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니 탐험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타니 탐험대는 1902년부터 1914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일본의 탐험대이다. 오타니 고즈이가 지휘하여 런던, 카슈가르, 인도, 타클라마칸 사막, 윈난성 등지를 탐험하며 사리 용기, 고문서, 미라 등 다양한 유물을 수집했다. 탐험을 통해 수집된 유물은 일본으로 반입되었으며, 관련 보고서 및 연구서가 간행되었다. 수집품은 뤼순박물관, 류코쿠대학, 도쿄국립박물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등으로 이관되었으며, 대한민국 국립중앙박물관에도 오타니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를 통해 문화재가 반출된 사실로 인해 역사적 정당성에 대한 비판과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타니 탐험대 | |
---|---|
탐험대 정보 | |
명칭 (일본어) | 大谷探検隊 |
명칭 (로마자 표기) | Ōtani Tankentai |
관련 인물 | 오타니 고즈이 |
2. 제1차 탐험 (1902년 ~ 1904년)
오타니 고즈이가 직접 지휘하고, 혼다 에류(本多恵隆), 이노우에 고엔(井上弘円), 와타나베 뎃신(渡辺哲信), 호리 겐유(堀賢雄)가 동행했다. 고즈이는 카슈가르에 머무른 뒤 인도로 가서 1903년 1월 14일 영취산을 발견하고, 마가다국의 수도 왕사성(王舍城)을 특정했다. 와타나베와 호리는 타클라마칸 사막으로 가서 호탄, 쿠차 등을 조사했고, 수바시 고성(故城)에서 사리(舍利) 용기를 발견했다.[1]
1908년~1909년에 걸쳐 진행된 제2차 탐험에는 다치바나 즈이초(橘瑞超), 노무라 에이자부로(野村栄三郎)가 파견되었다. 이들은 외몽골을 거쳐 타림 분지에 진입하여 투르판을 조사한 뒤 코를라에서 두 갈래로 나뉘었다. 노무라는 카슈가르 방면을, 다치바나는 로프노르 호적(湖跡)이 있는 누란 방면을 조사하였다. 유명한 이백문서(李柏文書)는 이때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1]
1910년 ~ 1914년에 걸쳐 진행된 제3차 탐험에서 다치바나 즈이초, 요시카와 쇼이치로는 이전에 조사했던 투르판, 누란 지역을 다시 조사하였다. 이들은 중가리아에서도 조사를 진행하였고, 돈황에서 일부 문서를 수집했다. 이때 수집된 미라 등은 당시 일본이 조차하고 있던 중국 다롄의 뤼순박물관에 소장되었으며, 현재도 공개되고 있다.[1]
세 차례의 탐험으로 귀중한 고문서와 문화재가 일본으로 들어왔다. 탐험 보고서로 《서역고고도보》(西域考古図譜일본어) 두 질(1915년), 《신서역기》(新西域記일본어) 두 권(1937년)이 간행되었다. 연구 보고서로는 《서역문화연구》(西域文化研究일본어) 총 여섯 권(1958년)이 나왔다. 현재는 반입된 문서의 자료집인 《오타니 문서 집성》(大谷文書集成일본어) 1 (1984년)도 간행되었다.[2]
오타니 탐험대가 수집한 유물은 일본으로 옮겨진 후 뤼순박물관, 일본 류코쿠대학, 도쿄국립박물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등 여러 기관에 분산 소장되었다. 탐험대가 가져온 고문서와 문화재에 대한 보고서로는 《서역고고도보》(西域考古図譜일본어) 두 질(1915년), 《신서역기》(新西域記일본어) 두 권(1937년)이 간행되었다. 연구 보고서 《서역문화연구》(西域文化研究일본어) 총 여섯 권(1958년)과 자료집 《오타니 문서 집성》(大谷文書集成일본어) 1 (1984년)도 나왔다.[2]
별도로 윈난성 루트 탐험이 노무라(野村禮譲), 시게노 준이치(茂野純一)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도중에 건축가 이토 주타와 만났다. 이는 고즈이와 이토 간 교류의 계기가 되었고, 훗날 쓰키지 혼간지 설계 및 건조에까지 이르렀다.
3. 제2차 탐험 (1908년 ~ 1909년)
4. 제3차 탐험 (1910년 ~ 1914년)
5. 탐험 성과 및 보고
6. 오타니 컬렉션과 대한민국
6. 1. 대한민국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1916년 4월 말 오타니 고즈이의 별장 니라쿠소(二楽荘일본어)에 보관되어 있던 오타니 탐험대의 수집품이 조선총독부박물관으로 인계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오타니 컬렉션 소장품은 이때 인계된 것이다.[2]
참조
[1]
웹인용
문화유산 온라인 사리 용기
https://bunka.nii.ac[...]
일본 문화청
2022-05-01
[2]
서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 고문자 II – 타림 분지의 문자자료
국립중앙박물관
2022-12-16
[3]
서적
[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