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울산광역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울산광역시장은 울산광역시의 행정 수반이다. 1945년부터 1997년까지는 경상남도 울산군수, 울산읍장, 울산시장이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부터는 직선제로 선출된다. 역대 시장은 관선과 민선을 거쳤으며, 1997년 이후 심완구, 박맹우, 김기현, 송철호, 김두겸 등이 시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장 - 김기현 (1959년)
    김기현(1959년)은 변호사 출신으로 제17, 18, 19, 21, 22대 국회의원과 울산광역시장을 역임했으며, 정치자금 편법 수수 의혹 및 선거 개입 의혹 관련 논란이 있다.
  • 울산광역시장 - 송철호
    송철호는 울산을 대표하는 1세대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8번의 낙선 끝에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울산광역시장에 당선되어 진보 진영 최초의 울산시장이라는 기록을 세웠으며, 현재는 법무법인 정우 대표변호사로 활동 중인 정치인이다.
  • 울산광역시청 - 울산도서관
    울산도서관은 2018년 개관한 울산광역시 시립도서관으로, 전국 최대 규모의 시설과 우수한 건축 디자인을 자랑하며 다양한 자료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이지만, 주차 공간 부족, 악취, 시설 하자 등의 문제점 개선이 필요한 곳이다.
  • 울산광역시청 - 울산암각화박물관
    울산암각화박물관은 울주군에 위치한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을 중심으로 국내 암각화 연구를 선도하는 전문박물관으로, 고래 형상 건물에 암각화 모형과 입체 영상 전시, 선사시대 생활상 자료, 어린이 전시관, 체험 시설,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울산광역시장
기본 정보
직위울산광역시장
원어 명칭울산광역시장
한자 표기蔚山廣域市長
로마자 표기Ulsan Gwangyeok-sijang
울산광역시 휘장
현직 정보
현직김두겸
취임일2022년 7월 1일
임기 정보
임기4년
역사
직위 생성일1945년 10월 24일
초대 시장최동용
기타 정보
웹사이트울산광역시장 웹사이트

2. 역대 울산군수 (1945년 ~ 1962년)

2. 1. 경상남도 울산군수 (1945년 ~ 1962년)

1945년 8월 16일부터 1962년 5월 31일까지 재임한 역대 경상남도 울산군수는 다음과 같다.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비고
관선초대코야마 코토/小山光遐일본어1945년 8월 16일~1945년 10월 2일조선총독부 최후의 울산군수(1945년 3월 31일 부임)
2대최동용(崔東龍)1945년 10월 24일~1946년 11월 17일
3대유태경1946년 11월 18일~1947년 3월 31일
4대오주석1947년 4월 1일~1949년 6월 20일
5대이박규1949년 6월 21일~1950년 5월 5일
6대박재현1950년 5월 6일~1950년 7월 22일
7대강병수1950년 7월 23일~1951년 8월 31일
8대이희득1951년 10월 5일~1953년 1월 5일
9대김인제1953년 1월 6일~1953년 7월 6일
10대이백순1953년 7월 7일~1954년 12월 1일
11대김극수1954년 12월 3일~1956년 7월 9일
12대장병구1956년 7월 10일~1957년 4월 28일
13대서석지1957년 5월 30일~1958년 3월 14일
14대조창제1958년 3월 15일~1960년 5월 24일
15대윤덕병1960년 5월 25일~1960년 9월 13일
16대정명철1960년 9월 14일~1961년 6월 17일
17대김철년1961년 6월 18일~1962년 5월 31일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군수가 임명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대한민국 정부에서 관선 군수를 임명하였다. 더불어민주당은 군사정권 시절 임명된 관선 군수들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며, 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자치단체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역대 울산읍장 (1945년 ~ 1962년)

3. 1. 경상남도 울산군 울산읍장 (1945년 ~ 1962년)

1945년 8월 16일부터 1945년 10월 1일까지는 조선총독부 최후의 울산읍장인 노구치 고조/野口恒三일본어가 재임하였다. 1945년 10월 2일부터 1947년 7월까지는 박정수(朴政洙)가, 1947년 7월부터 1949년 6월 29일까지는 김택천(金澤天)이, 1949년 6월 29일부터는 전병희(全炳喜)가 관선 읍장으로 임명되었다.

