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모로소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모로소시는 류큐 왕국의 가요 모음집으로, 1531년, 1613년, 1623년에 걸쳐 총 22권으로 편찬되었다. 왕, 최고 신녀, 영웅 등을 칭송하고, 풍경, 천문, 전쟁, 신화 등을 소재로 한 노래 1554수를 수록하고 있다. 류큐 문화의 중요한 사료로, 류큐의 민속, 제의, 사회 구조 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히라가나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류카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1709년 슈리성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재편성되었고, 현재는 오키나와현립 박물관·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키나와현의 중요문화재 - 다마우둔
    다마우둔은 1470년부터 1879년까지 류큐 왕국 제2 쇼 왕조의 역대 왕과 왕족들이 안장된 능묘로, 쇼 신 왕의 명령으로 1501년에 완공되어 동실, 중실, 서실로 나뉘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으나 복원되었고 유네스코 세계유산 및 일본 국보로 지정되었다.
  • 오키나와현의 중요문화재 - 오키나와 현립 박물관·미술관
    오키나와 현립 박물관·미술관은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위치하며, 오키나와의 역사, 자연, 문화를 전시하는 박물관과 다양한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미술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오키나와현의 문화 - 류카
    류카는 오키나와의 정형시로, 팔음을 중심으로 오음, 육음, 칠음을 표준으로 하며, 8-8-8-6조의 형식을 가지고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가진다.
  • 오키나와현의 문화 - 니라이카나이
    니라이카나이는 류큐 열도에 전해지는 풍요와 생명의 근원인 이상향에 대한 믿음으로, 신이 연초에 찾아와 풍요를 가져다주고 연말에 돌아간다고 여겨지며 오키나와현과 가고시마현 아마미 제도 등지에서 민간 신앙의 중요한 요소이자 문화 콘텐츠의 모티브가 되었다.
  • 류큐국 - 슈리성
    슈리성은 13~14세기에 건설되어 류큐 왕국의 왕궁이자 행정 중심지였으며, 여러 차례 화재와 파괴를 겪고 복원 과정을 거쳐 2000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2019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2026년 완공을 목표로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이다.
  • 류큐국 - 미류수호조약
    미류수호조약은 미국이 류큐를 일본 본토 진출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1854년 류큐 왕국과 체결한 조약으로, 양국 간 평화와 우호 관계, 주권 존중, 외교 및 통상 관계 수립 등을 내용으로 하지만, 복잡한 배경으로 인해 실효 여부에 논란이 있다.
오모로소시
개요
종류류큐 가요집
언어고대 일본어
시대12세기 ~ 16세기
지역류큐 제도
기록 시기16세기 말 ~ 17세기 초
편찬 시기1608년 ~ 1611년
편찬자쇼네이 왕
권수22권
수록 가요 수1553수
중요도귀중한 류큐의 고전 문학 자료
명칭
일본어오모로소시 (おもろさうし)
류큐어우무루 우-소시 (Umuru U-Sōshi)
북부 류큐어오모로 오-사우시 (Omoro O-Saushi)

2. 명칭의 유래

''소시''(草紙)는 단순히 문서를 의미하지만, "오모로"라는 용어의 기원과 의미는 더 모호하다. 이하 후유는 신탁과 신성한 노래와 관련된 다양한 단어에서 그 기원을 추적한 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이 용어를 신성한 숲을 의미하는 류큐어 단어인 ''오모리''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나카하라 젠추는 "생각하다"라는 의미의 류큐어 ''우무루'' 또는 ''우무이''에서 그 기원을 추적했다.[3]

용어의 진정한 의미나 기원에 관계없이, 기본적인 의미의 흐름은 분명하다. "생각의 모음" 또는 집단 기억의 모음인 ''오모로 소시''는 또한 신성한 숲과 신성한 노래와 관련이 있다.

3. 내용 및 구성

《오모로소시》는 , 최고 신녀(노로), 용사, 시인, 항해자 등 다양한 인물들을 칭송하고, 풍경, 천문, 전쟁, 신화 등 폭넓은 소재를 다룬 노래들을 담고 있다. 드물게 연애를 주제로 한 노래도 포함되어 있다.[1]

전체 22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편찬 시기는 일정하지 않다. 1531년에 제1권이 편찬된 후 약 70년간 중단되었다가, 사쓰마의 류큐 침공 이후인 1613년에 제2권이, 다시 10년 후인 1623년에 나머지 20권이 한꺼번에 편찬되었다.[1]

3. 1. 1권

, 최고 신녀(노로), 용사, 시인, 항해자 등을 찬양하고, 풍경, 천문, 전쟁, 신화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소량이지만 연애를 노래한 것도 있다. 1권은 가정 10년(1531년)에 편찬되었다.

