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사 (예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사는 히브리 성경의 열왕기에 기록된 이스라엘 왕국의 예언자이다. 그는 엘리야의 제자이자 후계자로서, 요람, 예후, 여호아하스, 요아스 치세에 활동하며 여러 기적을 행했다. 엘리야에게 영적인 능력을 두 배로 받기를 원하여, 엘리야의 겉옷을 물려받고 요단강을 건너는 등의 기적을 행했다. 엘리사는 아람 군대의 눈을 멀게 하거나, 나병 환자를 고치는 등 정치, 군사적으로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기독교,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엘리야의 후계자로 존경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세기 아시아 사람 - 엘리야
엘리야는 기원전 9세기 북이스라엘 왕국에서 활동하며 바알 숭배에 맞서 야훼 신앙을 옹호하고 이스라엘 종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친 예언자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존경받는 인물이다. - 엘리야 - 예수의 변모
예수의 변모는 공관복음서에 기록된 사건으로, 예수의 모습이 변화하고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와 대화하며 예수의 신성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 엘리야 - 바알
바알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된 폭풍, 다산, 풍요를 관장하는 신으로, 히브리 성경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악마를 상징한다. - 가르멜회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가르멜회 - 에디트 슈타인
에디트 슈타인은 폴란드 출신의 유대인 철학자이자 가톨릭 성녀로, 현상학 및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 연구에 기여했으며, 나치의 박해로 아우슈비츠에서 순교, 가톨릭 개종 후 가르멜 수녀회 수녀로 활동하며 기독교적 존재론을 연구했고, 유럽의 수호성인 중 한 명이다.
엘리사 (예언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출생 연도 | 기원전 910년경 |
사망 연도 | 기원전 800년경 |
사망 장소 | 사마리아 |
종교적 정보 | |
직업 | 예언자, 기적을 행하는 사람 |
관련 인물 | 엘리야 |
언급 | 누가복음 4장 27절 꾸란 6장 86절 꾸란 38장 48절 |
이름 정보 | |
히브리어 | אֱלִישָׁע (ʼElīšaʻ, ʼĔlīšāʻ, '나의 하느님은 구원이시다' 또는 '하느님은 나의 구원이시다') |
그리스어 | Ἐλισ[σ]αῖος (Elis[s]aîos 또는 Ἐλισαιέ Elisaié) |
라틴어 | Eliseus |
2. 엘리야의 부름과 후계자 지명
엘리사는 아벨-므홀라 출신 사팟의 아들로, 엘리야가 하느님의 명을 받아 후계자로 삼았다.[50] 아합 왕 시절, 이세벨 왕비에게 생명의 위협을 느낀 엘리야는 시나이 반도 사막 지대로 피신하여 호렙 산에 은신했다. 그곳에서 하느님은 엘리야에게 하사엘을 아람의 왕으로, 예후를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우고, 엘리사를 후계자로 지명하는 세 가지 임무를 내렸다. 엘리야는 다마스쿠스로 가던 중 밭을 갈던 엘리사를 만나 자신의 가죽 옷[47]을 던져 제자로 삼았다. 이후 엘리사는 약 8년간 엘리야를 충실히 따르며 스승이자 양육자로서 섬겼다.
2. 1. 엘리야의 후계자
엘리사는 아벨-므홀라 출신의 사팟의 아들로, 엘리야가 하느님의 명령으로 엘리사를 불러 겉옷을 걸쳐 주어 후계자로 세웠다고 한다.[50]이후 엘리야와 함께 여러 지역을 다니다가 요르단강가에서 엘리야가 소원이 있는지 묻자 엘리사는 엘리야의 영검을 두 배로 갖고 싶다고 했다.[51] 엘리야가 승천하고 그가 떨어뜨리고 간 겉옷을 주워 엘리야의 능력을 얻게 되었다. 엘리사는 사밧의 아들이었으며, 아벨-므홀라의 부유한 토지 소유주였다. 그는 엘리야의 시종이자 제자가 되었다.[8]
엘리사의 이름은 열왕기상 19장에서 엘리야에게 그를 자신의 후계자로 기름 부으라는 명령이 내려지면서 처음 등장한다. 호렙 산의 동굴에서 사밧의 아들 엘리사가 야훼에 의해 예언자 직을 계승할 자로 선택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 엘리야는 그를 찾아 나섰다. 호렙 산에서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 엘리야는 열두 겨릿소와 함께 밭을 가는 엘리사를 만났다.[9] 엘리야는 그에게 가서 자신의 겉옷을 엘리사의 어깨에 던져 예언자 직을 위임했다.[8] 엘리사는 밭을 가는 소를 잡아 그 고기를 쟁기의 나무로 삶아 먹는 데 필요한 시간만큼만 지체했다. 이별의 만찬을 아버지, 어머니, 친구들과 나눈 후 새로 선택된 예언자는 "엘리야를 따라갔고 그를 섬겼다".[10] 엘리사는 엘리야가 살아서 하늘로 올라갈 때까지 엘리야의 측근이 되었지만, 그 기간 동안 엘리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는다.

