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공항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공항으로, 1970년 개항하여 김포, 제주 노선을 운항했다. 1969년 공업지구 지정 이후 증가하는 교통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한때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이 운항했으나, KTX 울산역 개통 이후 이용객이 감소했다. 현재는 대한항공과 진에어가 김포,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여객 터미널과 활주로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북구의 건축물 - 북울산역
북울산역은 2021년 12월 28일 개업한 동해선 철도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ITX-마음 및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 울산 북구의 건축물 - 호계역
호계역은 1921년 영업을 개시한 경부선 철도역이었으나, 동해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2021년 폐지되었으며, 문학 작품 속 배경으로도 등장한다. - 1970년 개항한 공항 - 멜버른 공항
멜버른 공항은 1970년 개항한 빅토리아주 툴라마린의 국제공항으로, 주요 항공사 허브 공항이자 국내외 항공편을 운항하며 확장과 시설 개선을 거듭하고 있고, 활주로 건설 계획에 따른 소음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 1970년 개항한 공항 - 니우에 국제공항
니우에 국제공항은 니우에 수도 알로피 남쪽에 위치하며, 에어뉴질랜드가 오클랜드행 국제선을 운항한다. - 울산광역시의 교통 - 울산 나들목
울산 나들목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남구에 위치하며, 1969년 언양울산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남부순환도로와 국도 제7호선으로 연결된다. - 울산광역시의 교통 - 울산교통방송
울산교통방송은 FM 104.1MHz로 울산광역시와 인근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는 대한민국의 교통 전문 라디오 방송국이다.
울산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울산공항 |
현지어 이름 | 울산공항 (울산공항) |
영어 이름 | Ulsan Airport |
IATA 코드 | USN |
ICAO 코드 | RKPU |
종류 | 공공 |
소유주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운영자 | 한국공항공사 |
개항 | 1970년 11월 20일 |
위치 | 울산광역시 북구 송정동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제원 | |
해발 고도 | 14 m (45 ft) |
활주로 | |
활주로 번호 | 18/36 |
길이 | 2,000 m (6,561 ft) |
표면 | 아스팔트 |
ILS | 남쪽(36)만 설치 |
통계 (2019년) | |
승객 | 786,739 명 |
항공기 운항 횟수 | 6,612 회 |
화물 톤수 | 3,826 톤 |
기타 정보 | |
비고 | 蔚山飛行場 (울산비행장)으로도 알려짐. 과거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에 있었던 비행장과 구분됨. |
2. 역사
울산광역시가 특정 공업지구로 지정된 후 왕래객이 급증하자, 이에 따른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하여 1969년에 6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울산공항 건설이 시작되었다.[9] 1970년에 서울로 향하는 대한항공의 항공편이 처음 취항하였다. 그러나 1971년에 개설된 고속버스 노선으로 인해 이용객이 감소하여 한때 폐쇄되기도 하였으나, 1984년에 여객기 운행이 재개되었다.[9]
1993년 2월 대한항공이 제주행 노선을 취항하고 같은 해 5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제주행 노선을 취항하였으나, 이후 단항되어 제주행 노선은 대한항공만 운영하게 되었다. 1995년 9월 활주로 확장 공사에 따라 운항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12월에 재취항하였다. 1997년 12월에는 여객청사가 신축 이전되었고, 2002년 3월 한국공항공사 울산지사가 설립되었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공항 확장이 이루어졌다.
2004년 12월 6일 아시아나항공이 울산 ~ 제주 노선 운항을 중단하였다. 2010년 11월 1일 KTX 울산역이 개통되면서 고속열차 쪽으로 수요가 크게 분산되어 이용률이 감소하였다. 울산역이 울주군 삼남면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KTX의 인기가 높아 울산공항의 김포행 여객기 편성이 대거 감축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2011년 10월 1일 에어택시 항공사인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이 울산 ~ 양양과 울산 ~ 제주 노선을 취항하였으나 적자 누적으로 양양 노선은 2011년 12월 31일, 제주 노선은 2012년 2월 29일 운항을 중단하였다.
