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왓치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왓치맨》은 앨런 무어가 글을 쓰고 데이브 기번스가 그림을 그린 그래픽 노블로, 1985년 DC 코믹스에서 처음 등장하여 1986년부터 1987년까지 12개의 이슈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은퇴한 슈퍼히어로 코미디언의 살해 사건을 시작으로, 로어셰크, 오지맨디아스, 닥터 맨해튼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권력, 사회, 인간성에 대한 깊이 있는 주제를 다룬다. 1980년대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슈퍼히어로의 현실적인 면모를 탐구하며, 1988년 휴고상을 수상하는 등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2009년 영화로 제작되었고, 2019년에는 HBO에서 텔레비전 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풍자 책 - 꿀벌의 우화
    《꿀벌의 우화》는 버나드 맨더빌이 1705년 익명으로 출판한 시를 시작으로 완성된 작품으로, 사적인 악덕이 공공의 이익으로 이어진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담아 당시 사회의 도덕관념에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대체 역사 만화 - 궁 (만화)
    박소희 작가의 순정만화 《궁》은 입헌군주국이라는 가상 설정의 대한민국에서 평범한 여고생 신채경이 황태자 이신과 정략결혼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드라마, 뮤지컬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대체 역사 만화 - 에이다 당신이군요. 최초의 프로그래머
    에이다 러브레이스 데이 기념 코믹 스트립을 기반으로 한 "에이다 당신이군요.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찰스 배비지와 에이다 러브레이스가 해석 기관을 완성하여 범죄와 싸우는 대체 역사적 설정의 이야기이며, 실내 오페라로도 제작되어 초연되었다.
  • 앨런 무어의 작품 - 브이 포 벤데타
    앨런 무어와 데이비드 로이드가 공동 창작한 디스토피아 그래픽 노블 브이 포 벤데타는 전체주의 정권에 저항하는 가이 포크스 가면을 쓴 아나키스트 'V'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며 반체제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 앨런 무어의 작품 - 배트맨: 킬링 조크
    앨런 무어가 글을 쓰고 브라이언 볼랜드가 그림을 그린 DC 코믹스의 그래픽 노블 "배트맨: 킬링 조크"는 조커의 기원과 배트맨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루며 조커의 탄생과 광기가 배트맨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바바라 고든 공격 및 제임스 고든 고문 등의 어두운 묘사와 함께 배트맨과 조커의 대립을 심화시켜 결말에 대한 논쟁을 일으키며 이후 여러 배트맨 스토리 라인과 미디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왓치맨
기본 정보
Watchmen #1 표지 (1986년 9월)
Watchmen #1 표지 (1986년 9월), 데이브 기번스 그림
발행처DC 코믹스
발행일1986년 9월 – 1987년 10월
원작Watchmen
총 이슈12
제작진
작가앨런 무어
삽화가데이브 기번스
채색가존 히긴스
편집자렌 웨인
바바라 케셀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롤샤크
닥터 맨해튼
코미디언
나이트 아울
실크 스펙터
오지맨디아스

2. 출판 역사

''왓치맨''은 작가 앨런 무어와 화가 데이브 기번스가 제작했으며, 1985년 DC 스포트라이트의 50주년 기념 특별호에 처음 등장했다. 이후 1986년 9월부터 1987년 10월까지 DC 코믹스에서 12개의 이슈로 구성된 맥시시리즈로 출판되었다.[4]

출판 세부 정보
이슈 번호제목출판 날짜발매 날짜참고
1"한밤중에 모든 요원들은..."1986년 9월1986년 5월 13일[5]
2"떠나간 친구들"1986년 10월1986년 6월 10일[6]
3"온 세상의 심판관"1986년 11월1986년 7월 8일[7]
4"시계 제작자"1986년 12월1986년 8월 12일[8]
5"두려운 대칭"1987년 1월1986년 9월 9일[9]
6"심연 또한 응시한다"1987년 2월1986년 10월 14일[10]
7"용의 형제"1987년 3월1986년 11월 11일[11]
8"오래된 유령"1987년 4월1986년 12월 9일[12]
9"존재의 어둠"1987년 5월1987년 1월 13일[13]
10"두 명의 기수가 다가오고 있었다..."1987년 7월1987년 3월 17일[14]
11"내 업적을 보라, 너희 강자들아..."1987년 8월1987년 5월 19일[15]
12"더 강하고 사랑스러운 세상"1987년 10월1987년 7월 28일[16]



맥시시리즈 완결 후, 1987년 DC 코믹스에서 트레이드 페이퍼백으로 수집되어 출판되었으며, 최소 2017년 3월까지 24번 이상 인쇄되었다.[17] 같은 해 DC의 자매 회사인 워너 북스에서도 트레이드 페이퍼백이 출판되었다.[18] 1988년 2월, DC는 Graphitti Design에서 제작한 한정판 하드커버 양장본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오리지널 제안과 컨셉 아트 등 48페이지의 보너스 자료가 포함되어 있었다.[19][20] 2005년 DC는 데이브 기번스의 감독하에 제작된 이 시리즈의 대형 양장본인 ''절대적인 왓치맨(Absolute Watchmen)''을 DC의 절대판 형식으로 출시했다. ''절대적인 왓치맨(Absolute Watchmen)''에는 Graphitti 자료와 함께 존 히긴스가 복원하고 채색한 아트워크가 포함되었다.[21] 그해 12월 DC는 "밀레니엄 에디션" 라인의 일환으로 1986년 원가인 1.5달러에 ''왓치맨(Watchmen)'' 1호의 새 인쇄본을 출판했다.[22]

무어는 1985년에 이 한정판 시리즈가 좋은 반응을 얻으면 그와 기번스가 이야기 속 1940년대 슈퍼히어로 그룹을 다룬 12개의 이슈로 구성된 프리퀄 시리즈인 ''미닛맨''을 만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37] DC는 무어와 기번스에게 ''로어셰크의 일지''나 ''코미디언의 베트남 전쟁 일기''와 같은 시리즈의 프리퀄을 출판할 기회를 제안했으며, 다른 작가들이 같은 세계관을 사용할 가능성을 암시하기도 했다. 코미디언의 베트남 전쟁 경험에 대한 이야기는 당시 ''더 냄''이 인기를 얻었기 때문에 제안되었으며, 기번스에 따르면 또 다른 제안은 "나이트 아울/로어셰크 팀" (''랜달과 홉커크 (죽음)'')과 같은 방식이었다. 두 사람 모두 그 이야기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는 확신하지 못했고, 특히 무어는 다른 사람들이 만든 이야기는 DC에서 진행하지 않기를 단호하게 주장했다.[67] 기번스는 ''미닛맨'' 시리즈에 더 매력을 느꼈는데, 그것이 "[황금기] 만화책의 단순함과 순수함을 존경"하고 "[결론이 이미 알려진] 이야기라는 드라마틱한 흥미를 더했기" 때문이다. "어떻게 결론에 도달했는지 보는 것이 흥미로울 것이다."[41]

2010년, 무어는 ''와이어드''에 DC가 프리퀄과 속편 프로젝트에 동의하면 ''왓치맨''의 권리를 돌려주겠다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무어는 "10년 전에 그런 말을 했었다면, 그때 내가 그들에게 요청했을 때, 맞아요. 그럴 수도 있었을 거예요 [...] 하지만 요즘에는 ''왓치맨''을 돌려받고 싶지 않아요. 물론, 그런 조건으로는 받고 싶지 않아요."라고 말했다. DC 코믹스 공동 발행인 댄 디디오짐 리는 다음과 같이 응답했다. "DC 코믹스는 알란 무어와 데이브 기번스가 거의 25년 전에 설정한 품질과 일치하는 새로운 이야기의 창의적인 비전을 가진 경우에만 이러한 상징적인 캐릭터를 재방문할 것이며, 이에 대한 첫 번째 논의는 자연스럽게 작가들과 함께 진행될 것입니다."[68]

잠재적인 ''왓치맨'' 후속 프로젝트에 대한 여러 달의 소문이 돌고 난 후, 2012년 2월 DC는 "''비포 왓치맨(Before Watchmen)''"이라는 이름으로 7개의 프리퀄 시리즈를 출판한다고 발표했다. 이 시리즈는 원작 시리즈의 사건 이전에 설정된 캐릭터의 초기 모험을 다루며, 다양한 크리에이티브 팀이 참여했다. 참여 작가로는 J. 마이클 스트라진스키, 브라이언 아자렐로, 다윈 쿡, 렌 웨인이 있었고, 그림 작가로는 리 베르메호, J. G. 존스, 애덤 휴즈, 앤디 쿠버트, 조 쿠버트, 아만다 코너가 있었다. 무어는 ''비포 왓치맨''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지만, 기번스는 초기의 언론 발표에서 이 프로젝트에 다음과 같은 성명을 제공했다.[23]

> 원작 ''왓치맨''은 알란 무어와 내가 말하고 싶었던 완전한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저는 DC의 이 계획에 대한 이유와 참여 작가들의 우리 작품에 대한 헌사를 하고자 하는 바람을 이해합니다. 이 새로운 추가 작품들이 그들이 바라는 성공을 거두기를 바랍니다.[23]

2016년 원샷 ''DC 유니버스: 리버스 스페셜(DC Universe: Rebirth Special)''에는 피가 튀는 스마일리 얼굴과 ''왓치맨(Watchmen)''의 마지막 호에서 닥터 맨해튼과 오지맨디아스의 대화와 같은 ''왓치맨(Watchmen)''에 대한 수많은 상징과 시각적 참조가 표시된다.[24] 또한 ''DC 유니버스: 리버스 스페셜(DC Universe: Rebirth Special)'' #1의 2차 인쇄본에는 게리 프랭크의 표지를 업데이트하여 오른쪽 상단에 닥터 맨해튼의 뻗은 손을 더 잘 드러내는 등 ''왓치맨(Watchmen)'' 이미지가 추가되었다.[25][26] 닥터 맨해튼은 이후 2017년 DC 4부작 미니시리즈 ''더 버튼 (만화)(The Button)''에 출연하여 ''DC 유니버스 리버스(DC Universe Rebirth)''와 2011년 스토리라인 "플래시포인트 (만화)(Flashpoint)"의 직접적인 속편 역할을 했다.

