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는 1971년 10월 25일 유엔 총회에서 통과된 결의안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을 유엔에서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중화민국(대만)을 유엔에서 추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결의안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유엔 창립 멤버이자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었던 중화민국의 지위를 박탈하고,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중화인민공화국에 중국 대표권을 부여했다. 결의안 통과 과정에서 중화민국은 표결에 앞서 유엔 총회 심의 참여를 거부하고 퇴장했다.
결의안 통과 배경에는 냉전 시기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와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의 대중국 관계 개선 노력이 있었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 해결과 소련 견제를 위해 중화인민공화국의 협력이 필요했고, 알바니아를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들과 제3세계 국가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대표권 회복을 지지했다.
결의안 통과 이후, 중화민국은 유엔 및 관련 기구에서 탈퇴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 지위를 승계했다. 이로 인해 중화민국은 외교적으로 고립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 대만의 국제적 활동을 제약하고 있다.
결의안은 '추방'의 의미에 대한 논란을 남겼으며, 미국 등은 중화민국의 유엔 회원국 자격 유지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 결의는 이후 한국을 포함한 각국의 대외 관계와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대만 - 제9회 금마장
1971년에 개최된 제9회 금마장은 팅산시 감독의 《탄약 사냥꾼》 최우수 감독상, 왕인의 《제9회 금마장》 최우수 남우주연상, 리사 루의 《아치》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큐멘터리 기획상 도입으로 대만 독립 영화 및 다큐멘터리 제작 지원의 장을 열었다.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 |
---|---|
결의안 정보 | |
결의안 번호 | 2758 |
기구 | 총회 |
날짜 | 1971년 10월 25일 |
회의 | 제1,976차 회의 |
문서 코드 | A/RES/2758(XXVI) |
문서 링크 | 결의안 문서 보기 |
찬성 | 76 |
기권 | 17 |
반대 | 35 |
불참 | 3 |
주제 | 유엔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가지는 합법적 권리의 회복 |
결과 | 결의안 채택 |
영어 제목 | Restoration of the lawful right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United Nations. |
관련 | 중국 대표권 문제 |
![]() |
2. 배경과 경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공 내전의 결과로 중국 대륙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이, 타이완에는 중화민국이 각각 수립되었다. 마오쩌둥이 이끌던 중국 공산당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선언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을 대표하는 합법 정부임을 주장한 반면,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은 중화민국이 중국을 대표하는 합법 정부임을 주장하며 양측은 각자 자신들이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하며 대립했다.
중화민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 진영에 참전하여 유엔의 창립 회원국이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5개 상임이사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1949년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에 밀려나면서 대만으로 쫓겨나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냉전을 계기로 자신들이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주장했고, 상대방을 인정한 국가들과는 외교 관계를 수립하지 않았다. 이러한 대립은 유엔을 비롯한 국제 사회에서도 이어지게 되었다.
1971년 11월 15일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대표가 처음으로 유엔 총회에 참석했다.
2. 1. 냉전과 국제 정세 변화
냉전 시기,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은 각각 다른 진영의 지지를 받으며 유엔에서 '중국 대표권' 문제를 놓고 경쟁했다. 1949년 11월 18일,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에 중화민국의 추방을 처음으로 제기했으며, 이후 “중국 대표권 문제”는 오랫동안 제안되었지만 계속 부결되었다.[2]1950년대 후반 중소 대립이 뚜렷해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독자적인 외교 노선을 추구하며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1964년 제18차 유엔 총회, 1968년 제5차 유엔 긴급 특별 총회, 1970년 제25차 유엔 총회에서도 알바니아 등에서 중화민국 추방에 대한 유사한 제안이 있었지만 모두 부결되었다. 중화민국 추방 제기는 1961년 제16차 유엔 총회 이후 유엔 헌장 제18조에 명시된 “중요 사항”으로 지정하는 “중요 문제 결의안”이 별도로 공동 제출되었고, 이것이 계속 가결됨으로써 저지되었다.[8]
