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도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도리역은 1971년 12월 16일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삿포로 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난보쿠선, 도자이선, 도호선 3개 노선이 지나간다. 1976년 도자이선, 1988년 도호선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으며, 3개 노선은 각각 다른 층에 승강장이 위치해 있다. 2022년 기준 1일 평균 71,296명이 이용하며, 삿포로 시영 지하철에서 삿포로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 역 주변에는 오도리 공원을 비롯해 다양한 상업 시설과 교통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오구 (삿포로시) - 이시카리 진흥국
이시카리 진흥국은 홋카이도에 위치하며 삿포로시를 포함한 여러 시정촌으로 구성되고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명칭을 가지며 이시카리 강 중심의 평야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형과 교통망, 경제 활동, 관광 명소를 갖추었으나 2019년 삿포로 광역권 조합 해산과 함께 역할을 마쳤다. - 주오구 (삿포로시) -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눈축제는 1950년 삿포로시 오도리 공원에서 시작되어 육상자위대의 참여와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 눈 조각 콘테스트와 스스키노 아이스 월드를 포함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2024년 정상 규모로 개최되었다. - 삿포로시 교통국의 철도역 - 교케이도리 정류장
교케이도리 정류장은 1923년 개업한 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 선의 정류장으로, 대향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주변에 다양한 편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삿포로시 교통국의 철도역 - 이시야마도리 정류장
이시야마도리 정류장은 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 선의 정류장으로, 1931년 개업하여 1954년 복선화되었고 2015년에 정류장 번호가 부여되었으며, 2면 2선의 대향식 승강장과 주변 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71년 개업한 철도역 - 아우라지역
아우라지역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소속의 지상역으로, 1971년 여량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및 어름치 카페, 캡슐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71년 개업한 철도역 - 바자오유러위안역
바자오유러위안역은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의 지하철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바자오 북로와 바자오 남로 지하에 위치하며, 과거 공무원 전용으로 운영되다 일반 시민과 외국인에게 개방되었고, 주변에는 스징산 체육장, 바자오 공원, 스징산 유러위안 등이 있다.
오도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종류 | 삿포로 시영 지하철 역 |
주소 | 주오구 홋카이도 |
운영 주체 | 삿포로 시 교통국 |
노선 | 난보쿠 선 도자이 선 도호 선 |
승강장 | 2면 2선 (난보쿠 선) 1면 2선 (도자이 선) 2면 2선 (도호 선) |
선로 수 | 6 |
구조 | 지하역 |
이용 가능 | 지원 |
역 번호 | N07 (난보쿠 선) T09 (도자이 선) H08 (도호 선) |
개업일 | 1971년 12월 16일 |
일일 승객 수 | 75,259명 |
승객 수 통계 연도 | 2014년 (일일) |
인접 역 | 시스템: 삿포로 시영 지하철 노선 1: 난보쿠 선 왼쪽 역: 삿포로 오른쪽 역: 스스키노 왼쪽 역 주석: N06 오른쪽 역 주석: N08 노선 2: 도자이 선 왼쪽 역: 니시-주이치초메 오른쪽 역: 버스 센터-마에 왼쪽 역 주석: T08 오른쪽 역 주석: T10 노선 3: 도호 선 왼쪽 역: 삿포로 오른쪽 역: 호스이-스스키노 왼쪽 역 주석: H07 오른쪽 역 주석: H09 |
지도 레이블 | 오도리역 |
명칭 | |
한국어 | 오도리역 |
일본어 | 大通駅 (おおどおりえき) |
로마자 표기 | Ōdōri Eki |
환승 정보 | |
환승 노선 | 니시4초메 정류장 (삿포로 시영 전차 이치조 선) - 환승 지정 정류장 |
2. 역사
- 1971년 12월 16일: 난보쿠선 기타24조역 - 마코마나이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이때 도자이 선 시설에 대한 준비 공사가 이미 진행 중이었다.[4]
- 1976년 6월 10일: 도자이선 고토니역 - 시로이시역 구간 개통으로 도자이 선의 역이 설치되었다.