맨해튼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 12부작 속편 시리즈인 ''둠스데이 클락''에 다시 등장한다.[27] ''둠스데이 클락''은 DC 리버스 코믹스 라인의 일부이며, 2016년 원샷 코믹스인 ''DC 유니버스: 리버스 스페셜''과 2017년 크로스오버 작품인 ''더 버튼''에서 확립된 이야기를 이어간다. 이 미니시리즈는 1992년 11월, ''왓치맨'' 사건 이후 7년이 지난 시점을 배경으로 하며, 오지맨디아스가 그의 평화 계획이 실패하고 미국과 러시아 간의 핵전쟁이 임박한 상황에서, 닥터 맨해튼을 찾기 위해 월터 코바치의 후계자인 레지날드 롱과 함께 행동하는 이야기를 다룬다.[69] 이 시리즈는 2017년 5월 14일에 공개되었으며, 티저 이미지에는 ''왓치맨''에 묘사된 시계의 12시 방향에 슈퍼맨 로고가, 그리고 ''왓치맨''에 사용된 굵은 글씨체로 시리즈 제목이 표시되었다.[70] 총 12개의 이슈 중 첫 번째 이슈는 2017년 11월 22일에 발매되었다.[71]

이 이야기는 많은 DC 캐릭터를 포함하지만, 특히 슈퍼맨과 닥터 맨해튼에 초점을 맞춘다. 슈퍼맨은 원작에서 허구의 인물로 묘사되었지만, 이 시리즈는 멀티버스라는 플롯 요소를 활용한다. 작가 제프 존스는 닥터 맨해튼과 함께 리버스에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다고 느꼈다. 그는 인간성을 구현하고 동정심을 가진 외계인인 슈퍼맨과 인간으로부터 자신을 분리한 닥터 맨해튼 사이의 흥미로운 이분법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로 인해 창작팀은 대체 현실이라는 플롯 요소를 통해 ''왓치맨'' 유니버스와 DC 유니버스를 교차시킬지에 대해 6개월 이상 토론했다. 그는 ''둠스데이 클락''이 그의 경력에서 "가장 개인적이고, 가장 장대하며, 완전히 정신을 뒤흔드는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70]

3. 제작 배경

데이브 기본스, ''왓치맨''의 작가


1983년, DC 코믹스는 찰턴 코믹스의 캐릭터 라인을 인수했다.[135] 이 시기 작가 앨런 무어는 1980년대 초 미라클맨 시리즈에서처럼, 사용되지 않은 슈퍼히어로 라인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었다. 그는 아치 코믹스의 전신인 MLJ 코믹스의 마이티 크루세이더스 시리즈가 이러한 프로젝트에 적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무어는 항구에서 실드의 시체가 발견되는 것으로 시작하는 살인 미스터리 플롯을 고안했는데, 독자들이 캐릭터에 익숙하다면 "이 캐릭터들의 현실이 무엇인지 보여줄 때 충격과 놀라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28][136]

무어는 이 구상을 바탕으로 찰턴 코믹스의 캐릭터 피스메이커를 중심으로 한 "누가 피스메이커를 죽였는가?"(Who Killed the Peacemaker?영어)라는 제목의 제안서를 작성하여[29][137] DC 코믹스의 편집장 딕 조르다노에게 제출했다.[140] 조르다노는 제안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찰턴 코믹스 캐릭터 사용에는 반대했다. DC 코믹스는 인수한 찰턴 캐릭터들을 당시 기획 중이던 인피닛 어스 크라이시스 이벤트를 통해 자사의 주류 세계관에 통합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무어는 "DC는 자신들의 값비싼 캐릭터들이 죽거나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원치 않았다"고 회상했다. 결국 조르다노는 무어에게 찰턴 캐릭터들과 유사한 새로운 오리지널 캐릭터를 만들어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설득했다.[30][31][32][138] 무어는 처음에는 오리지널 캐릭터가 독자들에게 충분한 감정적 공감을 주지 못할 것이라 우려했지만, "대체 캐릭터를 특정 방식으로 친숙하게 보이도록 충분히 잘 묘사한다면, 그들의 특정 측면이 독자에게 일반적인 슈퍼히어로의 공명이나 친숙함을 되살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생각을 바꿨다.[28]

이전에 무어와 협업한 경험이 있는 아티스트 데이브 기본스는 무어가 새로운 미니시리즈를 구상 중이라는 소식을 듣고 참여 의사를 밝혔다. 무어는 기본스에게 스토리 개요를 보냈고,[33][139] 기본스는 조르다노에게 자신이 작화를 맡고 싶다고 전달했다. 무어 역시 기본스와의 작업을 원했기에 그의 합류가 결정되었다.[140] 기본스는 채색가 존 히긴스의 "특이한" 스타일을 선호하여 그를 프로젝트에 합류시켰다. 히긴스가 기본스 근처에 살았기 때문에 두 사람은 예술적 논의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었다.[29] 렌 웨인이 편집자로 참여하고 조르다노가 총괄 감독을 맡았으나, 두 사람 모두 제작 과정에 크게 개입하지는 않았다. 조르다노는 나중에 "앨런 무어의 원고를 누가 감히 교정하겠는가?"라고 말하기도 했다.[140]

프로젝트 승인 후, 무어와 기본스는 기본스의 집에서 만나 캐릭터 설정, 이야기의 배경, 영감을 받은 아이디어 등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매드 매거진의 슈퍼맨 패러디인 "슈퍼듀퍼맨"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는데, 무어는 "슈퍼듀퍼맨을 180도 뒤집어, 코믹한 대신 드라마틱하게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32] 두 사람은 "친숙한 옛날 방식의 슈퍼히어로를 완전히 새로운 영역으로 가져갈" 이야기를 구상했으며,[34] 무어는 "백경과 같은 무게감과 밀도를 가진 슈퍼히어로 이야기"를 만들고자 했다.[35][142] 무어는 캐릭터의 이름과 설명을 정하고, 시각적인 디자인은 기본스에게 맡겼다. 기본스는 캐릭터들을 즉석에서 디자인하기보다는 시간을 두고 스케치 작업을 진행했으며,[29] 그리기 쉬운 디자인을 추구했다. 로어셰크는 그가 가장 선호하는 캐릭터였는데, "모자만 그리면 로어셰크가 완성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36][143]

무어는 이전에 DC 코믹스의 카멜롯 3000 작업 시 겪었던 출판 지연을 피하고자 일찍부터 각본 집필을 시작했다.[37][144] 그러나 첫 번째 이슈의 각본을 쓰던 중, 12개 이슈 계약임에도 불구하고 6개 이슈 분량의 플롯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38] 그는 시리즈의 주요 줄거리를 다루는 이슈와 각 캐릭터의 과거 이야기를 다루는 이슈를 번갈아 배치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145] 무어는 기본스가 작업할 수 있도록 매우 상세한 각본을 작성했다. 기본스는 첫 이슈의 각본이 "개별 패널 설명 사이에 빈 줄 하나 없이 타자 원고로 101페이지에 달했다"고 회상했다.[39][146] 각본을 받으면 순서가 섞이지 않도록 즉시 페이지 번호를 매겨야 했다고 한다.[146] 무어의 상세한 지침에도 불구하고, 각 패널 설명 끝에는 종종 "만약 이 지침이 당신에게 맞지 않는다면,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작업하세요"라는 메모가 덧붙여져 있었다. 그럼에도 기본스는 대부분 무어의 지시를 충실히 따랐다.[40][147] 기본스는 무어가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배경의 세부 묘사를 추가하는 등 시각적 구현에 상당한 자율성을 발휘했다.[35] 무어는 때때로 동료 작가 닐 게이먼에게 연구 관련 질문을 하거나 인용문을 얻기 위해 연락하기도 했다.[38][145]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작 지연은 발생했다. 1986년 11월, 5번째 이슈가 발매되었을 때 무어는 여전히 9번째 이슈의 각본을 쓰고 있었다.[39] 기본스는 지연의 주된 원인으로 무어의 각본을 "조각조각 나누어" 받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4번째 이슈부터 작업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했으며, 이후로는 한 번에 몇 페이지 분량의 각본만 받아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42][148] 마감일이 임박하자 무어는 택시를 이용해 약 80.47km 거리를 이동하며 기본스에게 각본을 전달하기도 했고, 후반 작업에서는 기본스의 아내와 아들이 페이지에 패널 격자를 그리는 것을 돕기도 했다.[38] 오지맨디아스가 로어셰크의 기습을 막는 장면에서는 대사가 너무 길어 한 페이지에 담기 어렵다고 기본스가 지적하자, 무어가 해당 장면의 내레이션을 수정하기도 했다.[41][149]

작업 막바지에 무어는 이야기가 텔레비전 시리즈 미지의 세계의 한 에피소드인 "뒤틀린 세계 통일"(The Architects of Fear영어)과 유사하다는 점을 인지했다.[38] 편집자 렌 웨인과 결말 변경을 두고 논쟁이 있었고, 무어가 자신의 의견을 굽히지 않아 웨인은 프로젝트에서 하차했다.[43] 무어는 시리즈 마지막 호에서 작중 텔레비전 화면에 해당 에피소드가 방영되는 장면을 삽입하여, 이 에피소드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간접적으로 인정했다.[40]

4. 등장인물

《왓치맨》의 주요 등장인물 (왼쪽부터): 오지맨디아스, 2대 실크 스펙터, 닥터 맨해튼, 코미디언 (무릎 꿇은 자세), 2대 나이트 아울, 로어셰크


피로 얼룩진 스마일리 얼굴, 책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상징


작가 앨런 무어는 《왓치맨》을 통해 세상을 인식하는 "근본적으로 상반된 네다섯 가지 방식"을 제시하고, 독자 스스로 어떤 방식이 도덕적으로 가장 타당한지 판단하도록 유도하고자 했다. 무어는 독자에게 특정 도덕관을 주입하기보다는, 영웅들을 복잡하고 양면적인 모습으로 그려내려 했다. 그는 "우리가 하고 싶었던 것은 이 모든 사람들의 모든 면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그들 중 최악의 사람조차도 장점이 있었고, 심지어 가장 훌륭한 사람들에게도 결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라고 밝혔다.[35]

작품의 주요 인물들은 대부분 1960년대 후반에 결성된 히어로 팀 '크라임버스터즈'의 멤버였거나 관련 인물들이다. 이들은 각자 다른 신념과 동기를 가지고 활동하며,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닥터 맨해튼부터 기술에 의존하는 나이트 아울, 극단적인 정의관을 가진 로어셰크, 냉철한 지략가 오지맨디아스, 정부 소속의 염세주의자 코미디언, 그리고 인간적인 고뇌를 겪는 실크 스펙터까지 다양하다. 이들의 복잡한 관계와 도덕적 딜레마는 작품의 핵심 주제를 이룬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이야기에는 1940년대에 활동했던 1세대 히어로 팀 '미닛맨' 멤버들도 중요한 배경 인물로 등장한다. 후디드 저스티스, 초대 나이트 아울, 초대 실크 스펙터 등 이들의 과거 행적과 관계는 현재 시점의 사건과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또한, 몰록 더 미스틱과 같은 과거의 슈퍼 빌런들과 다양한 주변 인물들이 등장하여 이야기의 깊이를 더하고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4. 1. 크라임버스터즈



1977년 키인 법의 통과로 대부분의 코스튬 히어로들이 불법화되었지만, 일부는 정부 소속으로 활동하거나 법의 감시를 피해 활동을 이어나갔다. 이들은 과거 '크라임버스터즈'라는 이름으로 함께 활동하기도 했으며, 각자의 방식으로 시대의 문제에 맞서 싸우거나 혹은 순응하며 살아간다.

  • '''로어셰크 (월터 조셉 코바치)'''

흰색 마스크에 대칭적이면서도 끊임없이 형태가 변하는 검은 잉크 반점 무늬가 특징인 자경단원이다. 키인 법 제정 이후에도 유일하게 불법적으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초능력은 없지만, 과거 체조와 복싱으로 단련된 뛰어난 신체 능력을 가졌다. 그의 가장 큰 특징은 세상과 자신에 대한 극단적인 도덕관과 타협을 거부하는 태도이다. 이는 이름처럼 세상을 선과 악, 흑과 백으로만 나누는 로르샤흐 검사와 같은 그의 세계관을 반영한다.[151] 그는 존재를 무작위적인 것으로 보며, 이러한 관점은 그가 "도덕적으로 백지인 세상"에 자신만의 디자인을 새기려 하게 만든다.[151]

페도라 모자, 회색 스카프, 갈색 트렌치 코트, 가죽 장갑, 보라색 줄무늬 바지, 더러운 엘리베이터 슈즈 차림에 얼굴에는 잉크 반점 마스크를 착용한다. 마스크는 특수 제작된 것으로, 두 겹의 천 사이에 담긴 검은 액체가 열과 압력에 반응하여 무늬가 변한다. 그는 자신의 본모습 대신 이 마스크를 "진짜 얼굴"이라고 여긴다. 가스압으로 갈고리를 발사하는 와이어 건과 자신의 활동 및 생각을 기록하는 일기를 항상 소지하고 다닌다.