1952년 5월부터 1955년 11월 14일까지는 차용규가 초대 민선 읍장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고기업이 1956년부터 1959년 11월 29일까지, 그리고 1959년 11월 30일부터 1960년 12월 26일까지 재선 읍장을 역임하였다. 1960년 12월 27일부터 1962년 5월 31일까지는 차용규가 다시 읍장으로 선출되어 재임하였다. 민선 읍장 선출은 지역 주민들의 의사가 반영되는 풀뿌리 민주주의가 실현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역대 울산시장 (1962년 ~ 1997년)

1962년 6월 1일부터 1997년 7월 14일까지 존속했던 경상남도 울산시장은 중앙정부에서 임명한 관선 시장과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울산시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 민선 시장(심완구)으로 나뉜다. 관선 시장 시대에는 중앙정부의 통제 속에서 지역 발전이 이루어졌지만, 민선 시장 시대에는 시민들의 참여와 자율성이 확대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이 가능해졌다.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
관선초대홍승순1962년 6월 1일~1964년 5월 10일
2대신성열1964년 5월 10일~1964년 11월 10일
3대최병한1964년 11월 17일~1967년 12월 31일
4대홍승순1968년 1월 1일~1970년 11월 25일
5대윤동수1970년 12월 4일~1971년 5월 8일
6대김종구1971년 8월 11일~1974년 11월 12일
7대원병의1974년 11월 13일~1976년 7월 25일
8대박재환1976년 7월 26일~1978년 8월 1일
9대이재덕1978년 8월 2일~1980년 5월 8일
10대이순동1980년 5월 9일~1982년 9월 19일
11대김영환1982년 9월 20일~1983년 12월 26일
12대박부찬1983년 12월 27일~1984년 10월 31일
13대박종택1984년 11월 13일~1985년 12월 13일
14대윤세달1985년 12월 14일~1988년 6월 3일
15대곽인섭1988년 6월 4일~1989년 12월 27일
16대안길현1989년 12월 27일~1991년 1월 9일
17대윤희윤1991년 1월 10일~1991년 11월 6일
18대문백1991년 11월 7일~1993년 3월 15일
19대김창수1993년 3월 16일~1994년 4월 25일
20대이진영1994년 4월 26일~1995년 3월 31일
21대안두환1995년 4월 1일~1995년 6월 30일
민선22대심완구1995년 7월 1일~1997년 7월 14일


4. 1. 경상남도 울산시장 (1962년 ~ 1997년)

1962년 6월 1일부터 1997년 7월 14일까지 존속했던 경상남도 울산시장은 중앙정부에서 임명한 관선 시장과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울산시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 민선 시장(심완구)으로 나뉜다. 관선 시장 시대에는 중앙정부의 통제 속에서 지역 발전이 이루어졌지만, 민선 시장 시대에는 시민들의 참여와 자율성이 확대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이 가능해졌다.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
관선초대홍승순1962년 6월 1일~1964년 5월 10일
2대신성열1964년 5월 10일~1964년 11월 10일
3대최병한1964년 11월 17일~1967년 12월 31일
4대홍승순1968년 1월 1일~1970년 11월 25일
5대윤동수1970년 12월 4일~1971년 5월 8일
6대김종구1971년 8월 11일~1974년 11월 12일
7대원병의1974년 11월 13일~1976년 7월 25일
8대박재환1976년 7월 26일~1978년 8월 1일
9대이재덕1978년 8월 2일~1980년 5월 8일
10대이순동1980년 5월 9일~1982년 9월 19일
11대김영환1982년 9월 20일~1983년 12월 26일
12대박부찬1983년 12월 27일~1984년 10월 31일
13대박종택1984년 11월 13일~1985년 12월 13일
14대윤세달1985년 12월 14일~1988년 6월 3일
15대곽인섭1988년 6월 4일~1989년 12월 27일
16대안길현1989년 12월 27일~1991년 1월 9일
17대윤희윤1991년 1월 10일~1991년 11월 6일
18대문백1991년 11월 7일~1993년 3월 15일
19대김창수1993년 3월 16일~1994년 4월 25일
20대이진영1994년 4월 26일~1995년 3월 31일
21대안두환1995년 4월 1일~1995년 6월 30일
민선22대심완구1995년 7월 1일~1997년 7월 14일


5. 역대 울산광역시장 (1997년 ~ 현재)

1995년 이후, 개정된 지방자치법 조항에 따라 울산광역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된다.

