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니 기쿠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타니 기쿠조는 1856년 오바마 번에서 태어난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했다. 그는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시베리아 출병 등 주요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칭다오 수비군 사령관, 블라디보스토크 파견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1920년 남작 작위를 받았다. 1923년 사망했으며,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등 다수의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오바마번 사람 - 사카이 다다토시 (1813년)
사카이 다다토시는 에도 막부 말기의 다이묘이자 오바마 번의 번주로서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하며 막부 정치에 관여했고, 메이지 유신 후에는 제국 총독으로 임명받아 화족에 편입되었다. - 막말 오바마번 사람 - 우메다 운빈
에도 시대 후기의 사상가이자 활동가인 우메다 운빈은 존황양이 운동의 선봉에서 막부 체제를 비판하며 사회 개혁을 주창했고, 안세이 대옥으로 옥중 사망 후 복권되었으며, 그의 사상은 자유민권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산마우리치오이라자로 훈장 수훈자 - 아베 요코
아베 요코는 기시-아베 가문의 중심 인물이자 서예가로, 남편과 아들들의 정치 활동을 지원하며 '정치계의 대모'로 불렸으나, 아베 신조 암살과 기시 노부오의 정계 은퇴 후 건강이 악화되어 95세에 사망했다. - 산마우리치오이라자로 훈장 수훈자 - 단게 겐조
단게 겐조는 일본의 건축가이자 도시 계획가로, 전후 일본 건축계를 대표하며 히로시마 평화 기념 공원, 요요기 국립 경기장 등을 설계했고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요소를 융합한 건축 스타일로 프리츠커상을 수상했다. - 팔괘장 수훈자 - 이병무
이병무는 전주 이씨 출신으로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에 군인과 관료를 지냈으며, 대한제국 군대 해산과 의병 진압을 주도하는 등 친일 행적을 보여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어 비판받고, 한일 병합에 협조한 대가로 작위와 훈장을 받았다. - 팔괘장 수훈자 - 요나이 미쓰마사
요나이 미쓰마사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 무관으로서 국제적 경험을 쌓고 연합함대 사령장관과 해군대신을 역임했으며, 추축국 진영 참여에 반대하고 미영과의 협상을 모색하다 총리대신에 취임했으나 육군과의 갈등으로 사임, 태평양 전쟁 말기 해군대신으로 포츠담 선언 수락에 기여한 인물이다.
오타니 기쿠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오타니 기쿠조 (大谷 喜久蔵) |
출생 | 1856년 2월 4일 |
사망 | 1923년 11월 26일 (향년 67세) |
출생지 | 오바마 번, 에치젠 국, 일본 |
묘소 | 아오야마 묘원 |
군사 경력 | |
소속 국가 | 일본 제국 |
군종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871년 - 1920년 |
최종 계급 | 육군 대장 |
주요 전투 | |
전투 목록 |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시베리아 출병 |
수상 | |
훈장 | 훈일등욱일대수장 훈일등욱일동화대수장 금치훈장 |
2. 경력
오타니 기쿠조는 1871년 오사카 진대에 입대하여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875년 육군사관학교(사관생도 2기)에 입교하여 1878년 소위로 임관했다. 이후 차근차근 진급하여 1883년 중위, 1886년 대위, 1892년 소령, 1895년 중령, 1897년 대령이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센다이 진대 참모, 제2사단 참모, 참모본부 제2국원, 보병 제8연대 대대장, 제6사단 참모, 제4사단 참모장, 근위사단 참모장, 교육총감부 본부 부장, 육군 토야마 학교 교장 등 다양한 보직을 거쳤다. 특히 1894년 청일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1902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보병 제24여단장을 맡았고, 1904년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제12사단 병참감, 조선 주둔군 병참감, 제2군 병참감, 보병 제8여단장, 조선 주둔군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전쟁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전쟁 후에는 다시 육군 토야마 학교 교장, 교육총감부 참모장(이후 본부장으로 명칭 변경)을 지냈다.
1909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5사단장에 임명되었다. 1915년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이 점령한 칭다오의 칭다오 수비군 사령관이 되었고, 1916년 대장으로 진급했다. 1917년부터는 군사참의관으로 활동했다.
1918년 러시아 내전에 개입하기 위한 시베리아 출병이 결정되자, 블라디보스토크 파견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약 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블라디보스토크를 점령하는 등 연합군 개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19년에는 교육총감에 취임하여 군사참의관을 겸임했다.