1970년대 초, 미국은 베트남 전쟁 해결과 소련 견제를 위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미국은 북베트남과의 휴전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협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협력을 얻기 위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승계는 합의했지만, 중화민국의 유엔 추방까지는 생각하지 않았다.[4] 그러나 1970년 시점에서 알바니아 결의안은 찬성 51, 반대 49, 기권 25, 불참 2로 과반수를 차지한 반면, 중요 문제 결의안은 찬성 66, 반대 52, 기권 7, 불참 2의 상황이어서 역전된 형세는 명백했다.[5]
2. 2. 결의안 상정과 표결
1971년 7월 중순, 알바니아, 알제리, 루마니아 등 23개국이 공동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대표권 회복, 중화민국 정부 추방"을 골자로 하는 알바니아 결의안을 유엔 사무국에 제출했다.[7]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중화민국"의 유엔 추방이 아닌 "장개석(蔣介石)의 대표"의 유엔 추방으로 문구를 수정하여, 당시 우방국이었던 알바니아를 통해 "국부(國府) 추방·북경 초청" 결의안(A/L.630)을 1971년 9월 25일 제26차 유엔 총회에 제출했다. 미국은 중화민국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자리는 사퇴하되 유엔 의석은 유지하는, 이른바 "이중 대표제 결의안(A/L.633)"을 유엔에 제출했다.총회에서는 의제 채택 등을 둘러싸고 중화민국 추방 지지파와 반대파 간에 일반위원회와 본회의 등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표결에 앞서 중화민국 대표는 "더 이상 총회 심의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총회장에서 퇴장했다.[6] 10월 18일부터 73개국이 참가하는 본격적인 심의가 시작되어, 1971년 10월 25일 알바니아 결의안(A/L.630)이 찬성 76표, 반대 35표, 기권 17표, 불참 3표로 통과되었다.[7]
알바니아 결의안이 통과됨에 따라 이중 대표제 결의안은 표결에 부쳐지지 않았다. 이후 중화민국은 유엔(및 가입한 각 전문기구)에서 탈퇴를 선언했다.
3. 결의 내용
유엔 총회는 유엔 헌장의 원칙을 상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합법적인 권리를 회복시키는 것이 유엔 헌장을 준수하고 유엔 기구가 헌장에 따라 활동하게 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대표가 유엔에서 중국의 유일한 합법적인 대표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5개 상임이사국 중 하나임을 승인한다.[6]
중화인민공화국의 모든 권리를 확립하고, 그 정부의 대표가 유엔에서 중국의 유일한 합법적인 대표임을 승인하며, 장제스의 대표를 그들이 유엔과 모든 관련 기구에서 불법적으로 점유하는 자리에서 즉시 추방하기로 결정한다.[6]
4. 논란
결의 내용 중 '추방'의 의미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회원국의 가입과 탈퇴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권한인데, 2758호 결의를 뒷받침하는 안보리 결의가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방'의 의미가 중국 대표로서의 권리만을 경질하는 것인지, 가맹국 자격까지 모두 박탈하는 것인지 명시되어 있지 않아 미국 등 반대국들을 중심으로 논란이 되었으나, 사실상 중화민국이 자진해서 유엔을 탈퇴하면서 이 문제는 일단락되었다.
5. 투표 결과
찬성 76개국, 반대 35개국, 기권 17개국, 불참 3개국으로 결의안이 통과되었다.[35]
투표 내용 | 투표 수 | 투표 국가 | 유엔 회원국 중 비율 | 기권자 제외 비율 |
---|---|---|---|---|
76 | 아프가니스탄, 알바니아, 알제리, 오스트리아, 벨기에, 부탄, 보츠와나, 불가리아인민공화국, 미얀마, 부룬디,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메룬, 캐나다, 스리랑카, 칠레, 쿠바,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덴마크, 에콰도르, 이집트, 적도 기니, 에티오피아, 핀란드, 프랑스, 가나, 기니, 가이아나, 헝가리인민공화국, 아이슬란드, 인도, 이란, 이라크, 아일랜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케냐, 쿠웨이트, 라오스, 리비아 아랍 공화국, 말레이시아, 말리, 모리타니, 멕시코, 몽골인민공화국, 모로코, 네팔, 네덜란드, 나이지리아, 노르웨이, 파키스탄,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콩고 인민 공화국, 페루, 폴란드인민공화국, 포르투갈,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르완다, 세네갈, 시에라리온, 싱가포르, 소말리아, 수단, 스웨덴, 시리아 아랍 공화국, 토고, 트리니다드 토바고, 튀니지, 터키, 우간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예멘, 유고슬라비아, 잠비아 | 59.37% | 68.46% | |
35 | 오스트레일리아, 볼리비아, 브라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 민주 공화국, 코스타리카, 베냉,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가봉, 감비아,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코트디부아르, 일본, 캄보디아, 레소토, 라이베리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몰타, 뉴질랜드, 니카라과, 니제르, 파라과이,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에스와티니, 미국, 상볼타,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 27.34% | 31.53% | |
17 | 아르헨티나, 바레인, 바베이도스, 콜롬비아, 키프로스, 피지, 그리스, 인도네시아, 자메이카, 요르단, 레바논, 룩셈부르크, 모리셔스, 파나마, 카타르, 스페인, 태국 | 13.28% | X | |
합계 | 128 | 100% | 100% | |
출처: Resolution 2758 voting record[35] |
모리셔스, 오만, 중화민국 3개국은 불참하였다.