엘리사는 여리고로 엘리야를 따라갔는데, 열왕기하 2:3–9에 따르면, "선지자의 아들들"이 엘리사에게 "오늘 네 주께서 네 머리에서 데려가실 것이다"라고 말한다.
엘리야의 승천과 엘리사가 그의 권능을 물려받는 이야기는 열왕기하 2:6-15에 나온다. 엘리야와 엘리사는 요단강으로 갔다. 엘리야가 겉옷을 말아 물을 치자 물이 갈라져 둘 다 마른 땅으로 건너갈 수 있었다. 엘리사는 엘리야의 영의 "갑절의 영"을 받기를 청한다. 갑자기 불수레와 불말이 나타나 엘리야가 회오리바람에 휩싸여 올라갔다. 엘리야가 올라갈 때 그의 겉옷이 땅에 떨어졌고 엘리사가 그것을 주웠다. 이것은 엘리사가 스승의 겉옷과 접촉하는 두 번째 경우인데, 이는 종교 의식의 의복으로서 예언적 능력과 권위와 관련이 있다.[11]
일부 학자들은 이것을 당시의 재산 상속 관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장남이 아버지의 유산의 두 배를 다른 아들들보다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이다. 이 해석에서 엘리사는 자신이 엘리야의 "정당한 상속자"이자 후계자로 여겨지기를 요청하는 것이다.[12] 이 견해에 대한 비판자들은 엘리사가 이미 이야기 초반에 엘리야의 후계자로 임명되었고, 엘리사가 엘리야보다 두 배 더 많은 기적을 행하는 것으로 묘사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해석에서 "갑절의 영"은 단지 승계에서의 우선권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엘리야보다 더 큰 예언적 능력을 위한 요청이다.[13]
아합 왕 시대, 왕비 이세벨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던 엘리야는 몸을 피하여 시나이 반도의 사막 지대로 도망쳐 호렙 산에 숨었다. 그러자 하느님이 나타나 그에게 세 가지 사명을 부여했다. 그것은 하사엘을 성별하여 아람의 왕으로 세우는 것, 님시의 아들 예후를 성별하여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우는 것, 그리고 그의 후계자로 아벨므홀라의 농부 사밧의 아들 엘리사를 지명하는 것이었다.
엘리야는 다마스쿠스로 향하던 중, 밭을 갈고 있는 젊은이 엘리사를 발견했다. 그리고 자신의 상징으로 알려진 가죽 옷[47]을 그에게 던지자, 그는 즉시 제자로서 따랐다. 그로부터 약 8년 동안, 엘리야가 승천하고 그에게서 예언자로서의 영을 물려받아 독립하기까지 엘리사는 충실한 종으로서 동행하며 양육자이기도 한 스승을 섬겼다. 다만, 이 기간의 사건에 대해서는 성경 문헌이 많은 이야기를 전하고 있지 않다.
엘리야는 대체로 은둔 생활을 했지만, 이스라엘의 하느님에 대한 신앙심을 버린 권력자 및 회중과 여러 차례 갈등을 겪었다. 하자르는 주석에서, 엘리사는 스승의 두 배의 능력을 원했다고 논하고 있으며, 엘리사가 행한 기적의 수가 엘리야의 그것의 두 배였다고도 말하고 있다.
