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여성주의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여성주의 운동은 메이지 유신 이후 창기 해방령, 남녀 동등론, 자유민권운동 등과 함께 시작되었으나, 보수적인 반발에 직면하여 한동안 쇠퇴했다. 1880년 일본 최초로 호주에 한해 여성 참정권이 인정되었으나, 1884년 구정촌회법 개정으로 인해 여성 참정권은 제한되었다. 이후 히라쓰카 라이초 등 여성 해방 운동가들이 등장하여 신부인협회를 결성, 여성의 정치적·사회적 권리 획득을 위한 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치안경찰법 개정, 부인 변호사 제도 제정 등 일부 성과를 거두었으며, 구스노세 기타, 히라쓰카 라이초, 이치카와 후사에 등이 대표적인 여성 해방 운동가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여성주의사 - 히라쓰카 라이초
    일본 최초의 여성 문예지 《세이토》를 창간하여 여성 해방 운동을 이끌고, 전후에는 평화 운동과 신일본부인회 창립을 통해 여성 권익 옹호에 힘쓴 일본의 여성 운동가이자 작가, 사상가이다.
  • 일본의 여성주의사 - 중절금지법에 반대하고 피임약 해금을 요구하는 여성해방연합
    중절금지법에 반대하고 피임약 해금을 요구하는 여성해방연합은 1970년대 일본에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재생산 권리를 옹호하며 활동한 단체였으나, 선거 참패와 내부 갈등으로 해산되었다.
  • 여성주의 운동과 이념 - 생태여성주의
    생태여성주의는 여성 억압과 환경 파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원론적 사고, 가부장제, 남성 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여성 해방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이론 및 운동이다.
  • 여성주의 운동과 이념 - 제2세대 여성주의
    제2세대 여성주의는 1960년대부터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시작된 여성 해방 운동의 한 흐름으로, 성차별 철폐, 동일 노동 동일 임금, 낙태의 자유 등 다양한 이슈를 제기하며 사회 변혁을 주도했지만, 백인 중산층 여성의 시각에 치중되어 이후 제3세대 여성주의로 이행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있다.
일본의 여성주의 운동
일본 여성 해방 운동
금성 기호
사회에서 여성 사이드바
사회
관련 주제여성
어머니
여성학
:Category:직업별 여성
여성의 권리
성과 생식에 관한 권리
여성 참정권
여성 노동
여성 교육
여학교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철학

여성에 대한 폭력
여성 살해
여성 할례

여성 정치인
목록
여성 국가 원수 목록
여성 정부 수반 목록
여왕
목록
여성 천황




역사
관련 주제여성사
페미니즘의 역사
일본 (연표)
중국






나치 여성 정책




여성 해방 운동
프랑스 여성 해방 운동
일본 여성 해방 운동
여성사 달
여성사 아오야마 나오상
여성사학상
과학/기술
관련 주제
여성 과학자 연표
여성 노벨상 수상자



여의사


예술/연예/문화
관련 주제
여성과 일본 전통 문화
예술가
문학
여성 만화
소녀 만화





게이샤
미코마이
다카라즈카 가극단
복식사
양복 역사
기모노
화장 문화사
화장
종교
관련 주제
이슬람







스포츠
관련 주제
:Category:여자 스포츠 선수
여성과 일본 무예
축구

농구
복싱
야구
나기나타
기수
프로 레슬링
국가별
관련 주제Category:각국 여성(en)
:Category:각국의 페미니즘




2. 메이지 유신과 여성 해방 정책

메이지 정부의 수립 후인 1872년에 발령된 창기해방령(藝娼妓解放令)이나 후쿠자와 유키치가 제창한 남녀동권론(男女同權論), 혹은 1880년대 자유민권운동의 후쿠다 히데코(福田英子), 나카지마 쇼엔(中島湘煙) 등에 의한 부인해방운동 등이 여성해방운동의 시작으로 여겨지나, 반발이 일어나는 등의 이유로 약 10년만에 급속도로 쇠퇴하기도 했다.

1869년, 세키쇼(関所, 검문소)를 여성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쓰다 마미치(津田真道)라는 형법관이 여성 매매 금지 건백서(健白書, 건의서)를 정부에 제출하기도 했다.

1871년, 쓰다 우메코(津田梅子) 등 다섯 명의 소녀가 이와쿠라 사절단 자격으로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1870년에는 요코하마에 사립여학교가 세워지는 한편 1873년, 아내가 이혼 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고 여자전습소(女史傳習所, 여성을 위한 직업훈련소)가 개설되었다. 1874년에는 도쿄 간다에 도쿄여자사범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러던 중 1872년, 마리아루스호 사건이 발생하며 인권문제 해소를 촉진하는 흐름 속에서 창기해방령(藝娼妓解放令)이 내려졌다.[1]

일본에서는 메이지 정부 성립 후 1872년에 발령된 기생·창기 해방령이나 후쿠자와 유키치가 주창한 남녀 동등론, 혹은 1880년대의 자유민권운동에서의 게야마 에이코, 기시다 토시코 등에 의한 부인 해방 운동 등이 여성 해방 운동의 전사로 여겨지지만, 반발도 일어나 10년 정도 만에 급속히 시들해진다.

