄을 제공하여 병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록했다.[201] (히로시마에 투하된) 폭탄의 최대 폭발 효과를 달성하고, 미군이 곧 도시를 점령할 것이라는 희망에 따라 지상에 잔류하는 방사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상에서 일정 고도 위에서 폭발하도록 선택되었다.[175][198][223]

7. 5. 대안 목표

연합군 참모본부 계획자들은 일본군이 규슈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하고 시코쿠, 센다이, 오미나토 등 다른 침공 목표지를 고려했다. 예비 침공을 건너뛰고 도쿄를 바로 공격하는 방안도 검토되었다. 북부 혼슈 공격은 방어가 약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오키나와에서 육상 기반 항공 지원(B-29 제외)을 포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122]

이후 최종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여러 작전 계획이 존재했다. 각 계획의 공통점은 올림픽 작전에서 확보한 규슈 남부의 항공 기지를 이용하여 간토 지방에 상륙한다는 점이며, 상륙 예정일은 'Y 데이'라고 불리며 1946년 3월 1일로 예정되었다. 콜로넷 작전은 해상 예비군을 포함하면 25개 사단이 참가하는 작전으로, 대일 작전 중 최대 규모의 상륙 작전이 될 예정이었다. 상륙 지점은 사가미 만의 쇼난 해안(사가미 강을 따라 북진하여, 현 사가미하라시·마치다시 지역 부근에서 진로를 도쿄도 구부로 변경하는 계획 예정)와 구주쿠리 해변에서 가시마나다 연안에 걸친 모래 해변으로 설정되었으며, 관동 평야에서 일본군 주력(36A)을 협격, 포위 섬멸하여, 또한 적 수도 도쿄를 함락시켜 전쟁을 종결시키는 계획이었다. 만약 일본이 항복하지 않을 경우, 이후 작전을 위한 점령 거점이 지정되어 있었다. 사가미 만에는 제8군, 구주쿠리 해변에는 제1군이 할당되었다. 이 중 주력은 사가미 만에 상륙하는 제8군으로 Y 데이 첫날 투입되는 병력은 후방 지원 요원을 포함하여 301,104명, 구주쿠리 해변에 상륙하는 제1군의 241,326명을 넘어섰다.[63] (참고로, 관동 평야에 존재하는 일본군의 사단 수를 보급상의 문제로 많아도 12개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22개 사단, 다수의 독립 혼성 여단 및 전차 여단이 존재했다.)

미군이 사가미 만에 주력을 배치한 이유는 도쿄까지의 거리가 가깝다는 점 외에도, 구주쿠리 해변은 해안선이 길어 상륙에 적합해 보이지만, 태평양 외해에 면해 있어 거친 파도를 완화하는 지형이 거의 없고, 평소에도 파도가 높아 상륙이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는 이오지마 전투 당시 후타츠네하마 상륙 경험에서, 환초 등에서 외해의 거친 파도가 완화되지 않는 해안선 상륙은 매우 어려움을 수반한다는 실체험에 근거한 것이었다. 또한 상륙에 성공하더라도, 도쿄에 이르기까지 에도가와와 아라카와를 도하해야 하며, 특히 에도가와에서는 공습으로 어느 정도 소실되었지만 도쿄 외곽의 주택지가 펼쳐져 있어, 상륙군은 도하하면서 시가전을 벌여야 했고, 어려운 사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사가미 만을 주 전장으로 한다는 판단으로 이어졌다.[63] 또한 사가미 만 인근에는 아쓰기 해군 기지 등의 중요한 군사 거점이 다수 존재한다는 점과, 교통의 요충지로 일본 서부에서의 증원 경로가 될 가능성이 높아 일본군의 방비가 가장 견고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어 사가미 만이 중시되었다.[64]

맥아더는 "상륙 부대의 직접 지휘를 맡아, 본토에서의 집단 작전을 지도하겠다"고 언급하며, 상륙 작전에서는 최고 사령관이 직접 부대를 지휘할 생각이었다. 맥아더가 이끄는 전력은 미군의 후방 지원 부대를 포함하지 않은 전투 병력만으로 575,000명에 달해, 이는 과거에 수행된 어떤 작전보다도 많은 병력이었다. 상륙에 앞서, Y-180, 즉 상륙 반년 전부터 일본 항공 병력의 격멸이 이루어졌으며, 상륙 함대의 위협인 특공 전력을 줄이는 계획이었다. (참고로, 일본 측은 이 항공 격멸전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적이 대형 폭격기만 투입하는 등 승산이 있는 경우에만 출격을 허가하는 등, 항공 병력의 보존에 힘썼으며 종전 시에도 상당수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상륙 지점에는 Y-10, 즉 10일간의 함포 사격이 해안의 방어 진지에 가해져, 공략 함대의 위협이 될 만한 것을 제거하는 계획이었다. 격전으로 알려진 이오지마 전투에서는 3일간의 함포 사격이 가해졌지만, 109 사단을 주축으로 하는 오가사와라 부대는 은폐된 지하 진지에 숨어 있어,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 함포 사격을 가하는 함선은, 사상 최대 규모였던 올림픽 작전의 함정 수를 더욱 능가하는 규모였으며, 공습은 지금까지 일본 본토 폭격을 해 온 칼 스파츠 대장·커티스 르메이 중장이 지휘한 제20공군 (사령관 네이선 파라가트 트와이닝 소장) "B-29" 1,000대 이상에 더해, 독일 본토를 잿더미로 만들었던 제8공군 (사령관 지미 둘리틀 소장)도 "B-17 플라잉 포트리스"를 "B-29"로 기종 전환하여 참가했으며, "B-24 리버레이터"와 신형기 "B-32 도미네이터"도 참가할 예정이었다. 그 외에도 미국 해군과 영국 해군의 함재기에 해병대의 항공대도 더해져[122], 그 총수는 6,000대 이상으로,[65] 투하되는 폭탄은 1945년 9월~12월까지 10만 톤, 1946년 1월~2월 17만 톤, 그리고 상륙 예정인 3월에는 22만 톤으로 1년도 지나지 않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독일 본토에 투하한 폭탄의 총량을 넘어설 양의 폭탄 투하가 예정되어 있었으며, 이미 상륙 전에 군사적 가치가 있는 타겟은 모두 타격이 끝났을 것으로 여겨졌다.[122]