3. 엘리사의 예언 활동과 기적
엘리사는 스승 엘리야가 승천한 뒤 그의 뒤를 이어 예언자로서 활동했다. 엘리야가 남긴 겉옷을 가지고 요르단강을 가르는 기적을 행하며, 다른 예언자들로부터 엘리야의 후계자로 인정받았다.[24] 이후 약 60년간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예언자로서 확고한 지위를 확립했다. 엘리사는 엘리야와 작별할 때 "나의 아버지, 나의 아버지, 이스라엘의 병거와 그 기병이여" (열왕기하 2:12)라고 외쳤다.
3. 1. 주요 기적들
엘리사는 엘리야가 떨어뜨린 망토를 통해 기적적으로 요르단을 다시 건너 여리고로 돌아와, 그곳 샘의 썩은 물을 정화하여 마실 수 있게 함으로써 사람들의 감사를 받았다.[24] 엘리사는 그 뒤에도 여러 지역을 다니며 복음을 선포하며 많은 이적을 남겼다. 엘리사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기적을 빼놓고는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그는 많은 기적을 행했다고 여겨지며, 또한 그는 그 기적을 통해 이름을 떨친 인물이기도 하다. 주요 기적은 다음과 같다:번호 | 기적 내용 | 성경 구절 |
---|---|---|
1 | 예리고의 마을 수원(水源)을 소금으로 깨끗하게 했다.[52] | 열왕기하 2:19~2:22 |
2 | 베텔(벧엘)로 가던 도중 어린아이들이 자신을 욕하자 하나님의 이름으로 그 어린아이들을 저주했다. 곧 암곰 2마리가 나와 아이들 가운데 42명을 찢어 죽였다.[53] 이 사건은 엘리사의 대머리를 조롱한 소년들(또는 청년들)에게 엘리사가 야훼의 이름으로 저주를 내렸고, 그 결과 숲에서 두 마리의 암곰이 나타나 42명의 아이들을 찢어 죽인 사건이다.[14] | 열왕기하 2:23~2:24 |
3 | 유다 왕국의 여호사밧과 이스라엘 왕국의 요람과 에돔 왕이 모압을 정벌하던 도중 가축들을 먹일 물이 떨어지자 엘리사가 나서 제물을 바치고 물이 나오게 했다. 유다, 이스라엘, 에돔의 군대가 메사 모압 왕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었을 때, 이드메아 사막에서 가뭄으로 고통받자, 엘리사는 개입하기로 동의했다. 가뭄에서 벗어나는 것과 모압에 대한 승리에 대한 그의 이중적인 예언은 다음날 아침에 이루어졌다.[8] | 열왕기하 3:4~3:27 |
4 | 어떤 곳에서는 하나님의 공경하던 남편을 가졌던 한 과부가 빚을 지고 아들들이 종이 될 위기에 처하자 과부가 유일하게 가지고 있던 기름을 늘려 그것을 팔아 빚을 갚게 했다.[54] 유대교 전통은 그 과부의 남편을 오바댜로 확인하는데, 그는 아합 왕의 종이었으며, 야훼의 예언자 100명을 두 개의 동굴에 숨겼다.[16] | 열왕기하 4:1~4:7 |
5 | 수넴 여자의 아들이 죽게 되자 이적을 베풀어 그 아들이 다시 살아나게 했다.[55] 엘리사는 수넴의 부유한 여인에게 아들을 낳게 해주었다. 몇 년 후 아이가 죽었을 때, 엘리사는 성공적으로 아이를 소생시켰다.[17] | 열왕기하 4:18~4:37 |
6 | 길갈에 있을 때 어떤 사람이 독이 든 줄도 모르고 열매를 넣어 국을 끓이고 엘리사에게 대접했는데 엘리사는 이를 미리 알아차리고 밀가루를 솥에 넣어 독을 없앴다. 기근에 시달리는 예언자들의 아들들을 먹이기 위해, 엘리사는 독이 있는 박과로 만든 죽을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바꾸었다.[24] | 열왕기하 4:38~4:41 |
7 | 바알 살리사에서는 보리빵 20개와 햇곡식 이삭으로 100명을 먹이기도 했다. 그는 100명의 사람들에게 20개의 새로운 보리 빵을 먹였고, 남은 것이 있었는데,[18] 이는 신약성경의 예수의 기적과 비교할 수 있는 이야기이다.[19] | 열왕기하 4:42~4:44 |