6. 각국의 입장과 영향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는 국제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며, 각국은 자국의 입장과 이해관계에 따라 결의안에 대해 다른 반응을 보였다.
일본은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가입에는 찬성하고 중화민국의 의석 박탈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사토 에이사쿠 총리는 "이중 대표제 결의안"과 "박탈 반대 중요 문제 결의안"을 공동 제안했으나, "중요 문제 결의안"은 부결되고 알바니아 결의안이 채택되면서 "이중 대표제 결의안"은 표결에 부쳐지지도 못했다.[8] 1972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한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진했고, 일중 공동 성명을 발표하며 중화민국과 단교했다.[17]
중화민국은 결의안 통과로 유엔에서 축출되면서 국제적으로 고립되는 상황에 직면했다.[7] 일본과 미국 등 일부 국가는 중화민국과의 관계를 유지했지만, 많은 국가들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를 선택했다. 이덩후이 시대부터 중화민국은 매년 유엔 가입을 요구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의 압력으로 실현되지 못했다.[25] 천수이볜 총통은 "대만" 명의로 유엔 가입을 신청했지만,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결의를 근거로 신청을 불허했다.[25]
중화인민공화국은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후 1949년부터 유엔에서 중화민국의 축출을 요구해왔다.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협력을 얻기 위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승계에는 합의했지만, 중화민국의 유엔 추방까지는 고려하지 않았다.[4] 그러나 1970년, 알바니아 결의안이 과반수를 넘어서면서 상황이 역전되었다.[5] 결의안 통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되었고, 우탄트 유엔 사무총장은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단을 환영했다.[26][27] 중화인민공화국은 거부권을 신중하게 행사했으며,[28][29][30][31]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며 중화민국("두 개의 중국") 또는 "대만"으로서의 독립을 경계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은 냉전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알바니아 결의안에 찬성했다. 반공주의적인 스페인, 그리스, 룩셈부르크만이 기권했다.[20] 포르투갈은 12·3 사건으로 인해 중화민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찬성으로 돌아섰다.
알바니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친선국으로서 결의안을 주도했지만,[32]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세계 삼극 체제론을 내세우자 이에 반발하며 관계가 악화되었다.
6. 1. 일본
일본은 1964년과 1970년에 결의안에 모두 반대표를 던졌다. 1971년 8월, 사토 내각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가입에는 찬성하지만, 중화민국의 의석 박탈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토 에이사쿠 총리는 "이중 대표제 결의안"과 "박탈 반대 중요 문제 결의안"을 공동 제안했다.[8]국제연합총회에서 일본이 지지한 "중요 문제 결의안"은 부결되었고, 알바니아 결의안이 채택되면서 "이중 대표제 결의안"은 표결에 부쳐지지도 못했다. 일본 내 좌파 정당과 언론은 이를 외교적 패배로 규정하고 사토 내각을 비판했다. 그러나 사토 총리와 외무대신 후쿠다 다케오는 일본이 국제 사회에서 신의를 지켰다고 주장했다.[9]
1971년 11월, 자유민주당 간사장의 서한을 저우언라이 총리에게 전달하려 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서한 수령을 거부했다.[10][11][12] 1972년 1월, 사토 총리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의향을 밝혔다.[13]
같은 해 2월, 미국 닉슨 대통령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 이후, 미키 다케오가 중국을 방문하여 저우언라이와 회담했다. 1972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한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는 "일중 국교 정상화"를 내걸고 중화인민공화국과의 평화조약 체결을 목표로 했다.
