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다하라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다하라 전투는 1548년, 다케다 신겐(당시 다케다 하루노부)이 무라카미 요시키요에게 패배한 전투이다. 다케다 가문은 시나노 지역을 침공하며 세력을 확장하려 했으나, 우에다하라 전투에서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 등 주요 장수를 잃고 패배했다. 이 전투는 신겐에게 첫 패배를 안겨주었으며, 이후 시나노 지역의 세력 균형에 영향을 미쳤다. 전투 후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세력이 약화되었고, 신겐은 시오지리토게 전투에서 승리하며 세력을 회복했다. 이 전투는 다케다 신겐을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에서 그의 자만심과 교훈을 강조하는 소재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48년 분쟁 - 시오지리토게 전투
시오지리토게 전투는 1548년 다케다 신겐이 시나노의 오가사와라 나가토키를 시오지리 고개에서 기습하여 크게 승리한 전투로, 다케다 신겐의 시나노 지배 강화와 오가사와라 씨의 몰락에 영향을 주었다. - 1548년 일본 - 시오지리토게 전투
시오지리토게 전투는 1548년 다케다 신겐이 시나노의 오가사와라 나가토키를 시오지리 고개에서 기습하여 크게 승리한 전투로, 다케다 신겐의 시나노 지배 강화와 오가사와라 씨의 몰락에 영향을 주었다. - 1548년 일본 - 덴분의 난
덴분의 난은 1542년부터 1548년까지 다테 가문의 당주 다테 다네무네와 그의 아들 다테 하루무네 사이에서 벌어진 오슈 지방의 대규모 내전으로, 다네무네의 세력 확장에 대한 하루무네의 반발, 주변 다이묘들의 개입,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중재를 거쳐 다테 가문의 쇠퇴와 오슈 지역 정치적 판도 변화를 야기했다. - 다케다 신겐 - 가와나카지마 전투
가와나카지마 전투는 1553년부터 1564년까지 다케다 신겐과 우에스기 겐신이 시나노 국 가와나카지마에서 시나노 지방의 지배권을 두고 벌인 다섯 차례의 전투로, 복잡한 정치적, 군사적 배경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다케다 신겐 - 미카타가하라 전투
미카타가하라 전투는 1573년 미카타가하라에서 다케다 신겐이 이끄는 다케다 군과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오다 노부나가의 연합군이 벌인 전투로, 다케다 군 기병 전술이 두드러졌으나, 도쿠가와 군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다케다 신겐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우에다하라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명 | 우에다하라 전투 (上田原の戦い) |
일부 | 센고쿠 시대 |
날짜 | 1548년 2월 14일 (음력 1548년 3월 23일) |
장소 | 신나노 국(현 나가노 현 우에다 시 우에다하라 (우에다 시)) |
결과 | 무라카미 군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 1 | 다케다 씨 |
교전 2 | 무라카미 씨 (신나노) |
지휘관 및 지도자 | |
다케다 군 지휘관 | 다케다 신겐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 하지카노 덴에몬 |
무라카미 군 지휘관 | 무라카미 요시키요 야시로 모토쓰나 아마미야 마사토시 |
병력 규모 | |
다케다 군 | 7,000명 |
무라카미 군 | 3,000명 |
사상자 규모 | |
다케다 군 | 700명 |
무라카미 군 | 120명 |
캠페인 | |
관련 전투 | 나시노키다이라 전투 운노구치 성 전투 세자와 전투 우에하라 성 공방전 구와바라 성 공방전 후쿠요 성 공방전 나가쿠보 성 공방전 고진야마 성 공방전 다카토 성 공방전 (1545년) 류가사키 성 공방전 우치야마 성 공방전 오다이하라 전투 시카 성 공방전 우에다하라 전투 시오지리 고개 전투 후카시 성 공방전 도이시 성 공방전 가쓰라오 성 공방전 기소 후쿠시마 성 공방전 간노미네 성 공방전 마쓰오 성 공방전 가와나카지마 전투 가쓰라야마 성 공방전 무사시 마쓰야마 성 공방전 (1563년) 스루가-사가미 전투 구라가노 성 공방전 미노와 성 공방전 하치가타 성 공방전 (1568년) 오다와라 성 공방전 (1569년) 미마세 고개 전투 간바라 성 공방전 하나자와 성 공방전 후카자와 성 공방전 도네가와 전투 후타마타 성 공방전 미카타가하라 전투 이와무라 성 공방전 노다 성 공방전 다카텐진 성 공방전 (1574년) 요시다 성 공방전 아케치 성 공방전 나가시노 전투 오모스 전투 다카텐진 성 공방전 (1581년) 다카토 성 공방전 (1582년) 덴모쿠 산 전투 |