미군 신무기 "M1 240mm 곡사포"


올림픽 작전에서는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 전차의 충분한 운용이 어려웠지만, 간토 평야에서는 대규모 운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태평양 전역에서 최대 규모의 기갑 부대가 투입될 계획이었다. 해안을 따라 요새군이 견고하게 구축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포격으로 파괴하기 위해 대량의 자주포 투입도 계획되었다. 자주포 중에는 미군이 보유한 최대 규모의 거포 "M1 240mm 곡사포"를 "M26 퍼싱" 차체에 탑재한 "T92 240mm 자주 곡사포"도 있었다. 이 거포는 두께 1.5m의 강화 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엄청난 위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T92 240mm 자주 곡사포"는 그 거대한 포탄을 2분에 1발 발사할 수 있었다. 미군은 콜로넷 작전을 위해 이 자주포를 210대나 발주했고, 이미 미국 내에서는 이 자주포를 운용하는 제784기갑야전포병대대가 편성되어, 이탈리아 전선과 노르망디에서의 전투를 경험한 숙련된 전차병이 배속되어 훈련을 받았다.[123] 한편, 일본군도 전차 제1사단, 전차 제4사단 2개 전차 사단이 반격 전력으로 관동 평야에 배치되어, 태평양 전쟁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대전차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었다.

맥아더는 이 태평양 전쟁의 마무리가 될 수 있는 전투를 되도록 미군 단독으로 수행하고자 했으며, 상륙일인 'Y 데이'에 사가미 만과 구주쿠리 해변에 상륙하는 것은 미국인으로만 한정했다. 다른 연합군인 영연방 제10군의 , , 에 대해서는, "일본 본토의 심장부가 미군의 손에 떨어진 후에도, 일본이 아직 저항을 계속할 경우 투입될 것이다"라고 생각했다.[124]

맥아더가 이끄는 상륙 부대는 도쿄 만을 가운데에 두고 동쪽의 구주쿠리 해변과 서쪽의 사가미 만에서 "일본 본토의 심장부"인 도쿄를 목표로 진격, 사가미 만에서 상륙한 부대의 일부가 그대로 북상하여 구마가야에서 고가까지 뻗어 있는 선까지 전진하여 일본군의 증원을 막는 동안,[124] 동서에서 "일본 본토의 심장부" 도쿄를 마치 바이스처럼 좌우에서 짓눌러 버리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일본 측도 수제 격멸에 실패할 경우 도쿄 방어를 강화했을 것이며, 상륙 전 포격으로 잿더미가 되었을 제도를 사수하기 위해 일본군 병사들은 잔해 속에서도 필사적으로 싸웠으며, 타오르는 잔해의 산 속에서 양군의 엄청난 피가 흘러내릴 것은 확실시되었다. 또한 일반 시민들도 창이나 칼을 들고 발견되는 대로 미군을 살해하도록 요구받았으며, 유럽 전선에서의 마지막 전투였던 베를린 전투보다 참혹한 전투가 될 것도 우려되었다.[125]

그러나 미군은 비록 "일본 본토의 심장부"인 도쿄를 점령하더라도 독일군이 베를린 전투에서 붕괴된 것처럼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전쟁의 종착점을 찾지 못했다.[126] 또한 미군 내부 사정도 전쟁의 전망을 어둡게 만들었으며, 미군은 "포인트 제도"라는 제도를 통해 일정 기간 전장에 있으면서 전공을 쌓으면 귀국하여 군에서 제대할 수 있는 제도가 있었지만, 유럽 전선과 태평양 전선에 참전하고 있는 병사들 중 다수가 그 "포인트"가 규정에 도달하여 귀국하여 제대할 수 있는 권리를 취득했다. 그러나 미군은 그 전장에 머물러야 하는 기간을 늦게 공지하면서 조금씩 연장하여 쉽게 귀국을 허락하지 않았지만, 그것도 한계에 달해 순차적으로 제대를 용인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어떤 사단에서는 콜로넷 작전이 시작될 무렵에는 25,000명의 병력 중 40% 이상인 11,600명의 장병이 제대할 예정이었지만, 제대하는 장병의 대부분이 실전 경험이 많은 숙련병이나 하사관이었고, 그 보충은 훈련이 충분하지 않은 신병으로 이루어질 예정이었다. 따라서 관동에서는 실전 경험이 없는 대량의 신병이 싸운다는 사태가 예상되었으며, 익숙하지 않은 전투로 인해 막대한 손실이 예상되었다. 그리고 신병 중심의 미군 사상자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올림픽 작전보다 대규모의 대량 살상 무기 사용도 계획되었다.[127]

7. 6. 올림픽 작전의 전망

더글러스 맥아더는 자신의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귀하에게 보고된, 우리의 올림픽 작전에 대항하기 위해 축적되고 있는 일본의 항공 전력이 과장되었다고 확신"하며, "남부 규슈에서 귀하에게 보고된 막강한 전력을 믿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어니스트 킹 제독은 체스터 니미츠의 동의를 얻어 침공을 반대할 준비가 되어 있었으며, 이는 미국 정부 내에서 큰 논쟁을 촉발시켰을 것이다.

