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미국은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시가현에 해당한다. 야요이 시대부터 사람들이 정착하여 고분 시대에는 이민족 씨족의 지배를 받았으며, 아스카 시대에는 오미 오쓰 궁과 시가라키 궁이 수도 역할을 했다. 다이호 율령 제정 이후 '오미'로 표기되었으며, 헤이안 시대에는 헤이안쿄와 가까워 전략적 요충지였다. 헤이안 시대 후반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사사키 씨족이 슈고 직을 장악했고, 센고쿠 시대에는 오다 노부나가가 아즈치성을 건설하여 일본 통일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도쿠가와 막부 시대에는 여러 한으로 분할되었고, 메이지 유신 이후 시가현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미국 - 아네가와 전투
    아네가와 전투는 1570년에 오다-도쿠가와 연합군과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이 승리하였으나 아자이 가문의 몰락을 가속화시키고 노부나가 포위망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 오미국 - 히요시타이샤
    히요시타이샤는 시가현 오쓰시에 위치한 오야마쿠이노카미를 모시는 신사로, 히에이 산 숭배의 중심지이며, 국보인 본전과 중요문화재를 보유하고 산왕신앙과 신불습합의 흔적을 보여주는 곳이다.
  • 도산도 - 리쿠젠국
    리쿠젠국은 1869년 무쓰국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보신 전쟁 이후 미야기현과 이와테현으로 분할 편입되었으며, 14개의 군으로 구성되었다.
  • 도산도 - 무쓰국
    무쓰국은 일본 고대에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미치노오쿠"에서 유래하여 설치된 국으로, 데와국과 분리되어 넓은 지역을 관할하며 호족 세력의 번성, 무사 가문의 지배 시대를 거쳐 메이지 유신 이후 5개 국으로 분할되었다.
  • 시가현의 역사 - 야마우치 가즈토요
    야마우치 가즈토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도사국을 얻어 다이묘가 되었고, 고치성을 축조하고 가다랑어 타다키의 유래를 만들었으며 20만 석의 영주가 되었으나 자식 없이 사망했다.
  • 시가현의 역사 - 글리코·모리나가 사건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일본에서 발생한 글리코·모리나가 사건은 괴도 21면상을 자칭하는 범인들이 글리코 사장 유괴를 시작으로 글리코와 모리나가 제과 등 식품 회사를 협박하며 청산가리를 넣은 과자를 유통시키겠다고 위협한 미해결 기업 협박 사건이다.
오미국
개요
국명오미국 (近江国)
별칭고슈 (江州)
긴슈 (近州)
소속동산도
영역시가현
국력대국
거리근국
12군 93향
국부오쓰시 (오미국청터)
국분사(추정) 고카시 (시가라키노미야터)
(추정) 오쓰시 노고하라
(추정) 오쓰시 히카리가오카정
국분니사(미상)
이치노미야다케베대사 (오쓰시)
지리
위치일본 혼슈 중앙부, 비와호 동쪽
역사
성립 시기7세기 후반 (나라 시대)
폐지 시기메이지 시대 (폐번치현)
행정 구역
주요 도시오쓰시
히코네시
나가하마시
오미하치만시
모리야마시
교통
주요 도로도카이도
기타오미로
세이부로
문화
주요 문화재히코네 성
엔랴쿠지
미이데라
이시야마데라
기타 정보
현재의 현시가현

2. 오미의 이름과 유래

오미국은 처음에는 '淡海'로 표기하고 '아하미(あはうみ)' 또는 '아후미(あふみ)'로 읽었으며, '지카쓰아하미(近淡海)'로도 읽었다. 《고사기》에는 '近つ淡海國', '淡海國', '近淡海國'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아스카에서 후지와라 시대(다이카 개신부터 일본에 율령제가 시작될 때까지의 기간)에 제작된 목간에는 '近水海'로 기재된 것도 있다.[3]

701년 다이호 율령 제정 이후 '近江(오미)'로 표기하게 되었다. 713년 각 지방의 명칭을 좋은 의미를 가진 두 글자로 표기하라는 법령에 따라 '近江'로 정착되었다.

오미는 《고사기》에서 "'''치카츠아와우미'''(近淡海)", "'''아와우미'''(淡海)"로 기록되어 있다. "아와우미"가 있는 나라이며, 기나이에서 가까운 나라라는 의미로, "'가까운 아와우미국'"이지 "'가까운 아와우미'국"은 아니다.[4]

3. 연혁

오미 지역에는 적어도 야요이 시대부터 사람들이 정착하여 살았으며, 여러 대규모 정착지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고분 시대에는 이 지역이 여러 강력한 씨족들에게 지배받았는데, 특히 백제계 도래인인 와니 씨족(和邇氏族)의 영향력이 컸다.[2]

아스카 시대에는 오미 오쓰 궁과 시가라키 궁이 잠시 일본의 수도 역할을 했으며, 진신의 난과 같은 주요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나라 시대에는 국청과 국분사가 설치되었고, 다케베타이샤가 이 지역의 최고 신사(''이치노미야'')로 지정되었다.[2] 헤이안 시대에는 수도 헤이안쿄와 가깝고 도카이도나카센도 등 주요 교통로가 지나가는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덴다이 종파의 총본산인 엔랴쿠지히에이산에 세워졌다.

헤이안 시대 후반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사사키 씨족(佐々木氏族)이 오미국의 슈고직을 장악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롯카쿠 씨족(六角氏族)과 교고쿠 씨족(京極氏族)의 방계 가문이 오미국을 지배했다. 센고쿠 시대에는 이들 씨족 간의 내분과 아자이 씨족, 아사쿠라 씨족 등 외부 세력의 침입으로 혼란스러웠다. 1560년대 후반에서 1570년대에 걸쳐 오다 노부나가가 오미국을 침략하여 아즈치성을 쌓고 일본 통일의 거점으로 삼으려 했다. 혼노지의 변 이후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이시다 미쓰나리에게 오미국을 수여하였다.