- 1988년 12월 2일: 도호선 사카에마치역 - 호스이스스키노역 구간 개통으로 도호 선의 역이 설치되었다. 개업 전 가칭은 "오도리히가시역"이었으나, 기존 오도리 역과 동일한 역으로 설치하도록 변경되었다. 도호 선의 승강장 번호가 연번이 아닌 1, 2번 승강장인 것은 이 흔적이다.[4]
- 1996년 11월: 2번 출입구 (마루이 이마이 앞)를 신설했다.
- 2006년 1월 26일: 역 넘버링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2008년 12월 9일: 도자이 선 승강장에서 가동식 스크린도어가 가동을 시작했다.[5]
- 2011년 3월 12일: 삿포로역 앞 지하 보행 공간이 개통되어, 삿포로역과 지하 통로로 연결되었다.
- 2012년
- * 9월 25일: 개찰구에 열차 운행 정보판을 설치하고 사용을 시작했다.[6]
- * 10월 14일: 난보쿠 선 승강장에서 가동식 스크린도어가 가동을 시작했다.[7]
- 2013년 8월: "오도리 교류 거점 지하 광장 정비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기존의 출입구, 대합실 등을 대폭 개수하여 순차적으로 개장했다.
- 2015년
- * 2월 4일: "오도리 교류 거점 지하 광장" 사용을 시작했다. 새로운 출입구가 이날부터 사용을 시작했다.[8]
- * 10월: 난보쿠 선 대합실 동쪽에 디지털 검색 광고를 가동했다.
- 2016년
- * 1월: 난보쿠 선 대합실 서쪽에 디지털 검색 광고를 가동했다.
- * 12월 3일: 도호 선 승강장에서 가동식 스크린도어가 가동을 시작했다.
- 2018년 9월 13일: "니시2초메 지하 보도" 사용 시작[9]에 따라, 해당 보도와 연결되는 30번 출입구를 신설했다.
- 2023년 3월: 난보쿠 선, 도자이 선의 안내 표시 설비가 LCD 방식으로 갱신되었다.[10]
3. 역 구조
오도리역은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모든 노선(난보쿠선, 도자이선, 도호선)이 지나는 역으로, 각 노선별 승강장과 개찰구가 지하에 위치하고 있다.
지상층(G)에는 출구와 입구가 있으며, 지하 1층(B1F)에는 난보쿠선과 도자이선 개찰구, 자동 발권기가 있다. 지하 2층(B2F)에는 난보쿠선 승강장(상대식 승강장, 문은 왼쪽으로 열림)과 난보쿠선/도자이선 승강장 및 도호선 승강장 연결 통로, 도호선 개찰구, 자동 발권기가 있는 환승 공간(mezzazine)이 있다.
지하 3층(B3F)에는 도자이선 승강장(상대식 승강장, 문은 오른쪽으로 열림)과 도호선 개찰구, 자동 발권기가 있는 하층 공간(mezzazine)이 있다. 지하 4층(B4F)에는 도호선 승강장(상대식 승강장, 문은 왼쪽으로 열림)이 있다.