8 | 나병 걸린 아람의 장군 나아만이 엘리사의 소문을 듣고 자신의 병을 고치러 오자 이스라엘 땅의 요단강에서 일곱 번 목욕하게 하여 나병을 고치게 하였다. 엘리사는 시리아의 군 지휘관 나아만의 나병을 고쳤지만, 나아만에게 돈을 받은 자신의 종 게하시를 벌했다.[17] 나아만은 처음에는 꺼렸지만, 엘리사에게 순종하여 요르단 강에서 일곱 번 씻었다. 그의 살갗이 "어린아이의 살갗처럼 회복"된 것을 보고, 이 하나님의 능력의 증거와 그의 예언자의 사심 없음에서 깊은 감명을 받은 이 장군은 "온 땅에는 이스라엘 외에 다른 신이 없다"는 깊은 확신을 표현했다.[20] | 열왕기하 5:1~5:14 |
9 | 엘리사 종 게하시에게 나아만의 나병을 옮기게 하여 벌을 받게 했다.[56] | 열왕기하 5:25~5:27 |
10 | 요르단강에서는 한 예언자 무리가 엘리사를 위한 집을 짓기 위해 나무를 베다가 강물에 빠뜨린 도끼를 찾아주었다. 철이 뜨게 하여 예언자의 아들의 당혹감을 덜어주었다.[24] | 열왕기하 6:1~6:7 |
11 | 아람 군대가 이스라엘로 쳐들어오자 하나님에게 기도하여 아람 군대의 눈을 멀게 하여 성으로 유인한 뒤 배불리 음식을 먹이고 돌려보내어 아람과 이스라엘이 오랫동안 친하게 지내도록 했다. 시리아 왕의 병사들을 이상한 눈멀음으로 혼란시켰다.[23] | 열왕기하 6:8~6:23 |
12 | 엘리사는 집에 원로들과 함께 있던 도중 자객이 자신을 해치러 오는 것을 미리 알고 피하기도 했다. 여호람 이스라엘 왕을 벤하닷이 계획한 매복에서 반복적으로 구출하고,[14] 이스라엘의 은혜를 모르는 왕의 사자에게 문을 닫으라고 장로들에게 명령했다.[22] | 열왕기하 6:31~6:33 |
13 | 엘리사는 아람의 수도 다마스쿠스(다메섹)에서 훗날 아람의 왕이 될 하자엘(하사엘)을 만나 하자엘이 훗날 아람의 왕이 될 것을 미리 알려주었다. 그래서 그날 밤 하자엘은 자신이 모시던 아람 왕 벤 하닷을 살해하고 자신이 왕위에 올랐다. 그 후 엘리사는 다마스쿠스로 가서 하사엘이 시리아의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9] | 열왕기하 8:7~8:15 |
14 | 엘리사는 님시의 손자이자 여호사밧의 아들 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국의 새 왕으로 예언하였고 예후는 요람 왕과 남유다의 아하시야 왕, 이세벨과 아합의 아들들을 죽였다. 엘리사는 예언자들 중 한 명에게 여호사밧의 아들 예후에게 이스라엘 왕으로 기름 부으라고 지시하고, 그에게 아합의 집을 끊으라고 명령한다.[11] 예후의 활에서 날아온 화살에 꿰뚫린 여호람의 죽음, 이세벨의 죽음,[26] 그리고 아합의 아들 70명의 학살은 그가 그 요구를 어떻게 실행했는지 증명했다.[27] | 열왕기하 9:1~10:28 |
3. 2. 정치, 군사적 영향력
엘리사는 국민적인 예언자로서 국가의 정치와 군사 전략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예를 들어, 모압에 선전포고를 한 이스라엘 왕국의 왕 요람과 유다 왕국의 왕 여호사밧, 그리고 에돔의 왕이 원정 도중에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을 때, 엘리사는 와디(물이 흐르지 않는 마른 골짜기)에 물이 넘칠 것을 예언하며 그들의 승리를 약속했다.[8] 또한, 사마리아가 아람 왕 벤하닷에게 포위되어 심각한 기아가 발생했을 때, 엘리사는 다음 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예언했고, 이는 아람 군대가 갑자기 철수하면서 실제로 이루어졌다.[25]엘리사는 이세벨에 의해 국내에 퍼진 우상 숭배와의 싸움을 엘리야로부터 이어받았다. 엘리사는 님시의 손자이자 여호사밧의 아들인 예후에게 사자를 보내 그가 왕위에 오를 것이라는 예언을 전했다.[11] 예후는 요람에게 반역을 일으켜 이세벨을 살해했다.[26] 이로써 오므리 왕조를 전복시키고 이스라엘에서 우상 숭배 풍습을 없앴다.[27]