# 키코에 오오키미가 오모로 슈리 왕부의 어사우시 가정 10년

3. 2. 2권

1613년(만력 41년) 5월 28일에 슈리 왕부에서 편찬한 어사우시(御さうし)이다. 내용은 "나카구스쿠 콧카이 오모로(中城越来おもろ)"이다.[1]

3. 3. 3권 ~ 22권

, 최고 신녀, 용사, 시인, 항해자를 찬양하고, 풍경, 천상, 전쟁, 신화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소량이지만 연애를 노래한 것도 있다. 총 22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지만, 편찬 시기가 불연속적이며, 가정 10년(1531년)에 권1이 편찬된 후 약 70년간 편찬이 중단되었으며, 류큐 침공 이후 만력 41년(1613년)에 권2가, 10년 후 천계 3년(1623년)에 나머지 20권이 편찬되었다.

제목편찬 시기
제3권きこゑ大きみかなし おもろ御さうし|키코에 오오키미 카나시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4권あおりやゑさすかさの おもろ御さうし|아오리야 에사스카사노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5권首里天きやすへあんじおそいがなし 首里おもろの御さうし|슈리 텐 키야스헤 안지 오소이가나시 슈리 오모로의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6권首里大君せんきみ君がなし もゝとふみあがりきみの つんしのおもろ御さうし|슈리 다이군 센키미 키미가나시 모모토 후미아가리 키미노 츤시노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7권首里天きやすへあんじおそいがなし はひのおもろ御さうし|슈리 텐 키야스헤 안지 오소이가나시 하이노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8권首里天きやすへあんじおそいがなし おもろねやがりあかいんこが おもろ御さうし|슈리 텐 키야스헤 안지 오소이가나시 오모로 네야가리 아카잉코가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9권首里天きやすへあんじおそいがなし いろ/\のこねりおもろ御双紙|슈리 텐 키야스헤 안지 오소이가나시 이로이로노 코네리 오모로 어쌍지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0권ありきゑとのおもろ御さうし|아리키에토노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1권首里ゑとのおもろ御さうし|슈리 에토노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2권いろ/\のあすびおもろ御さうし|이로이로노 아스비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3권舩ゑとのおもろ御さうし|후나 에토노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4권いろ/\のゑさおもろ御さうし|이로이로노 에사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5권首里天きやすへあんじおそいがなし うらおそいきたたんよんたむざおもろの御さうし|슈리 텐 키야스헤 안지 오소이가나시 우라 오소이 키타탄 욘타무자 오모로의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6권首里天きやすへあんじおそいがなし 勝連具志川おもろの御さうし|슈리 텐 키야스헤 안지 오소이가나시 카츠렌 구시카와 오모로의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7권恩納より上のおもろ御さうし|온나보다 위의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
제18권首里天きやすへあんじおそいがなし 志ま中おもろ御さうし|슈리 텐 키야스헤 안지 오소이가나시 시마 나카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19권ちゑねんさしきはなぐすくおもろ御さうし|치넨 사시키 하나구스쿠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20권こめすおもろの御さうし|코메스 오모로의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21권くめの二ま切おもろ御さうし|쿠메의 두 마리 절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천계 3년(1623년) 3월 7일
제22권みおやたいりおもろ御さうし|미오야 타이리 오모로 어사우시일본어



※"//" = 반복 기호

4. 표기 양식

주로 히라가나로 쓰였으며, 약간의 한자도 섞여 있다. 짧은 것은 2행에서, 긴 것은 40행에 달하는 운문으로, 빈번하게 대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축사(우무이)는 류카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또한 오늘날에는 사용하지 않는 류큐 고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1]

5. 역사적 배경

''오모로 소시''는 왕, 노로(상급 무녀), 영웅, 시인, 항해자 등을 칭송하고 풍경, 천문, 전쟁, 신화 등을 소재로 한 노래들을 모은 책이다. 드물게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것도 있다. 총 2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편찬 시기가 일정하지 않아 1권이 편찬된 후 약 70년 동안 중단되었다가, 1609년 사쓰마 번의 류큐 침공 이후인 1613년에 제2권이 다시 작성되었고, 10년 후인 1623년에 나머지 20권이 한꺼번에 편찬되었다.

