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히코 신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야히코 신사(弥彦神社)는 니가타현에 위치한 신사로,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대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아메노카고야마노미코토를 제신으로 모시며, 어업, 제염, 벼농사 등 지역 산업 기술을 전파한 신으로 숭배받았다. 무사 계급의 후원을 받아 중요 문화재로 지정된 일본도를 소장하고 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국가 신토 정책에 따라 국폐중사로 지정되었다. 현재의 신사 건물은 1916년에 재건되었으며, JR 야히코역에서 도보로 접근 가능하다. 또한, 중요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된 등롱 오시(등롱 신사)를 비롯한 다양한 제례와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히코촌 - 야히코산
야히코산은 니가타현에 위치한 산으로, 등산로와 로프웨이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일본해와 에치고 평야를 조망할 수 있고, 니가타현의 주요 방송 송신소 역할을 한다. - 야히코촌 - 사쿠라이고촌
사쿠라이고 촌은 1889년 시가현 구리타군에 설립되었으나 1955년 구사쓰시 등과 합병되어 소멸된 일본의 촌이다. - 니가타현의 중요문화재 - 북방문화박물관
북방문화박물관은 한국의 북방정책 관련 자료 보존, 연구, 전시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 증가 속에 성장하여 국가 등록 유형 문화재 및 중요 문화재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나 최근 예산 삭감으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니가타현의 중요문화재 - 사도 금광
사도 금광은 일본의 주요 금, 은 생산지로서 센고쿠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까지 운영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막부 재정을 뒷받침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인 강제 징용의 역사를 안고 현재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야히코 신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야히코 신사 |
원어 이름 | 弥彦神社 (야히코진자) |
종교 | 신토 |
유형 | 이치노미야 |
위치 | 니가타현야히코 마을 |
웹사이트 | 야히코 신사 공식 웹사이트 |
축제 | 2월 2일 |
문화재 지정 | 중요 문화재 |
신앙 | |
모시는 신 | 아메노카구야마노미코토 |
신체 | 야히코산 (신체산) |
역사 | |
창건 | 불명 |
건축 | |
본전 양식 | 삼간사 흘러내림 양식 (三間社流造) |
2. 역사
이야히코 신사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불분명하나 나라 시대의 ''만요슈''에도 언급될 정도로 오래되었다. 역사적으로 '이야히코(伊夜比古・伊夜日子・伊夜彦)' 등으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야히코(やひこ)'로 불린다.[12] 에치고 평야 서쪽 야히코 산(해발 634m) 기슭에 자리하며, 산 자체를 신체 산으로 모신다.
주요 제신은 에치고 국 개척의 조상신으로 전해지는 아메노카구야마노미코토이다.[3][5] 고대에는 조정의 인정을 받아 신계(神階)가 상승하였고[6], 중세에는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우에스기 겐신 등 무사 계급의 후원을 받았다.[7] 에도 시대에는 다카다 번으로부터 사령을 기진받았으며[7], 메이지 시대에는 국가 신토 체제 하에서 국폐중사(国幣中社)로 지정되었다.[7]
1912년 화재로 소실된 후 1916년에 현재의 건물이 재건되었다.[7] 이 신사는 궁중과 마찬가지로 진혼제를 거행하며[13], 홋카이도부터 산인 지방까지 분사가 분포해 있다.[13] 보물관에는 일본의 중요 문화재인 "시다노오오타치(志田大太刀)"를 비롯한 여러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7]
2. 1. 고대
이야히코 신사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나라 시대에 편찬된 ''만요슈''에도 "고대(古)"라고 언급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신사의 전설에 따르면, 제신(祭神)인 아메노카구야마노미코토는 하늘에서 내려와 현재 나가오카시에 속하는 노즈미하마(野積浜)에 도착했다고 한다. 그는 이곳 주민들에게 어업, 제염, 벼농사, 양잠 등 다양한 산업 기술을 전파하였다.[3][5] 이후 에치고 국을 개척한 신으로서 야히코 산에 모셔졌다.