각 노선 간 환승은 개찰구 내 연락 통로를 통해 가능하다. 난보쿠선 개찰구 부근은 2011년 3월 삿포로역 앞 거리 지하 보행 공간 개업으로 유동 인구가 크게 늘었다. 2013년 8월부터 '오도리 교류 거점 지하 광장 정비 사업'을 통해 민간 시설 및 행정 서비스 시설 배치 변경, 콩코스 중앙 체류 공간 설치, 5번 출구 지상과 일체화 개수 등이 이루어졌다. 이 사업은 약 22억엔을 투입하여 2015년 2월에 완료되었으며, 주변 건물 재개발 및 지하 연결이 계속 진행 중이다.[11]
엘리베이터는 오도리 공원 내 서3초메, 서1초메, 37번 출구, 도자이선 서 개찰구, 15번 출구 부근, 도호선 남/북 개찰구 등에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승강장 | 노선 | 행선 | |
---|---|---|---|
난보쿠선·도자이선 승강장 | |||
1 | 난보쿠선 | 나카지마코엔·히라기시·마코마나이 방면 | |
2 | 삿포로·기타24조·아사부 방면 | ||
3 | 도자이선 | 시로이시·신삿포로 방면 | |
4 | 고토니·미야노사와 방면 | ||
도호선 승강장 | |||
5 | 도호선 | 미소노·후쿠즈미 방면 | |
6 | 삿포로·사카에마치 방면 |
난보쿠선 승강장(1·2번선)과 도자이선 승강장(3·4번선)은 연속된 승강장 번호가 매겨져 있지만, 도호선 승강장은 그것들과 별개로 5·6번선 번호가 매겨져 있다. 난보쿠선·도자이선 승강장 양쪽, 도호선 승강장 북쪽에 분기기가 있다.
4. 이용 현황
삿포로시에 따르면, 2022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71,296명'''이다. 이는 삿포로 시영 지하철에서 삿포로역 다음으로 많다.[14]
노선별로 보면, 도자이선에서는 최다, 난보쿠선과 도호선은 삿포로역 다음으로 2번째로 많다. 이 수치는 "난보쿠선 개찰구", "도자이선 개찰구", "도호선 개찰구"의 수치이며, 각 노선 내의 자투리 인원을 오도리역에서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각 노선의 이용객 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삿포로역으로 운행하지 않는 도자이선과 난보쿠선에서는 특히 환승 이용자가 많지만, 이 데이터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오랫동안 삿포로 시영 지하철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었지만, 2003년 3월에 JR 삿포로역의 역 빌딩 "JR 타워"가 개업한 이후, 상업의 집적이 JR 삿포로역 · 지하철 삿포로역 주변 지역으로 옮겨가는 한편, 2011년 3월에는 삿포로역 앞 지하 보행 공간이 개통되어 해당 지역과의 도보 이동 편의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이용자 수는 감소 추세가 이어졌다.[15][16] 도호선에서는 2011년도부터 후쿠즈미역의 이용자 수를 밑돌게 되었지만, 모든 노선에서 최근에는 다소 회복하고 있다.
최근 1일 평균 '''승차''' 인원의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 | 1일 평균 승차 인원 | 참고 | 출처 | |||
---|---|---|---|---|---|---|
난보쿠선 | 도자이선 | 도호선 | 3개 노선 합계 | 삿포로역 | ||
1994년 | 47,252 | 33,161 | 10,771 | 91,184 | 75,249 | [17] |
1995년 | 47,734 | 32,995 | 16,005 | 96,734 | 82,119 | [17] |
1996년 | 46,046 | 30,954 | 16,391 | 93,391 | 78,442 | [17] |