4. 엘리사의 죽음과 유산
엘리사는 이스라엘 왕국의 요아스 왕 시기에 아람과의 전쟁 중에 죽었다.[57] 요아스 왕이 방문했을 때, 엘리사는 왕에게 땅을 치라고 했으나, 요아스 왕이 세 번만 치자 "임금님께서 대여섯 번 치셨더라면, 아람을 쳐서 전멸시키셨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아람을 세 번밖에 치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라고 한탄하며 죽었다.[57]
엘리사가 죽은 후, 매년 모압 도적들이 이스라엘에 출몰했다. 한번은 사람들이 장례를 치르던 중 도적들을 보고 시신을 엘리사의 무덤에 던지고 도망쳤는데, 그 시신이 엘리사의 시체에 닿자 다시 살아났다고 한다.[58]
엘리사는 죽기 직전, 예후의 손자인 요아스 왕에게 동쪽으로 화살을 쏘게 하고, 아펙에서 아람을 멸망시킬 것이라는 예언을 했다.[29] 엘리사는 아람과의 세 번의 전투를 예언했지만, 완전한 승리는 아니었다.[9] 요아스는 세 번의 승리로 아람에게 빼앗겼던 요르단 서안의 도시들을 되찾았다.[30] 엘리사가 죽은 다음 해, 어떤 시신이 그의 무덤에 던져졌는데, 엘리사의 유해에 닿자마자 그 사람이 살아났다고 한다.[31]
요아스 왕 시대에 엘리사는 병에 걸렸고, 요아스는 엘리사를 찾아가 "나의 아버지여, 나의 아버지여, 이스라엘의 병거여, 그 기병이여" (열왕기하 13:14)라고 애도했다. 엘리사는 아람과의 싸움에서 이스라엘의 승리를 예언하고 숨을 거두었다.
수 세기 후 팔레스타인을 방문한 여행자들은 사마리아에 있는 샤이프 알리 또는 샤이프 엘리아스의 무덤이 엘리사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무덤은 세겜(나블루스)에서 케파르 사바로 가는 길목의 샤이프 엘리아스 마을에 있는데, 이는 마을 북부의 집락 명칭인 샤이프 알리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4. 1. 평가
엘리사는 여러 기독교 교회에서 공경을 받으며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그의 축일은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서 6월 14일이다. (전통적인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6월 14일이 현대의 그레고리력으로 6월 27일에 해당한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오순절 이후 다섯 번째 주일 다음 목요일(2021년 7월 1일)에 그의 축일을 기념한다.[32] 다마스쿠스의 요한은 엘리사를 기리는 정경을 작곡했고, 그를 기리는 교회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세워졌다.서방 기독교에서 엘리사는 자신과 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가톨릭 수도회인 카르멜 수도회의 성인 달력에서 기념된다.[33] 이는 1399년 카르멜 수도회 총회의 결정에 따른 것이다.[24] 그는 또한 루터교회–미주리 시노드의 성인 달력에서 예언자로 기념된다. 두 달력 모두 6월 14일에 그를 기념한다.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모두 그가 미혼이고 독신이었다고 믿는다.[34]
율리아누스 황제 (361–363)는 세바스티아에 나란히 묻힌 예언자 엘리사, 오바댜와 세례자 요한의 유해를 불태우라고 명령했지만,[35] 기독교인들이 그들을 구출했고, 그 중 일부는 알렉산드리아로 옮겨졌다.[17] 오늘날, 엘리사의 유해는 이집트 스케테스에 있는 콥트 정교 성 마카리우스 대수도원의 소유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36]
