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민주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민주당은 1954년 11월 24일 보수 세력 통합을 위해 결성된 정당이다. 자유당과의 합당을 통해 요시다 시게루 내각을 퇴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자주헌법 제정 및 재군비를 주장했다. 1955년 제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에 미치지 못했다. 이후 사회당의 신장과 재계의 요구로 자유당과 합당하여 1955년 11월 15일 자유민주당으로 재창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설립된 정당 - 앙골라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은 콩고족 중심의 앙골라 북부 인민동맹(UPNA)에서 시작된 앙골라 정당으로, 독립 전쟁 중 무장 봉기 실패 후 자이르로 망명하여 재편되었으며, 미국과 자이르의 지원을 받으며 MPLA와 UNITA와 함께 독립 투쟁을 벌였고, 독립 후 MPLA와의 내전에서 패배 후 야당으로 활동하며 의회 진출에 성공했으나 지지율 하락을 겪었으며, 부족주의적 성향과 외부 세력 의존으로 비판받는다. - 1954년 설립된 정당 - 국민해방전선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알제리 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 사회주의, 이슬람주의를 이념으로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알제리 독립을 이끌었고, 독립 이후 알제리 정치를 지배해 온 주요 정당이다. - 1955년 해산된 정당 -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로동당은 1946년 결성된 남한의 좌익 정당으로, 이승만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테러와 게릴라전을 전개하다가 대한민국에서 소멸했다. - 1955년 해산된 정당 - 자유당 (1950년 일본)
자유당(1950년 일본)은 1950년 민주자유당과 민주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었으며, 요시다 시게루 총리 시기에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등을 추진했으나, 당내 갈등으로 1954년 일본 민주당과 합당하여 자유민주당으로 해산되었다. - 하토야마 이치로 - 하토야마 유키오
하토야마 유키오는 일본의 정치 명문가 출신으로 도쿄대와 스탠퍼드대에서 공학을 전공하고 제93대 일본 총리를 지냈으며, 재임 중 복지 정책 추진과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 정치자금 비리 의혹 등으로 사임 후 정계 은퇴, 사회 활동과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 하토야마 이치로 - 하토야마 구니오
하토야마 구니오는 1948년 도쿄에서 태어나 자유민주당 등에서 활동하며 중의원 의원을 지냈고, 아베 신조 내각에서 법무대신, 아소 다로 내각에서 총무대신을 역임했으며, 2016년 사망했다.
일본민주당 | |
---|---|
기본 정보 | |
당명 | 일본 민주당 |
로마자 표기 | Nihon Minshutō |
창당일 | 1954년 11월 24일 |
해산일 | 1955년 11월 15일 |
전신 정당 | 자유당 (반 요시다파) 개진당 일본자유당 |
후신 정당 | 자유민주당 |
본부 위치 | 도쿄, 일본 |
창립자 | 이치로 하토야마 마모루 시게미쓰 노부스케 기시 |
합당 | 개진당 자유당–하토야마 |
합병 대상 | 자유민주당 |
이념 및 정치 성향 | |
정치적 이념 | 보수주의 민족주의 헌법 개정 재군비 |
정치적 위치 | 우익 |
관련 인물 | |
총재 | 하토야마 이치로 |
기타 | |
이미지 | |
![]() |
2. 역사
1954년 11월 24일, 하토야마 이치로를 중심으로 하는 세력이 자유당에서 탈당하여 시게미쓰 마모루를 총재로 하는 일본민주당과 합당, 요시다 시게루 내각의 퇴진을 목표로 일본민주당이 결성되었다. 이들은 자주헌법론을 주장하고 재군비를 주장하며 자유당에 대항했다.[8][9]
제5차 요시다 내각은 조선비리 등으로 지지를 잃었고, 일본민주당 결성으로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이 유력해지자 중의원 해산 대신 내각 총사퇴를 선택했다. 1954년 12월 10일, 제1차 하토야마 내각이 출범했으나,[8][9] 소수 여당이었기에 1955년 1월 중의원이 해산되었다.