본명은 월터 조셉 코바치로, 신장 167cm, 체중 64kg의 적발에 무표정한 인상을 가졌다. 평소에는 "종말이 다가온다(The End is Nigh)"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거리를 배회하는 무직자이다. 불안정한 가정환경에서 자랐으며, 매춘부였던 어머니로부터 학대를 받았다. 아동 보호 시설을 거쳐 봉제 공장에서 일하던 중, 과거 어머니의 고객이었던 키티 제노비스가 살해당하고 아무도 그녀를 돕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인간 사회의 무관심과 부도덕함에 환멸을 느껴 자경단 활동을 시작했다. 키티가 섬뜩하다며 받지 않았던 드레스 천으로 마스크를 제작했다.

활동 초기에는 비교적 온건한 방식으로 활동했으며, 1960년대에는 2대 나이트 아울과 팀을 이루기도 했다. 그러나 1975년 아동 유괴 살해 사건을 조사하던 중, 범인이 소녀를 살해하고 시체를 개에게 먹인 증거를 발견하고 충격을 받아 범인을 잔혹하게 살해한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인간성에 대한 마지막 희망마저 버리고 "무의미한 백지 세계에 자신의 생각을 적으려 결심", 세상을 극단적인 선악 이분법으로 나누고 악으로 간주한 것을 철저히 단죄하는 현재의 로어셰크로 변모했다. 그는 강한 우익 성향을 보이며, 어린 시절의 경험으로 인해 여성과 성에 대한 혐오감을 가지고 있다.

캐릭터는 스티브 딧코가 창조한 미스터 A와 퀘스천에 기반을 두고 있다.[150]

  • '''닥터 맨해튼 (존 오스터만)'''

작중 유일하게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존재이다. 1959년, 과학자 존 오스터만은 "본질적 필드 차감기" 실험 중 사고로 몸이 분해되었다가 재구성되면서 모든 원자를 조작하고, 시간을 초월하여 과거, 현재, 미래를 동시에 인식하는 능력을 얻게 되었다. 이 능력으로 베트남 전쟁을 미국의 승리로 이끌었으며, 그의 존재 자체가 냉전 시대 미국의 가장 강력한 전략적 우위이자 소련에 대한 억지력으로 작용했다. 그의 기술은 미국 사회 전반의 발전을 이끌어 전기 자동차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의 등장을 가능하게 했다.

사고 이후 전신이 푸른색으로 변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간적인 감정과 가치관을 점차 상실해간다. 처음에는 검은색 코스튬을 착용했지만, 인간성이 희미해짐에 따라 옷의 면적이 줄어들어(레오타드, 팬티, 비키니 순) 나중에는 완전한 나체 상태로 다닌다. 이는 그의 인간성 상실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마에는 수소 원자 모형을 스스로 새겨 넣었다. 키인 법 제정 이후에도 정부의 허가 아래 활동하는 몇 안 되는 히어로 중 하나이다. 인간 관계에 어려움을 겪으며, 연인이었던 제이니 슬레이터나 로리 주스페치크(2대 실크 스펙터)와의 관계도 점차 악화되어 고립된다.

캐릭터는 찰턴 코믹스의 캡틴 아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작가 앨런 무어는 캡틴 아톰보다 더 나아가 "양자 슈퍼히어로"로서 맨해튼을 구상하며, 핵물리학양자역학의 개념을 적용하여 그의 초월적인 능력과 비선형적인 시간 인식, 그리고 그로 인한 인간성 상실을 묘사하고자 했다.[35] 그는 스타 트렉의 스팍처럼 단순히 감정이 없는 캐릭터가 아니라, 인간적인 습관을 유지하다 점차 인류로부터 멀어지는 과정을 그리려 했다.[35] 작화가 데이브 기번스는 닥터 맨해튼의 푸른 피부를 통해 그의 비인간적인 면모와 독특한 존재감을 강조했다.[152] 무어는 DC 코믹스가 캐릭터의 완전한 노출을 허용할지 확신하지 못했으며, 이는 묘사 방식에 영향을 주었다.[29] 기번스는 맨해튼의 누드를 신중하게 묘사하려 했고, 고전 조각상처럼 절제된 생식기를 그려 독자가 즉시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했다.[45]

  • '''코미디언 (에드워드 모건 블레이크)'''

닥터 맨해튼과 함께 키인 법 이후에도 정부의 승인 하에 활동한 히어로이다. 1세대 히어로 팀 "미닛맨" 시절부터 활동해 온 베테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해결 등 정부의 비밀 임무를 수행하는 공작원으로도 활동했다. 작중에서는 워터게이트 사건을 추적하던 기자를 살해하고, 존 F. 케네디 암살에 관여했음이 시사된다.

매우 폭력적이고 냉소적인 성격의 소유자로, 세상을 패러디로 여기며 자신의 폭력 충동을 해소하기 위해 히어로 활동을 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과거 초대 실크 스펙터인 샐리 주피터를 강간하려 했으며, 이후 합의된 관계를 통해 2대 실크 스펙터인 로리 주스페치크를 낳았다. 이러한 과거 행적은 다른 히어로들과의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의 트레이드마크는 스마일리 배지이며, 피 묻은 스마일리 배지는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상징이 된다. 미닛맨 시절에는 노란색 코스튬과 도미노 마스크를 착용했지만, 이후 가죽 마스크와 성조기 문양의 바디 아머로 바꿨다.

이야기는 그의 살해 사건에서 시작되며, 플래시백을 통해 그의 과거 행적과 복잡한 성격이 드러난다. 그는 오지맨디아스의 거대한 계획을 우연히 알게 된 후, "사상 최대의 악질적인 농담"이라며 정신적인 충격을 받고 결국 오지맨디아스에게 살해당한다.

캐릭터는 찰턴 코믹스의 피스메이커와 마블 코믹스닉 퓨리를 모델로 하고 있다.[28] 무어와 기번스는 그를 "더 크고 강인한 G. 고든 리디" 같은 인물로 구상했다.[28] 그는 무자비하고 허무주의적이면서도, 다른 히어로들보다 코스튬 영웅의 역할에 대해 더 깊은 통찰력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106]

  • '''2대 나이트 아울 (다니엘 드라이버그)'''

올빼미를 테마로 한 코스튬과 장비를 사용하는 은퇴한 히어로이다. 초대 나이트 아울인 홀리스 메이슨의 허락을 받아 이름을 계승했으며, 과거 로어셰크와 파트너로 활동했다. 키인 법 제정 이후 은퇴하여 조류학 연구에 몰두하며 지내고 있었다. 부유한 은행가였던 아버지의 유산을 바탕으로 올빼미 비행선 "아치"(아르키메데스)를 비롯한 각종 첨단 장비를 직접 개발하고 사용했다. 아치는 스텔스 기능, 화염방사기, 미사일, 기관포 등 다양한 무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야간 투시경, 레이저 건, 호버 바이크, 각종 보호복 등 여러 장비를 활용한다. 벨트의 파우치에는 다양한 장비가 수납되어 있으며, 리모컨으로 아치를 원격 조종할 수도 있다.

은퇴 후 히어로 활동에 대한 미련을 간직한 채 무력감에 시달렸으나(이는 발기 부전으로 상징된다), 로리 주스페치크와의 만남과 일련의 사건들을 계기로 다시 코스튬을 입고 활동을 재개하면서 과거의 열정과 활력을 되찾는다. 로어셰크의 음모론을 처음에는 불신했지만, 점차 사건의 진상에 접근하면서 그를 돕게 된다.

캐릭터는 테드 코드 버전의 블루 비틀을 모델로 하고 있다.[28] 작가 리처드 레이놀즈는 그의 활동 방식이 배트맨과 유사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157] 평상시 모습은 다소 어수룩하고 평범해 보이며, 이는 "중년의 무능한 클라크 켄트"를 연상시킨다는 평가도 있다.[158]

  • '''오지맨디아스 (에이드리언 베이트)'''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남자"로 불리는 전직 히어로이자 성공한 사업가이다. 알렉산더 대왕과 이집트 파라오 람세스 2세(그리스식 이름 오지만디아스)를 동경했으며,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지능과 신체 능력을 가졌다. (근거리에서 발사된 총알을 맨손으로 잡을 정도) 히어로 활동 시절부터 큰 인기를 누렸으며, 키인 법 제정 이전에 은퇴하여 자신의 명성을 활용, '베이트 사'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코스튬은 금색 헤드밴드, 망토, 가슴 장식이 달린 튜닉이며, 현역 시절에는 도미노 마스크를 썼지만 은퇴 후에는 맨얼굴로 활동한다.

그는 인류가 핵전쟁으로 자멸할 위기에 처했다고 판단하고, 이를 막기 위해 거대한 계획을 세운다. 그것은 바로 가상의 외계 생명체를 만들어 뉴욕을 공격하게 함으로써, 미국소련을 비롯한 전 세계 국가들이 공동의 위협 앞에서 갈등을 멈추고 단결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을 위해 그는 자신의 막대한 재력과 지능, 과학 기술을 총동원했으며, 방해가 될 수 있는 인물들을 제거하거나 무력화시키는 비정한 면모를 보인다. (코미디언 살해, 닥터 맨해튼 추방 유도, 로어셰크 누명 등) 남극에 비밀 기지 "카르낙"을 건설하고, 유전자 조작으로 만든 고양이과 동물 "부바스티스"를 곁에 두고 있다.

캐릭터는 찰턴 코믹스의 피터 캐논, 썬더볼트를 모델로 하고 있다.[28] 무어는 "뇌를 100% 사용하고 완벽한 신체적, 정신적 통제력을 가진" 캐릭터라는 아이디어를 좋아했다.[28] 그의 행동은 인류 구원이라는 대의를 위해 엄청난 희생을 감수하는 극단적인 공리주의적 면모를 보여주며, 독자들에게 도덕적 딜레마를 안겨준다. 기번스는 그가 "나머지 인류를 경멸적으로 내려다보는 것"이 그의 가장 큰 죄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44]

  • '''2대 실크 스펙터 (로럴 제인 "로리" 주스페치크)'''

초대 실크 스펙터인 샐리 주피터의 딸로, 어머니의 강권에 의해 슈퍼 히어로로서 영재 교육을 받고 이름을 이었다. 그러나 로리는 "부모에게 강요당했다"며 반발하고, 어머니와의 관계는 복잡하며, 특히 어머니가 자신을 강간하려 했던 코미디언을 증오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분노를 품고 있다. 오랫동안 닥터 맨해튼의 연인이었으나, 점차 인간성을 잃어가는 그에게 환멸을 느끼고 관계는 악화된다. 이후 은퇴한 나이트 아울(댄 드라이버그)과 가까워지며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고, 그와 함께 다시 히어로 활동에 나서기도 한다. 코스튬은 검은색 본디지 스타일의 의상에 투명한 노란색 상의와 하이힐을 착용한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코미디언이 사실은 자신의 생물학적 아버지였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된다. 인간 관계의 복잡성과 탄생의 기적을 반영하는 이 발견은 그녀뿐만 아니라 닥터 맨해튼에게도 큰 영향을 미쳐, 그가 인간성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갖게 되는 계기가 된다.

