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참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참모는 지휘관을 보좌하여 군사 작전 및 조직 운영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18세기 후반 프로이센에서 근대적 참모 제도가 시작되었으며, 각국 군대에서 채택되어 발전했다. 참모는 정보 제공, 작전 계획 수립, 자원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 참모와 특별 참모로 구성된다. 현대 사회에서는 군대 외에도 기업, 정치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참모의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과 인력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모 - 참모본부
    참모본부는 국방부의 핵심 부서로서 정보, 군수, 통신 등을 통해 국가 안보와 군 작전을 지원하며, 참모총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참모와 조직으로 구성되고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며, 운영 관련 논란도 존재한다.
  • 참모 - 대장군참모
    대장군참모는 정치적 위임을 받아 군사적 조치를 수행하는 참모 본부의 핵심 부서로, 군비, 동원, 출동, 지휘, 병참, 교육 훈련, 인사 계획 등을 담당하며, 프로이센에서 기원하여 독일을 거쳐 현대 독일 연방군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참모
역할 개요
정의군대에서 지휘관을 보좌하여 작전, 훈련, 인사, 군수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전문적인 조언과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
주요 임무지휘관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수집 및 분석
작전 계획 수립 및 실행
부대 훈련 계획 수립 및 감독
인력 및 자원 관리
부대 내 의사소통 및 협력 촉진
직책 및 계급
일반적인 직책참모장
작전참모
인사참모
군수참모
정보참모
계급소위부터 장성급 장교까지 다양한 계급의 장교들이 참모 역할을 수행
일반적으로 중견 장교 (소령 ~ 대령)들이 주요 참모 직책을 담당
기능 및 역할
정보적의 동향, 지형 정보, 기상 정보 등 작전에 필요한 모든 정보 수집 및 분석
정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휘관에게 상황 보고 및 판단 자료 제공
작전작전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
작전 명령 하달 및 작전 진행 상황 감독
예상되는 문제점 및 위험 요소 분석 및 대비책 마련
인사부대 인력 관리 (보충, 교육, 인사고과 등)
장병들의 복지 및 사기 관리
전사상자 및 포로 관리
군수부대 유지에 필요한 물자 (식량, 연료, 탄약 등) 보급 및 관리
장비 유지 보수 및 관리
수송 및 정비 지원
훈련부대 전투력 향상을 위한 훈련 계획 수립 및 시행
훈련 성과 평가 및 개선
새로운 전술 및 기술 개발
참고사항
중요성효과적인 작전 수행 및 부대 운영에 필수적인 역할
협력각 참모 부서는 상호 협력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
전문성각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지휘관을 보좌

2. 역사

18세기 후반 이전에는 군사 정보, 병참 등 참모 기능에 대한 조직적인 지원이 없었다. 부대 지휘관들은 부하들의 비공식적인 도움을 받아 이러한 기능을 처리했다.[3]

근대적인 참모 제도는 프로이센 왕국(독일)의 참모 본부에서 시작되었다. 개별 지휘관의 재량에 맡겨졌던 지휘 통제 기능을 일반화·조직화한 것이다. 알프레트 폰 슐리펜, 헬무트 카를 베른하르트 폰 몰트케 등이 프로이센의 유명한 참모이다. 이 조직은 효율성이 입증되어 각국 군대에서 채택되었다. 독일 육군에서는 프로이센 이후 나치 독일 시대의 국방군에 이르기까지 독립된 병과로서 참모과를 두었다.

군대에서 부대의 지휘 계통은 단일하며 모든 결정은 지휘관이 단독으로 내린다. 그러나 고급 지휘관은 군사 작전을 지휘 통제하기 위해 처리해야 할 정보와 작업량이 방대하다. 이를 조직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참모 조직이 정보 수집, 정보 처리 등의 측면에서 고급 지휘관을 보좌한다. 참모는 지휘관에게 발언권은 인정되지만 부대의 지휘권은 갖지 않는다. 다만, 최상위에서는 참모총장, 막료장처럼 참모가 실질적인 최고 사령관을 겸하는 경우도 많다.