기타 정보 | |
관련 정보 | 다케다 신겐의 전투 |
이미지 | |
![]() |
2. 배경
다케다 노부토라는 가이 국을 통일한 뒤, 시나노 국의 사쿠 군과 지이사가타 군을 침공했다. 그러나 1541년 아들 다케다 하루노부(다케다 신겐)가 쿠데타를 일으켜 노부토라를 스루가국으로 추방하고 다케다씨의 가독을 상속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노부토라에게 제압되었던 사쿠 군과 지이사가타 군의 고쿠진슈(国人衆)가 이반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1]
무라카미 씨는 세이와 겐지의 흐름을 잇는 북 시나노의 명족으로,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이었다. 남북조 시대와 무로마치 시대에 시나노 지배를 두고 슈고인 오가사와라 씨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당시 당주인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맹장으로 알려져 가쓰라오 성을 본거지로 하니시나 군, 다카이 군, 지이사타 군, 미노치 군을 세력하에 두며 무라카미 씨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다케다 신겐에게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시나노 전토를 지배하기 위해 반드시 쓰러뜨려야 할 난적이었다.[1]
무라카미 씨의 세력권과 인접한 사쿠 군을 제압한 다케다 씨와의 싸움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1]
2. 1. 다케다 가문의 시나노 침공
다케다 노부토라가 가이 국을 통일한 후, 시나노 국의 사쿠 군과 지이사가타 군을 침공했지만, 1541년에 아들 다케다 하루노부(다케다 신겐)가 쿠데타를 일으켜 노부토라를 스루가국으로 추방하고 다케다씨의 가독을 상속했다. 이로 인해 노부토라에게 제압되었던 사쿠 군과 지이사가타 군의 고쿠진슈(国人衆)들이 이반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1]1542년 하루노부는 다카토 요리쓰구와 함께 스와군을 침공하여 스와 요리시게를 멸망시켰다. 이후 요리쓰구와 결렬하여 그를 쳐부수고, 우에하라성에 이타가키 노부카타를 성주대리로 삼아 스와 군을 지배하게 되었다. 1543년에는 사쿠 군을 침공해 오이 사다타카의 나가쿠보 성을 함락시켰다. 1544년에는 후지사와 요리치카와 다카토 요리쓰구가 시나노 슈고 오가사와라 나가토키의 지원을 받아 다시 스와에 공세를 취하자, 하루노부는 가미이나군으로 출병하여 이들을 격파하고 요리쓰구를 몰락시켰다. 1546년에는 다시 사쿠 군에 침공하여 우치야마 성을 함락시키고 오이 사다키요를 붙잡았다.[1]
1547년, 하루노부는 간토 간레이 우에스기 노리마사와 함께 저항하는 가사하라 기요시게의 시가 성을 포위했다. 우에스기 노리마사는 원군을 파견했지만, 오타이하라 전투에서 이타가키 노부카타와 아마리 도라야스가 이끄는 다케다 군에게 격파되었다. 다케다 군은 시가 성 앞에서 오타이하라 전투에서 죽인 적병 3000명의 목을 매달아 협박했고, 사기를 잃은 시가 성은 함락되었다. 가사하라 기요시게는 죽임을 당했고, 포로들은 노예로 전락했으며 여자 아이들은 팔렸다. 이는 당시 기준으로도 가혹한 처분이었다.[1]

2. 2. 기타시나노의 무라카미 요시키요
무라카미 씨는 세이와 겐지의 분파로 기타시나노(北信濃)의 명족이었다.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이 되었고, 남북조 시대와 무로마치 시대에는 시나노의 지배를 둘러싸고 슈고인 오가사와라씨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당시 무라카미 씨의 당주였던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맹장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가쓰라오 성을 본거지로 하니시나군, 다카이 군, 지이사타 군, 미노치 군을 세력 하에 두어 무라카미 씨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다케다 하루노부가 시나노 전토를 지배하기 위해 반드시 쓰러뜨려야 할 난적이었다. 무라카미 씨의 세력권과 인접한 사쿠 군을 제압한 다케다 씨와의 싸움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3. 전투
1548년 3월 23일(음력 2월 14일)에 벌어진 우에다하라 전투는 다케다 하루노부가 시나노 국 북부의 무라카미 요시키요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전투는 다케다 군이 대패하고, 무라카미 군도 상당한 피해를 입은 전투였다.