2017년 10월 저가항공사인 제주항공이 임시 취항하였고 11월 에어부산이 취항함과 동시에 아시아나항공이 단항하였다. 울산광역시는 에어부산 취항으로 울산공항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2018년 5월 1일 제주항공이 울산 ~ 제주, 울산 ~ 김포 노선에 임시 운항을 시작했으나, 6월 30일 중단했다. 2019년 12월 12일 하이에어가 울산 ~ 김포 노선에 신규 취항했다. 2023년 3월 26일 에어부산이 울산 ~ 제주, 울산 ~ 김포 노선 운항을 중단하고, 같은 날 진에어가 울산 ~ 김포 노선에 취항했다.
2. 1. 초기 (1970년 ~ 1995년)
울산광역시가 특정 공업지구로 지정된 후 왕래객이 급증하자, 이에 따른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하여 1969년에 6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공사가 시작되었다.[9] 1970년에 처음으로 서울로 향하는 대한항공의 항공편이 취항하였다. 1971년에 개설된 고속버스 노선으로 인해 한때 이용객 감소로 폐쇄되기도 하였으나, 1984년에 여객기 운행이 재개되었다.[9]1993년 2월 대한항공이 제주행 노선을 취항하고 같은 해 5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제주행 노선을 취항하였으나, 이후 단항되어 제주행 노선은 대한항공만 운영하게 되었다.
연도 | 내용 |
---|---|
1970년 11월 | 울산비행장 개항, 대한항공 울산 ~ 대구 ~ 서울 노선 취항. |
1973년 1월 | 휴항. |
1984년 7월 | 대한항공 울산 ~ 서울 노선 재취항. |
1990년 6월 | 한국공항공사 인수 운영. |
1992년 3월 | 아시아나항공 울산 ~ 김포 노선 취항. |
1993년 2월 | 대한항공 울산 ~ 제주 노선 취항. |
1993년 5월 | 아시아나항공 울산 ~ 제주 노선 취항. |
1995년 9월 | 활주로 확장 공사에 따라 운항 일시 중단. |
1995년 12월 | 항공기 재취항. |
2. 2. 확장 및 재개 (1995년 ~ 2010년)
울산광역시가 특정 공업지구로 지정된 후 왕래객이 급증하자,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해 울산공항이 건설되었다. 1995년 9월에는 활주로 확장 공사로 인해 운항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같은 해 12월에 항공기 운항이 재개되었다.[9] 1997년 12월에는 여객청사가 신축 이전되었고,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공항 확장이 이루어졌다.2010년 11월 1일 KTX 울산역이 개통되면서 고속열차 쪽으로 수요가 크게 분산되어 이용률이 감소하였다. 울산역이 울주군 삼남면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KTX의 인기가 높아 울산공항의 김포행 여객기 편성이 대거 감축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10][11]
울산공항 확장 및 재개와 관련된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95년 9월 | 활주로 확장 공사로 운항 일시 중단 |
1995년 12월 | 항공기 재취항 |
1997년 12월 | 여객청사 신축 이전 |
2003년 ~ 2007년 | 공항 확장 |
2. 3. KTX 개통 이후 (2010년 ~ 현재)
2010년 11월 1일 KTX 울산역 개통으로 고속열차 쪽으로 수요가 크게 분산되어 이용률이 감소하고 있다.[9] 울산역이 외곽지인 울주군 삼남면에 있음에도, 김포행 여객기 편성이 대거 감축되는 등 울산공항은 큰 타격을 입었다.[9]2011년 10월 1일 에어택시 항공사인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이 울산 ~ 양양, 울산 ~ 제주 노선을 취항했으나, 적자 누적으로 양양 노선은 2011년 12월 31일, 제주 노선은 2012년 2월 29일에 운항을 중단했다.[9]
2017년 10월 저가항공사인 제주항공이 임시 취항했고, 11월 에어부산이 취항하면서 아시아나항공은 단항했다.[10][11] 울산광역시는 에어부산 취항으로 울산공항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했다.[11]
2018년 5월 1일 제주항공이 울산 ~ 제주, 울산 ~ 김포 노선에 임시 운항을 시작했으나, 6월 30일 중단했다. 2019년 12월 12일 하이에어가 울산 ~ 김포 노선에 신규 취항했다. 2023년 3월 26일 에어부산이 울산 ~ 제주, 울산 ~ 김포 노선 운항을 중단하고, 같은 날 진에어가 울산 ~ 김포 노선에 취항했다.