도쿠가와 막부 수립 후, 오미국은 여러 으로 분할되었으며, 그중 가장 큰 번은 이이 씨족이 통치한 히코네번이었다. 오미는 도카이도의 5개 역참(도카이도 53차)과 나카센도의 8개 역참(나카센도 69차)이 있는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계속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 11월 22일, 오미국 내의 천령하타모토 영토에서 오쓰현과 나가하마현이 창설되었고, 각 옛 번은 자체 현을 형성했다. 이들은 1872년 1월 19일에 합병되어 시가현을 형성했다. 1876년 8월 21일부터 1881년 2월 7일까지는 후쿠이현의 레이난 지역(쓰루가시 서쪽)이 시가현에 속해 동해에 해안선을 가지기도 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합병이 철회되었다.

3. 1. 근세 이후의 연혁

구고구령취조장에 기재된 메이지 초기 오미국의 지배 현황은 다음과 같다.[5]

마을 수석고(石高)주요 지배
시가군110개 마을46,138석막부령(오쓰 대관소), 기본령, 공가령, 문적령, 제제번, 미야가와번, 시모쓰케사노번, 야마시로요도번, 가와치사야마번
구리타군125개 마을70,472석막부령(오쓰 대관소), 기본령, 제제번, 미카미번, 가미쓰케마에바시번, 단고미야즈번, 가와치사야마번, 이세고모노번, 이즈미하쿠타번
야스군99개 마을68,554석막부령(오쓰 대관소), 기본령, 공가령, 시약원령, 니시지로번, 오미조번, 미카미번, 미야가와번, 야마가미번, 야마시로요도번, 무사시가와고에번, 단고미야즈번, 가와치사야마번, 가미쓰케마에바시번, 이즈미하쿠타번, 무쓰센다이번
고카군140개 마을78,776석막부령(오쓰 대관소), 기본령, 미나쿠치번, 야마가미번, 미야가와번, 미카미번, 제제번, 야마시로요도번, 무사시가와고에번, 단고미야즈번, 가와치사야마번
가모군235개 마을139,733석막부령(오쓰 대관소・히코네번예지), 기본령, 공가령, 문적령, 니시지로번, 미나쿠치번, 미야가와번, 야마가미번, 야마토고리야마번, 무사시가와고에번, 무쓰센다이번, 오와리나고야번, 야마시로요도번, 단고미야즈번, 가미쓰케마에바시번, 사누키마루가메번, 이즈미하쿠타번, 단고미네야마번
간자키군86개 마을48,583석막부령(오쓰 대관소・히코네번 예지), 기본령, 야마가미번, 야마토고리야마번
아이치군117개 마을64,845석막부령(오쓰 대관소・히코네번 예지), 기본령, 히코네번, 미야가와번
이누가미군122개 마을62,137석히코네번
사카타군178개 마을92,105석막부령(오쓰 대관소・히코네번 예지), 기본령, 히코네번, 미야가와번, 미나쿠치번, 야마가미번, 야마토고리야마번, 데와야마가타번, 기이와카야마번, 사누키마루가메번
아사이군148개 마을76,876석막부령(오쓰 대관소・히코네번 예지), 기본령, 히코네번, 제제번, 야마가미번, 야마토고리야마번, 야마시로요도번, 미카와요시다번, 데와야마가타번
이가군71개 마을36,243석막부령(오쓰 대관소・히코네번 예지), 히코네번, 제제번, 야마시로요도번, 가즈사이노번, 미카와요시다번
다카시마군166개 마을74,151석막부령(오쓰 대관소), 기본령, 오미조번, 제제번, 야마토고리야마번, 에치젠마리야마번, 무사시가와고에번, 와카사오바마번, 이즈미하쿠타번, 가가번, 야마시로요도번, 미카와요시다번, 탄바후쿠치야마번


  • 게이오 4년
  • 1868년 3월 7일 : 오쓰 대관소에 '''오쓰 재판소'''가 설치되어 막부령을 관할하였다.
  • 1868년 4월 28일 : 오쓰 재판소 관할 지역이 '''오쓰현''' 관할이 되었다.
  • 1868년 6월 4일 : 보신 전쟁 처분으로 센다이번이 감봉되어 군내 영지가 오쓰현 관할이 되었다.
  • 메이지 원년 1869년 12월 22일 : 사사령 중 시가군의 시가인령이 오쓰현 관할이 되었다.
  • 메이지 2년
  • 1869년 6월 17일 : 반적봉환에 의해 가가번(통칭)의 정식 명칭이 '''가나자와번'''이 되었다.
  • 1869년 6월 19일 : 반적봉환에 의해 요시다번이 '''도요하시번'''으로 개칭되었다.
  • 1869년 6월 24일 : 반적봉환에 의해 마리야마번(통칭)의 정식 명칭이 '''쓰루가번'''이 되었다.
  • 히코네번이 보신 전쟁 전공으로 가증되어 히코네번 예지 중 사카타군 및 아이치군 일부가 히코네번령이 되었다.
  • 메이지 3년
  • 2월 : 기본령・사야마번령[6]이 오쓰현 관할이 되었다.
  • 1870년 3월 23일 : 쓰루가번이 '''마리야마번'''으로 개칭되었다.
  • 1870년 4월 14일 : 미카미번이 번청 이전으로 이즈미 '''요시미번'''이 되었다.
  • 1870년 7월 17일 : 야마가타번이 전봉으로 오미 '''아사히야마번'''이 되었다. 이에 따라 사카타군・아사이군에서 영지 교체가 이루어져, 사카타군의 야마가타번령과 아사이군의 야마가미번령이 소멸, 아사이군의 제제번령이 시가군 오쓰현 관할 지역으로 전봉되었다.
  • 1870년 9월 17일 : 마리야마번이 오바마번에 편입되었다.
  • 10월 : 마루가메번[7]령・이노번령이 오쓰현 관할이 되었다.
  • 이 무렵 와카야마번령이 오쓰현 관할이 되었다.
  • 메이지 4년
  • 4월 : 히코네번 예지가 오쓰현 관할이 되었다.
  • 1871년 7월 14일 : 폐번치현에 의해 번령이 '''제제현''', '''미야가와현''', '''미나쿠치현''', '''야마가미현''', '''니시지로현''', '''히코네현''', '''아사히야마현''' 및 사노현, 요도현, 마에바시현, 미야즈현, 고모노현, 하쿠타현, 가와고에현, 고리야마현, 나고야현, 도요하시현, 미네야마현, 오바마현, 가나자와현, 후쿠치야마현, 요시미현의 비지가 되었다.
  • 10월 : 오미조번령[8]・공가령・문적령・사사령이 오쓰현 관할이 되었다.
  • 1871년 10월 28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의해 마에바시현 관할 지역이 '''군마현''' 관할이 되었다.
  • 1871년 11월 2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의해 미야즈현・미네야마현 관할 지역이 '''도요오카현''' 관할이 되었다.
  • 1871년 11월 14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의해 사노현 관할 지역이 '''도치기현''', 가와고에현 관할 지역이 '''이루마현''' 관할이 되었다.
  • 1871년 11월 15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의해 도요하시현 관할 지역이 '''누카타현''' 관할이 되었다.
  • 1871년 11월 22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의해 시가군・구리타군・고카군・야스군・가모군이 '''오쓰현''', 간자키군・아이치군・이누가미군・사카타군・아사이군・이가군・다카시마군이 '''나가하마현''' 관할이 되었다.
  • 메이지 5년
  • 1872년 1월 19일 : 오쓰현이 '''시가현'''으로 개칭되었다.
  • 1872년 2월 27일 : 나가하마현이 '''이누가미현'''으로 개칭되었다.
  • 1872년 9월 28일 : 오미국 전역이 '''시가현''' 관할이 되었다.