막료 조직은 일반적으로 고급 지휘관(육군을 예로 들면 주로 총군총사령관, 방면군사령관, 사령관, 군단 사령관, 사단장, 여단장과 같은 전략 단위의 상급 부대를 지휘하는 지휘관)을 사령부에서 보좌한다.

관용구비유로, 조직에서 참모적인 입장의 인물이나, 상사·주군·리더에 대한 보좌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충실하고 위기 시에 믿음직한 부하·가신을 참모(참모 격, 참모 역) 등으로 부르며, "'''믿음직한 부하'''" 등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2. 1. 서양의 참모 제도

18세기 후반 프로이센에서 근대적인 참모 제도가 시작되었다. 이전에는 부대의 지휘관이 모든 기능을 담당했지만, 프로이센은 참모 조직을 통해 전문화된 기능을 분담하여 군사 작전의 효율성을 높였다.[3]

오스트리아 역시 참모 제도를 발전시켰다. 레오폴트 요제프 폰 다운 백작은 참모장(Generalquartiermeister)의 역할을 강조했으며,[3] 프란츠 모리츠 폰 라시는 상설 참모부를 설립하여 작전 계획 수립 기능을 강화했다.[4] 테셴 공작 카를 대공은 참모장에 대해 "그는 작전과 관련된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고, 단순히 지시를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5] 1801년 펠트마르샬로이텐안트 두카는 참모부를 이끌고 세계 최초의 평시 Generalquartiermeister가 되었고, 참모장의 전시 역할은 사령관을 돕는 계획 및 작전에 집중되었다. 테셴 공작 카를 대공은 1805년에 새로운 ''Dienstvorschrift''(근무 규정)을 작성하여 참모부를 세 부서로 나누고, 참모장의 지위를 명확히 했다.[6] 요제프 라데츠키 폰 라데츠는 1811년에 자신의 저서를 통해 참모장의 관리 및 감독 역할을 강조하며 부관과 참모 장교를 통합했다.[7] 이러한 변화는 작전, 정보, 물류를 전문으로 하는 정규 참모 부대의 시작이었다.[8]

프랑스프랑스 혁명 이후 참모 군단을 폐지했으나,[9]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를 참모 총장으로 임명하여 행정 업무를 지원받았다.[9] 그러나 나폴레옹은 정보 및 작전 계획 기능을 직접 수행하면서 참모의 역할을 제한했다.

프로이센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의 지휘 아래 오스트리아의 방식을 채택했다. 1746년 이전의 개혁을 통해 정보 관리 및 비상 계획이 참모의 임무에 추가되었고, 지휘부와 참모 보직을 순환시키는 관행이 시작되었다. 1806년 이후 프로이센의 군사 학교는 중간 계급 장교들에게 전문 참모 기술을 교육했고, 1814년 프로이센은 프로이센 대참모본부를 공식적으로 설립했다.

영국크림 전쟁 이후 참모 업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05년에 참모 본부를 창설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참모와 지휘 계통 간의 분열을 막기 위해 장교들이 참모직과 지휘직을 번갈아 맡도록 했다.[12]

미국은 1947년 국가안보법을 통해 합동참모부를 창설했으며, 1986년 골드워터-니콜스 법을 통해 합동참모부의 역할을 강화했다.

2. 2. 동양의 참모 제도

프로이센의 참모 제도를 도입한 일본군은 참모를 작전 및 용병 담당 장교로 정의했다. 일본은 육군대학교를 통해 참모를 양성했다.

구 일본 육군에서는 참모총장(육군 삼장관)이 장을 맡는 참모본부를 필두로, 여단 이상 부대에 참모부가 설치되었다. 총사령부를 둔 총군 참모부의 장은 '''총참모장'''이라 하고, 방면군 이하 참모부의 장은 '''참모장'''이라고 칭했다.

저명한 육군 참모는 다음과 같다.