1997년 | 43,487 | 28,501 | 17,176 | 89,164 | 75,204 | [17] |
1998년 | 42,203 | 25,486 | 17,105 | 84,794 | 73,070 | [17] |
1999년 | 41,377 | 27,741 | 17,169 | 86,287 | 70,787 | [17] |
2000년 | 41,569 | 27,679 | 17,291 | 86,539 | 70,644 | [17] |
2001년 | 40,889 | 27,443 | 17,457 | 85,789 | 70,725 | [17] |
2002년 | 40,333 | 26,521 | 16,914 | 83,768 | 72,351 | [17] |
2003년 | 37,192 | 24,815 | 15,660 | 77,667 | 78,282 | [17] |
2004년 | 37,060 | 24,542 | 15,657 | 77,259 | 80,268 | [17] |
2005년 | 37,695 | 24,307 | 15,768 | 77,770 | 85,184 | [17] |
2006년 | 37,507 | 24,465 | 16,009 | 77,981 | 86,416 | [17] |
2007년 | 36,556 | 24,139 | 15,861 | 76,556 | 87,001 | [17] |
2008년 | 35,762 | 24,089 | 15,918 | 75,769 | 87,606 | [17] |
2009년 | 34,146 | 23,866 | 15,613 | 73,625 | 85,721 | [18] |
2010년 | 33,982 | 23,543 | 15,563 | 73,088 | 85,128 | [18] |
2011년 | 34,008 | 22,697 | 14,778 | 71,563 | 79,506 | [18] |
2012년 | 34,805 | 22,880 | 14,865 | 72,550 | 82,125 | [18] |
2013년 | 35,924 | 23,240 | 15,193 | 74,357 | 84,404 | [18] |
2014년 | 37,248 | 22,720 | 15,291 | 75,259 | 84,633 | [18] |
2015년 | 39,144 | 22,106 | 15,486 | 76,736 | 85,299 | [18] |
2016년 | 41,118 | 22,302 | 15,812 | 79,232 | 87,575 | [18] |
2017년 | 42,161 | 22,305 | 15,381 | 79,847 | 90,496 | [18] |
2018년 | 42,811 | 22,542 | 15,525 | 80,878 | 92,258 | [18] |
2019년 | 42,526 | 22,536 | 15,632 | 80,694 | 87,120 | [18] |
2020년 | 29,032 | 16,459 | 10,984 | 56,475 | 57,829 | [18] |
2021년 | 31,330 | 17,380 | 11,758 | 60,468 | 62,447 | [18] |
2022년 | 37,431 | 20,081 | 13,784 | 71,296 | 73,885 | [14] |
5. 역 주변
삿포로시 도시 설계의 기준이 되는 오도리 공원을 중심으로 역이 공원 하부에 위치한다. 도자이 선 이웃역인 버스센터앞역은 지하상가 "오로라 타운"과 지하도에서, 난보쿠 선 이웃역인 스스키노역은 지하상가 "폴 타운"과 연결되어 있으며, 2011년 3월 12일에는 지하도"삿포로역 앞 지하 보행 공간"이 개통되면서 삿포로역과 지하에서도 연결되었다. 또한, JR삿포로역에도 지하철 삿포로역에서 지하상가 "아피아"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 오도리 공원
- * 삿포로 TV 타워
- 삿포로 시계탑
- 삿포로 시민 홀(카나모토 홀)
- 삿포로 시청
- * 호쿠요 은행 삿포로 시청 지점
- 삿포로 법무국 증명 서비스 센터
- 홋카이도 삿포로 방면 중앙 경찰서(중앙 경찰서) 오도리 파출소