3. 시설
- 여객 터미널: 8651m2
- 활주로: 방향= 18/36, 길이 x 폭 = 2000m x 45m
- 계류장: 3480m2 (B737 4대 동시 주차 가능)
4. 운항 노선
1970년 울산비행장 개항과 함께 대한항공이 대구를 경유하여 서울로 가는 노선을 취항하였다.[9] 1984년 7월에는 대한항공이 울산~서울 노선을 재취항하였다.[9] 1993년 2월에는 대한항공이, 같은 해 5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제주행 노선을 취항하였다.[9] 그러나 2004년 12월 6일 아시아나항공은 제주 노선 운항을 중단하였다.[10][11]
2011년 10월 1일에는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이 제주와 양양 노선을 취항하였으나, 양양 노선은 2011년 12월 31일에, 제주 노선은 2012년 2월 29일에 운항을 중단하였다.[9]
2017년 10월에는 제주항공이 임시 취항하였고, 11월에는 에어부산이 취항하면서 아시아나항공이 단항하였다.[10][11] 에어부산은 울산~제주, 울산~김포 노선을 신규 취항하였고, 서울(김포) 노선은 아시아나항공과 공동 운항을 시작했다. 2018년 5월 1일에는 제주항공이 울산~제주, 울산~김포 노선에 임시 운항을 시작했으나, 6월 30일에 중단했다.
2019년 12월 12일, 하이에어가 울산~김포 노선에 신규 취항하였다. 2023년 3월 26일, 에어부산은 울산~제주와 울산~김포 노선 운항을 중단하였고, 같은 날 진에어가 울산~김포 노선에 취항하였다.
5. 이용객 추이
울산공항의 이용객 추이는 1970년 개항 이후 여러 변화를 겪었다. 1971년 고속버스 노선 개설로 인해 이용객이 감소하여 한때 폐쇄되기도 하였으나, 1984년 운항이 재개되었다.[9] 1993년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제주행 노선을 취항하였으나, 이후 아시아나항공은 단항하고 대한항공만 제주행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2010년 KTX 울산역 개통은 울산공항 이용객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13] 울산역이 울주군 삼남면이라는 외곽 지역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KTX의 편리함으로 인해 울산공항의 김포행 여객기 편성이 대거 감축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2011년에는 에어택시 항공사인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이 양양과 제주 노선을 취항하였으나, 적자 누적으로 인해 각각 2011년과 2012년에 운항을 중단하였다. 2017년에는 저가항공사인 제주항공이 임시 취항하였고, 11월에는 에어부산이 취항하면서 아시아나항공이 단항하였다.[10][11]
2003년 연간 139만 명으로 최대 이용객 수를 기록한 이후, 2004년부터 이용객 감소 추세가 이어져 2013년에는 40만 명대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2015년에는 포항공항의 일시 폐쇄로 인해 이용객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3년 만에 연간 이용객 50만 명을 돌파하기도 하였다. 2018년에는 에어부산의 울산-제주 노선 운항 및 증편으로 이용객이 크게 증가하였다.