엘리사는 사도 누가, 안드레, 토마스와 예언자 엘리세우스, 페르시아의 순교자 라자로의 유해와 의복이 로마노스 라카페노스 황제(919–944) 시대에 성 아우구스타 수도원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 사도 교회로 옮겨진 것을 기념하여 6월 20일에 기념된다. 옮김은 콘스탄티누스 7세 황제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 폴리유크투스 총대주교 (956–970)에 의해 이루어졌다.[37] 엘리세우스는 또한 7월 20일에 아론, 엘리야와 모세와 함께 기념된다.[38]
《열왕기하》에 기록된 수많은 기적담은 엘리사가 사회적 약자를 구제하는 의로운 인물이었음을 보여주는 한편, 그의 까다롭고 쉽게 흥분하는 성격, 더 나아가 무자비하고 잔혹하다고까지 여겨질 수 있는 인물상마저 드러낸다. 특히, 예리코에서 돌아오는 길에 마을에서 나온 아이들이 "대머리야, 올라가라"라고 조롱하자, 하나님의 이름으로 아이들을 저주하여 그 결과 42명의 아이들이 곰에게 찢겨 죽었다는 일화는 매우 유명하다(2:23~2:24). 하잘에 따르면, 이 고사에서 "근거도 없고, 아무런 근거도 없다"는 의미의 관용구 "לא דובים ולא יער"(직역: "곰도 없고 숲도 없다")가 생겨났다고 한다.[48] 이 외에도, 자신이 거절한 나아만의 선물을 종 게하시가 가로챘을 때, 그에게 나아만의 피부병을 옮겨 파문했다는 일화도 있다.[49]
『열왕기 하』의 기술을 단순하게 읽으면, 아이들이 "עלה קרח"(새 공동 번역: "대머리야, 올라가거라")라고 말하며 엘리사를 놀린 것은, 그의 외모상의 특징을 보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일부 주석가들에 따르면, 아이(원어에서는 젊은이)들은 엘리사가 자신들의 마을의 수입원을 ה'''קר'''י'''ח'''(대머리로 만들었다, 불모로 만들었다)했기 때문에, 이러한 야유를 퍼부었다고 해설한다. 즉, 엘리사에 의해 물이 정화되기 전까지, 여리고의 주민들은 그들의 마을에서 물을 사야 했다는 것이다. 또한, 엘리사의 업적이 충실하게 『열왕기 하』의 기술에 반영되어 있다면, 그가 엘리야와 사별한 것은 아직 청년기였을 때로 추정된다. 따라서, 그 직후에 쏟아진 아이들의 야유는, 그의 용모와는 관계가 없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엘리사는 이 발언에 대해 숲 속에서 두 마리의 곰이 나타나 아이들 중 42명을 찢어 죽이는 행동으로 응대했다.
언뜻 보면, 이 끔찍한 사건은 예언자의 행동으로는 도저히 어울리지 않으며, 또한, 아이들이 받은 벌도, 그 죄와 비교하여 균형이 잡혀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하잘(Hazar, 랍비들의 유대교 율법 주석)도 그 주석에서, 예언자의 이 행동에 불쾌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편, 『바빌로니안 탈무드(Babylonian Talmud)』(마세헤트 소타 46.1)에서는, 엘리사는 예언자로서의 생애 동안 세 가지 과오를 범했다고 말하고 있다. 그것은, 곰에게 아이들을 습격하게 한 것, 종 게하시를 파문한 것, 그리고 그의 죽음이다.
엘리사는 구약 성서의 등장인물 중에서도, 특히 매력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데, 그것은 예언자답지 않은 인간적인 고뇌를 짊어진 채의 인생이었음이 묘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잘의 주석에서도 그의 업적에 대한 반론은 결코 단순한 것이 아니며, 어쨌든 예언자로서의 그의 성성을 옹호하고 있다.