제1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은 중화민국과의 관계 유지를 고려하면서도, 1972년 9월 다나카 총리가 직접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일중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중화민국과 단교했다.[17] 중화민국도 같은 날 일본과의 단교를 선언했다.[18]
6. 2. 중화민국 (대만)
결의안 통과로 중화민국은 유엔에서 축출되었고,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 국제사회에서 중화민국과의 수교 단절을 요구하는 압력으로 이어졌다.[7] 그 결과, 중화민국은 국제적으로 고립되는 상황에 직면했다.일본과 미국 등 일부 서방 국가들은 결의에 반대하며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 및 민간 교류를 지속하고 비공식적으로 실질적인 국교에 가까운 대우를 유지했다.[21] 그러나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캐나다, 터키 등 다른 서방 국가들은 결의에 찬성했다. 2023년 8월 현재, 중화민국과 공식적인 국교를 맺고 있는 국가는 중남미와 오세아니아를 중심으로 13개국에 불과하며, 이들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맺고 있지 않다.[21][22]
이덩후이 시대인 1993년부터 중화민국은 매년 유엔 가입을 요구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의 압력으로 실현되지 못했다.[25] 2007년 천수이볜 총통은 처음으로 "대만" 명의로 유엔 가입을 신청했지만,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결의를 근거로 신청을 불허했다. 천수이볜은 "대만은 절대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속하지 않는다"며 반발하고 "본 결의는 대만의 귀속에는 언급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25] 2009년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마잉주 총통은 17년 만에 유엔 가입 신청을 철회했다.[25]
6. 3.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대륙을 통치하던 중화민국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승전국으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으나,[2] 국공내전에서 패배하고 타이완으로 거점을 옮겼다.[3]중화인민공화국은 1949년 11월 18일 유엔에 중화민국의 추방을 처음으로 제기한 이후, “중국 대표권 문제”는 오랫동안 제안되었지만 계속 부결되었다. 1961년 제16차 유엔 총회 이후 유엔 헌장 제18조에 명시된 “중요 사항”으로 지정하는 “중요 문제 결의안”이 별도로 공동 제출되었고, 이것이 계속 가결됨으로써 저지되었다.[8]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베트남 민주 공화국)과의 휴전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협력이 필요하게 되면서 전환점이 마련되었다. 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협력을 얻기 위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승계는 합의했지만, 중화민국의 유엔 추방까지는 생각하지 않았다.[4] 그러나 1970년 시점에서 알바니아 결의안은 찬성 51, 반대 49, 기권 25, 불참 2로 과반수를 차지한 반면, 중요 문제 결의안은 찬성 66, 반대 52, 기권 7, 불참 2의 상황이어서 역전된 형세는 명백했다.[5]
이 결의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되었고, 당시 유엔 사무총장인 우탄트는 중화인민공화국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신속히 참석할 것을 요청하며 대표단을 환영했다.[26][27]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의 거부권은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에 비해 중화인민공화국은 신중하게 행사했다.[28][29][30][31]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은 자국의 불가분의 영토이며 외국의 개입은 내정 간섭이다”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중화민국(“두 개의 중국”)이 아닌 “대만”으로서의 독립 선언을 경계하여 반국가분열법을 제정하였다. 대만 독립 선언이 있을 경우, 동 법을 근거로 국내 문제로 처리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6. 4. 유럽
냉전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동서 진영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알바니아 결의안에 찬성하였다. 반공주의적인 스페인, 그리스, 룩셈부르크만이 기권하였다.[20] 알바니아 결의 채택 후, 스페인의 프랑코 정권은 1973년, 그리스 군사 정권과 룩셈부르크는 1972년에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하였다.[20]포르투갈은 반공주의적인 에스타두 노보 체제였고, 카네이션 혁명까지 중화민국과 국교를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12·3 사건에서의 관계 악화로 인해 찬성으로 돌아섰다. 서독은 중화인민공화국과도 중화민국과도 국교를 맺지 않았으나, 알바니아 결의 이후 유엔에 가입하였고 1972년에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하였다.[20]
6. 5. 알바니아
중화인민공화국과 엔베르 호자가 이끄는 알바니아 인민공화국은 친선국으로서, 알바니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가입을 적극 지지하며 결의안을 주도했다.[32] 그러나 알바니아는 중화인민공화국이 반공적인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이나 칠레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정권 등과 국교를 맺고 미국과 관계를 개선하는 것에 반발하였다. 알바니아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세계 삼극 체제론을 이용하여 “제3세계의 초강대국”이 되려 한다고 주장했다.[33][34]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의 경제 원조가 중단되면서 알바니아는 경제적으로 빈곤해졌고, 중국-알바니아 관계는 악화되었다.알바니아 노동당의 반 수정주의에 따른 폐쇄적인 외교 정책은,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이 일당제 인민민주주의 체제에서 다당제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하여 알바니아 공화국이 된 1990년대까지 이어졌다.