신뢰성이 높은 사료인 《묘호지키(妙法寺記)》에 따르면, 다케다 군은 오야마다 노부아리가 분전했지만,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 등 주요 무장들이 전사하며 패배했다.
에도 시대에 쓰여진 군기물인 《고요군칸》에서는 전투의 상세한 경과를 묘사하고 있다. 다케다 군은 이타가키 노부카타를 선봉으로 내세웠으나, 승리에 도취한 노부카타가 적 앞에서 전사자들의 목을 확인하는 의식(구비짓켄)을 벌이다가 무라카미 군의 반격을 받아 전사했다. 이로 인해 다케다 군은 혼란에 빠졌고, 무라카미 요시키요가 하루노부의 본진을 공격하기도 했다. 하루노부는 구도 스케나가와 바바 노부후사의 활약으로 위기를 넘겼지만, 그 자신도 두 곳에 상처를 입었다.
다케다 군은 이타가키 노부카타와 아마리 도라야스 등 주요 지휘관을 잃고 크게 패배했다. 하지만 무라카미 군 역시 야시로 모토쓰나 등 많은 병력을 잃어 다케다 군을 추격하지 못하고 퇴각했다.
전투에서 패배한 다케다 군은 하루노부의 지휘 아래 태세를 정비하여 20여 일간 전장에 머물렀다. 이후 하루노부의 어머니인 오이노카타의 설득으로 철수하여 고후로 귀환했다. 부상을 입은 하루노부는 유무라 온천에서 30일간 몸을 치료했다고 한다.
무라카미 군은 일본식 "수포" 아퀘버스로 무장한 50명의 아시가루를 활용하여 궁병을 지원했다. 또한 이 군대는 적의 기병에 대항하기 위해 짧은 포신의 중국제 수포를 사용했다.[3] 반면 신겐은 전통적인 전투 전략을 고수했고, 처음부터 ''타네가시마''를 사용하지 못했다.[4]
3. 1. 전투의 전개
1548년 3월 10일(덴분 17년 2월 1일), 다케다 하루노부는 5,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기타시나노를 향해 진군을 개시했다. 다케다 군은 우에하라성에서 이타가키 노부카타가 이끄는 스와슈(諏訪衆)·군나이슈(郡内衆)와 합류해, 다이몬토게(大門峠)를 넘어 지이사가타 군 남부를 침공했다.한편,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덴파쿠야마(天白山)의 거성 가쓰라오 성과 북동부의 도이시 성을 거점으로 진을 펼쳤다. 그리고 이와바나(岩鼻)까지 남하하여 우에다다이라(上田平)에 진을 전개하여, 우부가와(産川, 지쿠마가와의 지류)를 사이에 두고 다케다 측과 대진했다. 3월 23일(2월 14일)에 양군은 전투를 개시한다.
