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도코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만도코로는 일본 센고쿠 시대의 인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어머니이다. 1513년 또는 1516년 오와리국에서 태어났으며, 기노시타 야에몬과 결혼하여 히데요시를 낳았고, 남편 사후 지쿠아미와 재혼하여 도요토미 히데나가와 아사히히메를 낳았다. 히데요시가 간파쿠가 된 후 오만도코로의 호를 받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592년 주라쿠다이에서 사망했으며, 히데요시는 어머니의 죽음에 큰 슬픔을 느꼈다. 오만도코로는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봉건제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일본 봉건제 - 오오쿠
오오쿠는 에도 시대 에도성 내 쇼군의 숙소로, 쇼군가의 여성들이 거주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공간이자 엄격한 계급 제도와 변화하는 구조, 막부 몰락과 함께 해체된 역사를 지닌 곳으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가 되고 있다. - 1513년 출생 - 사나다 유키타카
사나다 유키타카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시나노 평정을 돕고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만년에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 1513년 출생 - 다치바나 도세쓰
다치바나 도세쓰는 센고쿠 시대 오토모 가문을 섬긴 무장으로, 수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벼락을 베었다는 전설의 칼 '라이키리'와 가마를 타고 전장을 누빈 용맹함으로 이름을 떨친 인물이다. - 일본의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일본의 칭호 - 공경
공경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하여 일본 궁중 관리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율령 체제에서 대신들을 포함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화족 제도가 창설되면서 폐지되었다.
오만도코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나카 (仲) |
존칭 | 대정소(大政所) |
시호 | 천서사전춘암종계대선정니(天瑞寺殿春岩宗桂大禅定尼) |
통칭 | 이위니군(二位尼君) |
추증 | 증 준삼후(贈准三后) |
생애 | |
출생 | 에이쇼 13년 (1516년) |
출생지 | 오와리국아이치군고키소촌 |
사망 | 덴쇼 20년 7월 22일 (1592년 8월 29일) |
사망 장소 | 주라쿠다이 |
묘지 | 금봉산 천서사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기노시타 야에몬 (※) 다케아미 (※) |
자녀 | 즈이류인 닛슈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나가 아사히히메 |
부모 | 세키 가네사다 |
친척 | 여동생: 에이쇼인 (고이데 히데마사의 부인), 쇼운인 (후쿠시마 마사노리의 어머니), 다이온인 (아오키 히데모치의 어머니) 사촌: 성림원/이토 (가토 기요타다의 부인, 가토 기요마사의 어머니) |
기타 정보 | |
종교 | 불교 |
종파 | 불교 (종파 정보 없음) |
2. 생애
1585년 히데요시가 간파쿠가 되면서 오만도코로로 불리게 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1일 종1위에 정식으로 서임되었다.[17]
1586년, 히데요시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회유하고 오사카로 불러들이는 과정에서 이에야스를 안심시키기 위해 여동생 아사히히메를 이에야스의 정실로 삼고, 오만도코로 역시 인질에 준하는 신분으로 미카와국 오카자키에 머물게 했다. 결국 이에야스가 상경에 응하면서 오만도코로는 1개월 만에 인질에서 풀려나 오사카로 되돌아왔다.[17] 그러나 이에야스가 히데요시에게 해를 입을 것을 염려한 혼다 시게쓰구 등은 오만도코로의 거처 주변에 장작을 쌓아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였다고 한다.[17]
덴쇼 15년(1587년) 9월에 주라쿠다이가 완성되자, 13일에 히데요시와 함께 거처를 옮겼지만, 잠시 후 오사카로 돌아왔다. 덴쇼 16년(1588년) 6월 8일에도 다시 병이 났지만, 기도로 회복했다.
자녀인 아사히히메, 히데나가가 먼저 사망한 뒤,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1592년 주라쿠다이에서 향년 80세로 사망하였다.[10] 히데요시는 어머니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아 그 자리에서 졸도했다고 한다. 또한 오만도코로는 며느리인 고다이인과의 사이도 아주 좋았다고 전해진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에이쇼 10년(1513년)[16] 오와리국 고키소 촌(御器所村, 현재의 나고야시쇼와구)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11] 오다씨의 아시가루였던 기노시타 야에몬과 혼인하여 닛슈와 히데요시 남매를 얻었다. 미노의 대장장이인 세키 카네사다(또는 세키 카네카즈)의 딸이라고도 전해진다.야에몬이 병사하자, 가난한 승려였던 지쿠아미(竹阿弥)와 다시 재혼하여 도요토미 히데나가와 아사히히메 남매를 낳았다.[17] 그러나 구와타 타다치카에 따르면 이는 생년의 오류로, 야에몬이 사망한 덴분 12년(1543년)에 히데나가는 3세, 아사히히메는 1세였으며, 나카는 4명의 자녀를 데리고 다케아미와 재혼했다고 한다.[13]
여동생으로는 에이쇼인(고이데 히데마사의 정실), 다이온인(아오키 히데모리의 어머니), 쇼운인(후쿠시마 마사노리의 어머니), 사촌(일설에는 여동생)으로는 세이린인(이토, 가토 기요마사의 어머니)이 있다.