소련군의 침공 계획에 따르면, 소련군은 루모이의 외딴 항구에 상륙하여 루모이에서 구시로로 이어지는 선의 북쪽 홋카이도를 점령할 예정이었다.


미국은 알지 못했지만, 소련은 1945년 8월 말까지 일본 본토의 주요 섬인 홋카이도 침공도 고려하고 있었는데,[24] 이는 연합군이 11월보다 더 빨리 행동하도록 압박했을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소련은 서방 세계를 따라잡기 위해 거대한 해군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1941년 6월 독일의 소련 침공으로 인해 이 계획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소련은 전쟁의 대부분 기간 동안 독일과 그 동맹국, 주로 육상에서 싸우는 데 자원 대부분을 투입해야 했고, 해군은 상대적으로 장비가 부족하게 되었다.[25][26] 그 결과, 헐라 프로젝트(1945년)에서 미국은 일본과의 전쟁에 소련이 참전할 것을 대비하여 계획된 180척의 해군 함정 중 약 100척을 소련에 이전했다. 이전된 함정에는 수륙 양용 상륙함이 포함되었다.

얄타 회담(1945년 2월)에서 연합군은 소련이 일본이 1904~1905년 러일 전쟁 동안 사할린의 남부 지역을 차지하고, 전쟁 후 포츠머스 조약에서 러시아가 할양하기로 합의했으며 (소련은 이미 북부 지역을 통제하고 있었다),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에서 일본에 할당된 쿠릴 열도를 차지하기로 합의했다. 반면에, 소련이 일본 본토 침공에 참여하는 것을 예상하는 합의는 없었다.

일본은 혼슈 남부와 규슈에 가미카제 항공기를 배치하여 올림픽 작전과 코로넷 작전에 대항할 수 있었다. 일본 극북 지역에서 소련군의 상륙에 얼마나 대항할 수 있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비교를 위해 서방 연합군 함정 약 1,300척이 1945년 4월~6월의 오키나와 전투 동안 배치되었다. 총 368척의 함선, 그중 120척의 수륙 양용 함정이 심하게 손상되었고, 15척의 상륙함과 12척의 구축함을 포함한 28척이 주로 가미카제에 의해 격침되었다. 그러나 1945년 8월 8일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했을 때, 소련은 400척 미만의 함정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은 수륙 양용 상륙 작전에 적합하지 않았다.[27]

다운폴 작전의 경우, 미국 군은 일본 본토의 성공적인 침공을 위해 30개 이상의 사단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비해 소련은 약 11개 사단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미국이 규슈 남부를 침공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는 14개 사단과 유사하다. 소련의 쿠릴 열도 침공(1945년 8월 18일 – 9월 1일)은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이후에 일어났다. 그러나 그 섬에 있던 일본군은 격렬하게 저항했고, 그 중 일부는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이후 싸우기를 꺼려했다. 슈무슈 전투(1945년 8월 18일~23일)에서 소련 붉은 군대는 탱크의 지원 없이, 그리고 대형 군함의 지원 없이 8,821명의 병력을 투입했다. 잘 갖춰진 일본 주둔군은 8,5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고 약 77대의 탱크를 배치했다. 전투는 하루 동안 지속되었고, 일본의 공식 항복과 주둔군 항복 후 4일 동안 소규모 전투가 계속되었으며, 공격하는 소련군은 516명 이상의 병력과 16척의 상륙정 중 5척을 일본 해안 포대에 잃었다 (이 중 많은 수가 이전에 미국 해군에 속했고 나중에 소련에 넘겨졌다), 일본은 256명 이상의 병력을 잃었다. 소련 측의 주장에 따르면, 슈무슈 전투 중 소련의 사상자는 총 1,567명이었고, 일본은 1,018명의 사상자를 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은 쿠릴 열도의 파라무시로에 해군 기지를 가지고 있었고, 홋카이도에도 여러 기지를 가지고 있었다. 일본과 소련은 1945년 8월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할 때까지 조심스러운 중립 상태를 유지했기 때문에, 만주, 한국, 사할린, 쿠릴 열도에 주둔한 일본 관찰자들은 블라디보스토크 항구와 소련의 다른 항구를 끊임없이 감시했다.

토마스 B. 앨런과 노먼 폴마에 따르면, 소련은 극동 침공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을 주의 깊게 수립했지만, 홋카이도 상륙은 "세부적으로는 스탈린의 마음속에만 존재"했고, "스탈린은 만주를 점령하거나 홋카이도를 점령하는 데 관심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시아에서 가능한 한 많은 영토를 확보하고 싶어했더라도, 그는 아시아보다 유럽에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더 집중했다."

8. 예상 사상자

일본 본토 침공 작전인 '몰락 작전'으로 인한 예상 사상자 규모는 미군, 일본군, 민간인 사상자를 모두 포함하여 다양한 추정치가 존재하며, 그 배경과 논리는 매우 복잡하다.