2. 1. 초기 여성 정책 (1869년 ~ 1874년)

1869년, 여성의 관문 통행이 자유로워졌다. 또한 쓰다 신이치로 형법관이 여성 매매 금지에 관한 건백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1871년, 쓰다 우메코 등 5명의 소녀가 이와쿠라 사절단에 의해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1872년, 기생창기의 무조건적인 해방이 공포되었고, 공창 제도는 남았지만 제한되었다. 같은 해, 요코하마에 사립여학교가 설립되었다. 1873년, 아내도 이혼 소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여자전습소(여성을 위한 직업 훈련소)가 개설되었다. 1874년, 도쿄 간다(神田)에 도쿄여자사범학교가 설립되었다.

2. 2. 창기해방령 (1872년)

1872년(메이지 5년), 노르만톤 호 사건이 발생했다. 인권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흐름 속에서, 창기해방령(芸娼妓解放令)이 발표되었다.

3. 보수적 반발과 여성의 정치 참여 제한

메이지 정부의 수립 이후 창기해방령(藝娼妓解放令), 후쿠자와 유키치의 남녀동권론(男女同權論), 자유민권운동과 함께 후쿠다 히데코(福田英子), 나카지마 쇼엔(中島湘煙) 등에 의한 부인해방운동이 일어났지만, 반발 등으로 10년 만에 쇠퇴했다.

1885년, 제1차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각의 문부대신 모리 아리노리(森有礼)가 현모양처 교육을 국시로 삼아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듬해인 1886년, 이 성명을 기반으로 한 <학생교도방법요항>(生徒教導方要項)을 전국 여학교와 고등여학교에 배포했다.

1890년 7월 공포된 <집회 및 정치사회법>에서 여성의 정치활동을 금지하였다. 여자는 정치와 관련된 연설을 듣는 행위도 금지하거나, 야외에서 세 명 이상 만날 경우 경찰에게 신고를 해야 하기도 했다.

3. 1. 현모양처 교육 강조 (1885년)

1885년, 제1차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각의 문부대신 모리 아리노리(森有礼)가 현모양처 교육을 국시로 삼아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듬해인 1886년, 이 성명을 기반으로 한 <학생교도방법요항>(生徒教導方要項)을 전국 여학교와 고등여학교에 배포했다.

3. 2. 집회 및 정치사회법 (1890년)

1890년 7월 공포된 <집회 및 정치사회법>에서 여성의 정치활동을 금지하였다. 여자는 정치와 관련된 연설을 듣는 행위도 금지하거나, 야외에서 세 명 이상 만날 경우 경찰에게 신고를 해야 하기도 했다.

4. 일본 최초의 여성 참정권

1878년, 구(區)회의원 선거에서 구스노세 기타라는 한 부인이 호주 자격으로 납세하고 있음에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선거권이 없는 사실에 대해 고치현에 항의하였다. 그러나 현은 받아들이지 않았고, 기타는 내무성에 호소했다. 그리하여 1880년 9월 20일, 일본에서 처음으로(호주에 한했으나) 여성참정권이 인정되었다. 그 후 인근의 오다카사카 촌에서도 같은 조항이 생겼다.

이 당시 세계에서 여성참정권이 인정된 지역은 미국와이오밍 준주, 영국령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핏케언 제도 등 극히 일부였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은 세계 몇 안 되는 여성참정권 실현 사례였다. 그러나 4년 뒤인 1884년, 일본 정부가 '구시정촌회법'을 개정하여, 구정촌회의 규칙제정권을 박탈했기 때문에, 정촌의회원선거에서 여성은 배제되었다.

4. 1. 구스노세 기타의 항의와 여성 참정권 인정 (1878년 ~ 1880년)

1878년, 구(區)회의원 선거에서 구스노세 기타라는 한 부인이 호주 자격으로 납세하고 있음에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선거권이 없는 사실에 대해 고치현에 항의하였다. 그러나 현은 받아들이지 않았고, 기타는 내무성에 호소했다. 그리하여 1880년 9월 20일, 일본에서 처음으로(호주에 한했으나) 여성참정권이 인정되었다. 그 후 인근의 오다카사카 촌에서도 같은 조항이 생겼다.