구 일본 해군에서는 군령부 총장이 수장을 맡는 군령부를 필두로, 함대전대 등에 참모부가 설치되었다. 해군대학교(해대)는 참모 양성 학교가 아니었으며, 육군과는 달리 해대 졸업생 외에도 참모직을 맡았다.[35]

저명한 해군 참모는 다음과 같다.

영연방식 지휘 구조 조직의 예


미얀마영국 육군의 참모 체계를 기반으로 한 G 참모부, A 참모부, Q 참모부를 운영하고 있다. 미얀마의 2010/2011 군 지휘 구조는 여전히 동일한 참모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3. 한국의 참모 제도

조선 시대에는 승정원이 왕명을 출납하고 군무를 관장하는 등 參謀중국어의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적인 의미의 참모 제도는 대한제국 시기에 일본의 영향을 받아 도입되었다. 대한제국군은 일본군을 모델로 참모부를 설치하고 군사 조직을 정비했지만,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대한제국군이 해산되면서 참모 제도는 중단되었다.[1]

3. 1.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합동참모본부를 중심으로 각 군의 참모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합동참모의장은 국군의 최고 군령권자로서 각 군의 작전을 지휘·감독한다. 각 군의 참모총장은 해당 군의 작전, 인사, 정보, 군수 등 제반 업무를 총괄한다. 한국군은 북한과의 대치 상황을 고려하여 정보, 작전, 군수 등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참모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4. 참모의 기능 및 구성

군 부대의 참모는 참모장과 일반 참모, 특별 참모로 구성된다.[38] 참모장은 최선임 참모로, 별도로 두거나 작전참모가 겸임한다. 일반 참모는 인사, 정보, 작전, 군수 참모 등이 있으며, 특별 참모는 민사, 부관, 정훈, 군사경찰, 법무, 감찰, 공병, 통신, 화생방, 의무, 군종, 사병참모 등으로 구성된다.

군대는 지휘 계통이 단일하여 모든 결정을 지휘관이 단독으로 내린다. 그러나 고급 지휘관은 군사 작전을 지휘 통제하기 위해 처리해야 할 정보와 작업량이 방대해진다. 이를 조직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참모 조직이 정보 수집, 정보 처리 등의 측면에서 고급 지휘관을 보좌한다. 지휘관에 대한 발언권은 인정되더라도 부대의 지휘권은 갖지 않는다. 다만, 최상위에서는 참모총장, 막료장처럼 참모가 실질적인 최고 사령관을 겸하는 경우(이 경우 문민 통제의 관점에서 명목상 최고 사령관은 원수 등이다)도 많다.

막료 조직은 일반적으로 고급 지휘관(육군을 예로 들면 주로 총군총사령관·방면군사령관· 사령관·군단 사령관·사단장·여단장과 같은 전략 단위의 상급 부대를 지휘하는 지휘관)을 사령부에서 보좌한다.

관용구비유로, 조직에서 참모적인 입장의 인물이나, 상사·주군·리더에 대한 보좌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충실하고 위기 시에 믿음직한 부하·가신을 참모(참모 격, 참모 역) 등으로 부르며, "믿음직한 부하" 등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미군 합동참모본부 막료의 교과서인 『합동군 참모 매뉴얼』(백도서방, 1989년)에 따르면, 미국군의 "Staff" 제도는 다음과 같다.[36]


  • '''참모장'''(Chief of staff) - 일반 막료와 특별 막료를 지휘하고, 막료부를 통괄한다.
  • '''참모부장'''(Deputy chief) - 작전 담당(Plans and Operations)과 관리 담당(Administration)이 있으며, 참모장을 보좌한다.
  • '''일반 막료'''(General staff) - 각각의 부서의 장으로 구성되며, 막료 회의에서 모든 분야에 발언권을 가지며, 각 분야를 조정한다.
  • 인사·행정 막료(참모)
  • 정보 막료(참모)
  • 작전 막료(참모)
  • 후방 막료(참모)
  • 계획 막료(참모)
  • 통신 막료(참모)
  • '''특별 막료'''(Special staff) - 사령부의 전문 장교 등으로 구성되며, 지휘관의 지휘 하에, 일반 막료의 조정을 받는다. 참모장의 지휘 통제로 증원이나 감원을 받기 때문에 반드시 일률적이지는 않다.
  • 공병 막료
  • 수송 막료
  • 감찰 막료
  • 홍보 막료
  • 회계 막료
  • 법무 막료
  • 헌병 막료
  • 기타 전문 막료