1955년 총선에서 일본민주당은 36.57%의 득표율로 185석을 차지하며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다. 한편, 우익 사회당과 좌익 사회당이 통합하여 일본민주당과 거의 비슷한 의석을 확보하게 되었다.
사회당의 성장에 영향을 받아 일본민주당과 자유당 간의 합당, 즉 보수합동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일본민주당에서는 미키 다케키치 총무회장과 키시 노부스케 간사장 등이 주도했다. 그러나 미키 다케오와 마츠무라 켄조 등은 양당 체제가 건전한 의회 정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합당에 반대했다. 자유당 내에서도 오가타 타케토라 총재는 합당에 적극적이었으나, 요시다를 중심으로 한 반대파도 있었다. 양당 모두 반대파를 안고 있어 보수합동은 난항을 겪었지만, 사회당 재통합(10월 13일)과 재계의 요구에 힘입어 1955년 11월 15일, 보수합동이 성사되어 자유민주당이 창당되었다.[10][11][12]
자유민주당 내에서는 세이와정책연구회(세이와카이), 정책과학연구소(시슈카이에 합류), 신정책연구회(시코카이에 합류)가 일본민주당의 계보를 잇고 있다. 이들은 자유당이 보수 본류로 불린 것과 대비되어 보수 방류로 불렸다.
2. 1. 창당 배경 (1954년)
1954년 11월 24일, 보수 세력 통합의 전 단계로 일본민주당이 결성되었다. 당초 보수계인 자유당과 중도계 일본민주당의 합당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여당 자유당 내에서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독선적인 체제가 당내 갈등을 야기했다. 그 결과, 자유당을 탈당한 하토야마 이치로파와 시게미쓰 마모루를 총재로 하는 일본민주당이 합당하여 요시다 내각을 퇴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일본민주당은 자유당에 대항하기 위해 자주헌법론을 주장하고 재군비를 주장하였다.[8][9]제5차 요시다 내각은 조선비리 등으로 지지를 잃었고, 일본민주당 결성으로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이 확실해졌다. 궁지에 몰린 요시다는 중의원 해산을 단념하고 내각 총사퇴를 결정하였다. 1954년 12월 10일, 제1차 하토야마 내각이 출범하였다.[8][9]
2. 2. 제27회 총선거 (1955년)
1955년 총선에서 하토야마 이치로가 이끈 일본민주당은 13,536,044표를 얻어 36.5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총 467석 중 185석을 차지하며 1위를 기록, 여당이 되었다.2. 3. 보수합동과 자유민주당 창당 (1955년)
1954년 11월 24일, 보수 세력 통합의 전 단계로 일본민주당이 결성되었다. 당초 보수계인 자유당과 중도계 일본민주당의 합당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여당 자유당 내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독선 체제가 당내 갈등을 야기했다. 그 결과 자유당을 탈당한 하토야마 이치로파와 시게미쓰 마모루를 총재로 하는 일본민주당이 합당하여 요시다 내각을 퇴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변경하였다. 일본민주당은 자유당에 대항하기 위해 자주헌법론을 주창하고 재군비를 주장하였다.[8][9]제5차 요시다 내각은 조선비리 등으로 지지를 잃었고, 일본민주당 결성으로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이 확실해졌다. 궁지에 몰린 요시다는 중의원 해산을 단념하고 내각 총사퇴를 결정하였다. 1954년 12월 10일, 제1차 하토야마 내각이 출범하였다. 소수 여당 내각이었기에 1955년 1월 24일에 중의원 해산이 단행되었다. 2월 27일 제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에는 미달하였고, 우익 사회당, 좌익 사회당이 합쳐 일본민주당과 거의 맞먹는 의석수를 획득하였다.