4. 오미국의 시설

오미국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었다.



고지키, 일본서기에는 시가 다카호노미야가 게이코 천황, 세이무 천황, 주아이 천황의 도읍이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 신사(神社)


엔기시키진묘초에는 대사 13좌 10사, 소사 142좌 132사의 총 155좌 142사가 기록되어 있다. (오미국의 식내사 일람 참조) 대사 10사는 모두 묘진대사이며 다음과 같다.

신사
시가군오노 신사 2좌, 히요시 신사(현 히요시타이샤)
구리타군사쿠나도 신사, 다케베 신사(현 다케베타이샤)
고카군가와다 신사 2좌
야스군미카미 신사, 효주 신사(현 효주타이샤)
가모군오쿠쓰시마 신사 - 오쿠쓰시마 신사 또는 오시마 신사 오쿠쓰시마 신사로 비정.
이카군이카구 신사
다카시마군미즈오 신사 2좌


  • 소샤 불명
  • 이치노미야 '''다케베타이샤'''
  • 니노미야 히요시타이샤 - 히에이 산엔랴쿠지와 관계가 깊어, 이치노미야를 능가할 정도의 힘을 가지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 산노미야 다카타이샤 또는 미카미 신사

4. 1. 궁(宮)

오미국은 기나이에 인접해 있으며, 지금까지 세 번 천황의 거처(궁(宮))가 지어졌다.

고지키, 일본서기에는 시가 다카호노미야가 게이코 천황, 세이무 천황, 주아이 천황의 도읍이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4. 2. 신사(神社)

엔기시키진묘초에는 대사 13좌 10사, 소사 142좌 132사의 총 155좌 142사가 기록되어 있다. (오미국의 식내사 일람 참조) 대사 10사는 모두 묘진대사이며 다음과 같다.

  • 시가군
  • * 오노 신사 2좌
  • * 히요시 신사 (현 히요시타이샤)
  • 구리타군
  • * 사쿠나도 신사
  • * 다케베 신사 (현 다케베타이샤)
  • 고카군
  • * 가와다 신사 2좌
  • 야스군
  • * 미카미 신사
  • * 효주 신사 (현 효주타이샤)
  • 가모군
  • * 오쿠쓰시마 신사 - 오쿠쓰시마 신사 또는 오시마 신사 오쿠쓰시마 신사로 비정.
  • 이카군
  • * 이카구 신사
  • 다카시마군
  • * 미즈오 신사 2좌

  • 소샤 불명
  • 이치노미야 '''다케베타이샤'''
  • 니노미야 히요시타이샤 - 히에이 산엔랴쿠지와 관계가 깊어, 이치노미야를 능가할 정도의 힘을 가지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 산노미야 다카타이샤 또는 미카미 신사

5. 지역

오미 지역은 적어도 야요이 시대부터 사람이 정착했으며, 여러 대규모 정착지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고분 시대에는 이 지역이 여러 강력한 이민족 씨족에게 지배받은 것으로 보이며, 특히 백제 출신인 와니 씨족(Wani clan)이 두드러졌다. "오미" 또는 "비와호"라는 이름은 ''고지키'', ''만요슈'' 등 고대 문서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원래 "아하우미"(淡海), "지카우미"(近淡海, 담수 바다 또는 근처 담수 바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이는 오미노우미(近江海)로 발전했다. "오미"라는 이름은 701년 다이호 율령 제정 및 시행, 713년 ''율령'' 시스템에 따라 정의된 지방 이름을 두 개의 상서로운 한자를 사용하여 명명해야 한다는 법령이 내려진 후에 고정되었다.

현재 오쓰시에 위치한 오미 오쓰 궁과 고카시에 위치한 시가라키 궁은 잠시 일본의 수도였으며, 오미는 아스카 시대 진신의 난의 여러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나라 시대에는 국청과 국분사가 이전 오미 오쓰 궁 유적 근처 오쓰에 세워졌고, 다케베타이샤는 이 지방의 최고 신사(''이치노미야'')로 지정되었다.[2] 헤이안 시대에는 수도 헤이안쿄와 가깝고, 수도를 일본 동부 지방과 연결하는 도카이도나카센도 고속도로, 수도에서 동해로 가는 주요 경로에 위치하여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일본의 불교가 확산되면서 덴다이의 대사찰인 엔랴쿠지가 오미의 히에이산에 건설되었다.