4. 1. 참모의 기능

군 참모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지휘 결정의 근거가 되는 정확하고 시기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3] 참모의 목표는 부대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거나,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정보 생성 외에도 참모는 부대 내 및 주변의 통신 흐름도 관리한다. 지휘관을 향한 정보 흐름은 통제되고 우선시되는 반면, 유용하거나 우발적인 정보는 하위 부대 또는 각 참모를 통해 전달된다. 정보가 부대와 관련이 없으면, 해당 상황이나 정보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지휘부로 재지정된다.

참모는 일반적으로 해당 부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해 가장 먼저 알게 된다. 부대의 작전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이 필요한 문제는 지휘관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모든 문제가 지휘관에 의해 처리되는 것은 아니다. 발생하는 작은 문제는, 이미 매일 수많은 결정을 내리는 지휘관에게 불필요한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부대 내에서 더 적절한 담당자에게 주어진다.

또한 참모는 유용한 상황을 신중하게 만들고 해당 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적인 지휘 참모 조직에서 더 경험이 많고 선임인 장교들은 부대의 필요에 따라 조직된 참모 부서를 감독한다. 이러한 계층 구조는 의사 결정과 보고를 가장 경험이 많은 인사의 관할 하에 두고, 지휘부에서 나오는 관련 정보의 흐름을 최대화하여 전반적인 문제를 명확히 한다.

작전 참모 장교는 공격 및 방어 상황 모두에 대한 전투 계획을 수립하고, 예측 가능한 미래에 예상되는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비상 계획을 수립하는 임무도 맡는다.[3]

4. 2. 참모의 구성

군 부대의 참모는 참모장과 일반 참모, 특별 참모로 구성된다.[38] 참모장은 최선임 참모로, 별도로 두거나 작전참모가 겸임한다.

일반 참모와 특별 참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군대는 지휘 계통이 단일하여 모든 결정을 지휘관이 단독으로 내린다. 그러나 고급 지휘관은 군사 작전을 지휘, 통제하기 위해 처리해야 할 정보와 작업량이 방대해진다. 이를 조직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참모 조직이 정보 수집, 정보 처리 등의 측면에서 고급 지휘관을 보좌한다. 그러므로 지휘관에 대한 발언권은 인정되더라도 부대의 지휘권은 갖지 않는다. 다만, 최상위에서는 참모총장, 막료장처럼 참모가 실질적인 최고 사령관을 겸하는 경우도 많다.

관용구비유로, 조직에서 참모적인 입장의 인물이나, 상사·주군·리더에 대한 보좌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충실하고 위기 시에 믿음직한 부하·가신을 참모(참모 격, 참모 역) 등으로 부르며, "'''믿음직한 부하'''" 등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4. 2. 1. 일반 참모

일반 참모는 병력 또는 인사, 정보, 작전, 군수 등 핵심 기능을 담당한다.[38] 미국NATO 회원국은 "컨티넨탈 참모 시스템"(Continental Staff System) 또는 "일반 참모 시스템"(General Staff System, GSS)이라고도 불리는 대륙식 참모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시스템에서 본부 또는 부대의 각 참모 직위에는 부대의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문자 접두사와 역할을 지정하는 하나 이상의 숫자가 할당된다.[36]

참모 번호는 계층이 아닌 관례에 따라 할당되며, 이는 프랑스 관행에서 유래되었다. 즉, '''1'''이 '''2'''보다 "상위" 계급이 아니다. 다음은 SHAPE 구조를 반영한다.