- 마루이 이마이 삿포로 본점
- * 본관
- * 남관
- * 마루이 주차장
- 삿포로 미츠코시 백화점 (직결)
- 삿포로 파르코
- PIVOT CROSS
- 알슈
- 마루요 이케우치
- 르・트로와
- 카나리아
- 삿포로 토호 빌딩 (삿포로 샹테)
- 다이마루 후지이 센트럴
- 타누키코지 상점가
- * 시어터 키노
- 니조 시장
- moyoukSAPPORO[모유쿠 삿포로] (삿포로 지하 상가 폴 타운 직결)
- MEGA 돈키호테 삿포로 타누키코지점
- 삿포로 그랜드 호텔
- 호텔 리솔 트리니티 삿포로
- 삿포로 뷰 호텔 오도리 공원
- 리치몬드 호텔 삿포로 오도리
- 아파 호텔 삿포로
- 호텔 선루트 뉴 삿포로
- 호쿠요 다이도리 센터(오도리 빗세)
- 삿포로 오도리 니시4 빌딩
- 도긴 빌딩
- 신 오도리 빌딩
- 손보 재팬 삿포로 빌딩
- 쇼와 빌딩
- 삿포로 제일은행 빌딩
- 메이지 야스다 생명 삿포로 오도리 빌딩
- 호쿠요 빌딩
- 도심 빌딩
- 삿포로 창세 스퀘어(삿포로 시민 교류 플라자)
- 홋카이도 경제 센터 빌딩
- * 삿포로 상공 회의소
- 일본은행 삿포로 지점
- 삿포로 증권거래소
- 삿포로 오도리 우체국
- 삿포로 오도리 공원 앞 우체국
- 삿포로 마루이 내 우체국
- 미쓰이 스미토모 은행 삿포로 지점
- 리소나 은행 삿포로 지점
- SBI 신세이 은행 삿포로 지점
- 호쿠요 은행 본점[22]・삿포로 영업부[23]
- 홋카이도 은행 본점
- 아오모리 은행 삿포로 지점
- 미치노쿠 은행 삿포로 지점
- 아키타 은행 삿포로 지점
- 77은행 삿포로 지점
- 호쿠리쿠 은행 삿포로 지점
- 홋카이도 신용금고 본점・오도리 미나미 지점
- 소라치 신용금고 삿포로 지점
- 무로란 신용금고 삿포로 지점
- 아사히카와 신용금고 삿포로 지점
- 와카나이 신용금고 삿포로 지점
- 엔가루 신용금고 중앙 지점
- 농림중앙금고 삿포로 지점
- 홋카이도 노동금고 본점
- 삿포로역 앞 거리(도도 삿포로 정차장선)
- * 삿포로역 앞 거리 지하 보행 공간(치카호)
- * 삿포로 지하상가
- ** 오로라 타운
- ** 폴 타운
- 니시2초메 지하 보도
- 국도 5호선
- 국도 12호선
- 국도 36호선
- 국도 230호선
5. 1. 삿포로 시영 전차
인근에는 삿포로 시영 전차의 니시4초메 정류장 (SC01)이 있으며, 이 역의 환승 지정 정류장이다. 이 외에도 다누키코지 정류장 (SC24)과 스스키노 정류장 (SC23)도 환승 지정 정류장이다.5. 2. 버스 노선
오도리역 주변에는 여러 버스 정류소가 있으며, 노선 버스와 고속 버스가 운행된다. 각 버스 노선 및 운행 정보는 해당 버스 사업자의 정보를 참조하면 된다.- 오도리 니시 1초메 (죠테츠)
- 오도리 니시 3초메 (JR 홋카이도 버스, 죠테츠)
- 오도리 니시 4초메 (JR 홋카이도 버스, 죠테츠)
- 오도리 공원 (홋카이도 중앙 버스, 호쿠토 교통)
- 삿포로 오도리 니시 3초메 버스 정류장 (유바리 철도)
- 시계탑 앞 (JR 홋카이도 버스, 홋카이도 중앙 버스, 유바리 철도)
- 기타1조 니시4초메 (JR 홋카이도 버스, 홋카이도 중앙 버스, 죠테츠)
- 기타1조 (홋카이도 중앙 버스)
- 미나미1조 니시3초메 (죠테츠)
- 미나미1조 (홋카이도 중앙 버스, 도난 버스)
- 홋카이도 중앙 버스 삿포로 터미널 (홋카이도 중앙 버스, 공동 운행 사업자)
- 오도리 버스 센터 (JR 홋카이도 버스, 홋카이도 중앙 버스, 호쿠토 교통, 소야 버스, 홋카이도 버스)
6. 기타
- 홋카이도 TV 방송(HTB)은 삿포로 창세 스퀘어 내에 있다.
- 동1초메 극장 시설
- 홋카이도 전력 본사
- 2005년 1월 11일, 동호선 콩코스에서 영화 '교섭인 마시타 마사요시' 촬영이 있었다. 극 중에서는 유라쿠초역으로 설정되었으며, 홋카이도 분카 방송 아나운서인 시노하라 쿄키가 유라쿠초 역 역무원 역으로 엑스트라 출연했다. 영상에서는 갈색 기둥, 난보쿠선과 도자이선 환승 안내 표지판을 확인할 수 있다.