헤이안 시대 후반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사사키 씨족이 오미국의 슈고 직을 장악했으며, 롯카쿠 씨족과 교고쿠 씨족의 방계 가문은 무로마치 시대까지 이 지방을 계속 지배했다. 혼란스러운 센고쿠 시대에는 내부 갈등으로 두 씨족 모두 약해졌고, 오미는 북쪽의 아자이 씨족과 아사쿠라 씨족, 남쪽의 롯카쿠 씨족과 고카 잇키 사이의 전투장이 되었다. 1560년대 후반에서 1570년대에 걸쳐 오다 노부나가가 동쪽에서 침략하여 아자이, 아사쿠라, 롯카쿠, 고카 및 아시카가 막부를 격파하고, 오미의 비와호 근처에 아즈치성을 건설하여 일본 전체를 지배하려 했다. 혼노지의 변 이후, 이 지방의 대부분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숙적이었던 이시다 미쓰나리에게 수여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 11월 22일, 오미국 내 옛 천령하타모토 영토에서 오쓰현과 나가하마현이 창설되었고, 각 옛 번은 자체 현을 형성했다. 이들은 1872년 1월 19일에 합병되어 시가현을 형성했다. 1876년 8월 21일부터 1881년 2월 7일까지 후쿠이현 레이난 지역(쓰루가시 서쪽)이 시가현에 속해 동해에 해안선을 가지기도 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대로 합병이 철회되었다.

5. 1. 군(郡)

오미국은 12개의 군(郡)으로 나뉘었다.

군(郡) 이름비고
시가군폐지
구리타군폐지
코카군폐지
야스군폐지
가모군
칸자키군폐지
에치군
이누카미군
사카타군폐지
아자이군
이카군1897년 4월 1일 니시아자이군을 흡수; 현재 폐지
다카시마군폐지


5. 2. 에도 시대의 번(藩)

도쿠가와 막부 수립 후, 오미 지역 대부분은 여러 한으로 분할되었으며, 그중 가장 큰 것은 이이 씨가 통치한 히코네번이었다. 오미는 교통로로서의 역할을 계속 수행했으며, 도카이도의 5개 역과 나카센도의 8개 역이 있었다.[2]

오미국의 번은 다음과 같다.

오미국의 번 목록
이름수도지배 가문 및 석고
히코네 번사와야마 성
(1600년 ~ 1606년)
히코네 성
(1606년 ~ 1871년)
이이 씨 (1600년 ~ 1871년, →→→→→→)
제제 번제제 성도다 씨 (1601년 ~ 1616년, )
미나쿠치 번미나쿠치 성가토 씨 (1682년 ~ 1695년, )
오미조 번오미조 진야와케베 씨 (1619년 ~ 1871년, )
닛쇼지 번닛쇼지 진야이치하시 씨 (1620년 ~ 1871년, →→)
야마카미 번야마카미 진야안도 씨 (1604년 ~ 1695년, )
오미-미야가와 번미야가와 진야홋타 씨 (1698년 ~ 1871년, →)
미카미 번미카미 진야엔도 씨 (1698년 ~ 1870년, →)
카타타 번카타타 진야홋타 씨 (1698년 ~ 1826년, →)
쿠츠키 번쿠츠키 진야쿠츠키 씨 (1636년 ~ 1648년, )
오모리 번오모리 진야모가미 씨 (1622년 ~ 1632년, )
오미-다카시마 번사쿠마 씨 (1600년 ~ 1616년, →)
오미-코무로 번코무로 진야코보리 씨 (1619년 ~ 1788년, 12460석→11460석→16300석)


6. 인물

오미국일본어(近江国)은 일본 헤이안 시대까지 국사가 임명되어 통치하였다. 헤이안 시대의 국사로는 오미노카미, 오미노스케, 오미노조 등의 관직이 있었다.


  • '''오미노카미(近江守)'''


이름임관 시기출전
다지비 미즈모리와도 1년(708년)속일본기
아야베노 히라오와도 3년(710년)속일본기
후지와라노노 무치마로와도 5년(712년)[9]속일본기
나가타노 왕레키 2년(716년)속일본기
간나비노 카미마에덴표 13년(741년)속일본기
후지와라노노 나카마로덴표 17년(745년)속일본기
후지와라노노 쓰나무로덴표진고 2년(766년)속일본기
후지와라노노 이에요리호키 2년(771년)속일본기
다카쿠라노 후쿠노부호키 7년(776년)속일본기
후지와라노노 다네쓰구텐오 1년(781년)속일본기
다지히 나가노엔랴쿠 5년(786년)속일본기
오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엔랴쿠 8년(789년)일본후기
키노 카츠나가일본후기
코세노 야소시다이도 3년(808년)일본후기
후지와라노노 사다츠구코닌 1년(810년)일본후기
후지와라노노 츠구나리일본후기
후지와라노노 오구시코닌 3년(812년)일본후기
아키시노 야스히토일본후기
요시미네노 야스요코닌 7년(816년)일본후기
미나모토노 마코토쇼와 2년(835년)속일본후기
미나모토노 아키라쇼와 6년(839년)속일본후기
미나모토노 토오루쇼와 9년(842년), 쇼와 14년(847년)속일본후기
난부치 나가카와쇼와 12년(845년)속일본후기
후지와라노노 다케모리쇼와 15년(848년)속일본후기
오노노 다카무라닌주 1년(851년)일본문덕천황실록
후지와라노노 스케닌주 3년(853년) 1월일본문덕천황실록
후지와라노노 우지무네닌주 3년(853년) 7월일본문덕천황실록
미나모토노 사메루텐안 1년(857년)일본문덕천황실록
미나모토노 토오루조간 2년(860년)일본삼대실록
스미노 젠조조간 6년(864년)일본삼대실록
미나모토노 타다시일본삼대실록
아리하라노 요시후치조간 10년(868년)일본삼대실록
난부치 토시나조간 12년(870년)일본삼대실록
미나모토노 킨일본삼대실록
스가와라노 코레요시일본삼대실록
아리하라노 유키히라일본삼대실록
충정왕일본삼대실록
미나모토노 코레타다닌나 1년(885년)일본삼대실록
후지와라노노 아리자네엔기 11년(911년)
후지와라노노 겐죠엔기 16년(916년), 엔기 20년(920년) (권수)
후지와라노노 겐죠엔초 5년(927년)
후지와라노노 모로나리고헤이 5년(1062년)
미나모토노 타카토시고헤이 5년(1062년)
사사키 히데쓰나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
시오야 타카사다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


  • '''오미노스케(近江介)'''


오미노스케는 오미노카미 다음 가는 관직이다.

