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흥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흥인은 조선 중종 대에 무과에 응시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1543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나, 1545년 아버지 윤임이 소윤 세력과의 갈등에서 패배하면서 전라도 낙안으로 유배되었다. 유배 도중 계림군과의 연루 혐의로 사형당했으며, 그의 가족들 또한 연좌되어 몰락했다. 그의 아들 윤호는 중종의 외손녀사위였기에 사형을 면할 수 있었다.

2. 생애

윤흥인은 어머니 여주 이씨가 일찍 사망하여 아버지 윤임병마절도사 곽한(郭翰)의 딸 현풍 곽씨와 재혼하면서 이복동생 윤흥신이 태어났다. 윤흥신은 임진왜란 때 전사하였다. 서모에게서 이복 동생 윤흥효, 윤흥제가 태어났는데, 윤흥제는 이복 형 윤흥신과 함께 임진왜란 초기에 전사하였다. 윤흥인의 부인은 순흥 안씨로 안경공의 6대손 판관 안세형(安世亨)의 딸이다.

2. 1. 가계와 초기 활동

1542년(중종 37년) 무과에 응시했으나 두 번째 시험소에서 응시하던 중 사헌부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었다. 무과 이소(武科二所)의 거자(擧子) 윤흥인(尹興仁)이 기사(騎射)할 때 표적을 맞히지 못한 것을 징을 쳤는데, 감적관(監的官)이 도리어 징을 가진 사람을 탓하고 위협하여 북을 치게 하니, 시관은 일부러 모른 체하고 맞힌 것으로 처리하였다 하여 시험의 공정성에 이의가 제기되었다.[2]

이듬해인 1543년(중종 38년) 좌랑(佐郞)으로 재직 중 다시 무과에 응시, 그 해의 식년무과(式年武科)에 갑과(甲科) 2등 아원(亞元)으로 급제하였다.

1545년(인종 1) 내승(內乘)을 거쳐 그해 2월 공조 좌랑을 거쳐 형조정랑(刑曹正郞)을 역임하였다. 그해 6월 인종이 위급하자 입직을 섰고, 인종의 상태를 보고하였다.[3] 병세가 악화되자 그해 7월 1일 인종은 유언을 하며 '윤흥인(尹興仁)·윤흥의(尹興義) 형제로 하여금 내 상사를 감호(監護)하게 하라고 대신에게 말하라[4]' 하였다.

2. 2. 관직 생활과 을사사화

1542년(중종 37년) 무과에 응시했으나 두 번째 시험소에서 응시하던 중 사헌부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었다. 사헌부에서는 무과 이소(武科二所)의 거자(擧子) 윤흥인(尹興仁)이 기사(騎射)할 때 표적을 맞히지 못한 것을 징을 쳤는데, 감적관(監的官)이 도리어 징을 가진 사람을 탓하고 위협하여 북을 치게 하니, 시관은 일부러 모른 체하고 맞힌 것으로 처리하였다 하여 시험의 공정성에 이의를 제기했다.[2]

이듬해인 1543년(중종 38년) 좌랑(佐郞)으로 재직 중 다시 무과에 응시, 그 해의 식년무과(式年武科)에 갑과(甲科) 2등 아원(亞元)으로 급제하였다.

1545년(인종 1) 내승(內乘)을 거쳐 그해 2월 공조 좌랑을 거쳐 형조정랑(刑曹正郞)을 역임하였다. 그해 6월 인종이 위급하자 입직을 섰고, 인종의 상태를 보고하였다.[3] 병세가 악화되자 그해 7월 1일 인종은 유언을 하며 '윤흥인(尹興仁)·윤흥의(尹興義) 형제로 하여금 내 상사를 감호(監護)하게 하라'고 대신에게 말했다.[4] 1545년 대윤과 소윤의 갈등에서 아버지 윤임이 패하자 을사사화가 발생, 그 역시 연좌되어 전라도 낙안(樂安)으로 유배되었다. 이때 그의 아버지 윤임은 다른 외조카인 계림군을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낙안(樂安)으로 내려가던 길목인 여산(礪山)에 머물렀는데, 그는 홍언필 등에 의해 계림군과 왕래하였다고 지목되어 추국받았다.[5] 1545년(명종 즉위) 9월 11일 여산에서 교형을 선고받고[6], 얼마 뒤 교형으로 죽었다. 그의 가족들도 연좌되었고, 가산 또한 몰수되었다. 이때 아버지 윤임과 윤임의 다른 두 아들, 그의 동생인 흥의(興義), 흥례(興禮) 등도 연좌되어 사형당했다. 그의 아들 윤호는 혜정옹주의 딸과 혼인하였으므로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그밖에 그의 이복 동생들과 서출 이복 동생들은 나이가 어리다 하여 특별히 죽음을 모면하고 노비가 되었다.