1945년 초, 미군 계획자들은 일본 본토 침공 시 "점령 작전은 제국의 가용 군사력 뿐 아니라, 열광적인 적대적 시민들에 의한 저항에 부딪친다"고 가정했다.[238] 이는 일본군의 완강한 저항과 민간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예상한 것이다.

미군 내에서도 사상자 추정치는 기관별, 시기별로 차이를 보였다. 1945년 1월, 미국 육군 병참 부대(ASF)는 1945년 6월부터 1946년 12월까지 매달 평균 43,000명의 "사망 및 후송된 부상자"에 대한 보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32] 이는 해군 및 해병대의 손실을 제외한 수치로, 1946년 말까지 약 723,000명, 1947년 초까지 863,000명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였다.[33]

ASF 사상자 추정, 1945년 1월 15일 (후송되지 않은 부상자, 해군 및 해병대 사상자 제외)
분기태평양 지역남서 태평양북태평양중국-버마-인도
사망후송된 부상사망후송된 부상사망후송된 부상사망후송된 부상
1945년 3분기10,00023,00013,00029,0001,0001,5002,0006,000
1945년 4분기16,00035,00012,00028,5001,0001,0002,0006,000
1946년 1분기24,00050,50011,00024,0001,0001,0002,0007,000
1946년 2분기28,00061,00011,00023,5001,0001,0002,0007,000
1946년 3분기30,00064,00011,00025,0001,0001,0002,0007,000
1946년 4분기30,00065,50010,00023,5001,0001,0002,0007,000
1947년30,00064,50010,00024,5001,0001,0002,0007,000
합계168,000363,50078,000178,0007,0007,50014,00047,000



다운폴 작전 및 동시 작전 전체 (1945년 7월 – 1947년 2월)
사망 및 실종223,000
후송된 부상489,500
합계712,500



일본 격파까지의 총계 (1945년 7월 – 1947년 2월)
사망 및 실종267,000
후송된 부상596,000
합계863,000



1945년 6월, 합동 전쟁 계획 위원회(JWPC)는 레이테 만 전투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 침공 시 예상되는 사상자를 추정했다.[41]

JWPC 사상자 추정, 1945년 6월 15일 (레이테 만 전투 기준)
작전 계획사망부상실종총계
남부 큐슈, 이어서 간토 평야40,000150,0003,500193,500
남부 큐슈 – 북서부 큐슈25,000105,0002,500132,500
남부 큐슈 – 북서부 큐슈 – 간토 평야46,000170,0004,000220,000



그러나 일본군의 증강과 오키나와 전투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상자 예측은 계속 상향 조정되었다. 1945년 8월,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사령부는 일본에 대한 최종 작전으로 최대 100만 명의 미국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받았다.[45]

물리학자 윌리엄 쇼클리는 일본 침공 시 500만 명에서 1,000만 명의 일본인이 사망하고, 미군에게는 170만 명에서 40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며, 그중 40만 명에서 80만 명이 사망할 것이라는 극단적인 추정치를 제시하기도 했다.[213]

미국 합동참모본부사이판 전투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군을 모두 격파할 경우 "미국인 50만 명의 목숨과 그 몇 배에 달하는 부상자를 잃을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29]

이러한 막대한 사상자 예상은 원자 폭탄 투하의 정당화 논리로 이어지기도 했다. 헨리 스팀슨 육군 장관은 원폭 투하가 100만 명의 미군 사상자를 막았다고 주장했다.[214]

한편, 일본군의 가미카제 공격은 연합군에게 큰 위협이었다. 미 해군 총사령관 어니스트 킹 제독은 가미카제 공격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매우 우려했으며, 몰락 작전 취소를 주장하기도 했다.[222] 미국 전략 폭격 조사단은 종전 시점에도 일본군이 특공기로 심각한 타격을 가할 능력이 있었다고 분석했다.[201]

결론적으로, 몰락 작전으로 인한 예상 사상자는 매우 광범위하게 추정되었으며, 이는 작전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이러한 예상은 미국의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원자 폭탄 투하 결정에도 영향을 주었다.

9. 전쟁 포로 처형

일본군 지도부는 1944년 여름부터 연합군이 포로 수용소에 접근할 경우 모든 포로를 '처리'하라는 명령을 수용소 지휘관들에게 내렸다.[55] 이는 포로들이 폭동을 일으키거나 연합군에 합류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수용소 지휘관들은 대량 폭격, 유독 가스, 독약, 익사, 참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포로를 처리할 수 있었다.[55] 일본군의 목표는 '단 한 명도 탈출하지 못하도록 모든 포로를 전멸'시키고, 포로나 수용소의 존재에 대한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는 것이었다.[55]

이러한 명령에 따라 팔라완 학살 등 여러 차례의 포로 학살이 자행되었다. 팔라완 학살에서는 병사들이 막사에서 산 채로 불태워지거나, 총에 맞거나, 찔려 죽었다.[55] 이 사건은 미군이 카바나투안 습격 작전과 같은 구출 작전을 통해 다른 포로들을 구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1945년 8월 20일, 일본 정부는 경비병과 가해자들이 처벌을 피할 수 있도록 도주를 허가하는 비밀 명령을 내렸다.[57] 당시 일본군 수중에 있던 연합군 포로와 민간 억류자는 다음과 같다.[58]