특정 모델이 된 캐릭터는 없지만, 작가 앨런 무어는 블랙 카나리나 팬텀 레이디와 같은 여성 히어로들을 참고하여 캐릭터를 만들었다.[28] 그녀는 다른 인물들에 비해 비교적 인간적인 감정과 도덕관을 유지하며, 이야기 속에서 점차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주체적인 선택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4. 2. 미닛맨

; 후디드 저스티스

1930년대, 코믹북 『슈퍼맨』의 첫 번째 호가 발매된 시기와 거의 동시에 등장한 세계 최초의 코스튬 히어로이다. 1938년 10월, 폭한에게 습격당한 커플을 구한 사건이 신문에 보도되었고, 다음 주에는 슈퍼마켓 강도단을 혼자 제압하며 "후드를 쓴 정의(The Hooded Justice)"로 유명해졌다. 이때 착용한 검은색 풀 페이스 후드, 로프, 빨간 케이프를 코스튬 삼아 히어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1940~1950년대 히어로 붐을 일으켰으며, 자신을 따라 등장한 히어로들과 함께 미닛맨을 결성하여 활동했다. 1950년대 매카시즘 당시, 정부의 신분 공개 요구를 거부하고 자취를 감추었다.

그는 게이이자 극도의 사디스트였으며, 캡틴 메트로폴리스(넬슨 가드너)와 연인 관계였으나 폭력적인 성향으로 인해 헤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나치를 찬양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그의 실종은 오지맨디아스가 조사했지만, 코미디언이 방해하면서 오지맨디아스가 코미디언에게 원한을 품는 계기가 되었다.

후디드 저스티스의 정체는 그가 실종될 무렵 함께 사라졌다가 후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 서커스 괴력남 롤프 뮐러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뮐러는 동독 출신 이민자이자 공산주의자였다. 일각에서는 코미디언에게 원한을 사 살해당했다는 추측도 있다. 원작 코믹스 제1장에는 노년의 남성 커플이 등장하는데, 이들이 죽음을 위장하고 은퇴한 롤프 뮐러와 넬슨 가드너라는 추측도 있다.

프리퀄 시리즈인 `비포 왓치맨`에서는 그의 정체가 롤프 뮐러가 아닌, 학대받고 자란 그의 아들 제이콥으로 암시된다. 또한 홀리스 메이슨(나이트 아울)이 아동 학대자인 롤프를 후디드 저스티스로 오인하여 살해했으며, 이는 코미디언에 의해 유도된 결과라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이는 `비포 왓치맨`의 설정이며, 원작과는 차이가 있다.

HBO 드라마판에서는 흑인 경관 윌 리브스가 인종차별주의자들로부터 정체를 숨기기 위해 백인 히어로 행세를 했으나, KKK와의 싸움에 미닛맨 동료들이 협력하지 않아 은퇴했다는 설정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이 설정은 원작과 여러 모순점을 가지고 있다.

; 나이트 아울(홀리스 메이슨)

1930년대에 등장한 초기 히어로 중 한 명이다. 강한 정의감으로 경찰관이 되었으며, 코믹북 『슈퍼맨』과 후디드 저스티스의 활약에 영향을 받아 히어로가 되기로 결심했다. 후디드 저스티스, 초대 실크 스펙터, 코미디언 등과 함께 "미닛맨"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1960년대에 시대의 변화를 느끼고 은퇴하여 자동차 수리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은퇴 후 집필한 자서전 `가면 아래에서`(Under the Hood)는 작중 세계에서 히어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현역 시절에는 가죽 갑옷과 쇄자갑옷 형태의 코스튬을 착용하고 도미노 마스크로 얼굴을 가렸다.

; 실크 스펙터(샐리 주피터)

매니저 로렌스 슈크스나이더와 함께 히어로 활동의 상업적 가능성을 발견하고 활동했으며, 당대 유명 배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섹스 심벌로 인기를 얻었다. 코미디언에게 강간 미수를 당한 사건과 슈크스나이더와의 결혼을 계기로 은퇴했다. 이후 딸 로리에게 히어로 영재 교육을 시켜 2대 실크 스펙터로 데뷔시켰다. 현재는 슈크스나이더와 이혼하고 캘리포니아에서 요양 중이다. 초기에는 노란색과 검은색 코스튬을 입고 화학 지식을 활용한 폭탄을 사용했으나, 사고로 화상을 입은 후 맨손 격투를 주로 했다. 화상을 가리기 위해 한쪽 팔에만 긴 오페라 글러브를 착용했는데, 이는 오히려 대중들에게 더 에로틱하다는 평을 받았다.

; 캡틴 메트로폴리스(넬슨 가드너)

"미닛맨"의 결성을 주도한 인물이다. 미국 해병대 복무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범죄 소탕 방식을 추구하며 히어로 조직화를 추진했다. 미닛맨 이후 1966년에는 새로운 세대의 히어로들을 모아 크라임버스터즈를 결성하기도 했다. 캐나다 공군 훈련을 받으며 수년간 히어로 활동을 이어갔으나, 1974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머리카락과 입 부분이 드러나는 마스크와 빨간 항공복 스타일의 코스튬, 파란 망토를 착용했다.

; 달러 빌(빌 브래디)

1940년 25세의 나이로 데뷔한 히어로이다. 캔자스 출신의 인기 운동선수였으며, 매우 순수한 성품을 지녔다. 대형 은행의 전속 히어로로 고용되어 활동했다. 하지만 디자인만 중시된 비실용적인 코스튬 때문에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1946년 은행 강도와 싸우던 중 망토가 회전문에 끼어 움직이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근거리에서 총에 맞아 사망했다. 성조기를 연상시키는 파란색 수트와 빨간 망토를 착용했으며, 가슴에는 커다란 달러 마크가 그려져 있었다.

; 모스맨(바이론 루이스)

나방을 모티브로 한 코스튬을 입고 활동한 히어로이다. 부유한 집안의 자제로, 당시 히어로 붐에 편승하여 심심풀이로 히어로 활동을 시작했다.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면이 있었으며, 1950년대 공산주의자 사냥 당시 가혹한 심문을 받은 후 알코올 의존증에 빠졌다. 이후 메인주의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나방을 형상화한 화려한 색상의 코스튬을 착용했으며, 등에 달린 거대한 날개로 단거리를 활강할 수 있었다.

; 실루엣(우르술라 잔트)

오스트리아 상류층 출신으로,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이주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후디드 저스티스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아동 포르노 제작자를 검거하는 등 활약을 펼쳤으나, 1946년 레즈비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미닛맨"의 이미지를 위해 팀에서 추방당하고 은퇴했다. 그러나 은퇴 6주 후, 과거의 숙적인 리퀴데이터에게 자택을 습격당해 연인과 함께 살해당했다. 가슴 부분이 파인 검은색 수트 형태의 코스튬을 입고 허리에 빨간 띠를 둘렀다.

4. 3. 슈퍼 빌런

; 몰록 더 미스틱 / 에드가 윌리엄 제이코비 Moloch The Mystic / Edgar William Jacobieng

: 한때 유명했던 빌런. 17세에 무대 마술사로 데뷔하여 암흑가의 거물로 성장했다. 다양한 악행을 저지르며 미닛맨 등 히어로들과 여러 차례 대결했지만, 결국 마약, 사기, 매춘 클럽 경영 등 일반적인 범죄자로 전락했다. 닥터 맨해튼과도 대결했으며, 최종적으로 코미디언에게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출소 후 범죄에서 손을 떼고 "차원 개발사"에 근무했으며, 정년 퇴직 후 작은 아파트에서 조용히 살고 있었으나 말기 암을 앓고 있었다. 이야기 초반, 오지맨디아스의 음모에 의해 롤샤크에게 살해 누명을 씌우기 위한 희생양이 된다. 무대 의상과 같은 턱시도를 입었으며, 보통 사람에 비해 귀가 약간 뾰족한 외모를 가졌다.

; 스크리밍 스컬 Screaming Skulleng

: 1940년대에 활동했던 빌런. 초대 나이트 아울 등과 대결했으나 체포되어 복역 중 개심했다. 이후 종교의 길로 들어서 결혼하여 두 아이를 두었다. 현재는 초대 나이트 아울인 호리스 메이슨의 근처에 살며 교류하고 있다. 해골 가면과 후드를 착용했다.

; 캡틴 액시스 Captain Axiseng

: 1940년대에 활동했던 나치 테마의 빌런. 가슴에 갈고리 십자가가 크게 새겨진 독일 군복을 착용했다. 원작에서는 외알 안경을, 영화판에서는 가스 마스크를 착용했다.

; 스페이스맨 Spacemaneng

: 1940년대에 등장한 빌런. 자세한 활동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우주복과 같은 코스튬을 입고 광선총(실제 광선총인지는 불명)을 사용하여 미닛맨과 대결했다.

; 몹스터 Mobstereng

: 1940년대에 등장한 빌런. 자세한 활동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양한 가면을 쓴 부하들을 다수 거느리고 있었다. 옛날 갱스터와 같은 코스튬을 입고 도미노 마스크를 썼다.

; 캡틴 카니지 Captain Carnageeng

: 1960년대에 등장한 빌런. 마조히스트 성향을 가졌으며, 히어로에게 구타당하기 위해 보석상 강도 등 범죄를 반복했다. 최종적으로 롤샤크에 의해 엘리베이터 통로에 던져졌으나 생사는 불명이다.

; 트와일라잇 레이디 Twilight Ladyeng

: 1960년대에 등장한 범죄 여왕. 불법 매춘과 포르노 등 성 관련 범죄를 주도했다. 2대 나이트 아울과 로맨스가 있었던 것으로 암시되지만, 결국 체포되었다. SM의 본디지 코스튬과 버터플라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채찍을 무기로 사용했다.

: 영화판 기반 게임 ''Watchmen: The End Is Nigh'' PART2에 등장하여, 포르노 영화 출연을 위해 소녀를 납치하는 사건을 일으키고 롤샤크 및 나이트 아울과 대결한다. 게임에서는 그녀의 처우를 둘러싼 의견 대립이 롤샤크와 나이트 아울이 결별하는 계기가 된다.

; 언더 보스 Underbosseng

: 1960년대에 등장한 유명 갱으로, 롤샤크의 숙적 중 한 명이다. 하수도에 거점을 두었으나 롤샤크에 의해 체포되었다.

: 영화판 기반 게임 ''Watchmen: The End Is Nigh'' PART1에 등장한다. 게임에서는 거대한 체력과 근력을 가진 갱 보스로 묘사되며 화염 방사기를 사용한다. 워터게이트 사건 관련 기자 납치 사건의 배후로 의심받아 롤샤크 및 나이트 아울과 대결하지만, 실제 배후인 코미디언에게 저격당해 혼수상태에 빠진다.

; 지미 더 기믹 Jimmy the Gimmickeng

: 1960년대에 등장한 빌런으로, 롤샤크의 숙적 중 한 명이다.

: 영화판 기반 게임 ''Watchmen: The End Is Nigh'' PART1에 등장한다. 게임에서는 챙 넓은 모자에 롱 코트를 입은 수염 난 야윈 남자로 묘사된다. 언더 보스를 싱싱 교도소에서 탈옥시킨 인물로 롤샤크 및 나이트 아울에게 추적당하지만, 코미디언에게 중상을 입는다. 이후 롤샤크와 나이트 아울에게 구출되어 정보를 제공한다.

; 킹 오브 스킨 King of Skineng

: 1960년대에 등장한 빌런으로, 롤샤크의 숙적 중 한 명이다.

: 영화판 기반 게임 ''Watchmen: The End Is Nigh''에서는 1968년에 오지맨디아스에 의해 체포되었다고 언급된다.