7. 결론 및 평가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는 20세기 후반 국제 질서의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로 평가된다. 이 결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엔 가입과 중화민국(대만)의 국제적 고립을 초래했지만, 동시에 미중 관계 개선과 냉전 완화에 기여했다.
한국의 관점에서 이 결의는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며,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외교적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이 결의는 강대국 간의 관계 변화가 한반도 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며,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第4章 国際連合における活動とその他の国際協力
https://www.mofa.go.[...]
外務省
[2]
논문
中国外交における象徴としての国際的地位――ハーグ国際会議、国際連盟、そして国際連合へ――
日本国際政治学会
2006-08-00
[3]
논문
台湾二二八事件の分析と再検討――二二八事件の後遺症と今後の政治展望――
台湾史研究会
1993-00-00
[4]
서적
昭和外交五十年
學藝書林
1973-00-00
[5]
서적
昭和外交五十年
1973-00-00
[6]
서적
周恩来の決断 日中国交正常化はこうして実現した
日本放送出版協会
1993-00-00
[7]
서적
昭和外交五十年
1973-00-00
[8]
서적
周恩来の決断―日中国交正常化はこうして実現した
日本放送出版協会
1993-00-00
[9]
웹사이트
第67回国会 衆議院本会議 第6号 昭和46年10月26日
https://kokkai.ndl.g[...]
国立国会図書館
2020-01-05
[10]
웹사이트
日本前首相披露中日交往過程中的另一面
http://www.people.co[...]
人民網
2004-07-06
[11]
웹사이트
日中国交回復 水面下の交渉を託された一人の男の姿
https://www.j-cast.c[...]
j-cast
2017-09-26
[12]
서적
自民党幹事長室の30年
中央公論新社
2005-00-00
[13]
웹사이트
(4)第68回国会における佐藤内閣総理大臣施政方針演説
https://www.mofa.go.[...]
[14]
웹사이트
日本前首相披露中日交往過程中的另一面
http://www.people.co[...]
人民網
2004-07-06
[15]
방송
日中“密使外交”の全貌~佐藤栄作の極秘交渉~
NHK BS1
2017-09-24
[16]
서적
梅と桜―戦後の日華関係
サンケイ出版
1984-00-00
[17]
서적
梅と桜―戦後の日華関係
1984-00-00
[18]
서적
梅と桜―戦後の日華関係
1984-00-00
[19]
서적
キッシンジャー秘録
小学館
1979-00-00
[20]
웹사이트
Sino-West German Relations during the Mao Era
https://www.wilsonce[...]
Wilson Center
[21]
웹사이트
外務省 台湾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8-24
[22]
뉴스
バチカン代表団、中国側と非公式に会談 「対話は長い道のり」
http://www.christian[...]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6-06-01
[23]
서적
China and Africa: A Century of Engagem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2-00-00
[24]
뉴스
Taiwan President to Stop in US
https://www.washingt[...]
ワシントン・ポスト
2007-01-05
[25]
뉴스
台湾が国連加盟申請を見送り、中国との関係改善で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09-09-04
[26]
뉴스
Thant Asks China to Name Delegate to Council Soon
https://www.nytimes.[...]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71-10-28
[27]
서적
The UN Secretary-General and Moral Authority: Ethics and Religion in International Leadership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7-00-00
[28]
뉴스
Echeverria Indicates Readiness To Take Waldheim's Post at U.N.
The New York Times
1976-10-19
[29]
뉴스
Waldheim is Backed by Security Council for Five Years More
The New York Times
1976-12-08
[30]
웹사이트
中国在UN投过的十次否决票
https://3g.163.com/w[...]
观察者网
2018-08-27
[31]
웹사이트
【噴水台】国連事務総長
https://web.archive.[...]
2018-08-27
[32]
서적
Reflections on China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79-00-00
[33]
서적
Selected Works, February 1966 – July 1975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82-00-00
[34]
서적
Selected Works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85-00-00
[35]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26th session : 1976th plenary meeting, Monday, 25 October 1971, New York (A/PV.1976)
https://digitallibra[...]
United Nations Digital Library
1974-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