2. 2. 재혼과 자녀들
기노시타 야에몬과 혼인하여 닛슈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남매를 낳았다. 야에몬이 병사하자, 승려였던 지쿠아미(竹阿弥)와 다시 재혼하여 도요토미 히데나가와 아사히히메 남매를 낳았다.[17]1586년(덴쇼 14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회유하고 오사카로 불러들이는 과정에서 이에야스를 안심시키기 위해 여동생 아사히히메를 이에야스의 정실로, 오만도코로 역시 인질에 준하는 신분으로 이에야스의 본거지인 미카와국 오카자키에 머물게 하는 사건이 있었다. 결국 이에야스가 뜻을 꺾고 상경에 응하면서 오만도코로는 1개월 만에 인질에서 풀려나 히데요시의 본거지인 오사카로 되돌아올 수 있었다.[14]
2. 3. 히데요시와의 관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나가하마 성주가 된 시점부터 오만도코로를 성으로 맞이한 뒤 어머니로서 지극정성을 다한 것으로 당대에 이미 유명하였다. 어머니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큰 충격으로 그 자리에서 졸도했다고 한다. 오만도코로는 히데요시의 정실이자 자신의 며느리인 고다이인과 사이도 아주 좋았다고 전해진다.[17]덴쇼 14년(1586년), 히데요시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회유하고 오사카로 불러들이는 과정에서 이에야스를 안심시키기 위해 여동생 아사히히메를 이에야스의 정실로 삼고, 어머니인 오만도코로 역시 인질에 준하는 신분으로 이에야스의 본거지인 미카와국 오카자키에 머물게 하였다. 결국 이에야스가 뜻을 꺾고 상경에 응하면서 오만도코로는 1개월 만에 인질에서 풀려나 히데요시의 본거지인 오사카로 되돌아올 수 있었다.[17],[4][5]
몇몇 이야기에 따르면 혼다 사쿠자에몬 시게츠구는 이에야스에게 "주군, 조심해야 합니다. 궁정에 많은 나이 드신 시녀들이 있는데, 히데요시가 그들 중 한 명을 골라 어머니 대신 보냈을 수도 있습니다."라고 조언했다고 한다.[6] 이는 그녀가 이에야스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에야스가 히데요시에게 해를 입을 것을 염려한 혼다 시게쓰구 등은 오만도코로의 거처 주변에 장작을 쌓아 올리고 그 장작에 불이 잘 붙도록 기름을 잔뜩 발라 만일의 경우 언제라도 불을 붙일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고 한다.[17]
2. 4. 오만도코로 칭호와 종1위 서임
1585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간파쿠에 임명되면서 나카는 오만도코로로 불리게 되었으며,[17] 같은 해 7월 11일 종1위에 정식으로 서임되었다.2. 5.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관계
덴쇼 14년(1586년) 1월,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오다 노부오를 통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신하로서 섬길 것을 약속했지만, 도쿠가와 가문의 신하들 중에는 이에야스가 상경했을 때 히데요시 측이 해를 입힐 것을 우려하는 의견이 있어 상경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14]같은 해 9월, 히데요시는 여동생 아사히히메를 이에야스의 정실로 오카자키성에 보냈지만, 여전히 상경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이에야스에게 화가 났다. 히데요시는 이에야스에게 해를 끼칠 의사가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오만도코로를 아사히히메의 문병을 핑계로 오카자키에 보냈다.[14] 히데요시의 어머니인 오만도코로가 인질로 보내졌으니, 이에야스와 도쿠가와 가신들은 상경에 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15] 히데요시를 만나는 것은 이에야스가 히데요시에게 신하로서 섬기는 것을 의미했지만, 이 기간 동안 오카자키에서는 이에야스의 중신 혼다 시게쓰구가 오만도코로가 머무는 숙소 주변에 장작을 쌓아 놓고,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언제든 불을 지를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에야스의 히데요시 알현은 무사히 끝났고, 오만도코로는 약 1개월 만에 오사카성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몇몇 이야기에 따르면 혼다 사쿠자에몬 시게쓰구라는 한 무사가 이에야스에게 "주군, 조심해야 합니다. 궁정에 많은 나이 드신 시녀들이 있는데, 히데요시가 그들 중 한 명을 골라 어머니 대신 보냈을 수도 있습니다."라고 조언했다고 한다.[6] 이는 오만도코로가 이에야스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2. 6. 사망
덴쇼 20년(1592년) 주라쿠다이에서 향년 80세로 사망하였다.[10]아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어머니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아 그 자리에서 졸도했다고 한다. 오만도코로는 며느리인 고다이인과의 사이도 아주 좋았다고 전해진다.