신뢰성이 높은 동시대의 사료인 《묘호지키(妙法寺記)》에 의하면, 이 전투로 다케다 군은 오야마다 노부아리의 군나이슈가 분전했지만,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 사이마 가와치노카미, 하지카네 덴에몬이 전사하고 패배했다.[6]
전투의 구체적인 경과에 대해서는 기록된 동시대의 사료는 없지만, 에도 시대에 쓰여진 군기물 《고요군칸》 등에 의하면 다케다 군은 8,000여 명, 무라카미 군은 5,000여 명(또는 7,000여 명)이었다. 다케다 군은 이타가키 노부카타를 선진으로 공격을 개시했다. 선진인 이타가키 부대는 무라카미 세력을 격파하여 돌진했지만, 승기에 도취된 노부카타는 적 앞에서 구비짓켄(首実検)을 시작했다.[7]
무라카미 세력은 이타가키 노부카타의 방심을 틈타 반격해 왔다. 불의에 뚫린 이타가키 부대는 혼란 상황에 빠지고, 노부카타는 말에 올라타려고 할 때 적병의 창에 찔려 전사했다.[7] 이에 무라카미 세력이 기세를 몰아 맹공을 펼치자, 선진이 패배한 다케다 군의 후속 부대는 무너졌다.[7]
무라카미 요시키요가 다케다 하루노부의 본진에 쳐들어 오자, 구도 스케나가(工藤祐長)와 바바 노부후사(馬場信房)가 이를 격퇴했지만, 하루노부는 두 곳에 상처를 입었다.[7]
전사자는 다케다 군은 700명(또는 1,200명), 무라카미 군은 300명(또는 1,700명)이라 여겨진다.[7]
다케다 군은 중신인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를 잃고 대패했지만, 무라카미 군도 야시로 모토쓰나, 고지마 곤베에, 아메노미야 교부 등이 전사하는 등 손해도 많아 추격할 여력 없이 퇴진했다.[6]
전투에서 패한 다케다 군이지만 하루노부의 지휘 하에 태세를 정비하여 20여 일간 전장에 머물렀다.[8] 하루노부의 어머니인 오이노카타의 설득으로 철퇴하여 우에하라성을 지나, 5월 3일(3월 26일)에 고후로 귀환했다.[8] 부상을 입은 하루노부는 유무라 온천에서 30일간 탕치(湯治)를 행했다고 한다.[14]
3. 2. 전투 경과 (군기물 기록)
1548년 3월 10일(덴분 17년 2월 1일), 다케다 하루노부는 5,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기타시나노를 향해 진군을 개시했다. 다케다 군은 우에하라성에서 이타가키 노부카타가 이끄는 스와슈(諏訪衆)·군나이슈(郡内衆)와 합류해, 다이몬토게(大門峠)를 넘어 지이사가타 군 남부를 침공했다.무라카미 요시키요는 덴파쿠야마(天白山)의 거성 가쓰라오 성과 북동부의 도이시 성을 거점으로 진을 쳤다. 그리고 이와바나(岩鼻)까지 남하하여 우에다다이라(上田平)에 진을 전개하여, 우부가와(産川, 지쿠마가와의 지류)를 사이에 두고 다케다 측과 대진했다. 3월 23일(2월 14일)에 양군은 전투를 개시했다.