; 빅 피겨 Big Figureeng

: 1960년대에 활동했던 유명 거물 갱. 롤샤크 및 2대 나이트 아울의 활약으로 조직이 궤멸되고 체포되었다. 현재 싱싱 교도소에서 종신형을 복역 중이지만, 죄수들을 부하로 삼아 감옥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롤샤크가 같은 교도소에 수감되자, 복수를 위해 죄수 폭동을 일으킨다. 소인증을 앓고 있어 키가 매우 작다.

4. 4. 기타 등장인물


  • '''스티브 파인'''(Steve Fine): 뉴욕 시경 형사. 에드워드 블레이크 살인 사건을 초기에 수사한다.
  • '''조 보컨'''(Joe Bourquin): 뉴욕 시경 형사. 스티브 파인과 함께 블레이크 사건을 수사한다.
  • '''제이니 슬레이터'''(Janey Slater): 닥터 맨해튼의 첫 연인. 훗날 닥터 맨해튼이 암을 유발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 '''밀턴 글래스'''(Milton Glass): 닥터 맨해튼의 옛 상사. 닥터 맨해튼이 암을 유발했다는 의혹을 받은 인물 중 한 명이다.
  • '''월리 위버'''(Wally Weaver): 닥터 맨해튼의 옛 동료. 닥터 맨해튼이 암을 유발했다는 의혹을 받은 인물 중 한 명이다.
  • '''더그 로스'''(Doug Roth): 노바 익스프레스(Nova Express) 소속 기자.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에서 닥터 맨해튼이 주변인에게 암을 유발했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오지맨디아스와 친분이 있다.
  • '''헥터 고드프리'''(Hector Godfrey): 뉴 프론티어즈맨(New Frontiersman) 신문사의 편집장.
  • '''시모어'''(Seymour): 뉴 프론티어즈맨 신문사의 편집자 조수. 이야기 마지막에 로어셰크의 일기가 담긴 투고 더미에 손을 뻗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 '''맥스 셰어'''(Max Shea): 극작가. 오지맨디아스의 외계인 침공 계획에 필요한 예술적 요소를 위해 고용되었으나, 계획의 비밀 유지를 위해 다른 관련자들과 함께 살해당하고 실종 처리된다.
  • '''하이라 매니쉬'''(Hira Manish): 초현실주의 화가. 맥스 셰어와 마찬가지로 오지맨디아스의 계획에 동원된 후 실종 처리된다.
  • '''로버트 데스테인즈'''(Robert Deschaines): 초능력자. 오지맨디아스의 계획에 필요한 강력한 정신 능력 때문에 이용당한 후, 뇌가 제거된 시체로 발견된다.
  • '''노먼 레이스'''(Norman Leith): 전위 건축가. 오지맨디아스의 계획에 동원된 후 실종 처리된다.
  • '''제임스 트래포드 마치'''(James Trafford March): 하드 SF 작가. 오지맨디아스의 계획에 동원된 후 실종 처리된다.
  • '''리넷 패리'''(Linette Paley): 전위 작곡가. 오지맨디아스의 계획에 동원된 후 실종 처리된다.
  •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 미국 대통령. 작중 대체 역사에서는 워터게이트 사건이 발생하지 않아 헌법 개정을 통해 3선 이상 연임하며 1985년 시점에도 대통령직을 유지하고 있다.
  • '''제럴드 포드'''(Gerald Ford): 미국 부통령.
  •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 미국 국무 장관.
  • '''고든 리디'''(G. Gordon Liddy): 대통령 측근. 코미디언 캐릭터의 모티브 중 하나이다.
  • '''버나드'''(Bernard): 뉴욕의 뉴스 가판대 주인. 작중 사회 분위기와 시민들의 반응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버니'''(Bernie): 뉴스 가판대 옆에서 코믹스 『검은 배』(Tales of the Black Freighter)를 읽는 흑인 소년. 『검은 배』의 내용은 본편의 주제와 상징적으로 연결된다.
  • '''말콤 롱'''(Malcolm Long): 로어셰크가 체포된 후 그의 정신 감정을 맡은 정신과 의사. 로어셰크와의 상담을 통해 그의 과거와 정신 상태를 파악하려 하지만, 점차 그의 논리에 영향을 받는다.
  • '''글로리아 롱'''(Gloria Long): 말콤 롱 박사의 아내.
  • '''해피 해리'''(Happy Harry): 로어셰크 등 자경단원들이 정보를 얻기 위해 종종 방문하는 변두리 술집의 주인.
  • '''조이'''(Joey): 프로메시안 택시(Promethean Cab Co.) 소속 택시 운전사. 연인 아라인과 함께 도시의 일상을 보여준다.
  • '''아라인'''(Aline): 조이의 연인.
  • '''마일로'''(Milo): 프로메시안 택시 회사의 매니저.
  • '''골디언 노트사 작업원'''(Gordian Knot Locksmith worker): 마일로의 형.
  • '''다프'''(Derf): 노트-탑스(Knot-Tops)라는 스트리트 갱단의 리더.
  • '''로렌스 슈크스나이더'''(Laurence Schexnayder): 초대 실크 스펙터인 샐리 주피터의 매니저이자 첫 남편. 샐리와 결혼했지만 이후 이혼했다.
  • '''제럴드 앤서니 그라이스'''(Gerald Anthony Grice): 1975년 발생한 블레어 로슈(Blair Roche) 소녀 유괴 살해 사건의 범인. 어린 소녀를 납치해 살해하고 시신을 개들에게 먹였다. 이 사건은 로어셰크가 극단적인 폭력 성향을 갖게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그라이스는 로어셰크에게 살해당했다.
  • '''하비 찰스 파니스'''(Harvey Charles Furniss): 연쇄 강간범. 1977년 킨 법(Keene Act) 시행 직후, 법을 거부하는 의미로 로어셰크에게 살해당하고 그의 시신은 경찰서 앞에 버려졌다.
  • '''로이 체스'''(Roy Chess): 오지맨디아스가 자신의 암살 미수 사건을 조작하기 위해 고용한 킬러. 임무 완료 후 오지맨디아스에게 독살당한다.
  • '''운반책'''(Deliveryman): 피라미드 택배 회사(Pyramid Deliveries)의 사원. 오지맨디아스의 지시를 받아 로이 체스에게 살인 청부를 중개하고, 로어셰크를 모록 살해범으로 몰기 위한 가짜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 오지맨디아스의 계획 실행에 관여했다.

5. 줄거리

1985년 10월, 뉴욕에서 정부 공인 영웅 코미디언(에드워드 블레이크)이 자신의 아파트에서 살해당한다. 1977년 킨 법령으로 자경단 활동이 금지된 후에도 홀로 활동하던 로어셰크는 이 사건이 과거 코스튬 영웅들을 노린 음모의 시작일 수 있다고 보고, "마스크 킬러"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해 옛 동료들을 찾아 나선다. 그는 은퇴한 발명가 2대 나이트 아울(다니엘 드라이버그), 초능력자 닥터 맨해튼, 그의 연인이자 2대 실크 스펙터(로리 유스패칙), 그리고 은퇴 후 성공한 사업가 오지맨디아스(에이드리안 바이트)에게 차례로 경고한다.

한편, 닥터 맨해튼은 TV 인터뷰 중 과거 동료들에게 을 유발했다는 의혹에 휩싸인다. 이에 염증을 느끼고 언론의 비난에 시달리던 그는 결국 지구를 떠나 화성으로 향한다. 미국의 압도적인 전략적 우위를 상징하던 닥터 맨해튼의 부재는 국제 정세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소련은 이를 기회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며 세계는 핵전쟁 위기에 놓인다.

로어셰크의 의심대로 오지맨디아스가 암살 시도를 당하지만 살아남는다. 얼마 후, 로어셰크는 과거의 악당 몰록을 살해했다는 누명을 쓰고 경찰에 체포되어 본명인 월터 코백스가 공개된다.

닥터 맨해튼과의 관계가 멀어지고 정부의 보호도 잃은 로리는 댄 드라이버그에게 의지하며 연인 사이로 발전한다. 영웅 시절을 그리워하던 두 사람은 다시 코스튬을 입고 활동을 재개하며 로어셰크의 음모론을 점차 믿게 된다. 결국 그들은 교도소 폭동을 이용해 로어셰크를 구출한다. 이후 지구로 잠시 돌아온 닥터 맨해튼은 로리를 설득하기 위해 화성으로 데려간다.

화성에서 닥터 맨해튼과 로리는 인류 구원의 가치를 두고 논쟁하며, 로리는 자신이 증오하던 코미디언이 자신의 생부라는 충격적인 진실을 알게 된다. 인간 관계의 복잡성을 다시 깨달은 닥터 맨해튼은 인류에 대한 관심을 되찾고 로리와 함께 지구로 귀환한다.

같은 시각, 로어셰크와 나이트 아울은 오지맨디아스가 모든 사건의 배후라는 증거를 잡고 그의 남극 비밀 기지 '카르낙'으로 향한다. 오지맨디아스는 임박한 핵전쟁을 막고 세계 평화를 위해 인류에게 공동의 적을 만들어 단결시키려는 자신의 계획을 밝힌다. 그는 유전자 조작과 초능력자의 뇌를 이용해 거대한 괴물을 만들어 뉴욕에 순간이동시켜 외계인의 침공처럼 위장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폭발과 정신 충격파로 뉴욕 시민 절반을 희생시키는 대신, 남은 인류가 단결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그는 계획을 눈치챈 코미디언을 살해하고, 닥터 맨해튼을 지구에서 몰아내기 위해 주변인들에게 암을 유발했으며, 자신을 향한 의심을 피하려 암살 시도를 위장하고 로어셰크에게 누명을 씌웠다고 고백한다. 로어셰크와 나이트 아울이 진실을 알았을 때는 이미 계획이 실행되어 뉴욕은 폐허가 된 후였다.

닥터 맨해튼과 로리는 파괴된 뉴욕을 목격하고, 닥터 맨해튼의 예지력을 방해하는 타키온 파동의 근원지인 남극으로 향한다. 오지맨디아스의 기지에서 모든 영웅이 재회하고, 그의 계획 덕분에 미국과 소련이 적대 행위를 멈추고 평화 협력을 시작했다는 뉴스를 접한다. 수백만 명의 희생으로 얻은 평화 앞에서 로어셰크를 제외한 모두는 진실을 묵인하기로 한다.

타협을 거부한 로어셰크는 진실을 폭로하기 위해 떠나려 하지만, 닥터 맨해튼이 그를 막아선다. 로어셰크는 자신을 막으려면 죽여야 할 것이라고 외치고, 닥터 맨해튼은 그를 소멸시킨다. 오지맨디아스가 자신의 행동이 옳았는지 묻자, 닥터 맨해튼은 Nothing ever ends.eng("아무것도 끝나지 않는다.")라는 말을 남기고 우주로 떠난다. 댄과 로리는 새로운 신분으로 숨어 함께 살아간다.

이야기는 뉴욕의 신문사 《뉴 프런티어즈맨》에서 끝난다. 편집자는 조수에게 지면을 채울 기사를 '괴소문 파일'(거부된 투고물 더미)에서 찾으라고 지시한다. 조수가 손을 뻗는 파일 더미 맨 위에는 로어셰크가 죽기 전 보낸 일기가 놓여 있다.