히데요시는 추선 공양을 위해, 8월 4일, 쇼고인 몬제키·도스미를 명대(대리인)로 나카무라 이치지와 고이데 히데마사를 붙여 고야산에 오르게 하여, 삭발사(후의 세이간지)를 창립하고 목식 오쿄를 개기로 했다. (삭발사는 만엔 원년에 소실됨). 또한 고야산에는 1만 석이 기증되었다. 히데요시는 8월 6일에 다이토쿠지에서 법요를 행하고, 다음 날, 렌다이노에서 다비에 부쳤다. 고요제이 천황은 칙사를 보내 나카에게 준산고를 추호했다.
묘소는 다이토쿠지 내 텐스이지, 고야산 세이간지, 야마시나 혼코쿠지에 있다. 유골은 텐스이지의 수탑에 안치되어 있었다. 또한 히데요시는 삼회기에 도지의 대탑과 시텐노지 (오사카 전투에서 소실)를 재건했다. 야마시나 혼코쿠지의 묘지에는, 첫 남편 야에몬, 사위 미요시 요시후사, 손자 도요토미 히데야스와 합사된 공양탑이 있다. 또한 다이토쿠지 본방에 초상화가 남아있을 뿐 아니라, 목상, 「교쿠추 유문」에 오만도코로의 초상의 찬문이 있고, 또 한 축의 초상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 자손
오만도코로는 슬하에 아들 도요토미 히데카쓰와 딸 도요토미 사다코를 두었다. 도요토미 히데카쓰는 도요토미 젠시(구조 사키이에의 부인)와 혼인하여 미치후사를 낳았다. 구조 미치후사는 마치히메(구조 가네하루의 부인)와 혼인하여 스케자네를 낳았고, 구조 스케자네는 유키노리를 낳았다. 구조 유키노리의 후손으로는 니조 무네모토, 니조 하루타카, 구조 히사타다, 구조 미치타카가 있으며, 구조 미치타카의 딸은 다이쇼 천황의 황후인 세츠코이다. 데이메이 황후는 쇼와 천황을 낳았다.
4. 대중문화 속 오만도코로
오만도코로는 여러 영화와 TV 드라마에서 다뤄졌다.
4. 1. 영화
4. 2. TV 드라마
- 다이코키 (1965년, NHK, 출연: 나니와 치에코)
- 청춘 다이코키 지금 봐! (1970년, NTV, 출연: 나카하타 미치코)
- 신쇼 다이코키 (1973년, TV 아사히, 출연: 사와무라 사다코)
- 여자 다이코키 (1981년, NHK, 출연: 아카기 하루에)
- 도쿠가와 이에야스 (1983년, NHK, 출연: 스즈키 미츠에)
- 다이코키 (1987년, TBS 그랜드 역사극 스페셜, 출연: 마츠무라 야스요)
- 세상을 제패한 남자, 토요미 히데키치 (1993년, TBS 그랜드 역사극 스페셜, 출연: 스가이 킨)
- 토요미 히데키치가 세상을 제패한다! (1995년, TV 도쿄 12시간 슈퍼 와이드 드라마, 출연: 미호 준 → 나카무라 타마오)
- 히데요시 (1996년, NHK, 출연: 이치하라 에츠코)
- 도시이에와 마츠-가가 백만석 이야기 (2002년, NHK, 출연: 쿠사부에 미츠코)
- 다이코키-세상을 제패한 남자 히데키치 (2006년, TV 아사히, 출연: 요시다 히데코)
- 기린이 온다 (2020년, NHK, 출연: 긴푼초)
참조
[1]
서적
A Korean War Captive in Japan, 1597–1600: The Writings of Kang Ha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Chikubushima: Deploying the Sacred Arts in Momoyama Japa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
서적
Daitokuji: The Visual Cultures of a Zen Monaster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4]
서적
Samurai Road
Bellatrix
[5]
서적
Shogun: The Life of Tokugawa Ieyasu
Tuttle Publishing
[6]
서적
The Maker of Modern Japan: The Life of Tokugawa Ieyasu
Routledge
[7]
문서
渡辺 1919
[8]
웹사이트
【戦国こぼれ話】豊臣秀吉は公卿の落胤?天皇の落胤?それとも日輪から誕生したのか?謎の真相に迫る!(渡邊大門)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0-12-15
[9]
문서
桑田 1979
[10]
문서
桑田 1979
[11]
문서
太閤素生記
[12]
문서
太閤記
[13]
문서
桑田 1979
[14]
간행물
本能寺の変後の政局と秀吉への臣従
戒光祥出版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