신뢰성이 높은 동시대 사료인 《묘호지키(妙法寺記)》에 의하면, 이 전투로 다케다 군은 오야마다 노부아리의 군나이슈가 분전했지만,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 사이마 가와치노카미, 하지카네 덴에몬이 전사하고 패배했다.[6]
전투의 구체적인 경과에 대해서 기록된 동시대 사료는 없지만, 에도 시대에 쓰여진 군기물 《고요군칸》 등에 의하면 다케다 군은 8,000여 명, 무라카미 군은 5,000여 명(또는 7,000여 명)이라고 한다. 다케다 군은 이타가키 노부카타를 선진으로 공격을 개시했다. 선진인 이타가키 부대는 무라카미 세력을 격파하여 돌진했지만, 승기에 도취된 노부카타는 적 앞에서 구비짓켄(首実検)을 시작했다.[7]
무라카미 세력은 이타가키 노부카타의 방심을 틈타 반격해 왔다. 불의에 뚫린 이타가키 부대는 혼란에 빠졌고, 노부카타는 말을 타려다 적병의 창에 찔려 전사했다.[7] 이에 무라카미 세력이 기세를 몰아 맹공을 펼치자, 선진이 패배한 다케다 군의 후속 부대는 무너졌다.[7]
무라카미 요시키요가 다케다 하루노부의 본진에 쳐들어 오자, 구도 스케나가(工藤祐長, 나이토 마사토요)와 바바 노부후사(馬場信房, 노부하루)가 이를 격퇴했지만, 하루노부는 두 곳에 상처를 입었다.[7]
전사자는 다케다 군은 700명(또는 1,200명), 무라카미 군은 300명(또는 1,700명)이라 여겨진다.[7]
다케다 군은 중신인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를 잃고 대패했지만, 무라카미 군도 야시로 모토쓰나, 고지마 곤베에, 아메노미야 교부 등이 전사하는 등 손해도 많아 추격할 여력 없이 퇴진했다.[6]
전투에서 패한 다케다 군이지만 하루노부의 지휘 하에 태세를 정비하여 20여 일간 전장에 머물다가,[8] 하루노부의 어머니인 오이노카타의 설득으로 철퇴하여 우에하라성을 지나, 5월 3일(3월 26일)에 고후로 귀환했다.[8] 부상을 입은 하루노부는 유무라 온천에서 30일간 탕치(湯治)를 행했다고 한다.[14]
4. 전후
1553년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가쓰라오 성을 버리고 에치고국으로 도망쳐 나가오 가게토라(후의 우에스기 겐신)에게 원조를 청했다. 이를 받아들인 나가오 가게토라는 다케다 가문과 기타시나노 고쿠진슈와의 전투에 개입하여, 10여 년간 다섯 차례에 걸쳐 가와나카지마 전투가 벌어졌다.[5] 우에다하라 전투에서 무라카미 가문이 승리했지만, 주요 사무라이들을 잃으면서 세력이 약화되었다.[5]
4. 1. 다케다 가문의 위기와 재기
우에다하라 전투는 다케다 하루노부(다케다 신겐)가 처음으로 겪은 패전이었다. 다케다 군의 패배를 안 시나노 고쿠진슈는 무라카미 요시키요, 오가사와라 나가토키를 중심으로 결속하여 반격에 나섰다. 스와군에서도 니시카타슈(西方衆)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다케다 가문의 시나노 지배는 위기에 처했다.[5]하지만 하루노부는 1548년 8월 22일(7월 19일) 시오지리토게 전투에서 오가사와라 나가토키에게 대승을 거두어 다케다 가문은 다시 우위를 회복했다. 1550년 7월, 다케다 군은 오가사와라 령의 쓰카마 군에 침공했고, 나가토키는 본거지인 하야시 성을 버리고 도망쳤다. 같은 해 8월, 하루노부는 우에다하라 전투의 설욕을 갚기 위해 무라카미 가문의 지성인 도이시 성을 포위했지만, 무라카미 요시키요의 반격을 받아 다시 대패했다(도이시 구즈레).[5]
1551년, 사나다 유키타카의 계략으로 도이시 성은 함락되었다. 이로써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가쓰라오 성에서 고립되고 저항할 힘을 잃게 되었다. 1553년 다케다 군의 침공 전에 요시키요는 가쓰라오 성을 버리고 에치고국으로 도망쳐, 나가오 가게토라(후의 우에스기 겐신)에게 원조를 청했다.
이를 받아들인 나가오 가게토라는 다케다 가문과 기타시나노 고쿠진슈와의 전투에 개입하여, 10여 년간 다섯 차례 벌어진 가와나카지마 전투에 돌입하게 된다.