이 당시 세계에서 여성참정권이 인정된 지역은 미국와이오밍 준주, 영국령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핏케언 제도 등 극히 일부였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은 세계 몇 안 되는 여성참정권 실현 사례였다. 그러나 4년 뒤인 1884년, 일본 정부가 '구시정촌회법'을 개정하여, 구정촌회의 규칙제정권을 박탈했기 때문에, 정촌의회원선거에서 여성은 배제되었다.

4. 2. 구정촌회법 개정과 여성 참정권 박탈 (1884년)

1878년, 구(區)회의원 선거에서 구스노세 키타라는 한 부인이 호주 자격으로 납세하고 있음에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선거권이 없는 사실에 대해 고치현에 항의하였다. 그러나 현은 받아들이지 않았고, 기타는 내무성에 호소했다. 그리하여 1880년 9월 20일, 일본에서 처음으로(호주에 한했으나) 여성참정권이 인정되었다. 그 후 인근의 오다카사카 촌에서도 같은 조항이 생겼다.

이 당시 세계에서 여성참정권이 인정된 지역은 미국와이오밍 준주, 영국령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핏케언 제도 등 극히 일부였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은 세계 몇 안 되는 여성참정권 실현 사례였다. 그러나 4년 뒤인 1884년, 일본 정부가 '구정촌회법(區町村會法)'을 개정하여, 구정촌회의 규칙제정권을 박탈했기 때문에, 정촌의회원선거에서 여성은 배제되었다.

5. 여성 해방 운동가의 등장과 활동

정부의 반발 정책에 대해 히라쓰카 라이초 등 여성 해방 운동가가 탄생하였으며, 정치적 요구를 정면으로 내세운 최초의 부인 단체인 신부인협회도 만들어졌다. 여성에게 불리한 법률 삭제 운동, 여성의 참정권 획득 운동 등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완전한 여성 참정권 획득이라는 큰 목표 달성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여성의 집회 자유를 막았던 치안경찰법 제5조 2항의 개정 (1922년) 및 여성이 변호사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인 변호사 제도 제정 (변호사법 개정, 1933년) 등 여성의 정치적·사회적 권리 획득 면에서 몇 가지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5. 1. 신부인협회 결성과 활동

히라쓰카 라이초 등 여성해방운동가들은 정부의 반발 정책에 대항하여 정치적 요구를 전면에 내건 최초의 부인단체 '신부인협회'를 결성했다. 여성에게 불리한 법률 삭제 운동, 여성의 참정권 획득 운동 등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비록 완전한 여성 참정권 획득이라는 큰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여성의 집회 자유를 금지했던 치안경찰법 제5조 2항의 개정(1922년)이나 1933년 여성이 변호사로 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부인변호사제도 제정(변호사법 개정, 1933년) 등, 여성의 정치적 사회적 권리 획득 면에서 몇 가지 중요한 성과를 냈다.

5. 2. 주요 성과

히라쓰카 라이초 등 여성해방운동가들은 정부의 반발 정책에 대항하여 여성에게 불리한 법률 삭제 운동, 여성의 참정권 획득 운동 등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이들은 완전한 여성 참정권 획득이라는 큰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으나, 여성의 집회 자유를 금지했던 치안경찰법 제5조 2항의 개정(1922년)과 여성이 변호사로 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부인변호사제도 제정(변호사법 개정, 1933년) 등, 여성의 정치적, 사회적 권리 획득 면에서 몇 가지 중요한 성과를 냈다.

5. 3. 세이토(青鞜) 운동과 모성 보호 논쟁

히라쓰카 라이초 등 여성해방운동가들은 정부의 반발 정책에 대항하여 여성의 권리 획득을 위한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정치적 요구를 전면에 내건 최초의 부인단체 '신부인협회'를 결성하고, 여성에게 불리한 법률 삭제 운동, 여성의 참정권 획득 운동 등을 활발하게 추진하였다. 비록 완전한 여성 참정권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여성의 집회 자유를 금지했던 치안경찰법 제5조 2항의 개정(1922년)과 여성이 변호사로 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부인 변호사 제도 제정(변호사법 개정, 1933년) 등 여성의 정치적, 사회적 권리 획득에 있어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히라쓰카 라이초요사노 아키코(与謝野晶子), 야마카와 기쿠에(山川菊栄) 등과 함께 세이토』 운동을 이끌었으며, 이들은 여성의 자립과 모성 보호 논쟁을 통해 여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6. 일본의 여성 해방 운동가

구스노세 기타, 후쿠다 히데코, 히라쓰카 라이초, 이치카와 후사에, 오쿠 무메오, 가토 시즈에, 야마카와 기쿠에, 이토 노에 등이 일본의 여성 해방 운동가로 활동했다.

7. 한국의 관점에서 본 일본 여성 해방 운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