1945년 8월 일본군 수중에 있던 연합군 포로 및 민간인[58]
전쟁 포로민간 억류자총계
170,000115,000285,000


10. 일본군 사상자

계획자들이 고려해야 했던 주요 사항은 시간, 연합군 사상자, 그리고 일본의 조기 항복 여부였다. 1945년 초, 미군 계획자들은 다음과 같은 점들을 예상했다.[238]


  • "점령 작전은 제국 가용 군사력뿐만 아니라, 열광적인 적대적 시민들에 의한 저항에 부딪친다."[238]
  • "올림픽 작전 시행 시, 남부 규슈에서의 3개 사단과, 북부 규슈에서의 3개 사단에 맞닥게 된다."[238]
  • "규슈에서의 작전에서, 총 적대 세력은 10사단을 넘지 않으며, 이 수준은 신속히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238]
  • "코로넷 작전 시행 시, 도쿄 근처에서 약 21개 사단과 간토평야에서 약 14개 사단과 충돌하게 된다."[238]
  • "적군은 우리의 중화기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아시아 본토에서의 공군을 차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약 2천 대에서 2,500대의 항공기 차출이 예상되는데, 이 상황에서 규슈에서 맞설 수 있는 병력이 필요하다."[238]


태평양 전쟁의 전투 양상과 일본군의 특성으로 인해, 일본 본토 상륙 작전은 매우 어렵고 큰 희생을 치를 것으로 예상되었다. 연합군은 투입 가능한 모든 일본군뿐만 아니라 "광적으로 적대적인 민간인"의 저항에도 직면해야 했다. 미군 사상자 추정치는 상황에 따라 22만 명에서 수백만 명에 이르렀고, 일본군 및 민간인 사상자 추정치는 수백만 명에서 수천만 명에 달했다. 이러한 사상자 추정치에는 핵무기 사용이나 일본군에 의해 처형될 연합군 포로로 인한 방사능 중독으로 인한 잠재적 손실은 포함되지 않았다.[28]

사이판 전투 이후, 미국 합동참모본부(JCS)는 일본군 350만 명을 모두 격파해야 한다면 "미국인 50만 명의 목숨과 그 몇 배에 달하는 부상자를 잃을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29] 1945년 봄까지 예상되는 상륙 작전으로 인한 전투 사상자 수는 50만 명이라는 수치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실제 계획 목적으로는 백만 명에 가까운 전체 사상자 수가 사용되었다.[30]

1945년 1월 15일, 미국 육군 병참 부대(ASF)는 1945년 6월부터 1946년 12월까지 일본에 대한 최종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매달 평균 43,000명의 "사망 및 후송된 부상자"에 대한 보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32] 해군 및 해병대의 손실을 제외한 이 범주의 예상 손실은 1946년 말까지 약 723,000명, 1947년 초까지 863,000명에 달했다.[33]

ASF 사상자 추정, 1945년 1월 15일 (후송되지 않은 부상자, 해군 및 해병대 사상자 제외)
분기태평양 지역남서 태평양북태평양중국-버마-인도
사망후송된 부상사망후송된 부상사망후송된 부상사망후송된 부상
1945년 3분기10,00023,00013,00029,0001,0001,5002,0006,000
1945년 4분기16,00035,00012,00028,5001,0001,0002,0006,000
1946년 1분기24,00050,50011,00024,0001,0001,0002,0007,000
1946년 2분기28,00061,00011,00023,5001,0001,0002,0007,000
1946년 3분기30,00064,00011,00025,0001,0001,0002,0007,000
1946년 4분기30,00065,50010,00023,5001,0001,0002,0007,000
1947년30,00064,50010,00024,5001,0001,0002,0007,000
합계168,000363,50078,000178,0007,0007,50014,00047,000



다운폴 작전 및 동시 작전 전체
사망 및 실종223,000
후송된 부상489,500
합계712,500
일본 격파까지의 총계 (1945년 7월 – 1947년 2월)
사망 및 실종267,000
후송된 부상596,000
합계863,000



일본군의 저항 방식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 제국 육군은 거의 마지막 한 명까지 싸우는 것으로 알려졌다. 1945년 초여름까지, 어떤 일본 부대도 조직적인 항복을 한 사례가 없었다.[59] 일본군은 기아와 질병으로 고통받았는데, 후지와라 아키라에 따르면 1937년부터 1945년까지 군 사망자 230만 명 중 140만 명(61%)이 이러한 원인으로 사망했다.[60] 필리핀 탈환 작전 (1944–1945) 중 일본 사망자의 80%가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으며,[61] 뉴기니 전역에서는 그 비율이 97%에 달했을 수 있다.[62]

일본군은 결호작전에 따라 해안 방어에 배정된 모든 사단은 "완전한 전멸"까지 싸우도록 명령받았으며, 예비대의 대규모 반격은 교두보 근처에서 결정적인 전투를 강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65] 실패하면 생존 부대는 규슈의 아소산 주변과 혼슈의 마쓰시로 지하 대본영에 있는 요새로 후퇴하여 장기간 저항했을 것이다.[66] 이러한 전술을 고려할 때, 미국 군사 역사학자 리처드 B. 프랭크는 침략 지역 일본 군인과 해병의 "[40~50%] 미만이 전역 말까지 사망했다고 상상하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67]