4. 2. 무라카미 가문의 몰락과 가와나카지마 전투
1548년 우에다하라 전투에서 다케다 하루노부(다케다 신겐)가 패배한 후, 시나노의 여러 호족들은 무라카미 요시키요와 오가사와라 나가토키를 중심으로 뭉쳐 다케다 가문에 반격했다. 스와군에서도 다케다 가문에 반기를 드는 세력이 나타나는 등 다케다 가문의 시나노 지배는 위기를 맞았다.[5]하지만 1550년 7월 19일 시오지리토게 전투에서 하루노부가 오가사와라 나가토키에게 크게 승리하면서 다케다 가문은 다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같은 해 7월, 다케다 군은 오가사와라의 영지인 쓰카마 군을 침공했고, 나가토키는 본거지인 하야시 성을 버리고 도망쳤다. 그해 8월, 하루노부는 우에다하라 전투의 복수를 위해 무라카미 가문의 지성인 도이시 성을 포위했지만, 무라카미 요시키요의 반격으로 또다시 크게 패했다(도이시 구즈레).[5]
1551년, 사나다 유키타카의 계략으로 도이시 성이 함락되면서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가쓰라오 성에 고립되어 저항할 힘을 잃었다. 1553년, 다케다 군의 침공에 앞서 요시키요는 가쓰라오 성을 버리고 에치고국으로 도망쳐 나가오 가게토라(후의 우에스기 겐신)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나가오 가게토라는 이를 받아들여 다케다 가문과 기타시나노 호족들 간의 전투에 개입했고, 이후 10여 년간 다섯 차례에 걸쳐 가와나카지마 전투가 벌어지게 되었다.
5. 작품
다케다 신겐을 주인공으로 하는 드라마와 소설에서는 우에다하라 전투를 하루노부의 연승으로 인한 자만심이 패배의 원인이라고 묘사하며,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 등 심복과 중신들을 잃은 이 패전을 그 후 인생의 교훈으로 삼는다는 줄거리가 많다.[1]
- 1988년 NHK 대하드라마 《다케다 신겐》에서는 연승에 자만하여 거만해진 하루노부(나카이 기이치)에게 죽음으로 충고하려는 이타가키(스가와라 분타), 아마리(혼고 고지로) 두 장수의 모습이 그려졌다.[1] 철퇴 후 하루노부에게 어머니 오이 부인(와카오 아야코)이 패전의 원인이 하루노부 자신의 자만이었음을 충고하는 장면이 있다.[1]
- 2007년 NHK 대하드라마 《풍림화산》에서도 위와 거의 비슷하게 그려졌다.[1]
- 2007년 대하드라마 《풍림화산》의 원작 소설인 이노우에 야스시의 《풍림화산》에서는 '우에노하라 전투'와 '도이시 붕괴'가 일어난 순서가 반대로 그려져 있다.[1]
참조
[1]
서적
Kawanakajima 1553–64: Samurai power struggle
Osprey Publishing
2013
[2]
서적
Samurai vs Ashigaru: Japan 1543–75
Bloomsbury Publishing
[3]
서적
Samurai in 100 Objects: The Fascinating World of the Samurai as Seen Through Arms and Armor, Places and Images
Casemate Publishers
2016-10-30
[4]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https://archive.org/[...]
David R. Godine Publisher
1979
[5]
서적
Samurai Banner of Furin Kazan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1-12-20
[6]
문서
평산(2002)、p.247
[7]
문서
평산(2002)、p.248
[8]
문서
평산(2002)、p.249
[9]
문서
평산(2002)、p.250
[10]
뉴스
「上田原の戦い(1548年)」信玄が初めて敗北を喫した屈辱の一戦とは?
https://sengoku-his.[...]
アイセレクト
2019-03-28
[11]
웹사이트
Google マップ 上田市, 長野県
https://www.google.c[...]
Google
2017-10
[12]
웹사이트
上田古戦場ハーフマラソン
https://www.city.ued[...]
上田市
2020-05-25
[13]
웹사이트
長野市「信州・風林火山」特設ガイド 雨宮刑部正利の墓
https://www.nagano-c[...]
ながの観光コンベンションビューロー
[14]
문서
온천에서 목욕하여 병을 고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