''오모로''는 류큐 문화에서 음악, 춤, 문학의 독특한 형태의 전신으로 여겨지며, 이 세 가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류큐는 수 세기에 걸쳐 중국, 일본, 남양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독자적인 음악, 춤, 문학 전통을 발전시켰는데, 이 중 문학만이 일관성 있게 기록되었다. ''오모로 소시''를 통해 류큐 음악과 춤의 초기 형태를 추론하거나 재구성할 수 있지만, 이를 제외하고는 남아 있는 기록이 없다.[1]

''오모로 소시''는 고대 민간 전통을 반영하면서도 류큐가 주변 다른 국가들과 맺었던 복잡한 관계를 반영한다. 문화적, 언어적으로 고립된 류큐 열도의 많은 섬들과 함께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남양의 다양한 지역이 언급되어 있다.[2]

''오모로 소시''는 1531년에 처음 편찬되었고, 1613년1623년에 다시 편찬되었는데, 이는 왕실 정부가 문화적, 정신적 정당성과 권력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었다. 첫 번째 편찬은 쇼 신 왕의 통치 직후에 이루어졌는데, 쇼 신 왕은 정부를 통합, 중앙 집권화, 개혁했다. 두 번째 편찬은 류큐가 사쓰마의 직접적인 봉신이 된 직후에 이루어졌다. 두 시기 모두 통일을 보장하고 전통과 역사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문화적, 이념적 수단이 필요했다.[3]

''오모로 소시''는 류큐 문화와 언어가 크게 변화하면서 이해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소수의 학자만이 이 문서를 깊이 연구했다. 이하 후유(1947년 사망)와 나카하라 젠추(1964년 사망)가 이를 광범위하게 연구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이들과 다른 여러 학자들은 이 편찬본을 고대 류큐 풍습과 사회에 대한 연구의 기반으로 사용했다. 철저한 분석을 통해 고대 통치, 사회 구조, 민간 종교에 대한 이해의 기초가 되는 요소들을 얻었지만, 이 자료만으로 포괄적인 이해를 얻을 수는 없다.[4]

''오모로 소시'' 제14권에는 나키진 세리카쿠의 여신 아케시노가 모토부반도 카츠우산에서 소나기를 내려 갑옷을 적시고, 운텐 소항에 도착한 일본 군세의 사기를 꺾는 저주를 걸었다는 내용의 노래가 실려 있다.[5]

이는 타메토모 전설과 관련지어져 이를 노래한 것이라는 해석을 낳았다. 이하 후유는 처음에는 이 해석을 따랐지만, 나중에는 무로마치 시대 중기 이후에 내항한 일본의 무사 또는 왜구라고 했다. 하라다 노부오도 오키나와 무역으로 류큐에 내항했던 무사(왜구를 포함)를 읊은 것이라고 해석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교쿠요』 쥬에이 3년 2월 19일 조에는 "전해지는 바, 헤이시(平氏)는 사누키 야시마(八島)로 돌아갔다(중략) 또, 코레모리 경은 30척 정도를 거느리고 남해로 떠났다고 한다"고 적혀있다. 이를 바탕으로 겐페이 합전에서의 이치노타니 전투 전후에 타이라노 코레모리가 남해로 도망쳐 운텐항에 도착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 오키나와에서의 헤이케의 패잔병 전승은 이리오모테섬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그 관련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야시로"는 통설상 교토(야마시로국)를 가리키며, 이것이 교토에서 도망친 헤이케의 공달을 말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다만, ''오모로 소시''에서의 "야마토"와 "야시로"는 일본을 언급할 때의 단골 대구이며, 게이초 14년 사쓰마 번의 류큐 침공을 노래한 오모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6. 미나모토노 타메토모 전설과의 관련성

おもろさうしryu 제14권에 있는 노래는 나키진 세리카쿠의 여신 아케시노가 모토부반도 카츠우산에서 소나기를 내려 갑옷을 적시고, 운텐 소항에 도착한 일본 군세의 (철퇴를 위한) 사기를 꺾는 저주를 걸었다는 내용이다.

이는 예로부터 타메토모 전설과 관련지어져 이를 노래한 것이라는 해석을 낳았다. 이하 후유는 처음에는 이 해석을 따랐지만, 나중에는 무로마치 시대 중기 이후에 내항한 일본의 무사 또는 왜구라고 했다. 하라다 노부오도 오키나와 무역으로 류큐에 내항했던 무사(왜구를 포함)를 읊은 것이라고 해석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교쿠요』 쥬에이 3년(1184년) 2월 19일 조에 "전해지는 바, 헤이시(平氏)는 사누키 야시마(八島)로 돌아갔다(중략) 또, 코레모리 경은 30척 정도를 거느리고 남해로 떠났다고 한다"고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겐페이 합전에서의 이치노타니 전투 전후에 타이라노 코레모리가 남해로 도망쳐 운텐항에 도착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 오키나와에서의 헤이케의 패잔병 전승은 이리오모테섬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그 관련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야시로"는 통설상 교토(야마시로국)를 가리키며, 이것이 교토에서 도망친 헤이케의 공달을 말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다만, おもろさうしryu에서의 "야마토"와 "야시로"는 일본을 언급할 때의 단골 대구이며, 게이초 14년(1609년) 사쓰마 번의 류큐 침공을 노래한 오모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7. 사료적 가치