민간인 사상자 역시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오키나와 전투로 인해 오키나와 민간인 인구의 10%에서 25%가 사망했다.[68] 1945년 7월 21일, 물리학자 윌리엄 쇼클리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군인과 민간인을 포함하여 "최소" 500만에서 1000만 명의 일본인이 사망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하는 미국 사상자는 최대 400만 명에 달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69] 일본 지도자들은 결호를 국가적으로 성공하거나 멸망하는 종말론적 전투로 간주했다. 선동가들은 '제국의 1억 국민 모두가 자신을 희생할 준비를 해야 한다'는 슬로건을 반복했고, 실패하더라도 "일본의 기억은 역사에 영원히 새겨질 것"이라고 말했다.[71]

내부적으로는 모든 국민이 전멸하지는 않더라도 피해가 클 것으로 믿었다. 오니시 다키지로는 "만약 우리가 가미카제 특공 작전에 2000만 명의 일본인의 생명을 희생할 각오가 있다면, 승리는 우리의 것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72] 고노에 후미마로도 극동 국제 군사 재판 조사관에게 총 사상자 수가 아닌 사망자 수 기준으로 2000만 명을 언급했다.[73]

미국의 해상 봉쇄 및 전략 폭격으로 일본의 식량 상황은 어려워졌다. 1946년 1월, 요시다 시게루는 긴급 식량 지원이 일본에 서둘러 제공되지 않으면 1946년 말까지 최대 1000만 명이 굶어 죽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76] 다른 추정치는 700만 명[77]에서 1100만 명에 달했다.[78]