번호역할
1병력 또는 인사
2정보 및 보안
3작전
4군수
5계획
6통신 (예: 통신 또는 IT)
7군사 교육 및 훈련 (합동 기술자)
8재정 및 계약 (자원 관리)
9민군 협력 (CIMIC) 또는 "민간 업무"



원래 컨티넨탈 참모 시스템은 1부터 6까지의 분야만 다루었기 때문에 7부터 9까지가 생략되거나 다양한 의미를 갖는 경우도 흔하다. 흔한 변형으로는 '''3'''과 '''5'''를 합쳐 '''3'''(작전 및 계획)으로 통합하는 것, 훈련 분야를 생략하고 '''7'''을 공병에 사용하는 것(미국 해상 수송 사령부와 다국적군 이라크에서 볼 수 있음), '''9'''를 법무 분야로 대체하여 CIMIC를 다른 분야(예: 2 또는 4)의 일부로 만드는 것(영국 상설 합동 본부에서 볼 수 있음)이 있다.

프로이센의 ''Große Generalstab''(대 참모부)에서 파생된 이 참모 기능은 전통적으로 간단한 ''G''를 접두어로 사용했으며, 이는 현대 육군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육군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참모 개념이 해군, 공군 및 기타 부대로 확산되면서 새로운 접두사를 추가해야 했다. 이러한 요소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접두사의미
A공군 본부
C합동 본부(여러 국가) 본부
F특정 전방 또는 배치 가능한 본부
G장군이 지휘하고 참모장(Chief of Staff)이 참모의 활동을 조정하는 조직(예: 사단 또는 이에 상응하는 조직, USMC 해병 항공단 및 해병 군수 그룹)과 독립적인 (비사단) 여단급(USMC MEB) 이상의 육군 또는 해병대 참모 부서
J합동(여러 군) 본부, 합동 참모 본부 포함
N해군 본부
S현장 등급 장교(예: 소령부터 대령까지)가 지휘하고, 집행 참모의 활동을 조정하는 집행 참모를 둔 조직의 육군 또는 해병대 집행 참모 부서(예: 사단 여단, 연대, 그룹, 대대 및 비행대, 모든 국가에서 사용하지 않음). S는 해군 기동 건설 대대(SeaBees)와 공군 방위군 비행대에서도 사용된다.
U유엔 군사 작전 임무 본부에 사용
CG미국 해안 경비대 부사령관(본부 참모)에 고유하며, 이전에는 G 접두사를 사용



어떤 경우에는 문자 '''E'''도 관찰할 수 있지만, 이는 공식 용어가 아니다. 이 경우 "요소"(element)를 의미하며, 비참모 조직의 일부인 작은 독립 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즉, E3은 물류 사이트의 작전 요소이고 E4는 전방 의료 지원 사이트의 물류 요소이다.

따라서 해군 본부의 인사 담당관은 '''N1'''으로 지칭된다. 실제로, 대규모 조직에서는 이러한 각 참모 기능에 자체 대규모 참모의 지원이 필요하므로 '''N1'''은 사무실과 그 책임자를 모두 지칭한다. 컨티넨탈 참모 시스템은 다음 단계까지 내려갈 수 있다. '''J1.3''' (또는 '''J13''', 때로는 점 구분자가 생략됨)은 합동 본부의 인사 사무실의 작전 장교이지만, 이 수준에서의 역할의 정확한 정의는 달라질 수 있다. 이 아래에서는 하이픈으로 숫자를 붙일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임의로 할당된 위치 번호일 뿐이다 ('''G2.3-2'''는 정보 부서의 작전 부서의 예산 담당관, '''A1.1-1-1'''은 접수원).