6. 주제

앨런 무어는 《왓치맨》을 통해 세상을 인식하는 여러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을 제시하며, 독자 스스로 어떤 방식이 도덕적으로 가장 타당한지 판단하도록 의도했다.[35] 그는 슈퍼히어로 개념을 탈구축하여 현대 사회의 불안을 반영하고자 했으며, 등장인물들을 통해 복잡하고 양면적인 도덕적 질문들을 던진다. 작품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권력과 책임《왓치맨》의 세계는 슈퍼히어로의 존재로 인해 실제 역사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 특히 초인적인 능력을 지닌 닥터 맨해튼의 존재는 미국에게 막강한 군사적 우위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냉전의 긴장을 극도로 고조시킨다. 그의 압도적인 힘은 점차 인간성을 상실하게 만들고, 사회와 유리되는 결과를 낳는다. 한때 영웅으로 추앙받던 슈퍼히어로들은 점차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고, 결국 1977년 '킨 법령'으로 자경단 활동이 금지된다. 이후에도 정부의 통제 하에 활동하는 코미디언과 닥터 맨해튼의 존재는 강력한 힘을 가진 존재들을 사회가 어떻게 통제하고 이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또한, 오지맨디아스가 핵전쟁을 막기 위해 뉴욕 시민 절반을 희생시키는 계획은 '대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이라는 명분 아래 행해지는 권력의 위험성과 그 윤리적 딜레마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정의와 도덕작품은 절대적인 정의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묻는다. 로어셰크는 세상의 부조리와 타협하지 않는 자신만의 확고한 흑백 논리에 따라 행동하지만, 그의 극단적인 정의 추구는 결국 스스로를 파멸로 이끈다. 그는 세상을 도덕적 공백 상태로 보고 자신만의 질서를 강요하려 한다.[151] 반면, 코미디언은 세상의 폭력성과 위선을 일찍이 간파하고 스스로 "20세기라는 시대의 패러디"가 되기를 자처하며, 냉소적이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기존의 도덕 관념에 도전한다. 오지만디아스는 인류 전체의 생존이라는 거대한 목표를 위해 수백만 명의 희생을 정당화하는 공리주의적 관점을 취한다. 그의 행동은 세상을 구원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비정함과 오만함은 그를 복합적인 인물로 만든다. 이처럼 《왓치맨》은 다양한 인물들의 상충하는 정의관과 도덕적 딜레마를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무엇이 옳은지에 대한 쉬운 답을 제공하지 않는다. 작품의 제목과 주제 의식은 유베날리스의 풍자시에서 인용된 라틴어 구절 Quis custodiet ipsos custodes?la(누가 감시자를 감시하는가?)와 연결되며, 강력한 힘을 가진 자들을 어떻게 견제하고 감시할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132]
냉전과 핵전쟁의 위협작품의 배경인 1985년미국소련 간의 냉전이 극에 달해 핵전쟁의 공포가 일상화된 시대이다. 닥터 맨해튼의 존재는 미국에게 전략적 우위를 제공하는 동시에, 역설적으로 군사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켜 인류를 파멸 직전의 상황으로 몰아간다. 이러한 시대적 불안감은 등장인물들의 심리와 행동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오지만디아스의 극단적인 계획 역시 임박한 핵전쟁의 위협을 막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제시된다. 작품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자정을 향해 가는 최후의 심판 시계 이미지는 임박한 파멸의 위협과 시간의 압박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인간의 본성《왓치맨》은 인간 본성의 다양한 측면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로어셰크는 키티 제노비스 사건과 같은 경험을 통해 인간의 무관심과 이기심에 환멸을 느끼고 극단적인 길을 걷는다. 코미디언은 인간 사회의 어두운 면을 직시하고 냉소주의와 폭력성으로 반응한다. 닥터 맨해튼은 초월적인 힘을 얻으면서 인간적인 감정으로부터 멀어지지만, 로리 유스페치크와의 관계를 통해 인간 존재의 복잡성과 가치를 다시금 깨닫는다.[35] 오지만디아스는 인류의 어리석음과 자기 파괴적 본능을 불신하며, 강력한 통제를 통해 구원하려 한다. 작품 속에 삽입된 가상의 해적 만화 ''검은 화물선 이야기''는 선한 의도가 어떻게 광기와 파멸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인간 내면에 잠재된 어두운 충동과 도덕적 타락의 과정을 암시한다. 이 이야기는 특히 아드리안 베이트의 행동과 심리를 반영하는 동시에, 다른 등장인물들의 상황과도 공명하며 작품의 주제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50]
미디어와 여론작품은 미디어가 진실을 전달하는 동시에 여론을 조작하고 개인의 삶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닥터 맨해튼이 과거 동료들에게 암을 유발했다는 언론의 의혹 제기는 그가 지구를 떠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이야기의 결말에서 오지만디아스의 계획으로 얻어진 세계 평화는 거대한 거짓 위에 세워진 것이며, 대부분의 등장인물은 이 진실을 은폐하는 데 동의한다. 그러나 로어셰크는 타협을 거부하고 진실을 기록한 일기를 남기며, 이 일기는 《뉴 프런티어즈맨》이라는 신문사에 보내진다. 작품은 편집자의 조수가 로어셰크의 일기가 놓인 투고 더미를 향해 손을 뻗는 마지막 장면을 통해, 진실이 결국 드러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며 언론의 역할과 정보의 중요성, 그리고 진실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에 대한 질문을 남긴다.
상징과 모티프《왓치맨》은 다양한 상징과 모티프를 활용하여 복합적인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가장 대표적인 상징은 코미디언의 배지인 피 묻은 스마일리 얼굴이다. 이 이미지는 순수함(스마일리)과 폭력(핏자국)의 병치를 통해 작품 전체에 흐르는 아이러니와 도덕적 양면성을 함축한다.[35] 또한, 자정을 향해 가는 최후의 심판 시계를 연상시키며 임박한 파멸의 위협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36] 이 스마일리 이미지는 작품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며 반복적으로 등장하여 이야기의 핵심 주제와 연결된다.[51] 이 외에도 이야기 속 이야기 구조인 ''검은 화물선 이야기'', 반복과 대칭을 활용한 페이지 구성[29] 등 다양한 시각적, 서사적 장치들이 작품의 다층적인 의미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7. 미디어 믹스

=== 영화 ===

1986년부터 로렌스 고든과 조엘 실버가 20세기 폭스를 통해 영화 판권을 확보하면서 ''왓치맨''의 영화화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다.[74] 샘 햄이 각본을 맡았으나[75] 프로젝트는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로 넘어갔고, 테리 길리엄이 감독을 맡을 예정이었으나 예산 문제와 이야기의 복잡성 때문에 무산되었다.[75][77] 이후 데이비드 헤이터,[79] 대런 아로노프스키,[82] 폴 그린그래스[83] 등이 감독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워너 브라더스는 잭 스나이더를 감독으로 선택했다.[86]

잭 스나이더 감독의 영화 《왓치맨》은 2009년 3월 6일 미국에서 개봉했으며,[83] 한국에서는 3월 5일에 개봉했다. 알렉스 체가 각본 작업에 참여하여[87] 원작 코믹스의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스나이더 감독은 코믹스의 장면 구성을 스토리보드처럼 활용했으며,[88] 격투 장면을 확장하고 에너지 자원에 대한 부가적인 이야기를 추가했다.[89][90]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고, 전 세계적으로 1.85억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83] 원작자 앨런 무어는 영화화를 반대하며 자신의 이름을 크레딧에서 제외해달라고 요청했으나,[101] 공동 제작자 데이브 기번스는 영화 제작에 고문으로 참여했다.[101]

영화 개봉과 관련하여 원작 코믹스 속 이야기인 ''Tales of the Black Freighter''가 워너 프리미어와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에 의해 별도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제작되어 2009년 3월 24일 출시되었다.[92] 이 애니메이션은 제라드 버틀러와 자레드 해리스가 성우로 참여했으며,[95][96] 이후 영화의 "얼티메이트 컷" 버전에 포함되었다.[99] 또한, 캐릭터들의 뒷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Under the Hood''도 함께 출시되었다.[92][98]

=== 모션 코믹 ===

2008년 워너 브라더스 엔터테인먼트는 원작 코믹북을 바탕으로 한 내레이션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왓치맨 모션 코믹스''를 공개했다. 첫 번째 챕터는 2008년 여름 아이튠즈 스토어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배포되었으며,[104] 전체 시리즈를 담은 DVD는 2009년 3월에 출시되었다.[105]

=== 게임 ===

만화의 편집자였던 렌 웨인은 비디오 게임 프리퀄인 ''왓치맨: 더 엔드 이즈 나이''의 각본을 썼다.[100] 이 게임은 영화 개봉 시기와 맞춰 출시되었다.

=== 드라마 ===

2019년 HBO에서 드라마 《왓치맨》이 총 9부작으로 방영되었다. 이 드라마는 원작 코믹스의 사건 이후를 다루는 속편이지만, DC 코믹스의 다른 속편 코믹스인 둠스데이 클락과는 별개의 독자적인 이야기를 전개한다. 일본에서는 2020년 스타 채널에서 방영되었고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를 통해서도 제공되었다.[167]

=== 애니메이션 영화 ===

2017년 4월, 워너 브라더스는 원작 코믹스를 기반으로 한 R등급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 계획을 발표했다.[106][168] 2024년 6월 13일 티저 예고편 공개와 함께 영화가 2부작으로 제작될 것임이 확인되었다.[107][108][169][170] 제1부인 Watchmen: Chapter Ieng는 2024년 8월 13일 디지털 형식으로, 8월 27일 블루레이 및 4K UHD로 출시되었으며,[109][171] 제2부인 Watchmen: Chapter IIeng는 2024년 11월 26일에 출시되었다.[110]

8. 영향 및 평가

『왓치맨』은 만화 업계 안팎에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으며, 걸작이자 상업적인 성공을 거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11][112][113][114] 여러 평론가와 리뷰어들은 이 작품을 만화 역사상 최고의 시리즈이자 그래픽 노블로 꼽는다. 프랭크 밀러의 『배트맨: 다크 나이트 리턴즈』와 함께 그래픽 노블 출판 형식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한 주요 작품 중 하나이며,[115] 역대 가장 많이 팔린 그래픽 노블 중 하나가 되었다.[114][116]

타임지는 『왓치맨』을 "공상 과학, 정치 풍자, 코믹스 과거에 대한 인지적인 연상 및 현재의 그래픽 형식을 디스토피아 미스터리 이야기로 대담하게 재작업한 상상의 최상급 업적"이라고 칭찬했으며,[60] 2005년에는 "올 타임 100대 소설" 목록에 그래픽 노블로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당시 타임의 평론가 레브 그로스만은 이 작품을 "가슴을 울리고, 마음을 아프게 하는 읽을거리이자 젊은 매체의 진화에서 획기적인 작품"이라고 묘사했다.[118] 이후 2009년 타임의 "최고의 그래픽 노블 10" 목록에도 포함되었으며, 그로스만은 "이제 『왓치맨』을 역대 최고의 슈퍼히어로 만화라고 부르는 것은 지나친 표현일지 모른다. 하지만 사실이다"라고 단언했다.[119] 2008년,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왓치맨』을 지난 25년간 출판된 최고의 소설 50편 중 13위에 올리며 "역대 최고의 슈퍼히어로 이야기이자 만화가 '문학'이라는 칭호를 받을 만한 지적이고 감성적인 서사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증거"라고 평가했다.[120] 반면, 코믹스 저널은 『왓치맨』을 20세기 영어권 만화 100선 중 91위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기도 했다.[121] 월스트리트 저널의 리디아 밀레는 작품의 인기와 별개로 과도한 찬사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른 문학 작품과의 예술적 가치 비교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124]

『왓치맨』은 1988년 제1회 아이즈너상에서 최우수 작가(앨런 무어), 최우수 작가/아티스트(앨런 무어, 데이브 기번스), 최우수 한정 시리즈, 최우수 그래픽 앨범 등 주요 부문을 수상했다. 같은 해 휴고상에서는 특별 부문인 '기타 형식' 부문에 선정되었는데, 이는 코믹 작품으로서는 유일하게 그래픽 스토리 부문 이외의 부문에서 휴고상을 수상한 사례이다.[61]

로버트 하비는 그의 저서 『만화책의 예술: 미학적 역사』에서 무어와 기번스가 『왓치맨』을 통해 "만화 매체가 만화에서만 만들어질 수 있는 정교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능력을 이전보다 훨씬 더 잘 보여주었다"라고 평가했다. 데이비드 랭포드는 『왓치맨』이 슈퍼히어로 신화를 해체하며 로마 시인 유베날리스의 유명한 질문인 'Quis custodiet ipsos custodes?'(누가 감시자를 감시할 것인가?)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탐구한다고 언급했다.[63] 이 질문은 작품 전반에 걸쳐 반복되며 권력 감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작품의 성공 이면에는 어두운 유산도 존재한다. 뉴욕 타임스의 데이브 이츠코프는 『왓치맨』 이후 현대 슈퍼히어로 만화에서 어두운 분위기와 폭력성이 필수 요소처럼 여겨지게 된 경향을 지적하며, 이것이 무어의 본래 의도와는 다르게 잔혹함에만 초점을 맞추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비판했다.[122] 앨런 무어 자신도 『왓치맨』과 같은 작품이 의도와 달리 슈퍼히어로 장르를 "우울하고 음울함과 정신병의 빈민가"로 가두는 결과를 낳았다며 당혹감을 표현한 바 있다.[55][123]

앨런 무어, 『왓치맨』의 공동 제작자는 이 작품과 관련된 계약 문제로 DC 코믹스와 결별했다.