- 남북선에서는 이 역에서 승무원 교대가 이루어진다.
- 역 스탬프는 오도리 역의 이니셜 O 안에 남북선은 삿포로 시계탑, 도호선은 오도리 공원이 그려져 있다.
- 남북선 스스키노역 이원 각 역(마코마나이역 방면)에서 도호선 호스이스스키노역 이원 각 역(후쿠즈미역 방면)으로 환승할 때 이 역에서 환승하도록 안내된다.
- 각 노선 각 방면의 막차 출발을 알리는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막차 출발 후에는 "종료" 문자가 점멸하고 큰 음량의 부저가 울린다.
참조
[1]
웹사이트
Route Map
http://www.city.sapp[...]
City of Sapporo
2016-11-25
[2]
웹사이트
札幌の都市交通データ 4. 地下鉄
https://web.archive.[...]
City of Sapporo
2016-11-25
[3]
웹사이트
地下鉄(高速電車)の概要
https://www.city.sap[...]
2024-02-06
[4]
간행물
札幌市点描4(札幌豊平区)の展望住みよい理想の街作りへ全力・・・
日本公論
1981-08
[5]
뉴스
ホームドアの設置状況>札幌市東西線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6-02-16
[6]
뉴스
改札に運行情報板設置…札幌地下鉄
https://web.archive.[...]
YOMIURI ONLINE
2012-09-25
[7]
뉴스
ホームドアの設置状況>札幌市南北線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6-02-16
[8]
PDF
「大通交流拠点地下広場」の供用開始について(札幌市)
https://www.city.sap[...]
[9]
뉴스
札幌・西2丁目地下歩道開通へ 9月13日、大通駅と市役所直結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
2018-08-23
[10]
웹사이트
令和5年度 札幌市交通事業 予算の概要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3-09-02
[11]
웹사이트
大通交流拠点のまちづくり(札幌市)
https://www.city.sap[...]
[12]
잡지
特集 短絡線ミステリー6
交友社
2003-02
[13]
PDF
札幌市営地下鉄構内図・大通駅(立体図)
http://www.city.sapp[...]
札幌市
[14]
웹사이트
札幌の都市交通データブック2023 4.地下鉄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4-11-10
[15]
PDF
新博多駅ビル開業のインパクト 他都市事例のデータ検証 札幌市
http://www.dbj.jp/pd[...]
日本政策投資銀行
2009-11
[16]
뉴스
札幌の地下道開通1カ月 大通に経済効果、駅前と回遊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1-04-13
[17]
웹사이트
地下鉄駅別乗車人員経年変化(1日平均)
http://www.city.sapp[...]
札幌市交通局
2024-11-10
[18]
웹사이트
地下鉄駅別乗車人員経年変化(1日平均)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4-11-10
[19]
문서
旧・丸井今井大通別館(札幌丸井三越が運営)、旧・札幌マルサ(丸井マルサが運営)。
[20]
문서
文具店。百貨店の大丸とは無関係。
[21]
문서
札幌秋田銀行|秋銀ビル跡地。2013年4月竣工
[22]
문서
旧・北海道拓殖銀行本店、旧・北洋大通ビル。現在は北洋大通センター(大通ビッセ)。
[23]
문서
旧・札幌銀行本店。
[24]
문서
2014年9月15日、南北線乗務区が自衛隊前駅構内から大通駅構内に移転した為。
https://ishikari210.[...]
[25]
웹사이트
地下鉄駅情報(南北線)
http://www.stsp.or.j[...]
札幌市交通事業振興公社
2021-03-13
[26]
웹사이트
地下鉄駅情報(東西線)
http://www.stsp.or.j[...]
札幌市交通事業振興公社
2021-03-13
[27]
웹사이트
地下鉄駅情報(東豊線)
http://www.stsp.or.j[...]
札幌市交通事業振興公社
2021-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