임관 연도이름
와도 1년(708년)다지비 미즈모리
와도 3년(710년)아야베노 히라오
와도 5년(712년)후지와라노 무치마로[9]
레키 2년(716년)나가타노 왕
덴표 13년(741년)간나비노 카미마에
덴표 17년(745년)후지와라노 나카마로
덴표진고 2년(766년)후지와라노 쓰나무로
호키 2년(771년)후지와라노 이에요리
호키 7년(776년)다카쿠라노 후쿠노부
텐오 1년(781년)후지와라노 다네쓰구
엔랴쿠 5년(786년)다지히 나가노
엔랴쿠 8년(789년)오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
키노 카츠나가
다이도 3년(808년)코세노 야소시
코닌 1년(810년)후지와라노 사다츠구
후지와라노 츠구나리
코닌 3년(812년)후지와라노 오구시
아키시노 야스히토
코닌 7년(816년)요시미네노 야스요
쇼와 2년(835년)미나모토노 마코토
쇼와 6년(839년)미나모토노 아키라
쇼와 9년(842년)미나모토노 토오루
쇼와 14년(847년)미나모토노 토오루
쇼와 12년(845년)난부치 나가카와
쇼와 15년(848년)후지와라노 다케모리
닌주 1년(851년)오노노 다카무라
닌주 3년(853년) 1월후지와라노 스케
닌주 3년(853년) 7월후지와라노 우지무네
텐안 1년(857년)미나모토노 사메루
조간 2년(860년)미나모토노 토오루
조간 6년(864년)스미노 젠조
미나모토노 타다시
조간 10년(868년)아리하라노 요시후치
조간 12년(870년)난부치 토시나
미나모토노 킨
스가와라노 코레요시
아리하라노 유키히라
충정왕
닌나 1년(885년)미나모토노 코레타다
엔기 11년(911년)후지와라노 아리자네
엔기 16년(916년), 엔기 20년(920년)후지와라노 겐죠
엔초 5년(927년)후지와라노 겐죠
고헤이 5년(1062년)후지와라노 모로나리
고헤이 5년(1062년)미나모토노 타카토시
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사사키 히데쓰나
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시오야 타카사다


  • '''오미노조(近江掾)'''


오미노조는 오미노스케 다음 가는 관직이다.

임관 연도이름
와도 1년(708년)다지비 미즈모리
와도 3년(710년)아야베노 히라오
와도 5년(712년)후지와라노 무치마로[9]
레키 2년(716년)나가타노 왕
덴표 13년(741년)간나비노 카미마에
덴표 17년(745년)후지와라노 나카마로
덴표진고 2년(766년)후지와라노 쓰나무로
호키 2년(771년)후지와라노 이에요리
호키 7년(776년)다카쿠라노 후쿠노부
텐오 1년(781년)후지와라노 다네쓰구
엔랴쿠 5년(786년)다지히 나가노
엔랴쿠 8년(789년)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
키노 카츠나가
다이도 3년(808년)코세노 야소시
코닌 1년(810년)후지와라노 사다츠구
후지와라노 츠구나리
코닌 3년(812년)후지와라노 오구시
아키시노 야스히토
코닌 7년(816년)요시미네노 야스요
쇼와 2년(835년)미나모토노 마코토
쇼와 6년(839년)미나모토노 아키라
쇼와 9년(842년)미나모토노 토오루
쇼와 12년(845년)난부치 나가카와
쇼와 15년(848년)후지와라노 다케모리
닌주 1년(851년)오노노 다카무라
닌주 3년(853년) 1월후지와라노 스케
닌주 3년(853년) 7월후지와라노 우지무네
텐안 1년(857년)미나모토노 사메루
조간 2년(860년)미나모토노 토오루
조간 6년(864년)스미노 젠조
미나모토노 타다시
조간 10년(868년)아리하라노 요시후치
조간 12년(870년)난부치 토시나
미나모토노 킨
스가와라노 코레요시
아리하라노 유키히라
충정왕
닌나 1년(885년)미나모토노 코레타다
엔기 11년(911년)후지와라노 아리자네
엔기 16년(916년), 엔기 20년(920년)후지와라노 겐죠
엔초 5년(927년)후지와라노 겐죠
고헤이 5년(1062년)후지와라노 모로나리
고헤이 5년(1062년)미나모토노 타카토시
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사사키 히데쓰나
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시오야 타카사다



가마쿠라 막부 시기에는 슈고가 임명되었다.

재임 기간슈고
1187년~1191년, 1193년~1205년사사키 사다쓰나
1205년~1221년사사키 히로쓰나
1221년~1233년사사키 노부쓰나
1245년~1252년사사키 야스쓰나
1275년~1310년사사키 요리쓰나
1310년~1333년사사키 도키노부


6. 1. 국사(国司)

일본 헤이안 시대까지 오미국의 국사(国司)는 다음과 같이 임명되었다.