1920년 제1차 세계 대전과 시베리아 출병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훈1등욱일동화대수장과 공1급 금치훈장을 수여받았다. 같은 해 12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남작 작위를 받아 화족이 되었다. 1923년 사망하여 도쿄도 아오야마 묘지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입문
1856년 (안세이 3년) 오바마 번(현재 후쿠이현 오바마시)에서 한학 학자이자 번교 "준조관" 교수였던 오타니 마사노리의 일곱째 아들로 태어났다. 1871년 (메이지 4년) 10월, 징집되어 오사카 진대 히코네 분영소에 입영하며 군 생활을 시작했다.1875년 (메이지 8년) 12월, 육군사관학교에 입교(사관생도 2기)하여 1877년 (메이지 10년) 12월에 졸업했다. 이듬해인 1878년 (메이지 11년) 2월,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사관학교 동기생으로는 오사코 나오미치 대장, 이구치 쇼고 대장, 이지치 코스케 중장, 나가오카 가이시 중장 등이 있다.
1883년 (메이지 16년) 2월에는 보병 중위로 진급했고, 1886년 (메이지 19년) 3월에는 센다이 진대의 참모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5월 보병 대위로 진급했다. 진대가 사단으로 개편되면서 1888년 (메이지 21년) 5월, 제2사단 참모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1892년 (메이지 25년) 1월, 참모본부 제2국원으로 자리를 옮겼고, 같은 해 11월 보병 소령으로 진급했다. 다음 달에는 보병 제8연대의 대대장으로 취임했다. 1893년 (메이지 26년) 10월에는 제6사단 참모로 이동했으며, 1894년 (메이지 27년) 10월에는 대본영 부(付) 소속으로 청일 전쟁에 참전했다.
1895년 (메이지 28년) 4월, 보병 중령으로 진급했다. 1896년 (메이지 29년) 9월 25일에는 제4사단 참모장으로 임명되었고, 1897년 (메이지 30년) 10월 11일 보병 대령으로 진급하며 근위사단 참모장이 되었다. 이듬해인 1898년 (메이지 31년) 3월 3일에는 교육총감부 본부 부장으로 취임했다.
1900년 (메이지 33년) 4월 25일 교육총감부 참모를 거쳐, 같은 해 10월 2일 육군 토야마 학교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1902년 (메이지 35년) 6월 21일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보병 제24여단장에 취임했으며, 1903년 (메이지 36년) 7월 2일 다시 육군 토야마 학교 교장으로 부임했다.
2. 2.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
1892년 소령으로 진급하여 보병 제8연대 대대장을 맡았다. 1893년 10월에는 제6사단 참모로 옮겼으며, 1894년 10월 대본영 근무를 명받아 청일 전쟁에 참전했다. 1895년 4월 중좌로 진급했다.1904년 2월 제12사단 병참감이 되었고, 같은 해 3월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조선 주둔군 병참감으로 임명되었다. 이어 4월에는 제2군 병참감, 8월에는 보병 제8여단장을 맡았다. 1905년 4월부터는 조선 주둔군 참모장으로 활동했다.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시베리아 출병
일본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그에 따른 칭다오 점령 이후, 오타니 기쿠조는 1915년 5월 4일 이 도시의 일본 수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11월 7일, 훈1등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고, 1916년 11월 16일에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


1917년 8월 6일부터 군사참의관으로 재직하던 중, 1918년 일본은 백색 운동을 지원한다는 명분 하에 러시아 내전에 대한 연합국의 개입에 참여했다. 8월 9일, 오타니는 유이 미쓰에를 참모장으로 하여 블라디보스토크 파견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이 파견군은 제12사단과 제5사단을 포함한 3개 사단, 약 6만 명 규모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8월 12일, 일본군은 도쿄역에서 히로시마로 이동하여 배를 타고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했다. 블라디보스토크 점령 후 오타니는 연합군 시베리아 출병의 공식 사령관이 되었다. 그의 지휘 아래 일본군은 볼셰비키에 대항하여 백군을 지원하는 한편, 이 지역에서 일본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 1920년 4월, 오타니는 연합군에게 볼셰비키가 통제하는 극동 공화국으로부터 동자바이칼 지역을 차단하도록 명령하여 치타 작전을 실행하게 했다.
1919년 8월 26일, 오타니는 교육총감에 취임하고 군사참의관을 겸했다. 시베리아 출병에서의 역할 등으로 1920년 11월 1일, 훈1등욱일동화대수장 및 공1급 금계훈장을 수여받았다. 같은 해 12월 28일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남작 작위를 받아 화족이 되었다.
2. 4. 전후 활동 및 사망
1915년 5월 4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점령한 칭다오의 칭다오 수비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16년 11월 16일에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 1917년 8월 6일부터는 군사참의관을 지냈다.1918년 8월 9일, 러시아 내전에 개입하기 위한 시베리아 출병 당시 블라디보스토크 파견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일본군을 이끌었다. 이듬해인 1919년 8월 26일에는 교육총감부의 수장인 교육총감에 취임하였으며, 군사참의관 직도 겸임했다.