おもろさうし|오모로소시ryu는 류큐국의 민속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1급 사료이다. 류큐학(오키나와학)의 창시자인 이하 후유(伊波普猷)는 おもろさうし|오모로소시ryu의 해독과 번역을 중심 작업으로 삼았다. 이 책의 해독을 통해 류큐국 제의 양상을 알 수 있고, 제정일치 사회임을 파악하는 여러 단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큰 줄기로서의 해독은 완료되었으나, 세부 사항에서는 아직 해석이 미흡한 부분도 많다.

おもろ|오모로ryu는 그 형식으로 볼 때 류큐 문화에서 음악, 춤, 문학의 독특한 형태의 전신이라고 여겨지며, 이 세 가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1] 수 세기에 걸친 발전과 중국, 일본, 다양한 남양 문화의 영향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음악, 춤, 문학의 독특한 전통이 발전했는데, 문학만이 일관성 있게 기록되었다.[1] おもろさうし|오모로소시ryu에서 추론하거나 재구성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류큐 음악과 춤의 초기 형태에 대한 기록은 오늘날 남아 있지 않다.[1]

고대 민간 전통을 반영하면서도 이 시는 류큐가 주변 다른 국가들과 맺었던 복잡한 관계를 반영한다.[2] 문화적, 언어적으로 고립된 류큐 열도의 많은 섬들과 함께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남양의 다양한 지역이 언급되어 있다.[2]

おもろさうし|오모로소시ryu는 1531년에 처음 편찬되었고, 1613년과 1623년에 다시 편찬되었는데, 이는 왕실 정부가 문화적 또는 정신적 정당성과 권력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었다.[3] 첫 번째 편찬은 쇼 신의 통치 직후에 이루어졌는데, 쇼 신은 정부를 통합, 중앙 집권화, 개혁했으며, 두 번째는 류큐가 사쓰마의 직접적인 봉신이 된 직후에 이루어졌다.[3] 두 시기 모두 통일을 보장하고 전통과 역사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더 세속적인 정치적 수단뿐만 아니라 문화적, 이념적 수단이 필요했다.[3]

소수의 학자만이 이 문서를 깊이 연구했다.[4] 지난 수 세기 동안 류큐 문화와 언어가 크게 변화하면서 이 시를 접하고 이해하기가 어려워졌고, 이하 후유(1947년 사망)와 나카하라 젠추(Nakahara Zenchū, 1964년 사망)가 이를 광범위하게 연구한 몇 안 되는 사람들 중 하나였다.[4] 이하, 나카하라 등은 이 편찬본을 고대 류큐 풍습과 사회에 대한 연구의 기반으로 사용했다.[4] 철저한 분석을 통해 고대 통치, 사회 구조, 민간 종교에 대한 이해의 기초가 되는 요소들을 얻었지만, 이 자료만으로 포괄적인 이해를 얻을 수는 없다.[4]

슈리 왕부가 1531년, 1613년, 1623년 세 차례에 걸쳐 집록한 총 1554수(일부 중복 있음)의 가요를 수록하고 있다.[5] 이하 후유로부터 시작된 오키나와학은 그 여명기에 이것의 해독, 번역을 중심으로 했다.[5] 이 책의 해독을 통해 주로 류큐 왕국에서의 제사의 모습이나 제정 일치 체제의 실태에 대한 단서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5] 현재는 완역본이 3종류 존재하지만, 해독법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해석이 정해지지 않은 점도 많다.[5] 원래는 슈리 왕가에 전해져 내려오던 것이었으나, 1709년 슈리성 화재로 소실되어 재편성되었다.[5] 현존하는 것은 여러 번 필사를 거듭한 것이므로 오기가 보인다.[5] 오키나와 전투로 인해 미국으로 유출되었다가, 1958년에 혼효험집 등과 함께 당시 류큐 정부에 반환되었다.[5] 오키나와 반환 후인 1973년 6월 6일 국가의 중요 문화재(서적·전적)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오키나와현이 소유하고 오키나와현립 박물관·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ウムルウソーシ http://ryukyu-lang.l[...]
[2] 서적 A Brief History of Early Okinawa Based on the Omoro Sōshi Honpo Shoseki Press 1987
[3] 문서
[4]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 https://kunishitei.b[...]
[5] 서적 日本思想大系18 おもろさうし 岩波書店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