  • '''오미노카미(近江守)'''


이름임관 시기
다지비 미즈모리와도 1년(708년)
아야베노 히라오와도 3년(710년)
후지와라노노 무치마로와도 5년(712년)[9]
나가타노 왕레키 2년(716년)
간나비노 카미마에덴표 13년(741년)
후지와라노노 나카마로덴표 17년(745년)
후지와라노노 쓰나무로덴표진고 2년(766년)
후지와라노노 이에요리호키 2년(771년)
다카쿠라노 후쿠노부호키 7년(776년)
후지와라노노 다네쓰구텐오 1년(781년)
다지히 나가노엔랴쿠 5년(786년)
오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엔랴쿠 8년(789년)
키노 카츠나가
코세노 야소시다이도 3년(808년)
후지와라노노 사다츠구코닌 1년(810년)
후지와라노노 츠구나리
후지와라노노 오구시코닌 3년(812년)
아키시노 야스히토
요시미네노 야스요코닌 7년(816년)
미나모토노 마코토쇼와 2년(835년)
미나모토노 아키라쇼와 6년(839년)
미나모토노 토오루쇼와 9년(842년), 쇼와 14년(847년)
난부치 나가카와쇼와 12년(845년)
후지와라노노 다케모리쇼와 15년(848년)
오노노 다카무라닌주 1년(851년)
후지와라노노 스케닌주 3년(853년) 1월
후지와라노노 우지무네닌주 3년(853년) 7월
미나모토노 사메루텐안 1년(857년)
미나모토노 토오루조간 2년(860년)
스미노 젠조조간 6년(864년)
미나모토노 타다시
아리하라노 요시후치조간 10년(868년)
난부치 토시나조간 12년(870년)
미나모토노 킨
스가와라노 코레요시
아리하라노 유키히라
충정왕
미나모토노 코레타다닌나 1년(885년)
후지와라노노 아리자네엔기 11년(911년)
후지와라노노 겐죠엔기 16년(916년), 엔기 20년(920년) (권수)
후지와라노노 겐죠엔초 5년(927년)
후지와라노노 모로나리고헤이 5년(1062년)
미나모토노 타카토시고헤이 5년(1062년)
사사키 히데쓰나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
시오야 타카사다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


  • '''오미노스케(近江介)'''


오미노스케는 오미노카미 다음 가는 관직이다.

임관 연도이름출전
와도 1년(708년)다지비 미즈모리속일본기
와도 3년(710년)아야베노 히라오『속일본기』
와도 5년(712년)후지와라노 무치마로『속일본기』[9]
레키 2년(716년)나가타노 왕『속일본기』
덴표 13년(741년)간나비노 카미마에『속일본기』
덴표 17년(745년)후지와라노 나카마로『속일본기』
덴표진고 2년(766년)후지와라노 쓰나무로『속일본기』
호키 2년(771년)후지와라노 이에요리『속일본기』
호키 7년(776년)다카쿠라노 후쿠노부『속일본기』
텐오 1년(781년)후지와라노 다네쓰구『속일본기』
엔랴쿠 5년(786년)다지히 나가노『속일본기』
엔랴쿠 8년(789년)오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일본후기
키노 카츠나가『일본후기』
다이도 3년(808년)코세노 야소시『일본후기』
코닌 1년(810년)후지와라노 사다츠구『일본후기』
후지와라노 츠구나리『일본후기』
코닌 3년(812년)후지와라노 오구시『일본후기』
아키시노 야스히토『일본후기』
코닌 7년(816년)요시미네노 야스요『일본후기』
쇼와 2년(835년)미나모토노 마코토속일본후기
쇼와 6년(839년)미나모토노 아키라『속일본후기』
쇼와 9년(842년)미나모토노 토오루『속일본후기』
쇼와 14년(847년)미나모토노 토오루『속일본후기』
쇼와 12년(845년)난부치 나가카와『속일본후기』
쇼와 15년(848년)후지와라노 다케모리『속일본후기』
닌주 1년(851년)오노노 다카무라일본문덕천황실록
닌주 3년(853년) 1월후지와라노 스케『일본문덕천황실록』
닌주 3년(853년) 7월후지와라노 우지무네『일본문덕천황실록』
텐안 1년(857년)미나모토노 사메루『일본문덕천황실록』
조간 2년(860년)미나모토노 토오루일본삼대실록
조간 6년(864년)스미노 젠조『일본삼대실록』
미나모토노 타다시『일본삼대실록』
조간 10년(868년)아리하라노 요시후치『일본삼대실록』
조간 12년(870년)난부치 토시나『일본삼대실록』
미나모토노 킨『일본삼대실록』
스가와라노 코레요시『일본삼대실록』
아리하라노 유키히라『일본삼대실록』
충정왕『일본삼대실록』
닌나 1년(885년)미나모토노 코레타다『일본삼대실록』
엔기 11년(911년)후지와라노 아리자네
엔기 16년(916년)후지와라노 겐죠
엔기 20년(920년)
엔초 5년(927년)후지와라노 겐죠
고헤이 5년(1062년)후지와라노 모로나리
미나모토노 타카토시
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사사키 히데쓰나
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시오야 타카사다


  • '''오미노조(近江掾)'''


오미노조는 오미노스케 다음 가는 관직이다.