1920년 11월 1일, 제1차 세계 대전과 시베리아 출병에서의 공적을 인정받아 훈1등욱일동화대수장과 공1급 금치훈장을 받았다. 같은 해 12월 28일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동시에 남작 작위를 받아 화족이 되었다.
1923년 11월 26일 사망했다. 사망 당시 다이쇼 천황이 칙사를 파견하기도 했다. 그의 사후, 동생 등의 합의로 작위 습작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아 장남은 작위를 잇지 못했고, 오타니 남작가는 그의 대에서 끝났다. 묘소는 도쿄도 미나토구에 있는 아오야마 묘지에 있다.
3. 연보
오바마 번의 무사 집안 출신으로, 번교 "준조관" 교수였던 한학자 오타니 마사노리의 일곱째 아들로 태어났다.
연도 | 월일 | 내용 |
---|---|---|
1871년 | 10월 | 오사카 진대 히코네 분영소 입영 |
1875년 | 12월 | 육군사관학교 입교 |
1877년 | 12월 | 육군사관학교 졸업 (사관생도 제2기) |
1879년 | 2월 1일 | 육군 보병 소위 임관 |
1883년 | 2월 28일 | 보병 중위 진급 |
1886년 | 3월 | 센다이 진대 참모 임명 |
5월 26일 | 보병 대위 진급 | |
1888년 | 5월 | 제2사단 참모 |
1892년 | 1월 | 참모본부 제2국원 |
11월 1일 | 보병 소좌 진급 | |
12월 20일 | 보병 제8연대 제2대대장 취임 | |
1893년 | 10월 | 제6사단 참모 |
1894년 | 10월 | 대본영 부속 (청일 전쟁 출정) |
1895년 | 4월 16일 | 중좌 진급 |
1896년 | 9월 25일 | 제4사단 참모장 |
11월 25일 | 훈5등 서보장 수훈 | |
1897년 | 10월 11일 | 대좌 진급, 근위사단 참모장 취임 |
1898년 | 3월 3일 | 교육총감부 본부 부장 취임 |
1900년 | 4월 25일 | 교육총감부 참모 |
10월 2일 | 육군 도야마 학교장 임명 | |
1902년 | 6월 21일 | 육군 소장 진급, 보병 제24여단장 취임 |
1903년 | 7월 2일 | 육군 도야마 학교장 재임명 |
1904년 | 2월 5일 | 제12사단 병참감 |
3월 11일 | 한국 주차군 병참감 | |
4월 18일 | 제2군 병참감 | |
8월 8일 | 보병 제8여단장 | |
1905년 | 4월 8일 | 한국 주차군 참모장 |
1906년 | 6월 1일 | 육군 도야마 학교장 재임명 |
1907년 | 1월 28일 | 교육총감부 참모장 |
1908년 | 12월 19일 | 교육총감부 본부장 (명칭 변경) |
1909년 | 8월 1일 | 육군 중장 진급 |
9월 3일 | 제5사단장 임명 | |
1915년 | 5월 4일 | 칭다오 수비군 사령관 취임 |
11월 7일 | 훈1등 욱일대수장 수훈 | |
1916년 | 11월 16일 | 육군 대장 진급 |
1917년 | 8월 6일 | 군사참의관 임명 |
1918년 | 8월 9일 | 우라지오 파견군 사령관 취임 |
1919년 | 8월 26일 | 교육총감, 군사참의관 겸임 |
1920년 | 11월 1일 |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및 공1급 금치훈장 수훈 |
12월 28일 | 예비역 편입, 남작 작위 수여 (화족) | |
1923년 | 11월 26일 | 사망 |
1923년 11월 26일 사망하였다. 사망 후 다이쇼 천황으로부터 칙사가 파견되었다. 그의 남작 작위는 동생 야마다 노부스스 등의 합의에 따라 장남 마사오(正夫)가 습작 절차를 사퇴하여 오타니 남작가는 이어지지 못했다.