아메노카구야마노미코토는 ''고지키''(古事記)에서 진무 천황의 즉위식 때 ''부악''(舞楽) 춤을 추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오와리(尾張) 지역의 ''구니노미야쓰코''(国造)의 조상신으로도 여겨진다. 다만, 신사의 전승 과정에서 호쿠리쿠(北陸) 지역 ''구니노미야쓰코''의 조상신인 오히코노미코토(大彦命)와 혼동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6]
이 신사는 833년의 역사서 ''쇼쿠 니혼코키''(続日本後紀)에 처음 언급된다. 같은 기록에 따르면 842년에는 종5위 하(従五位下)의 신계(神階)를 받았다. 이후 861년에는 ''니혼 산다이 지쓰로쿠''(日本三代実録)에 따라 종4위 하(従四位下)로 승격되었으며, 927년에 편찬된 ''엔기시키''(延喜式)의 신명장(神名帳)에도 그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2. 2. 중세
이 신사는 833년 『쇼쿠 니혼코키』(続日本後紀)에 처음 언급되며, 같은 기록에 따르면 842년에는 종5위하(従五位下)의 신계(神階)를 받았다. 861년에는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実録)에 따라 종4위하로 승격되었다. 927년에 편찬된 『엔기시키』(延喜式)의 신명장(神名帳)에도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신사의 이후 역사는 화재 등으로 오래된 기록이 많이 소실되어 불확실한 부분이 많다. 이 신사는 무사 계급의 후원을 많이 받았으며, 신사의 보물에는 무로마치 시대의 오다치 일본도가 있는데, 이는 일본의 중요 문화재이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우에스기 겐신이 기증한 갑옷과 칼도 있다.[7]
2. 3. 근세-근대
에도 시대에는 다카다 번의 번주인 마쓰다이라 타다테루가 신사 유지를 위해 500석의 고쿠다카 사령을 기진하였다.[7] 이 무렵 신주였던 다카하시 사콘 미쓰요리는 신도 학자 다치바나 산키의 영향을 받아 신사의 진구지를 폐지하고 불상을 제거하며 신장제를 거행하는 등 신불 분리를 시도했으나, 겐로쿠 4년(1691년) 진구지 승려의 고소로 인해 실패하였다.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는 야히코 신사에 쇼토쿠 태자가 기록했다고 주장하는 신대 문자 문서가 보존되어 있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었다고 주장했다.메이지 유신 이후 국가 신토 정책에 따라 메이지 4년(1871년) 근대 사격 제도에서 국폐중사(国幣中社)로 지정되었다. 현재의 신사 건물은 1916년에 재건된 것으로, 이전 건물은 1912년 마을에서 시작된 화재로 소실된 후 다시 지어졌다.[7]
3. 제신
야히코 신사에 모셔진 가미는 다음과 같다.
- '''아메노카고야마노미코토'''(天香山命|아메노카고야마노미코토일본어) [3][5]
- : "아메노카고야마노미코토"(天香語山命|아메노카고야마노미코토일본어)라고도 표기하며, "오야히코사마"(おやひこさま|오야히코사마일본어)라고도 불리는 '''에치고 국 개척의 조상신'''이다. 지명에서 유래하여 "'''이야히코오오카미'''"(伊夜日古大神|이야히코오오카미일본어, 伊夜比古大神|이야히코오오카미일본어, 伊夜彦大神|이야히코오오카미일본어) 등으로도 불린다.
- : 야히코 산(弥彦山) 정상에 있는 어신묘(御神廟|고신묘일본어, 오쿠노미야(奥の宮|오쿠노미야일본어))가 신묘(神廟)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제신에 관해서는 오오히코노미코토(大彦命)로 보는 설도 있다.[6]
사전(社伝)에 따르면, 아메노카고야마노미코토는 에치고 국 노즈미(野積) 해변(현재의 나가오카시)에 상륙하여, 현지 주민들에게 어업, 제염, 벼농사, 양잠 등의 산업 기술을 가르쳤다고 한다.[3][5] 이 때문에 에치고 국을 개척한 신으로서 야히코 산에 모셔져 "이야히코노카미"(伊夜日子大神|이야히코노카미일본어)로 숭배받게 되었다. 또한 『고사기』에는 진무 천황의 즉위식(대례) 때 신악(神楽)을 봉주(奉奏)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만, 『고사기』에는 아메노카고야마노미코토가 「다카쿠라시타」(高倉下)로 등장하지만, 두 신이 동일하다는 명확한 기술은 없다.
오와리 국조(尾張国造) 가문의 조상신인 아메노카고야마노미코토가 에치고에 모셔지는 점이 부자연스럽다는 점에서, 원래 제신은 호쿠리쿠의 국조(国造) 가문인 다카하시씨(高橋氏)의 조상신인 오오히코노미코토(大彦命)가 아니냐는 설도 제기된다.[6]
4. 경내
(내용 없음)
4. 1. 본사 (산록)
사전(社殿)은 메이지 45년(1912년)에 소실되었으나, 다이쇼 5년(1916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 다시 지어졌다. 배전(拝殿) 뒤로는 야히코 산을 바라보는 구조이다.[14]- 본전(本殿): 3칸 사당 나가레즈쿠리 양식으로 지어졌다.
- 폐전(幣殿)
- 배전(拝殿)
- 만요도(万葉道)
4. 2. 야히코 산정
- '''어신묘''' (御神廟)
- : 어쿠노미야(奥宮)라고도 불린다. 야히코산 정상에 위치한다. 天香山命|아메노카구야마노미코토jpn와 그의 비(妃)인 熟穂屋姫命|우마호야히메노미코토jpn의 신묘(神廟)로 여겨진다.
4. 3. 기타
- 큰 도리이
- : 야히코와 요시다를 잇는 현도 제29호선 상, 야하기역 근처에 위치한다. 쇼와 57년(1982년)에 건립되었으며, 높이는 30m로 건립 당시 일본에서 가장 높았다[15]。
- 야히코 신사 상륙지
- * 소재지: 나가오카시데라 도마리 노즈미 해안
- : 야히코의 신이 상륙한 곳으로 전해지며, 이를 기념하는 석비가 세워져 있다.
5. 섭말사
섭사(摂社)와 말사(末社)는 본사에 부속된 작은 신사들을 의미한다.[1] 이야히코 신사에는 여러 섭사와 말사가 있으며, 이는 신사의 경내에 위치하거나 경외에 자리 잡고 있다. 각 신사는 모시는 제신과 유래가 다르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5. 1. 섭사·신묘
(아메노카구야마노미코토의 비신)(제1 계승자)
(제2 계승자)
(제3 계승자)
(제4 계승자)
(제5 계승자)
(제6 계승자)
(야히코 신사 옛터로 전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