임관 연도이름원문 표기
와도 1년(708년)다지비 미즈모리多治比水守
와도 3년(710년)아야베노 히라오綾部 অভিযুক্ত
와도 5년(712년)후지와라노 무치마로藤原武智麻呂[9]
레키 2년(716년)나가타노 왕長田王
덴표 13년(741년)간나비노 카미마에甘南備上
덴표 17년(745년)후지와라노 나카마로藤原仲麻呂
덴표진고 2년(766년)후지와라노 쓰나무로藤原綱室
호키 2년(771년)후지와라노 이에요리藤原家依
호키 7년(776년)다카쿠라노 후쿠노부高倉福信
텐오 1년(781년)후지와라노 다네쓰구藤原種継
엔랴쿠 5년(786년)다지히 나가노丹墀長野
엔랴쿠 8년(789년)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大中臣諸魚
키노 카츠나가紀勝長
다이도 3년(808년)코세노 야소시巨勢野足
코닌 1년(810년)후지와라노 사다츠구藤原貞嗣
후지와라노 츠구나리藤原継成
코닌 3년(812년)후지와라노 오구시藤原緒嗣
아키시노 야스히토秋篠安人
코닌 7년(816년)요시미네노 야스요良峯安世
쇼와 2년(835년)미나모토노 마코토源信
쇼와 6년(839년)미나모토노 아키라源明
쇼와 9년(842년)미나모토노 토오루源融
쇼와 12년(845년)난부치 나가카와南淵永河
쇼와 15년(848년)후지와라노 다케모리藤原岳守
닌주 1년(851년)오노노 다카무라小野篁
닌주 3년(853년) 1월후지와라노 스케藤原助
닌주 3년(853년) 7월후지와라노 우지무네藤原氏宗
텐안 1년(857년)미나모토노 사메루源冷
조간 2년(860년)미나모토노 토오루源融
조간 6년(864년)스미노 젠조菫 বাক্য 善縄
미나모토노 타다시源多
조간 10년(868년)아리하라노 요시후치在原善淵
조간 12년(870년)난부치 토시나南淵年名
미나모토노 킨源勤
스가와라노 코레요시菅原是善
아리하라노 유키히라在原行平
충정왕忠貞王
닌나 1년(885년)미나모토노 코레타다源是忠
엔기 11년(911년)후지와라노 아리자네藤原有実
엔기 16년(916년), 엔기 20년(920년)후지와라노 겐죠藤原元善
엔초 5년(927년)후지와라노 겐죠藤原元善
고헤이 5년(1062년)후지와라노 모로나리藤原師成
고헤이 5년(1062년)미나모토노 타카토시源隆俊
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사사키 히데쓰나佐々木秀綱
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시오야 타카사다塩谷隆貞


6. 1. 1. 오미노카미(近江守)

다음은 속일본기에 기록된 오미노카미(近江守) 임관 기록이다.

이름임관 시기
다지비 미즈모리와도 1년(708년)
아야베노 히라오와도 3년(710년)
후지와라노노 무치마로와도 5년(712년)[9]
나가타노 왕레키 2년(716년)
간나비노 카미마에덴표 13년(741년)
후지와라노노 나카마로덴표 17년(745년)
후지와라노노 쓰나무로덴표진고 2년(766년)
후지와라노노 이에요리호키 2년(771년)
다카쿠라노 후쿠노부호키 7년(776년)
후지와라노노 다네쓰구텐오 1년(781년)
다지히 나가노엔랴쿠 5년(786년)



다음은 일본후기에 기록된 오미노카미 임관 기록이다.

이름임관 시기
오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엔랴쿠 8년(789년)
키노 카츠나가
코세노 야소시다이도 3년(808년)
후지와라노노 사다츠구코닌 1년(810년)
후지와라노노 츠구나리
후지와라노노 오구시코닌 3년(812년)
아키시노 야스히토
요시미네노 야스요코닌 7년(816년)



다음은 속일본후기에 기록된 오미노카미 임관 기록이다.

이름임관 시기
미나모토노 마코토쇼와 2년(835년)
미나모토노 아키라쇼와 6년(839년)
미나모토노 토오루쇼와 9년(842년), 쇼와 14년(847년)
난부치 나가카와쇼와 12년(845년)
후지와라노노 다케모리쇼와 15년(848년)



다음은 일본문덕천황실록에 기록된 오미노카미 임관 기록이다.

이름임관 시기
오노노 다카무라닌주 1년(851년)
후지와라노노 스케닌주 3년(853년) 1월
후지와라노노 우지무네닌주 3년(853년) 7월
미나모토노 사메루텐안 1년(857년)



다음은 일본삼대실록에 기록된 오미노카미 임관 기록이다.

이름임관 시기
미나모토노 토오루조간 2년(860년)
스미노 젠조조간 6년(864년)
미나모토노 타다시
아리하라노 요시후치조간 10년(868년)
난부치 토시나조간 12년(870년)
미나모토노 킨
스가와라노 코레요시
아리하라노 유키히라
충정왕
미나모토노 코레타다닌나 1년(885년)



헤이안 시대 후기의 오미노카미 임관 기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임관 시기
후지와라노노 아리자네엔기 11년(911년)
후지와라노노 겐죠엔기 16년(916년), 엔기 20년(920년) (권수)
후지와라노노 겐죠엔초 5년(927년)
후지와라노노 모로나리고헤이 5년(1062년)
미나모토노 타카토시고헤이 5년(1062년)



남북조 시대 북조의 오미노카미 임관 기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임관 시기
사사키 히데쓰나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
시오야 타카사다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


6. 1. 2. 오미노스케(近江介)

임관 연도이름출전
와도 1년(708년)다지비 미즈모리속일본기
와도 3년(710년)아야베노 히라오『속일본기』
와도 5년(712년)후지와라노 무치마로『속일본기』[9]
레키 2년(716년)나가타노 왕『속일본기』
덴표 13년(741년)간나비노 카미마에『속일본기』
덴표 17년(745년)후지와라노 나카마로『속일본기』
덴표진고 2년(766년)후지와라노 쓰나무로『속일본기』
호키 2년(771년)후지와라노 이에요리『속일본기』
호키 7년(776년)다카쿠라노 후쿠노부『속일본기』
텐오 1년(781년)후지와라노 다네쓰구『속일본기』
엔랴쿠 5년(786년)다지히 나가노『속일본기』
엔랴쿠 8년(789년)오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일본후기
키노 카츠나가『일본후기』
다이도 3년(808년)코세노 야소시『일본후기』
코닌 1년(810년)후지와라노 사다츠구『일본후기』
후지와라노 츠구나리『일본후기』
코닌 3년(812년)후지와라노 오구시『일본후기』
아키시노 야스히토『일본후기』
코닌 7년(816년)요시미네노 야스요『일본후기』
쇼와 2년(835년)미나모토노 마코토속일본후기
쇼와 6년(839년)미나모토노 아키라『속일본후기』
쇼와 9년(842년)미나모토노 토오루『속일본후기』
쇼와 14년(847년)미나모토노 토오루『속일본후기』
쇼와 12년(845년)난부치 나가카와『속일본후기』
쇼와 15년(848년)후지와라노 다케모리『속일본후기』
닌주 1년(851년)오노노 다카무라일본문덕천황실록
닌주 3년(853년) 1월후지와라노 스케『일본문덕천황실록』
닌주 3년(853년) 7월후지와라노 우지무네『일본문덕천황실록』
텐안 1년(857년)미나모토노 사메루『일본문덕천황실록』
조간 2년(860년)미나모토노 토오루일본삼대실록
조간 6년(864년)스미노 젠조『일본삼대실록』
미나모토노 타다시『일본삼대실록』
조간 10년(868년)아리하라노 요시후치『일본삼대실록』
조간 12년(870년)난부치 토시나『일본삼대실록』
미나모토노 킨『일본삼대실록』
스가와라노 코레요시『일본삼대실록』
아리하라노 유키히라『일본삼대실록』
충정왕『일본삼대실록』
닌나 1년(885년)미나모토노 코레타다『일본삼대실록』
엔기 11년(911년)후지와라노 아리자네
엔기 16년(916년)후지와라노 겐죠
엔기 20년(920년)
엔초 5년(927년)후지와라노 겐죠
고헤이 5년(1062년)후지와라노 모로나리
미나모토노 타카토시
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사사키 히데쓰나
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시오야 타카사다


