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 (신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영(劉永)은 후한 초기의 인물로, 경시제가 즉위하자 양왕에 봉해졌으나 경시제의 정치 혼란을 틈타 독립하여 스스로 황제를 칭했다. 주변 군웅들을 포섭하여 세력을 확장했지만, 광무제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도주하던 중 살해당했다. 그의 아들 유우가 양왕으로 옹립되어 광무제에 대항했으나 결국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7년 사망 - 번숭
번숭은 후한 초기의 인물로, 적미군을 이끌고 신나라와 경시 정권에 대항했으며, 유분자를 옹립하여 장안을 점령했지만 통치 실패로 몰락 후 반란을 일으켜 처형되었다. - 상추시 출신 - 주선
주선은 당나라 말기 천평군 절도사로, 한젠의 공격을 막고 주전충과 대립하다 이극용과 동맹을 맺었으나 패배 후 처형당했다. - 상추시 출신 - 전위 (후한)
전위는 후한 말의 인물로, 뛰어난 체력과 의협심을 지녔으며 조조를 섬기며 맹장으로 활약하다가 완성 전투에서 장수의 기습으로 전사했다. - 신나라의 반란자 - 후한 광무제
후한 광무제는 전한 경제의 후손으로 신나라 멸망 후 후한을 건국하여 중국을 통일했으며, 검소한 통치와 유교 진흥을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고 주변 국가들과 관계를 맺었다. - 신나라의 반란자 - 여모
여모는 신나라 말기 아들의 복수를 위해 반란을 일으킨 중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반군 지도자로, 재산을 털어 군대를 일으켜 현령을 처단하며 왕망 정권에 대한 저항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고, 비록 병사했지만 그녀의 추종자들은 후한 건국에 기여했다.
유영 (신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영 |
원래 이름 | 劉永 |
작위 | 한나라의 대립 황제 |
재위 | 25년-26년 |
작위2 | 현한의 양왕 |
재위2 | 23년-25년 |
휘 | 유영 |
사망년도 | 25년 |
사망지 | 양군 수양현 부근 |
출생지 | 양군 수양현(현 상추시) |
아버지 | 양왕 유립 |
자녀 | 유우 |
생애 | |
활동 시기 | 1세기 |
직업 | 군인, 정치가 |
주요 활동 | 갱시제에 반대 스스로 황제 칭함 |
가족 | |
형제 | 유방 유소공 |
기타 | |
연호 | 미상 (황제 자칭 기간) |
2. 생애
경시제가 즉위하자 유영은 경시제를 찾아뵙고 양왕에 봉해져, 전한 시절 양나라의 도읍인 수양에 그대로 도읍을 두었다. 경시제의 정치가 어지러워지자 독립하여 아우 유방(劉防)을 보국대장군, 유소공(劉少公)을 어사대부로 삼고 유소공은 또 노왕으로 봉했다. 주건(周建) 등 호걸들을 장수로 삼고, 제음, 산양, 패, 초, 회양, 여남 등 주변 군국을 공격해 28성을 획득했다. 서방(西防, 산양군 창읍현 서남쪽에 위치한 요새)의 교강을 횡행장군, 동해군을 점거한 동헌(董憲)을 익한대장군, 제군을 평정한 장보를 보한대장군으로 삼는 등 주변의 군웅들에게도 관직을 주어 포섭하려 하였고, 그들과 연합해 동방을 평정했다. 경시제가 패망하자 스스로 천자를 일컬었다.[5]
이후, 광무제와 대립하며 광무제가 보낸 군대와 싸웠으나, 결국 장군 경오(慶吾)에게 살해되었다.[5]
2. 1. 초기 생애와 거병
경시 원년(23년), 유현이 즉위하여 낙양에 들어가자 유영은 이에 배알하고 양왕에 봉해져 수양(양군)을 도읍으로 삼았다.[5] 경시제의 통치가 문란해진 것을 보고 독립적인 행동을 취했다. 동생 유방을 보국대장군, 유소공을 어사대부에 각각 임명했으며 유소공은 노왕에도 봉해졌다.[5][1] 주건 등을 장수로 임명하고, 제음, 산양, 패, 초, 회양, 여남의 각 군을 공략하여 28개 성을 획득했다.[5][1]서방(산양군)의 교강을 횡행장군, 동해군의 동헌을 익한대장군, 제군을 평정한 장보를 보한대장군에 임명하여 자신의 지배하에 두었고, 중국의 동부 지역을 폭넓게 수중에 넣었다.[1] 경시 3년, 경시제가 적미군에게 패배하자 천자를 자칭했다.[5]

2. 2. 황제 즉위와 최후
경시제가 즉위하자 경시제를 찾아뵙고 양왕에 봉해졌고, 경시제의 정치가 어지러워지자 독립하여 황제를 자칭했다.[5]건무 2년(26년) 여름, 광무제가 보낸 호아대장군(虎牙大將軍) 갑연 등과 싸웠다. 광무제 군에 내분이 있어 갑연과 다툰 소무(蘇戊)의 귀순을 받아 대사마 겸 회양왕으로 삼았지만, 서울 수양이 광무제 군에게 포위되어 몇 달 만에 함락되었고 자신은 가속과 함께 양군 우현(虞縣)으로 달아났다. 그러나 우현 백성들의 공격을 받아 어머니와 아내, 자식을 잃고 초로 달아났다.[5] 소무·교강·주건 연합군의 구원을 받았으나 갑연에게 졌다.[2]
건무 3년(27년) 봄, 광무제에게 항복한 장보를 제왕(齊王)으로, 동헌을 해서왕으로 삼아 다시 수하에 넣었다.[3] 수양현 백성들이 광무제의 군대를 내쫓고 성을 유영에게 바쳤지만,[5] 소무와 주건을 공격한 오한이 갑연과 군을 합쳐 수양을 포위하자 식량이 부족해 유영은 소무, 주건과 함께 성에서 달아났다. 달아나는 중에 장군 경오(慶吾)에게 살해되었고, 경오는 유영의 머리를 가지고 광무제에게 투항해 열후에 봉해졌다.[5]
유영 사후, 소무와 주건이 유영의 아들 유우를 양왕으로 옹립하여 광무제와의 싸움을 이어나갔으나, 건무 5년(29년) 8월, 유우는 탄성(동해군)을 함락당하고 도망갈 곳을 잃은 후, 부하 병사 고호에게 배신당해 살해되었고, 양국은 한나라에 편입되었다.
3. 평가
유영이 죽은 후, 소모와 주건은 유영의 아들인 유우를 지지하여 양왕으로 계승하고 한나라에 대항하는 싸움을 계속했다. 그러나 서기 29년 8월, 유우의 탄해군이 함락되었다. 그는 고호가 이끄는 그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했고, 이는 양왕 정권의 종말을 알렸다.[4]
4. 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유영 |
참조
[1]
서적
Social History Of China
2015
[2]
서적
The Sinitic Civilization Book Ii A Factual History Through the Lens of Archaeology, Bronzeware, Astronomy, Divination, Calendar and the Annals
2018
[3]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Qin, Former Han and Xin Periods, 221 BC - AD 24
2000
[4]
논문
Growth of Feudal Society in the Qin and Han Dynasties
[5]
서적
후한서 권12 열전제2 왕유방장이팽노전 중 유영·방맹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