임기사진이름
재임 기간정당선거
취임퇴임재임 기간
(제1대)심완구
(1938-2020)/심완구
沈完求}}
; border-bottom-style:hidden;" |
신한국당
한나라당 →
새천년민주당
(1995)
제2대style="background:;" |1998
제3대박맹우
(1951년 출생)/박맹우
朴孟雨}}
;" |
한나라당 →
새누리당
2002
제4대2006
제5대2010
박성환
(1956년 출생)
권한대행/박성환
朴成換}}
;" |
무소속
제6대
|80px]]
김기현
(1959년 출생)/김기현
金起炫}}
;"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2014
제7대송철호
(1949년 출생)/송철호
宋哲鎬}}
;" |
더불어민주당2018
제8대김두겸
(1958년 출생)/김두겸
金斗謙}}
;" |
국민의힘2022



초대, 2대 심완구 시장은 보수 정당 소속이었으나, 이후 민주당계 정당으로 당적을 옮겨 활동했다. 3대, 4대, 5대 박맹우 시장은 보수 정당 소속으로 장기간 재임하면서 울산의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6대 김기현 시장은 보수 정당 소속으로 재임 중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7대 송철호 시장은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울산 최초의 진보 성향 시장으로 당선되어 주목받았다. 더불어민주당송철호 시장의 당선을 통해 울산에서도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가 확대되었다고 평가한다. 8대 김두겸 시장은 보수 정당 소속으로, 현재 울산광역시정을 이끌고 있다.

5. 1. 울산광역시장 (1997년 ~ 현재)

1995년 이후, 개정된 지방자치법 조항에 따라 울산광역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된다.

style="text-align:right"|구분: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정당시정 구호
민선 |초대심완구[6][7]1997년 7월 15일~2002년 6월 26일[8]민주자유당(1995)
신한국당(1995~1997)
한나라당(1997~1998)[9]
새정치국민회의(1998~2000)
새천년민주당(2000~2002)
희망찬 울산 세계로 미래로
|2대
|3대박맹우[10]2002년 7월 1일~2014년 3월 31일[10]한나라당(2002~2012)
새누리당(2012~2014)
화합과 도약, 위대한 울산
|4대역동의 산업수도, 푸른 울산
|5대더 큰 대한민국 우뚝한 울산
|권한대행박성환2014년 4월 1일~2014년 6월 30일행정부시장
|6대김기현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새누리당(2014~2017)
자유한국당(2017~2018)
품격있고 따뜻한 창조도시 울산
|7대송철호2018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더불어민주당시민과 함께 다시 뛰는 울산
|8대김두겸2022년 7월 1일~국민의힘새로 만드는 위대한 울산



초대, 2대 심완구 시장은 보수 정당 소속이었으나, 이후 민주당계 정당으로 당적을 옮겨 활동했다. 3대, 4대, 5대 박맹우 시장은 보수 정당 소속으로 장기간 재임하면서 울산의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6대 김기현 시장은 보수 정당 소속으로 재임 중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7대 송철호 시장은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울산 최초의 진보 성향 시장으로 당선되어 주목받았다. 더불어민주당송철호 시장의 당선을 통해 울산에서도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가 확대되었다고 평가한다. 8대 김두겸 시장은 보수 정당 소속으로, 현재 울산광역시정을 이끌고 있다.

6. 역대 선거

wikitable

1995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민주자유당1심완구122,32630.43%align=right|
bgcolor=""|민주당2이규충87,69021.81%align=right|
bgcolor=""|무소속4고원준85,25021.21%align=right|
bgcolor=""|무소속5김명규67,48316.79%align=right|
bgcolor=""|무소속3강충호27,2596.78%align=right|
bgcolor=""|무소속6김영해7,7191.92%align=right|
bgcolor=""|무소속7윤병이4,1651.03%align=right|
합계401,892100.00%
투표율67.58%



1998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한나라당1심완구160,49142.74%align=right|
bgcolor=""|무소속5송철호148,12639.44%align=right|
bgcolor="#05517E"|신한국당4강충호37,1399.89%align=right|
bgcolor=""|자유민주연합3차화준29,7257.91%align=right|
총계375,481100.00%
투표율57.58%



2002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한나라당1박맹우197,77253.07%align=right|
bgcolor=""|민주노동당3송철호162,54643.61%align=right|
bgcolor="black"|사회당4안승천12,3293.30%align=right|
합계372,647100.00%
투표율52.31%



2006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한나라당2박맹우261,36163.23%align=right|
bgcolor=""|민주노동당4노옥희104,38425.25%align=right|
bgcolor=""|우리당1심규명47,57911.51%align=right|
합계413,324100.00%
투표율52.79%



2010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박맹우279,42161.26%
진보신당김창현133,43729.25%
진보신당노옥희43,2569.48%
합계456,114100.00%
투표율55.09%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새누리당김기현306,31165.42%
정의당조승수123,73626.43%
노동당이갑용38,1078.13%
합계468,154100.00%



2018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더불어민주당1송철호317,34152.88%align=right|
bgcolor=""|자유한국당2김기현240,47540.07%align=right|
bgcolor=""|민중당6김창현28,6214.76%align=right|
bgcolor=""|바른미래당3이영희13,5892.26%align=right|
합계600,026100.00%
투표율64.79%