작품의 소유권을 둘러싼 DC 코믹스와의 갈등은 결국 작가 앨런 무어가 DC와의 관계를 끊는 계기가 되었다.[64] 무어와 데이브 기번스는 계약 당시 작품이 일정 기간 출판되지 않으면 권리가 작가에게 반환되는 조항을 포함시켰으나,[37][29] DC 코믹스가 지속적으로 작품을 출판하면서 이 조항은 사실상 의미를 잃었다. 무어는 이를 기만적인 행위로 간주하고 1989년 DC를 떠났으며,[64] 이후 DC의 『왓치맨』 관련 상품(15주년 기념판, 액션 피규어 등) 출시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65]

『왓치맨』은 후대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디자이너 빈센트 코나레는 코믹 산스 글꼴을 만들 때 이 작품과 『배트맨: 다크 나이트 리턴즈』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125] 또한, 『왓치맨』을 패러디한 만화 『왓치멘쉬』(Watchmensch, 2009)[126]와 『왓멘?!』(Whatmen?!, 2009)[127] 등이 출간되기도 했다. 작가 그랜트 모리슨은 자신의 작품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 2014)에서 『왓치맨』이 슈퍼히어로 장르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을 상징하는 장면을 넣기도 했다.[128] 이 외에도 『왓치맨』의 세계관과 역사를 다룬 연대기[129][130]나 주석판 등이 출판되었으며, 다른 소설 작품에 캐릭터가 등장하기도 했다.[131]