다음은 연도별 울산공항의 운항 편수 및 여객 수를 나타낸 표이다.[12]
연도 | 운항 (편수) | 여객 (명) |
---|---|---|
1997 | 15,392 | 1,691,279 |
1998 | 14,185 | 1,205,112 |
1999 | 12,516 | 1,285,591 |
2000 | 13,302 | 1,377,000 |
2001 | 12,629 | 1,387,574 |
2002 | 12,708 | 1,383,733 |
2003 | 13,497 | 1,395,326 |
2004 | 13,444 | 1,380,788 |
2005 | 11,002 | 1,222,110 |
2006 | 10,150 | 1,200,072 |
2007 | 9,353 | 1,207,740 |
2008 | 9,452 | 1,130,634 |
2009 | 9,189 | 1,013,237 |
2010 | 8,632 | 980,887 |
2011 | 6,115 | 594,932 |
2012 | 5,471 | 519,849 |
2013 | 4,977 | 473,276 |
2014 | 4,864 | 457,060 |
2015 | 5,019 | 561,411 |
2016 | 4,891 | 545,321 |
2017 | 5,337 | 571,429 |
2018 | 7,189 | 817,341 |
2019 | 6,612 | 786,739 |
2020 | 4,930 | 554,357 |
2021 | 7,441 | 888,584 |
2022 | 6,235 | 799,726 |
연도 | 항공기 운항 횟수 | 여객 수 | 화물 톤수 |
---|---|---|---|
2001 | 12,629 | 1,387,574 | 3,898 |
2002 | 12,708 | 1,383,733 | 4,688 |
2003 | 13,497 | 1,395,326 | 4,632 |
2004 | 13,444 | 1,380,788 | 6,062 |
2005 | 11,002 | 1,222,110 | 4,311 |
2006 | 10,150 | 1,200,072 | 4,347 |
2007 | 9,353 | 1,207,740 | 4,504 |
2008 | 9,452 | 1,130,634 | 4,208 |
2009 | 9,189 | 1,013,137 | 3,648 |
2010 | 8,632 | 980,887 | 3,935 |
2011 | 5,803 | 627,350 | 2,619 |
2012 | 5,471 | 519,849 | 2,810 |
2013 | 4,977 | 473,276 | 2,580 |
2014 | 4,864 | 457,060 | 2,520 |
2015 | 5,019 | 561,411 | 2,601 |
2016 | 4,891 | 545,321 | 2,455 |
2017 | 5,337 | 571,429 | 2,657 |
2018 | 7,189 | 817,341 | 3,911 |
2019 | 6,612 | 786,739 | 3,826 |
2020 | 4,930 | 554,357 | 2,036 |
2021 | 7,441 | 888,584 | 2,410 |
2022 | 6,235 | 799,726 | 2,640 |
2023 | 2,982 | 380,511 | 1,552 |
6. 교통
울산공항한국어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
102 | |
111 | |
122 | |
203 | |
205 | |
216 | |
225 | |
235 | |
236 | |
256 | |
266 | |
402 | |
412 | |
422 | |
432 | |
442 | |
453 | |
702 | |
714 | |
732 | |
1127 | |
5005 | KTX 울산역 방면 |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airport.kr.com
[2]
웹사이트
Cheongju Airport: LCC Aero K launches its new hub
https://centreforavi[...]
[3]
웹사이트
Airport information for RKPU
https://web.archive.[...]
2019-03-05
[4]
간행물
DAFIF
[5]
웹사이트
Jin Air Expands Jeju Domestic Network in NS24
https://www.aerorout[...]
2024-03-28
[6]
웹사이트
Air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2023-07-23
[7]
간행물
DAFIF
[8]
간행물
DAFIF
[9]
서적
울산광역시사 제4 산업경제편
울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2
[10]
뉴스
에어부산, 울산~김포ㆍ제주 노선 취항
http://www.hankookil[...]
2017-10-09
[11]
뉴스
제주항공, 울산에 저비용항공사로 첫 취항
https://web.archive.[...]
2017-08-17
[12]
웹사이트
공항별 통계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2020-02-03
[13]
뉴스
KTX 2단계 개통 여파…울산·포항공항 이용객 급감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0-12-30
[14]
뉴스
이용 급감 울산공항 KTX에 ‘반격’ 준비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12-29
[15]
문서
울산광역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울산광역시
2001
[16]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7]
웹사이트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https://www.kalis.o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영업이익률 -500%, -1000%, 이대로 괜찮나?...14개 지방공항 중 11곳 적자
울산∼울릉도 비행기로 오간다…이르면 2027년 말 취항 전망
[3/26, MK추천매물] 오산 세교지구 편의점 상가 10억5천만원 등
[3/12, MK추천매물] 동탄 삼성전자 인근 사옥용 오피스 빌딩 임대 등
[MK 부동산 단신] 원주IC, 치악산조망 제2종 일반주거지역 토지 ‘경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