5. 이슬람에서의 엘리사
엘리사(اليسع|al-yasaʿar)는 이슬람에서 예언자로 존경받으며, 엘리야(아랍어: )의 예언자 계승자이다. 엘리사는 꾸란에서 동료 예언자들과 함께 예언자로 두 번 언급된다.[39] 꾸란에 따르면, 엘리사는 "만국 위에 (또는 그 백성에게)" ()[41] 존귀하게 여겨지며 "훌륭한 자들 중 하나" ()이다.[42] 엘리사를 히즈르와 동일시하는 이슬람 자료는 이슬람 전통에서 히즈르와 엘리야 사이의 강력한 관계를 언급한다.[43]
일부 무슬림은 엘리사의 무덤이 사우디 아라비아 동부 지역의 알 아우잠에 있다고 믿는다. 이 성지는 사우디 정부에 의해 철거되었는데, 이는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지배적인 와하비 또는 살라피 개혁 운동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44][45] 이 성지는 오스만 아라비아 시대에 수세기 동안 중요한 랜드마크였으며, 근대 이전 시대에 모든 종파의 무슬림에게 매우 인기 있는 순례지였다.[46]
참조
[1]
간행물
Elisha
Longman
[2]
bibleverse
[3]
서적
Revisioning the Sacred: New Perspectives on a Bahái̓́ Theology
[4]
서적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Historical Books
InterVarsity Press
[5]
서적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Fortress
[6]
웹사이트
103 Bible results for "Elisha" from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4-04-21
[7]
서적
HarperCollins Bible Dictionary
HarperCollins Publishers
[8]
간행물
Elisha
http://jewishencyclo[...]
[9]
웹사이트
Biblical Figures: Elisha, Miracle Worker
https://www.national[...]
2021-02-01
[10]
서적
The history of the prophet Elisha
https://books.google[...]
[11]
뉴스
Elish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4-02-07
[12]
웹사이트
Asking for a double share
http://rabatchurch.o[...]
2003-11-02
[13]
웹사이트
The Prophetic Double Anointing
http://www.gospel.or[...]
gospel.org.nz
[14]
간행물
Eliseu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4-01-07
[15]
문서
Elijah and Elisha
[16]
bibleverse
[17]
웹사이트
Elisha
http://oca.org/saint[...]
Orthodox Church in America
[18]
bibleverse
[19]
bibleverse
[20]
bibleverse
[21]
bibleverse
[22]
bibleverse
[23]
bibleverse
[24]
웹사이트
Eliseus
https://web.archive.[...]
the Order of Carmelites
2014-01-07
[25]
bibleverse
[26]
bibleverse
[27]
bibleverse
[28]
bibleverse
[29]
bibleverse
[30]
웹사이트
Pulpit Commentary on 2 Kings 13
http://biblehub.com/[...]
2018-01-09
[31]
bibleverse
[32]
서적
Domar: the calendrical and liturgical cycle of the Armenian Apostolic Orthodox Church
Armenian Orthodox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33]
웹사이트
Carmelite Calendar
http://www.carmelite[...]
[34]
웹사이트
Jesus was never married
https://web.archive.[...]
St. Ignatius reading
2010-08-19
[35]
서적
The Churches of the Crusader Kingdom of Jerusalem: A Corpus. Vol. 2: LZ (excluding Tyre)
[36]
웹사이트
The Monastery of St. Macarius the Great
https://web.archive.[...]
2006-12-22
[37]
웹사이트
ЕЛИСЕЙ, ПРОРОК - Древо
http://drevo-info.ru[...]
2022-07-16
[38]
웹사이트
Mojżesz
https://deon.pl/imio[...]
2021-09-03
[39]
간행물
Elisha
Georgetown University, Washington DC. Brill Online.
[40]
간행물
Elisha
Brill Online.
[41]
문서
Qur'an 6:86
[42]
문서
Qur'an 38:48
[43]
서적
Stories of the prophets
Leiden
1995
[44]
웹사이트
Religious curbs in Saudi Arabia – Report: Jafariya News, December 12 News
https://web.archive.[...]
2013-01-31
[45]
웹사이트
Salafi Bidah in respecting the signs of Allah
https://shiapen.com/[...]
2024-04-21
[46]
문서
اليسع
[47]
문서
アハズヤは、「お前たちに会いに上って来て、そのようなことを告げたのはどんな男か」と彼らに尋ねた。「毛衣を着て、腰には革帯を締めていました」と彼らが答えると、アハズヤは「それはティベシュ人エリヤだ」と言った。
[48]
서적
キリスト聖書塾『現代ヘブライ語辞典』
[49]
문서
열왕기하(구어역)#5:20-27
[50]
문서
열왕기상 19:19-21
[51]
문서
열왕기하 2:9
[52]
문서
열왕기하 2:19-22
[53]
문서
열왕기하 2:23-25
[54]
문서
열왕기하 4:1-7
[55]
문서
열왕기하 8:1-37
[56]
문서
열왕기하 5:1-27
[57]
문서
열왕기하 13:14-20
[58]
문서
열왕기하 13: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