참조

[1] 웹사이트 Watchmen: The moment comic books grew up http://www.bbc.com/c[...] BBC 2016-08-09
[2] 웹사이트 Watchmen author Alan Moore: 'I'm definitely done with comics' {{!}} Alan Moore {{!}} ''The Guardian'' https://amp.theguard[...] 2022-11-17
[3] 웹사이트 HBO's "Watchmen" is great. Its comic creator Alan Moore wants nothing to do with it https://qz.com/quart[...] 2020-03-30
[4] 웹사이트 Watchmen https://www.comics.o[...] 2022-09-18
[5] 웹사이트 Watchmen #1 https://www.comics.o[...] 2022-09-18
[6] 웹사이트 Watchmen #2 https://www.comics.o[...] 2022-09-18
[7] 웹사이트 Watchmen #3 https://www.comics.o[...] 2022-09-18
[8] 웹사이트 Watchmen #4 https://www.comics.o[...] 2022-09-18
[9] 웹사이트 Watchmen #5 https://www.comics.o[...] 2022-09-18
[10] 웹사이트 Watchmen #6 https://www.comics.o[...] 2022-09-18
[11] 웹사이트 Watchmen #7 https://www.comics.o[...] 2022-09-18
[12] 웹사이트 Watchmen #8 https://www.comics.o[...] 2022-09-18
[13] 웹사이트 Watchmen #9 https://www.comics.o[...] 2022-09-18
[14] 웹사이트 Watchmen #10 https://www.comics.o[...] 2022-09-18
[15] 웹사이트 Watchmen #11 https://www.comics.o[...] 2022-09-18
[16] 웹사이트 Watchmen #12 https://www.comics.o[...] 2022-09-18
[17] 웹사이트 Watchmen (DC, 1987) http://www.comics.or[...]
[18] 웹사이트 Watchmen (Warner Books, 1987) http://www.comics.or[...]
[19] 웹사이트 Watchmen (DC, 1988) http://www.comics.or[...]
[20] 웹사이트 Graphitti Watchmen HC http://www.comicbook[...] 2012-01-25
[21] 웹사이트 20 Years Watching the Watchmen https://web.archive.[...] 2008-10-13
[22] 웹사이트 Millennium Edition: Watchmen #1 (March 2000) http://www.comics.or[...]
[23] 웹사이트 DC Comics to Publish 'Before Watchmen' Prequels https://web.archive.[...] 2012-02-01
[24] 웹사이트 DC Universe: Rebirth #1 Full Spoilers Leak Online http://ie.ign.com/ar[...] IGN 2017-05-20
[25] 뉴스 DC UNIVERSE: REBIRTH Gets Second Printing & Higher Cover Price http://www.newsarama[...] 2016-06-02
[26] 웹사이트 17 Most Anticipated Comics of 2017 https://www.ign.com/[...] IGN 2017-01-13
[27] 웹사이트 Geoff Johns' Doomsday Clock Trailer: Watchmen Crossover Comic Explained https://screenrant.c[...] Screen Rant 2017-09-22
[28] 뉴스 Toasting Absent Heroes: Alan Moore discusses the Charlton-Watchmen Connection http://www.twomorrow[...] 2008-10-08
[29] 뉴스 A Portal to Another Dimension: Alan Moore, Dave Gibbons, and Neil Gaiman http://www.tcj.com/a[...] The Comics Journal 1987-07
[30] 서적 Mysterious Travelers: Steve Ditko and the Search for a New Liberal Identity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2021-02
[31] 서적 Italian Americans: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Peopl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12-12
[32] 간행물 Watchmen: An Oral History (2 of 6) https://web.archive.[...] 2006-05-28
[33] 웹사이트 Get Under the Hood of Watchmen… Titan Books
[34] 웹사이트 The Alan Moore Interview: Watchmen characters http://www.blather.n[...] Blather.net 2000-10-17
[35] 뉴스 Vincent Eno and El Csawza Meet Comics Megastar Alan Moore http://www.johncoult[...] Strange Things Are Happening via JohnCoulthart.com 2011-10-29
[36] 웹사이트 "Illustrating ''Watchmen''" http://www.watchmenc[...] 2008-10-23
[37] 간행물 "Alan Moore On (Just About) Everything" The Comics Journal 1986-03
[38] 뉴스 "Watchmen: An Oral History (3 of 6)" https://web.archive.[...] Entertainment Weekly 2005-10-21
[39] 간행물 "Synchronicity and Symmetry" The Comics Journal 1987-07
[40] 웹사이트 "Len Wein: Watching the Watchmen" http://www.comicbook[...] 2008-09-30
[41] 웹사이트 Watching the Watchmen with Dave Gibbons: An Interview http://www.comicsbul[...] Comics Bulletin null
[42] 간행물 "Dave Gibbons: Pebbles in a Landscape" The Comics Journal 1987-07
[43] 간행물 "Who's Your Daddy??" Wizard 2004-11
[44] 웹사이트 "Talking With Dave Gibbons" http://www.watchmenc[...] 2008-10-16
[45] 웹사이트 Under the Hood: Dave Gibbons http://www.sequentia[...] SequentialTart.com 1999-07
[46] 웹사이트 "Kinowa, Western Scourge; Charlton's Pulp - Issuu" https://issuu.com/tw[...] 2023-06-20
[47] 웹사이트 "Watchmen Secrets Revealed" http://www.watchmenc[...] 2008-11-03
[48] 간행물 "Flawed Heroes, Flawless Villain" https://ecommons.uda[...] 2016-02
[49] 웹사이트 "Legendary Comics Writer Alan Moore on Superheroes, The League, and Making Magic." https://www.wired.co[...] Wired.com 2009-02-23
[50] 웹사이트 "The Alan Moore Interview: Watchmen, microcosms and details" http://www.blather.n[...] Blather.net 2000-10-17
[51] 문서 Groensteen
[52] 웹사이트 The Craft: An Interview with Alan Moore http://www.enginecom[...] Engine Comics 2002-09-09
[53] 간행물 "Preview: Watchmen" Amazing Heroes 1986-06-15
[54] 문서 Plowright
[55] 웹사이트 "Interviews: Alan Moore" https://www.avclub.c[...] AVClub.com 2003-06-25
[56] 문서 Plowright
[57] 서적 Comics: Between the Panels Dark Horse Comics 1998
[58] 웹사이트 Exclusive: How Alan Moore Helped Create the Watchmen Role-Playing Game https://13thdimensio[...] 2019-12-14
[59] 간행물 "Who Watches the Watchmen?" Gateways 1987-06
[60] 뉴스 "The Passing of Pow! and Blam!" http://www.time.com/[...] Time 1988-01-25
[61] 웹사이트 1988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null
[62] Youtube Dave Gibbons Studio Tour https://www.youtube.[...] 2015-06-08
[63] 간행물 Critical Mass Games Workshop 1987-12
[64] 뉴스 "The Vendetta Behind 'V for Vendetta" https://www.nytimes.[...] 2006-03-12
[65] 웹사이트 "Moore Leaves the Watchmen 15th anniversary plans" https://web.archive.[...] Newsarama 2000-08
[66] 웹사이트 "Watchmen Action Figures – Controversies and Fulfillment" http://www.comicbook[...] 2008-08-18
[67] 간행물 "Watchmen Round Table: Moore & Gibbons" David Anthony Kraft's Comics Interview 1988
[68] 뉴스 "Alan Moore: 'I Don't Want Watchmen Back'" https://www.wired.co[...] Wired 2010-07-21
[69] 웹사이트 DC Confirms Doomsday Clock is a Watchmen Sequel https://screenrant.c[...] 2017-10-05
[70] 웹사이트 "Exclusive: DC Comics' Geoff Johns reveals teaser, details on Watchmen/Rebirth title Doomsday Clock" https://www.syfy.com[...] 2017-05-14
[71] 웹사이트 Doomsday Clock is a countdown to the future of the DC Universe https://www.polygon.[...] 2017-07-20
[72] 웹사이트 'Watchmen' TV Series From Damon Lindelof in the Works at HBO https://www.hollywoo[...] 2017-06-20
[73] 간행물 Damon Lindelof gives his first deep-dive interview for HBO's Watchmen https://ew.com/tv/20[...] 2019-09-18
[74] 뉴스 Filmmakers intent on producing new comic-book movies Sun-Sentinel 1986-08-26
[75] 서적 Who Watches the ''Watchmen''? – How The Greatest Graphic Novel of Them All Confounded Hollywood Chicago Review Press 2002
[76] 뉴스 Battle Over 'Watchmen' Surrounds a Producer http://cinechew.com/[...] 2008-09-20
[77] 웹사이트 Python Won't Bite For ''Watchmen'' https://www.empireon[...] 2000-11-13
[7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Terry Gilliam (Part 3 of 4) http://movies.ign.co[...] 2000-11-17
[79] 웹사이트 David Hayter Watches ''The Watchmen'' http://movies.ign.co[...] 2001-10-27
[80] 웹사이트 'Watchmen' on Duty at Warner Bros http://www.allbusine[...] 2005-12-19
[81] 웹사이트 Aronofksy Still Watching ''Watchmen'' http://movies.ign.co[...] 2004-07-23
[82] 웹사이트 'Watchmen' unmasked for Par, Aronofsky https://www.hollywoo[...] 2004-07-23
[83] 뉴스 Watchmen Skulk to the Screen https://www.nytimes.[...] 2009-01-30
[84] 뉴스 Someone To Watch Over 'Watchmen' https://www.empireon[...] Empire 2005-06-07
[85] 웹사이트 "Watchmen" Resurrected? http://comics.ign.co[...] 2005-10-25
[86] 웹사이트 Exclusive Interview: Zack Snyder Is Kickin' Ass With ''300'' and ''Watchmen'' http://iesb.net/inde[...] IESB.net 2007-02-13
[87] 뉴스 World awaits ''Watchmen'' https://variety.com/[...] Variety 2006-07-18
[88] 웹사이트 "300" Post-Game: One-On-One With Zack Snyder http://www.comicbook[...] 2007-03-14
[89] 웹사이트 Cinematical Watches The 'Watchmen' http://www.cinematic[...] 2008-10-07
[90] 간행물 '#REDIRECT Watchmen': An Exclusive First Look https://ew.com/artic[...] Entertainment Weekly 2008-07-17
[91] 뉴스 Film Trailer Aids Sales of 'Watchmen' Nove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8-08-13
[92] 뉴스 Warner Tries a New Tactic to Revive Its DVD Sales http://www.nytimes.c[...] 2008-05-26
[93] 뉴스 Snyder Gives A ''Watchmen'' Update http://www.comicbook[...] 2006-11-09
[94] 뉴스 Zack Snyder and Quint have a brief conversation about ''Watchmen''! Pirate storyline! Rorschach! More!!!! http://www.aintitcoo[...] 2007-07-29
[95] 뉴스 Gerard Butler Talks Black Freighter https://www.empireon[...] 2008-02-28
[96] 뉴스 Jared Harris finds his inner ghostly sailor in Black Freighter http://scifiwire.com[...] 2009-03-04
[97] 뉴스 Zack Snyder Fan Q&A — Part II http://www.watchmenc[...] 2008-02-14
[98] 뉴스 Snyder Discusses Extended Versions of Watchmen http://www.vfxworld.[...] 2009-02-18
[99] 웹사이트 Watchmen: Ultimate Cut (US – BD) http://www.dvdactive[...] 2013-02-10
[100] 웹사이트 '#REDIRECT Watchmen' Video Game Preview: Rorschach And Nite Owl Star In Subversive Prequel Set In 1970s https://web.archive.[...] 2008-07-23
[101] 웹사이트 Moore Leaves DC for Top Shelf https://web.archive.[...] 2005-05-30
[102] 간행물 Alan Moore Still Knows the Score! https://ew.com/artic[...] Entertainment Weekly 2008-07-16
[103] 간행물 Watchmen: An Oral History (5 of 6) https://web.archive.[...] Entertainment Weekly 2005-10-21
[104] 웹사이트 New 'Watchmen' Motion Comic Hits iTunes Next Week https://web.archive.[...] 2008-10-01
[105] 웹사이트 Watchmen The Complete Motion Comic DVD Review http://dvd.ign.com/a[...] 2009-02-20
[106] 웹사이트 Watchmen Is Getting an R-Rated Animated Adaptation http://www.cbr.com/w[...] CBR.com 2017-04-13
[107] 웹사이트 We Just Got a Surprise First Look at the Upcoming Watchmen Animated Films https://www.ign.com/[...] 2024-06-14
[108] 웹사이트 New Watchmen Movie Announced https://comicbook.co[...] 2023-07-22
[109] 웹사이트 Watchmen Chapter I: Exclusive Trailer, Voice Cast, Boxart and Release Date https://www.ign.com/[...] 2024-07-10
[110] AV media Watchmen: Chapter II (2024) - Release info - IMDb https://www.imdb.com[...] 2024-11-27
[111] 웹사이트 "Watchmen'' Graphic Novel Review" http://comicbooks.ab[...] 2013-03-11
[112] 웹사이트 "Watchmen'' prequels provoke debate in comic book community" http://www.csmonitor[...]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13-03-11
[113] 웹사이트 All-Time Essential Comics http://au.ign.com/wi[...] 2013-03-11
[114] 웹사이트 "Watchmen, Other DC Graphic Novels Announced as Kindle Fire Digital Exclusives" http://www.comicbook[...] Comic Book Resources 2013-03-22
[115] 웹사이트 The reason Alan Moore doesn't want his name on HBO's Watchmen https://www.polygon.[...] 2019-11-11
[116] 웹사이트 "Before Watchmen'' To Double Up For Hardcover Collections" http://www.bleedingc[...] Bleeding Cool 2013-03-22
[117] 웹사이트 "Watchmen'' Distinguished in Time" http://au.ign.com/ar[...] IGN 2013-03-11
[118] 웹사이트 "Watchmen'' – ALL-''Time'' 100 Novels" https://entertainmen[...] Time 2013-03-09
[119] 웹사이트 "Watchmen'' – Top 10 Graphic Novels" https://entertainmen[...] Time 2013-03-09
[120] 간행물 The New Classics: Books Entertainment Weekly 2008-06-27
[121] 뉴스 "The Comic Journal''#REDIRECT " http://www.tcj.com/i[...] 2008-09-24
[122] 웹사이트 Behind the Mask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8-09-19
[123] 웹사이트 Alan Moore Now Believes 'The Killing Joke' Was Melodramatic, Not Interesting https://www.inverse.[...] 2016-04-29
[124] 뉴스 From Comic Book to Literary Classic http://online.wsj.co[...] 2009-02-27
[125] 뉴스 Typeface Inspired by Comic Books Has Become a Font of Ill Will https://www.wsj.com/[...] 2009-04-17
[126] 웹사이트 Who Watches Rich Johnston's Watchmensch http://www.comicon.c[...] Comicon.com 2010-03-17
[127] 웹사이트 Weird & Wacky World of Comic – Whatmen?! https://grizzlybomb.[...] Grizzly Bomb 2012-09-29
[128] 웹사이트 Watchmen Killed American Superheroes, According to Grant Morrison https://screenrant.c[...] 2023-06-21
[129] 웹사이트 Review: Watching Time The Unauthorized Watchmen Chronology http://dccomicsnews.[...] DC Comics News 2017-02-25
[130] 웹사이트 A Review of Watching Time: An Unauthorized Watchmen Chronology https://www.foreverg[...] Forever Geek 2016-11-24
[131] 웹사이트 Lost Property https://www.goodread[...] 2022-04-03
[132] 웹사이트 Who will watch the watchmen? http://www.urbandict[...] Urban Dictionary 2009-03-19
[133] WikiSource Saturae (Iuvenalis, Bucheler)/Liber II/Satura VI#345
[134] WikiSource Juvenal and Persius/The Satires of Juvenal/Satire 6#346
[135] 서적 Dick Giordano: Changing Comics, One Day at a Time TwoMorrows Publishing 2003
[136] 웹사이트 Alan Moore discusses the Charlton-Watchmen Connection http://www.twomorrow[...] Comic Book Artist 2000-08
[137] 간행물 A Portal to Another Dimension The Comics Journal 1987-07
[138] 웹사이트 Watchmen: An Oral History (2 of 6) http://www.ew.com/ew[...] Entertainment Weekly 2005-10-21
[139] 웹사이트 Watching the Watchmen http://comiccon.tita[...] TitanBooks.com 2008
[140] 서적 Dick Giordano: Changing Comics, One Day at a Time TwoMorrows Publishing 2003
[141] 웹사이트 The Alan Moore Interview: Watchmen characters http://www.blather.n[...] 2000-10-17
[142] 간행물 Vincent Eno and El Csawza meet comics megastar Alan Moore http://www.johncoult[...] Strange Things Are Happening 1988-05
[143] 웹사이트 Illustrating Watchmen http://www.watchmenc[...] 2008-10-23
[144] 뉴스 Alan Moore On (Just About) Everything The Comics Journal 1986-03
[145] 뉴스 Watchmen: An Oral History (3 of 6) http://www.ew.com/ew[...] Entertainment Weekly 2005-10-21
[146] 뉴스 Synchronicity and Symmetry The Comics Journal 1987-07
[147] 웹사이트 Len Wein: Watching the Watchmen http://www.comicbook[...] 2008-09-30
[148] 뉴스 Dave Gibbons: Pebbles in a Landscape The Comics Journal 1987-07
[149] 웹사이트 Watching the Watchmen with Dave Gibbons: An Interview http://www.comicsbul[...] 2008
[150] 뉴스 Synchronicity and Symmetry The Comics Journal 1987-07
[151] 서적 Comic Book Nation: The Transformation of Youth Culture in America Johns Hopkins 2001
[152] 웹사이트 Watchmen Secrets Revealed http://www.watchmenc[...] 2008-11-03
[153] 뉴스 A Portal to Another Dimension The Comics Journal 1987-07
[154] 웹사이트 Under the Hood: Dave Gibbons http://www.sequentia[...] 1999-07
[155] 웹사이트 Alan Moore endorsed Watchmen Movie... in 1987 http://www.televisio[...] 2008-10-16
[156] 서적 Who Watches the Watchmen? – How The Greatest Graphic Novel of Them All Confounded Hollywood Chicago Review Press 2002-04-22
[157] 서적 Super Heroes: A Modern Mythology B. T. Batsford Ltd 1992
[158] 서적 How to Read Superhero Comics and Why Continuum 2002
[159] 문서 Watchmen Round Table: Moore & Gibbons David Anthony Kraft's Comics Interview 1988
[160] 웹사이트 Talking With Dave Gibbons http://www.watchmenc[...] 2008-10-16
[161] 웹사이트 The Forbes Fictional 15 No. 10 Veidt, Adrian https://archive.is/2[...] 2008-12-18
[162] 웹사이트 The Stax Report: Script Review of Watchmen. http://movies.ign.co[...] 2004-09-09
[163] 웹사이트 All-TIME 100 Novels https://entertainmen[...] 2005-10-16
[164] 웹사이트 Don Markstein's Toonopedia: Watchmen http://www.toonopedi[...]
[165] 웹사이트 WATCHMEN ウォッチメン http://books.shopro.[...] 2018-04-19
[166] 웹사이트 映画公式ガイドブック「WATCHMEN ウォッチメン Official Film Guide」 http://books.shopro.[...] 2018-04-19
[167] 웹사이트 ウォッチメン https://www.star-ch.[...]
[168] 웹사이트 Watchmen Is Getting an R-Rated Animated Adaptation http://www.cbr.com/w[...] CBR.com 2017-04-13
[169] 웹사이트 We Just Got a Surprise First Look at the Upcoming Watchmen Animated Films https://www.ign.com/[...] 2024-06-13
[170] 웹사이트 New Watchmen Movie Announced https://comicbook.co[...] 2023-07-22
[171] 웹사이트 Watchmen Chapter I: Exclusive Trailer, Voice Cast, Boxart and Release Date https://www.ign.com/[...] 2024-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