2022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국민의힘2김두겸290,56359.78%align=right|
bgcolor=""|더불어민주당1송철호195,43040.21%align=right|
합계485,993100.00%
투표율52.26%


6. 1.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table

1995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민주자유당1심완구122,32630.43%align=right|
bgcolor=""|민주당2이규충87,69021.81%align=right|
bgcolor=""|무소속4고원준85,25021.21%align=right|
bgcolor=""|무소속5김명규67,48316.79%align=right|
bgcolor=""|무소속3강충호27,2596.78%align=right|
bgcolor=""|무소속6김영해7,7191.92%align=right|
bgcolor=""|무소속7윤병이4,1651.03%align=right|
합계401,892100.00%
투표율67.58%


6. 2.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울산광역시장 선거는 한나라당 심완구 후보가 42.7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송철호 후보는 39.44%를 얻어 2위를 기록했다. 신한국당 강충호 후보는 9.89%, 자유민주연합 차화준 후보는 7.91%를 득표했다.

1998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한나라당1심완구160,49142.74%align=right|
bgcolor=""|무소속5송철호148,12639.44%align=right|
bgcolor="#05517E"|신한국당4강충호37,1399.89%align=right|
bgcolor=""|자유민주연합3차화준29,7257.91%align=right|
총계375,481100.00%
투표율57.58%


6. 3.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table

2002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한나라당1박맹우197,77253.07%align=right|
bgcolor=""|민주노동당3송철호162,54643.61%align=right|
bgcolor="black"|사회당4안승천12,3293.30%align=right|
합계372,647100.00%
투표율52.31%


6. 4.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table

2006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한나라당2박맹우261,36163.23%align=right|
bgcolor=""|민주노동당4노옥희104,38425.25%align=right|
bgcolor=""|우리당1심규명47,57911.51%align=right|
합계413,324100.00%
투표율52.79%


6. 5.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한나라당 박맹우 후보가 61.2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진보신당 김창현 후보는 29.25%, 진보신당 노옥희 후보는 9.48%를 득표했다.

2010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박맹우279,42161.26%
진보신당김창현133,43729.25%
진보신당노옥희43,2569.48%
합계456,114100.00%
투표율55.09%


6. 6.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광역시장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김기현 후보가 306,311표(65.42%)를 얻어 당선되었다. 정의당 조승수 후보는 123,736표(26.43%)를, 노동당 이갑용 후보는 38,107표(8.13%)를 얻었다. 전체 투표율은 56.11%였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새누리당김기현306,31165.42%
정의당조승수123,73626.43%
노동당이갑용38,1078.13%
합계468,154100.00%


6. 7.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table

2018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더불어민주당1송철호317,34152.88%align=right|
bgcolor=""|자유한국당2김기현240,47540.07%align=right|
bgcolor=""|민중당6김창현28,6214.76%align=right|
bgcolor=""|바른미래당3이영희13,5892.26%align=right|
합계600,026100.00%
투표율64.79%


6. 8.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table

2022년 울산광역시장 선거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bgcolor=""|국민의힘2김두겸290,56359.78%align=right|
bgcolor=""|더불어민주당1송철호195,43040.21%align=right|
합계485,993100.00%
투표율52.26%


참조

[1]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s://web.archive.[...] 2019-10-05
[2] 문서 元々は広域市長を改めて選出しなければならないが、任期が余り残っていない状態で設置された関係で、蔚山広域市設置などに関する法律の付則第4条第3項によって蔚山広域市長になった。
[3] 문서 付則第4条(最初の地方自治団体の長などに関する経過措置)③この法の施行当時の蔚山市長は、公職選挙と選挙不正防止法第30条第1項第1号の規定に係わらずこの法の施行後最初の蔚山広域市長になり、その任期は1998年6月30日までとする。
[4] 문서 2014年7月30日、2014年韓国補欠選挙出馬のために辞任。
[5] 문서 행정부시장
[6] 문서 원래는 광역시장을 새로 선출해야 하지만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되는 관계로 울산광역시설치등에관한법률 부칙 제4조 제3항에 의해 울산광역시장이 되었다.
[7] 문서 부칙 제4조 (최초의 지방자치단체의 장등에 관한 경과조치) ③이 법 시행당시의 울산시장은 공직선거 및선거부정방지법 제30조제1항제1호의 규정에 불구하고 이 법 시행후 최초의 울산광역시장이 되고, 그 임기는 1998년 6월 30일까지로 한다.
[8] 문서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
[9] 문서 1998년 9월 14일 한나라당 탈당, 새정치국민회의 입당 1998-09-14
[10] 문서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출마 관계로 사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