참조

[1] 서적 Defeating Japan: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Strategy in the Pacific War
[2] 서적 One Hundred Years of Sea Power: The U.S. Navy, 1890–1990
[3] 웹사이트 Document Detail for IRISNUM= 00219137 http://airforcehisto[...]
[4] 간행물 One World Or None: A Report to the Public on the Full Meaning of the Atomic Bomb https://oneworld.fas[...] 2024-01-29
[5] 서적 History of Planning Division: Volume 6 (ASF-P-SL-1) https://cgsc.content[...] 2023-05-21
[6] 서적 History of Planning Division, ASF vol. 6 part 1
[7] 서적 Australia in the War of 1939–1945 Australian War Memorial 1963
[8] 문서 U.S. Army, Sixth Army Field Order 74, 28 July 1945 http://apps.dtic.mil[...] 2021-11-06
[9] 문서 Staff Study Operations "Coronet" 15 August 1945 https://apps.dtic.mi[...] 2021-11-06
[10] 간행물 Downfall: Stategic Plan 1st Edition http://cgsc.cdmhost.[...] General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the Pacific 2016-03-03
[11] 문서 Japanese Monograph No. 85 http://www.ibiblio.o[...] 2015-08-23
[12] 서적 Kamikaze: Japanese Special Attack Weapons 1944–45 Osprey Publishing 2011
[13] 간행물 Underwater Guerrillas 1983
[14] 문서 Hattori, "Japan at War: 1941–1945" http://www.k2x2.info[...] 2018-04-06
[15] 문서 JM-85
[16] 웹사이트 OLYMPIC VS KETSU-GO http://www.ibiblio.o[...] 2023-02-24
[17] 웹사이트 USSBS Report 62, Military Analysis Division, Japanese Air Power https://www.scribd.c[...] 2023-02-24
[18] 문서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64. http://www.geocities[...] 2015-07-21
[19] 뉴스 Okinawa, Harry Truman, and the Atomic Bomb http://www.vqronline[...] VQR 2017-03-17
[20] 웹사이트 By any means necessar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ttps://www.opendemo[...] 2018-07-17
[21] 뉴스 World War II plan to poison Japanese crops revealed http://m.couriermail[...] 2015-10-10
[22] 웹사이트 Victory in the Pacific Online Forum https://www.pbs.org/[...] 2016-10-21
[23] 웹사이트 America Nearly Attacked Japan With Chemical Weapons in 1945 https://warisboring.[...] 2016-06-11
[24] 간행물 Did Hiroshima Save Japan From Soviet Occupation? https://foreignpolic[...] 2021-02-01
[25] 서적 The End of the Pacific War: Reappraisal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7
[26] 서적 Japanese Defence: The Search for Political Power Allen & Unwin
[27] 서적 Jane's Fighting Ships of World War II Random House
[28] 서적 Marshall: Hero for Our Times Hearst Books 1982
[29] 문서 Giangreco 2009
[30] 문서 Giangreco 2009
[31] 문서 Giangreco 2009
[32] 문서 History of Planning Division, ASF vol. 9 https://cgsc.content[...] 2021-11-06
[33] 문서 History of Planning division, ASF
[34] 문서 History of Planning Division, ASF
[35] 문서 History of Planning Division, ASF vol. 4
[36] 서적 Giangreco 2009
[37] 서적 Giangreco 2009
[38] 서적 Giangreco 2009
[39] 논문 Casualty projections for the Invasion of Japan
[40] 서적 Giangreco 2009
[41] 논문 Casualty Projections for the Invasion of Japan
[42] 문서 The Final Months of War with Japan
[43] 서적 Giangreco 2009
[44] 서적 Blood Program in World War II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Department of the Army
[45] 서적 Giangreco 2009
[46] 뉴스 Selwyn Pepper obituary https://www.legacy.c[...] 2024-01-20
[47] 서적 Giangreco 2009
[48] 논문 Casualty Projections for the Invasion of Japan
[49] 웹사이트 75 Years Later, Purple Hearts Made for an Invasion of Japan are Still Being Awarded https://www.historyn[...] 2024-06-22
[50] 서적 Occupation of Japan and Japanese Reaction https://books.google[...] Command and General Staff School 1946-06
[51] 간행물 The Okinawa Campaign: a Case Study https://apps.dtic.mi[...] 2024-11-01
[52] 간행물 Pearl to VJ-Day https://media.defens[...] 2024-11-01
[53] 간행물 Pearl to VJ-Day https://media.defens[...] 2024-11-01
[54] 문서 Victory Rides the Divine Wind
[55] 문서 Exhibit O, Order to Kill all POWs http://www.mansell.c[...] Taiwan docs 2024-01-15
[56] 문서 "The War," Glenn Frazier. https://www.pbs.org/[...] 2024-01-15
[57] 문서 Exhibit J, "Order to Flee" http://www.mansell.c[...] Taiwan Docs 2024-01-15
[58] 서적 The Columbia Guide to Hiroshima and the Bomb
[59] 문서 Planning the Defeat of Japan https://cgsc.content[...] 2024-01-16
[60] 문서 The Battlefield Experience of Japanese Soldiers in the Asia-Pacific War https://apjjf.org/20[...] 2024-01-15
[61] 문서 Lessons from Iwo Jima https://www.historia[...] 2024-01-15
[62] 문서 The Naval Campaigns for New Guinea https://www.awm.gov.[...] 2024-01-15
[63] Youtube The Boys of H Company https://www.youtube.[...] 2024-01-16
[64] 문서 Planning the Defeat of Japan https://cgsc.content[...] 2024-01-16
[65] 문서 Japanese Plans for the Defense of Kyushu https://www.ibiblio.[...] 2024-01-15
[66] 서적 Giangreco 2009
[67] 문서 No Bomb: No End. http://slantchev.ucs[...] 2024-01-15
[68] 서적 Giangreco 2009
[69] 서적 Giangreco 2009
[70] 서적 Giangreco 2009
[71] 문서 Olympic vs Ketsu-Go
[72] 인용
[73] 인용
[74] 인용
[75] 인용 The Starvation Myth
[76] 인용
[77] 인용 Torpedo Squadron Four: a Cockpit View of World War II
[78] 웹사이트 Winners in Peace https://publishing.c[...] 2024-01-17
[79] 웹사이트 U.S. Army, Sixth Army Field Order 74, 28 July 1945 http://apps.dtic.mil[...] 2021-11-06
[80] 웹사이트 Staff Study Operations "Coronet" 15 August 1945 https://apps.dtic.mi[...] 2021-11-06
[81] 인용
[82] 문서 History of Planning Division, ASF
[83] 웹사이트 Japanese Plans for the Defense of Kyushu https://www.ibiblio.[...] 2024-01-15
[84] 문서 Japan at War
[85] 인용
[86] 문서 Japan at War
[87] 웹사이트 Japanese Monograph No. 85 http://www.ibiblio.o[...] 2015-08-23
[88] 인용
[89] 인용
[90] 인용
[91] 서적 Japan at War: an Oral History https://archive.org/[...] New Press 1992
[92] 인용
[93] 웹사이트 Staff Study Operations "Coronet" 15 August 1945 https://apps.dtic.mi[...] 2021-08-15