4. 훈장 및 영전
(내용 없음)
4. 1. 위계
날짜 | 위계 |
---|---|
1880년 (메이지 13년) 3월 2일 | 정8위 |
1883년 (메이지 16년) 4월 9일 | 종7위 |
1886년 (메이지 19년) 7월 8일 | 정7위 |
1895년 (메이지 28년) 11월 15일 | 정6위 |
1897년 (메이지 30년) 10월 30일 | 종5위 |
1902년 (메이지 35년) 10월 20일 | 정5위 |
1907년 (메이지 40년) 11월 11일 | 종4위 |
1909년 (메이지 42년) 12월 10일 | 정4위 |
1912년 (다이쇼 원년) 12월 28일 | 종3위 |
1916년 (다이쇼 5년) 12월 1일 | 정3위 |
1921년 (다이쇼 10년) 1월 20일 | 종2위 |
4. 2. 일본 훈장
수훈 연도 | 훈장/기장명 | 등급/종류 | 비고 |
---|---|---|---|
1892년 5월 28일 | 서보장 | 훈6등 | |
1895년 10월 16일 | 욱일장 | 단광욱일장 | |
1895년 10월 16일 | 금계훈장 | 공4급 | |
1896년 11월 25일 | 서보장 | 훈5등 | |
1902년 11월 29일 | 서보장 | 훈4등 | |
1904년 | 보관훈장 | 4등급 | |
1904년 | 보관훈장 | 3등급 | |
1904년 11월 29일 | 서보장 | 훈3등 | |
1906년 4월 1일 | 금계훈장 | 공2급 | |
1906년 4월 1일 | 욱일장 | 훈2등 욱일중광장 | |
1906년 4월 1일 | 메이지 37·38년 종군기장 | ||
1912년 5월 24일 | 서보장 | 훈1등 | |
1912년 | 보관훈장 | 대수장 | |
1915년 11월 7일 | 욱일장 | 욱일대수장 | |
1915년 11월 10일 | 대례 기념장 | ||
1920년 11월 1일 | 금계훈장 | 공1급 | |
1920년 11월 1일 | 욱일장 | 욱일동화대수장 | |
1920년 11월 1일 | 전승기장 |
4. 3. 외국 훈장
wikitext국가 | 훈장명 | 등급/비고 | 연도 |
---|---|---|---|
영국 |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 | 기사단장 (GCMG) | |
이탈리아 | 성 마우리치오 및 라차로 훈장 | 대십자 | |
루마니아 | 루마니아의 별 훈장 | 대십자 | |
이탈리아 | 전공 십자 훈장 | ||
프랑스 | 무공 훈장 | 1919 |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십자 훈장 1918 | ||
대한제국 | 팔괘장 | 1등 | |
중화민국 | 문호훈장 | 1등 |
5. 가족 관계
오타니 가문의 문양은 세 개의 쫓는 택사 문양이다.
관계 | 이름 | 주요 사항 |
---|---|---|
형 | 나오히로 | 슈쇼 초등학교(현 쓰루가니시 초등학교) 훈도, 쓰루가현 교육회의 의원[28] |
동생 | 노부스스 | 오바마 번사 야마다 노부미쓰의 양자, 마쓰바라 촌(현 쓰루가시) 초대 촌장 |
장남 | 마사오 | |
차남 | 게이지로 | |
조카 (동생 노부스스의 장남) | 야마다 기타로 | 마사오카 시키의 문하생, 호는 산시, 『부손 구집』 편자 |
조카 (동생 노부스스의 다섯째 아들) | 야노 노부키치 | 야노 소시로의 양자, 다이세이 기공 주식회사 창업 |
참조
[1]
간행물
官報
1895-10-18
[2]
간행물
官報
1902-12-01
[3]
간행물
官報
1904-11-30
[4]
간행물
官報
1906-12-30
[5]
간행물
官報
1906-12-30
[6]
간행물
官報
1912-05-27
[7]
간행물
官報
1896-11-30
[8]
웹사이트
陸軍大将男爵大谷喜久蔵特旨叙位ノ件
https://www.jacar.ar[...]
[9]
간행물
官報
1886-08-04
[10]
간행물
官報
1895-11-16
[11]
간행물
官報
1897-11-01
[12]
간행물
官報
1902-10-21
[13]
간행물
官報
1907-11-12
[14]
간행물
官報
1909-12-11
[15]
간행물
官報
1912-12-29
[16]
간행물
官報
1916-12-02
[17]
간행물
官報
1921-01-21
[18]
간행물
官報
1892-06-06
[19]
간행물
官報
1895-10-18
[20]
간행물
官報
1902-12-01
[21]
간행물
官報
1904-11-30
[22]
간행물
官報
1906-12-30
[23]
간행물
官報
1912-05-27
[24]
웹사이트
中野文庫 - 旧・勲一等瑞宝章受章者一覧(戦前の部)
https://web.archive.[...]
[25]
간행물
官報
1916-12-13
[26]
간행물
官報
1920-12-29
[27]
간행물
官報
1922-04-10
[28]
웹사이트
『福井県史』通史編5 近現代一 第五節 明治前期の教育・社会 二 近代教育のはじまり 分属時代の小学校
http://www.archi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