4. 2. 2. 특별 참모

특별 참모는 민사, 부관, 정훈, 군사경찰, 법무, 감찰, 공병, 통신, 화생방, 의무, 군종 등의 특정 분야를 담당한다.[38]

5. 현대 사회에서의 참모

현대 사회에서 참모는 군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관용구비유로, 조직에서 참모와 같은 위치에 있는 사람이나, 상사, 주군, 리더를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충실하고 위기 상황에서 믿음직한 부하, 가신을 참모(참모 격, 참모 역) 등으로 부르며, "'''믿음직한 부하'''"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37]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staff definition https://www.britanni[...]
[2] 간행물 Staff System in the Indian Army: Time for Change https://www.claws.in[...] Centre for Land Warfare Studies 2011
[3] 서적 Instrument of War Duffy, C.
[4] 서적 Generalreglement, oder Verhaltungen für die kaiserliche königliche Generalität 2018-12-02
[5] 간행물 Osterreichische Militärische Zeitschrift Streffleur, Vienna 1860
[6] 서적 Generalstabschefs aus vier Jahrhunderten Regele, O. 1966
[7] 서적 Befreiungskriege Kriegsgeschichtliche Abteilung des k.u.k. Kriegsarchivs 1913
[8] 서적 Armies of the Napoleonic Wars Fremont-Barnes, G. (editor) 2011
[9] 서적 Napoleon at Work Vachee 1914
[10] 웹사이트 Le Spectateur militaire: Recueil de science, d'art et d'histoire militaires https://books.google[...] Bureau de Spectateur militaire 2018-05-11
[11] Citation INDEX http://dx.doi.org/10[...] ISEAS Publishing 2024-06-23
[12] 웹사이트 www.canadiansoldiers.com http://www.canadians[...]
[13] 웹사이트 NATO SHAPE structure http://www.nato.int/[...]
[14] 서적 Staff organization and Operations (FM 101-5) http://www.dtic.mil/[...] 2010-09-06
[15] 웹사이트 The Command and Staff System in the Information Age: Is the Continental Staff System Dead? http://www.army.forc[...] 2011-06-10
[16] 웹사이트 MSC N7 http://www.msc.navy.[...] 2011-05-14
[17] 웹사이트 Joint Engineer-A Multinational Perspective http://www.wood.army[...] Fort Leonard Wood 2009-05
[18] 웹사이트 Permanent Joint Headquarters http://www.armedforc[...]
[19] 웹사이트 DOD Dictionary of Military and Associated Terms http://www.dtic.mil/[...]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 웹사이트 J8 Force Structure, Resources, and Assessment Directorate https://www.jcs.mil/[...]
[21] 웹사이트 Figure 12-3.--Naval Mobile Construction Battalion (NMCB) Organization. http://navyadministr[...] Navy Administration Training Manuals
[22] 웹사이트 AFI38-101 https://static.e-pub[...] 2019-08-29
[23] 웹사이트 AJP-4(A): Allied Joint Logistic Doctrine https://transnet.act[...] 2003-12
[24] 웹사이트 Chapter 13: Multinational Logistics http://www.nato.int/[...] 1997-10
[25] 웹사이트 FM 41-10 https://www.bits.de/[...] Department of the Army 1957-05
[26] 논문 Primus inter pares vel primos?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Staff in the Australian Army https://researchcent[...] 2023
[27] 서적 Training Information Bulletin No.84 The Common Staff System Australian Army
[28] 논문 Primus inter pares vel primos?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Staff in the Australian Army https://researchcent[...]
[29] 웹사이트 Division Headquarters http://www.unsw.adfa[...] 2001-07-19
[30] 서적 British naval staff in the First World War Boydell Press 2011
[31] 서적 The Royal Navy and the Capital Ship in the Interwar Period: An Operation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 웹사이트 The Discovery Service http://discovery.nat[...] National Archives 2017-01-19
[33] 서적 The Royal Navy and the capital ship in the interwar period an operational perspective Frank Cass 2001
[34] 웹사이트 参謀とは https://kotobank.jp/[...] 2022-07-11
[35] 서적 海軍参謀
[36] 서적 統合軍参謀マニュアル 白桃書房 1987
[37] 뉴스 創価学会の池田大作名誉会長が死去、95歳 公明党を結成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38]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