[94] 인용
[95] 인용
[96] 인용
[97] 인용
[98]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New York: Random House 1999
[99] 인용
[100] 인용
[101] 인용
[102] 인용
[103] 인용
[104] 인용
[105] 인용
[106] 서적 2022b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웹사이트 United States Army in World War II The War in the Pacific Campaign In the Marianas http://www.ibiblio.o[...]
[121] 서적 2011a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뉴스 Britain considered chemical attack on Tokyo in 1944 http://www.timesonli[...] Times 2009-06-26
[135] 웹사이트 第2次大戦末期 米軍は日本本土上陸作戦でサリン攻撃準備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1-11-12
[136] 서적
[137] 문서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뉴스 第2次大戦末期 米軍は日本本土上陸作戦でサリン攻撃準備 https://www.news-pos[...] SAPIO 2011-12-28
[142] 서적 1995
[143] 서적 1995
[144] 서적 1995
[145] 서적 2014
[146] 서적 2001
[147] 서적 1995
[148] 문서 1950年に1月1日に出版されたフランク・ケリーと[[コーネリアス・ライアン]]共著の「MacArthur, Man of Action」において、ケリーとライアンの取材に対して約1時間に渡って原爆のことを述べた際に語ったと記述されている。しかし、後日にマッカーサーは[[連合国軍最高司令官総司令部|GHQ]]のスポークスマンを通じて、このような発言はなかったと否定している。
[149] 서적 2003
[150] 서적 1995
[151] 서적 1995
[152] 서적 2022
[153] 서적 2022
[154] 서적 2022
[155] 서적 1995
[156] 서적 1995
[157] 웹사이트 第三展示室 アメリカ軍の日本本土上陸作戦 https://www.shizuoka[...] 静岡平和資料センター 2023-04-14
[158] 웹사이트 鹿児島市における戦災の状況(鹿児島県)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3-04-14
[159] 서적 2003
[160] 간행물 Bulletin No. 166-45, 15 August 1945. airfields in Kyushu. Report No. 3-i(14), USSBS Index Section 6 Records of the U.S. Strategic Bombing Survey
[161] 서적 1995
[162] 문서 1日の兵員1,000名に対する平均死傷者数 ○太平洋戦域 戦死、行方不明1.95名 戦傷 5.50名 総死傷7.45名 ○ヨーロッパ戦域 戦死、行方不明0.42名 戦傷1.74名 総死傷2.16名
[163] 웹사이트 No bomb No end P.374-375 http://coachfleenor.[...] 2021-05-04
[164]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Bulge https://www.army.mil[...] ACCESSIBILITY/SECTION 508 2022-03-13
[165] 서적 1967
[166] 서적 1967
[167] 웹사이트 The National Lima Charlie Productions: A Memorial Day’s Solace https://limacharlien[...] Lima Charlie Media 2022-03-13
[168] 웹사이트 Battle of the Bulge https://www.histor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2-03-13
[169] 서적 新版 西部戦線全史 朝日新聞出版 2018
[170] 웹사이트 The National Lima Charlie Productions: A Memorial Day’s Solace https://limacharlien[...] Lima Charlie Media 2022-03-13
[171] 서적 2009
[172] 서적 1997
[173] 서적 1995
[174] 서적 1995
[175] 서적 1966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180]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181] 서적 ketsu go japanese political and military strategy
[182] 논문 第二次世界大戦における日本の戦争終結―「終戦」の意味と要因―
[183] 서적 戦史叢書 本土決戦準備(関東の防衛) 朝雲新聞社 1971-11
[184] 서적 戦史叢書 陸軍軍戦備 朝雲新聞社 1979-07
[185] 논문 第二次世界大戦における日本の戦争終結―「終戦」の意味と要因―
[186] 웹사이트 Home Guard Pike http://www.home-guar[...]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방송 NHKスペシャル『特攻・なぜ拡大したのか』 2015-08-08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서적 戦史叢書 第57巻『本土決戦準備(2)九州の防衛』
[197] 서적 ketsu go japanese political and military strategy
[198] 서적
[199] 서적 愛媛県史近代「下」四 四国防衛軍の編成 1988-02-29
[200] 잡지 '[歴史群像]太平洋戦史シリーズ60号『本土決戦』本土決戦余話'
[201] 서적 アジア・太平洋戦争の終結―新たな局面―
[202] 서적 アジア・太平洋戦争の終結―新たな局面―
[203] 논문 戦争と石油(5)ー 世界最初の「戦略石油備蓄」 ー
[204] 논문 戦争と石油(2)ー 世界最初の「戦略石油備蓄」 ー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서적
[209] 서적
[210] 웹사이트 National Interest: The 5 Most Precarious U.S. Allies of All Time https://nationalinte[...] 2021-05-09
[211] 간행물 アレン・ボーマー 1995
[212] 웹사이트 The Biggest Decision: Why We Had To Drop The Atomic Bomb https://www.american[...] American Heritage 1995-06-01
[213] 웹사이트 Biography of William Shockley, American Physicist and Inventor https://www.thoughtc[...] ThoughtCo 2020-04-24
[214] 논문 原爆投下決定における『公式解釈』の形成とヘンリー・スティムソン 文化女子大学紀要 人文・社会科学研究 2007
[215] 간행물 ファイファー 1995
[216] 웹사이트 日本への原爆投下は「正しかった」か? アメリカ人の歴史認識に変化の兆し https://forbesjapan.[...] フォーブスジャパン 2020-08-15
[217] 웹사이트 Half A Million Purple Hearts https://www.american[...] American Heritage 2000-12-16
[218] 간행물 リンリ・オードリッジ 1997
[219] 서적 The Invasion of Japan: Alternative to the Bomb
[220] 웹사이트 Research Starters: Worldwide Deaths in World War II WWII HISTORY https://www.national[...] 2021-10-06
[221] 간행물 アレン・ボーマー 1995
[222] 간행물 アレン・ボーマー 1995
[223] 간행물 アレン・ボーマー 1995
[224] 간행물 アレン・ボーマー 1995
[225] 간행물 アレン・ボーマー 1995
[226] 웹사이트 US Air Force: The Invasion that Didn't Happen http://www.airforcem[...] 2021-05-04
[227] 기타 本作の英語版 "Avenge Pearl Harbor",Special Ops #8,Multi-Man Pub,2018 http://www.multimanp[...]
[228] 웹인용 Chapter XIII "Downfall" The Plan For The Invasion Of Japan https://web.archive.[...] 미국 육군 역사관 2016-01-23
[229] 서적 History of World War II
[230] 서적 The Invasion of Japan
[231] 서적 Hell to Pay: Operation Downfall and the Invasion of Japan Naval Institute Press 2009-10
[232] 저널 There's A War to be Won http://www.carlisle.[...] Random House
[233] 서적 The Invasion of Japan
[234] 서적 The Invasion of Japan
[235] 간행물 Spector
[236] 서적 The Invasion of Japan
[237] 서적 The Invasion of Japan
[238] 웹사이트 "DOWNFALL": Strategic Plan for Operations in the Japanese Archipelago http://cgsc.cdmhost.[...] 1945-05-28
[239] 서적 The Invasion of Japan
[240] 서적 The Invasion of Japan
[241] 기타 'Beach Organization for Operation against Kyushu; from COMPHIBSPAC OP PLAN A11-45, August 10, 1945. Skates, The Invasion of Japan, pictorial insert'
[242] 기타 Skates
[243] 기타 Day
[244] 기타 Day
[245] 기타 Day
[246] 서적 High Command Allen & Unwin 1982
[247] 논문 The Invasion of Japan
[248] 논문 Downfall
[249] 논문 The Battle of Okinawa
[250] 논문 Downfall
[251] 논문 Downfall
[252] 논문 Downfall
[253] 논문 OLYMPIC VS KETSU-GO
[254] 논문 Downf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