사회당의 신장을 받아들여 일본민주당과 자유당의 합당, 이른바 보수합동이 정치 일정에 올랐다. 일본민주당은 미키 다케키치 총무회장을 중심으로 키시 노부스케 간사장 등이 보수 합동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미키 다케오나 마츠무라 켄조 등 구 일본민주당의 좌파 계열은 합당에 반대하였다. 미키는 보수 정당과 혁신 정당의 양당 체제가 실현되면 보수 정당은 더욱 보수화되고, 혁신 정당은 더욱 혁신화되는 역학이 작용하기 때문에 건전한 의회 정치가 자라나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하였다. 자유당 내에서도 오가타 타케토라 총재는 합당에 적극적이었으나, 요시다를 중심으로 강경한 반대파가 존재하였다. 민주, 자유 양당 모두 반대파를 안고 있어 보수 합동은 쉽게 실현되지 않았지만, 혁신 측의 사회당 재통합(10월 13일)과 재계의 요망도 있어 1955년 11월 15일, 보수 합동이 실현되어 자유민주당이 결성되었다.[10][11][12]
자유민주당의 파벌인 「세이와카이」(현・세이와정책연구회), 「정책과학연구소」( 시슈카이에 합류), 「신정책연구회」( 시코카이에 합류)가 그 계보를 잇고 있으며, 자유당이 보수 본류로 불린 것에 대해 보수 방류로 불렸다.
2. 4. 자유민주당 내 파벌 계승
자유민주당의 파벌 중 세이와정책연구회(세이와카이), 정책과학연구소(시슈카이에 합류), 신정책연구회(시코카이에 합류)가 그 계보를 잇고 있다. 자유당이 보수 본류로 불린 것에 대해 이들은 보수 방류로 불렸다.3. 주요 정책
일본민주당은 창당 초기부터 자주헌법론과 재군비를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다.[8][9] 또한, 1955년에는 학교 교과서의 편향성 문제를 지적하며 『우려할 만한 교과서 문제 제1집』을 발행하기도 했다.[13]
3. 1. 자주헌법 제정 및 재군비
1954년 11월 24일, 보수 세력 통합의 전 단계로 일본민주당이 결성되었다. 당초 자유당과 일본민주당의 합당이 예정되었으나, 자유당 내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독선 체제가 갈등을 야기했다. 이에 자유당을 탈당한 하토야마 이치로 파와 시게미쓰 마모루를 총재로 하는 일본민주당이 합당하여 요시다 내각 퇴진을 목표로 하였다. 이들은 자유당에 대항하여 자주헌법론을 주장하고 재군비를 내세웠다.[8][9]3. 2. 교과서 문제
1955년 8월 13일, 민주당은 학교 교과서의 편향 문제를 지적한 『우려할 만한 교과서 문제 제1집』을 발행하여 교과서의 문제점을 제기했다. 이에 반론하는 교과서 집필자들은 같은 해 10월 8일에 반론 책자를 발행했고, 학술회의는 10월 20일에 비판 성명을 발표하는 등 논란이 일었다.[13]4. 역대 지도부
총재 | 부총재 | 간사장 | 총무회장 | 정무조사회장 | 최고위원 | 참의원 의장 |
---|---|---|---|---|---|---|
하토야마 이치로 | 시게미쓰 마모루 | 키시 노부스케 | 미키 다케요시 | 마쓰무라 겐조 | 아시다 히토시, 이시바시 단잔, 오아사 유오, 도마베치 기사조, 호시지마 지로 | 도마베치 기사조 |
하토야마 이치로 | 시게미쓰 마모루 | 키시 노부스케 | 미키 다케요시 | 기요세 이치로 | 아시다 히토시, 안도 마사즈미, 기타무라 도쿠타로 | 도마베치 기사조 |
하토야마 이치로 | 시게미쓰 마모루 | 키시 노부스케 | 미키 다케요시 | 기요세 이치로 | 아시다 히토시, 안도 마사즈미, 기타무라 도쿠타로, 우에하라 에쓰지로 | 도마베치 기사조 |
4. 1. 역대 총재
대 | 총재 | 재임 기간 | |
---|---|---|---|
1 | -- | 하토야마 이치로 | 1954년 11월 24일 - 1955년 11월 15일 |
4. 2. 역대 주요 당직자
이시바시 단잔오아사 유오
도마베치 기사조
호시지마 지로
안도 마사즈미
기타무라 도쿠타로
안도 마사즈미
기타무라 도쿠타로
우에하라 에쓰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