6. 1. 3. 오미노조(近江掾)

임관 연도이름원문 표기
와도 1년(708년)다지비 미즈모리多治比水守
와도 3년(710년)아야베노 히라오綾部 অভিযুক্ত
와도 5년(712년)후지와라노 무치마로藤原武智麻呂[9]
레키 2년(716년)나가타노 왕長田王
덴표 13년(741년)간나비노 카미마에甘南備上
덴표 17년(745년)후지와라노 나카마로藤原仲麻呂
덴표진고 2년(766년)후지와라노 쓰나무로藤原綱室
호키 2년(771년)후지와라노 이에요리藤原家依
호키 7년(776년)다카쿠라노 후쿠노부高倉福信
텐오 1년(781년)후지와라노 다네쓰구藤原種継
엔랴쿠 5년(786년)다지히 나가노丹墀長野
엔랴쿠 8년(789년)오나카토미노 모로우오大中臣諸魚
키노 카츠나가紀勝長
다이도 3년(808년)코세노 야소시巨勢野足
코닌 1년(810년)후지와라노 사다츠구藤原貞嗣
후지와라노 츠구나리藤原継成
코닌 3년(812년)후지와라노 오구시藤原緒嗣
아키시노 야스히토秋篠安人
코닌 7년(816년)요시미네노 야스요良峯安世
쇼와 2년(835년)미나모토노 마코토源信
쇼와 6년(839년)미나모토노 아키라源明
쇼와 9년(842년)미나모토노 토오루源融
쇼와 12년(845년)난부치 나가카와南淵永河
쇼와 15년(848년)후지와라노 다케모리藤原岳守
닌주 1년(851년)오노노 다카무라小野篁
닌주 3년(853년) 1월후지와라노 스케藤原助
닌주 3년(853년) 7월후지와라노 우지무네藤原氏宗
텐안 1년(857년)미나모토노 사메루源冷
조간 2년(860년)미나모토노 토오루源融
조간 6년(864년)스미노 젠조菫 বাক্য 善縄
미나모토노 타다시源多
조간 10년(868년)아리하라노 요시후치在原善淵
조간 12년(870년)난부치 토시나南淵年名
미나모토노 킨源勤
스가와라노 코레요시菅原是善
아리하라노 유키히라在原行平
충정왕忠貞王
닌나 1년(885년)미나모토노 코레타다源是忠
엔기 11년(911년)후지와라노 아리자네藤原有実
엔기 16년(916년), 엔기 20년(920년)후지와라노 겐죠藤原元善
엔초 5년(927년)후지와라노 겐죠藤原元善
고헤이 5년(1062년)후지와라노 모로나리藤原師成
고헤이 5년(1062년)미나모토노 타카토시源隆俊
엔겐 3년/랴쿠오 1년(1338년)사사키 히데쓰나佐々木秀綱
고코쿠 2년/랴쿠오 4년(1341년) 3월경시오야 타카사다塩谷隆貞


6. 2. 슈고(守護)

오미 국의 슈고는 가마쿠라 막부, 무로마치 막부 시기에 임명되었다. 무로마치 막부 시기의 슈고에 대해서는 하위 문서를 참고.

6. 2. 1.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사사키 사다쓰나는 1187년부터 1191년까지, 그리고 1193년부터 1205년까지 오미 국의 슈고를 역임했다.[1] 사사키 히로쓰나는 1205년부터 1221년까지 슈고직을 맡았다.[2] 사사키 노부쓰나는 1221년부터 1233년까지, 사사키 야스쓰나는 1245년부터 1252년까지 오미 국 슈고를 역임했다.[3] 사사키 요리쓰나는 1275년부터 1310년까지, 사사키 도키노부는 1310년부터 1333년까지 슈고직을 수행했다.[4]

재임 기간슈고
1187년~1191년, 1193년~1205년사사키 사다쓰나
1205년~1221년사사키 히로쓰나
1221년~1233년사사키 노부쓰나
1245년~1252년사사키 야스쓰나
1275년~1310년사사키 요리쓰나
1310년~1333년사사키 도키노부


참조

[1] 서적 Ōmi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5
[2] 웹사이트 Nationwide List of Ichinomiya http://eos.kokugakui[...] 2011-08-09
[3] 간행물 『古事記』と木簡に見える国名表記の対比 2012
[4] 간행물 「大津宮」の宮号とアフミの表記 1996
[5] 문서 旧高旧領取調帳
[6] 문서 狭山藩廃藩 1870-01-27
[7] 문서 丸亀藩廃藩 1871-05-28
[8] 문서 大溝藩廃藩 1871-04-16
[9] 문서 籐氏家伝の武智麻呂伝
[10] 간행물 近江守護六角氏の研究 1978
[11] 문서 佐々木氏と京極氏
[12] 웹사이트 近江の人 木沢まさと: ブランド構築に向けて https://mokuzawa.exb[...] 2011-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