1545년 11월 26일 명종은 영중추부사 홍언필(洪彦弼), 영의정 윤인경(尹仁鏡), 우찬성 임백령(林百齡), 우참찬 신광한(申光漢) 등을 불러 윤임(尹任)의 손자이므로 폐하여 서인을 만들어야 하는데, 율문은 그러하나 다만 선왕의 자손을 속천(屬賤)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논의하게 했다.[7] 아들 윤호는 중종의 외손녀사위라 하여 사형을 면하게 되었다.

2. 3. 비극적인 죽음과 가족의 몰락

1545년(인종 1) 대윤과 소윤의 갈등에서 아버지 윤임이 패하면서 을사사화가 발생했고, 윤흥인 역시 연좌되어 전라도 낙안(樂安)으로 유배되었다. 이때 윤임은 외조카 계림군을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았다.[5]

낙안으로 가던 중 여산(礪山)에 머물렀는데, 홍언필 등은 윤흥인이 계림군과 왕래하였다고 지목하여 추국하였다.[5] 1545년(명종 즉위) 9월 11일 여산에서 교형이 선고되었고[6], 얼마 뒤 교형으로 죽었다. 윤흥인의 가족들도 연좌되었고, 가산 또한 몰수되었다. 이때 윤임과 그의 다른 두 아들, 윤흥인의 동생인 흥의(興義), 흥례(興禮) 등도 연좌되어 사형당했다. 윤흥인의 아들 윤호는 혜정옹주의 딸과 혼인하였으므로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이복 동생들과 서출 이복 동생들은 나이가 어려 특별히 죽음을 면하고 노비가 되었다.

1545년 11월 26일 명종은 영중추부사 홍언필(洪彦弼), 영의정 윤인경(尹仁鏡), 우찬성 임백령(林百齡), 우참찬 신광한(申光漢) 등을 불러 윤임(尹任)의 손자를 서인으로 만들어야 하는지 논의했다. 율문에는 서인으로 만드는 것이 마땅하나, 선왕의 자손을 속천(屬賤)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의견이 나왔다.[7] 결국 아들 윤호는 중종의 외손녀사위라 하여 사형을 면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윤여필파원부원군 영돈녕부사[8]
조모순천 부부인 박씨부: 평양군 박중선, 조모: 심온의 딸
고모장경왕후중종의 제1계비
고모파평 현부인 윤씨덕풍군 이이(성종의 형 월산대군의 서자)의 처
아버지윤임
어머니정부인 증 정경부인 여흥 이씨첨추 이보(李俌)의 딸
동생윤흥의
동생윤흥례
누이윤씨사위 : 이덕응
누이윤씨사위 : 이홍윤
계모정부인 증 정경부인 현풍 곽씨병마절도사 곽한(郭翰)의 딸
이복 동생윤흥지
이복 동생윤흥신
이복 동생윤흥충
제수이씨영원감 이의수의 딸, 후사 없음
서모이름 미상양민 출신 첩
서제윤흥효손자 윤종
서제윤흥제손자 윤상
서모매향기생 출신
서모종이(終伊)고모가 시집갈 때 데려간 노비 출신
부인순흥 안씨판관 안세형의 딸
아들윤경
아들윤호
아들윤발(尹 玉+發)윤흥례에게 출계
윤씨사위 심광보
윤씨사위 임응우
외조부이보(李俌)본관은 여주, 양녕대군의 딸 재령군주의 증손자
외조모광주 이씨승지 이세광(李世匡)의 딸


참조

[1] 문서 중종의 제2계비 장경왕후의 친정 조카이고, 증조모를 통해 효령대군의 외6대손이 된다. 소윤 윤원형은 아버지쪽으로 10촌이었고, 그의 형 윤원개 역시 10촌 형인데 윤원개는 동시에 외가로는 친이모부가 된다.
[2] 간행물 헌부가 과거의 시행이 문란함을 아뢰니 대신들과 의논하기로 하다 중종실록 1542-12-08
[3] 간행물 상의 증세가 위급해지다 인종실록 1545-06-26
[4] 간행물 승전 내시 김승보가 나와서 상의 유교를 전하다 인종실록 1545-07-01
[5] 간행물 계림군과 왕래가 있었던 자들을 잡아 힐문할 것 등을 명하다 명종실록 1545-09-05
[6] 간행물 윤임·유관·유인숙 등의 참형을 명하다 명종실록 1545-09-11
[7] 간행물 홍언필 등과 윤임의 손자 윤호의 치죄에 대해 의논하다 명종실록 1545-11-26
[8] 문서 80세 이상의 고령이라 귀양은 면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