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내세균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내세균과는 프로테오박테리아문에 속하는 그람 음성 세균으로, 막대 모양의 간균 형태를 가지며 사람과 동물의 장내 미생물군집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통성 혐기성 세균으로 포도당을 발효하여 젖산을 생성하며,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분해한다. 장내세균과는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2016년 분류 개정을 통해 7개의 과로 나뉘었다. 일부 종은 병원성을 띠어 설사, 장티푸스 등의 질병을 유발하며, 항생제 내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대장균은 모델 생물로 널리 연구되며, 단백질 대량 발현 등 산업적으로도 활용된다. 미생물학적 검사를 통해 속을 식별하며, 임상적으로 대장균, 폐렴막대균 등이 주로 분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내세균과 - 크로노박터
    크로노박터는 2007년에 엔테로박터 사카자키에서 재분류된 그람 음성 세균 속으로,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며 신생아나 유아에게 균혈증, 수막염, 괴사성 장염 등을 유발할 수 있고, 크로노스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여러 종으로 분류된다.
  • 장내세균과 - 엔테로박터
    엔테로박터는 35~37°C에서 락토오스를 발효시켜 가스를 생성하는 그람 음성 세균으로, 편모를 이용한 운동성, 생물막 형성 등의 병독성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병원 내 감염과 관련되어 있고, 특정 종은 비만과 관련이 있으며, 치료는 지역별 항생제 내성 수준에 따라 항생제를 사용한다.
장내세균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학명Enterobacteriaceae
명명자Rahn, 1937
하위 분류본문 참조
일반 정보
설명장내세균과는 세균의 한 과이다.
특징장내세균과는 그람 음성균이다.
대부분 통성 혐기성 세균이다.
간균 형태를 가진다.
편모를 가지고 운동성을 가진다.
포도당을 발효시켜 산과 가스를 생성한다.
위치장내세균은 토양, 물, 식물 및 동물의 장에서 발견된다.
관련 질병요로 감염, 폐렴, 패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기타장내세균 중 일부는 식품 산업에서 발효에 사용된다.
하위 속

2. 형태

장내세균과에 속한 세균들은 막대균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길이는 1~5 마이크로미터(μm)이다. 이들은 혈액 한천 배지에서 중간 크기에서 큰 회색의 집락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일부 균주(예: 적변 세균)는 색소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대부분의 장내세균과 세균은 이동에 사용되는 여러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편모가 있는 경우 균체 표면 전체에 분포하는 주모성(peritrichous|페리트리커스영어) 형태를 띤다. 그러나 일부 속은 편모가 없어 운동성이 없다. 또한, 대부분의 구성원은 숙주 세포에 부착하는 데 관여하는 핌브리아(선모)를 가지고 있다.[8] 내생포자(아포)는 형성하지 않는다.

장내세균과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공유한다:

3. 물질대사

장내세균과는 다른 프로테오박테리아처럼 그람 음성으로 염색되는 막대균이다.[24][9] 이들은 통성 혐기성 세균으로,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살 수 있으며 포도당과 같은 당을 발효시켜 젖산을 비롯한 여러 유기산과 함께 이산화 탄소수소 가스를 생성한다.[24]

대부분의 장내세균은 질산염아질산염으로 환원시키지만,[9] ''Photorhabdus''와 같은 일부 예외도 존재한다.[24] 또한, 다른 유사 세균들과 달리 일반적으로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가 없지만,[24][9] ''Plesiomonas shigelloides''처럼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24] 카탈라아제 반응은 장내세균과 내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24][9]

4. 생태 및 서식

장내세균과 세균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많은 종류가 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장내 미생물군집을 이루는 정상적인 구성원이지만,[10] 물이나 토양에서 발견되거나 여러 종류의 동물과 식물에 기생하는 종류도 있다.[11][12]

특히 사람이나 동물의 장관 환경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일부는 숙주의 장관 내에 살면서 병원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 세균 대부분은 편성 혐기성균이며,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세균의 비율은 전체 장내 세균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분변 1그램에는 약 1010~1011개의 세균이 존재하는데, 이 중 장내세균과 세균은 106~108개 정도이다. 나머지 대부분은 박테로이데스 속이나 유박테리움 속 등의 편성 혐기성균이다.

'장내세균과'라는 이름은 과거의 미생물 배양 기술과 관련이 있다. 당시 기술로는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만 살 수 있는 편성 혐기성균을 배양하기 어려웠기 때문에(배양 불가능 상태), 이들의 존재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반면, 장내세균과 세균은 일반적인 배양 조건에서도 쉽게 자랐기 때문에 장내 세균의 대표적인 종류로 여겨져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되었다.

생후 직후 신생아의 장내는 예외적으로 장내세균과 세균이 우세한 환경이다. 대장균 등이 출생 직후 장으로 들어가 초기 장내 세균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면 혐기성균이 점차 우세해지고 장내세균과의 비율은 줄어든다.

5. 분류

프로테오박테리아문(*Proteobacteria*),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Gammaproteobacteria*), 엔테로박터목(*Enterobacterales*)에 속하는 과이다.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세균은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형태 및 생화학적 특징을 가진다.


  • 그람 음성의 막대균이다.
  • 통성 혐기성으로, 포도당을 발효하여 산과 가스(이산화 탄소수소)를 생성한다.
  • 일반 배지에서 잘 자란다.
  • 편모를 가져 운동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편모가 있는 경우 균체 주위에 여러 개의 편모가 있는 주모성 형태를 띈다.
  • 질산염을 환원하여 아질산염으로 만든다.
  • DNAGC 함량은 39-59 mol% 범위이다.
  • 아포를 형성하지 않으며, 일부 균주는 협막이나 섬모를 가지기도 한다.


과거 장내세균과는 장내세균목의 유일한 과였으나, 생화학적 특성과 생태적 지위가 매우 다양한 종들을 포함하고 있어 명확한 분류학적 설명에 어려움이 있었다.[13][14] 초기 분류는 주로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에 의존했는데, 이는 구별력이 낮고 분석 방법이나 유기체 정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이 분석을 통해 장내세균과가 다계통군임이 드러났고, 이는 과 내에 뚜렷한 하위 그룹들이 존재함을 시사했다.[15]

2016년, 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대적인 분류 체계 개정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장내세균목은 장내세균강으로 승격되었고, 7개의 새로운 과로 분리되었다. 이 과정에서 장내세균과는 모식 속인 대장균속(*Escherichia*)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속들만을 포함하도록 범위가 축소되었다.[6] 이 새로운 분류는 보존된 유전자 서열, 16S rRNA 서열, 다중 유전자좌 서열 분석 등 여러 데이터를 종합하여 구축된 강력한 계통수를 기반으로 제안되었다. 또한, 장내세균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보존된 시그니처 인델(CSI)과 같은 분자 표지가 확인되어 계통수와는 독립적으로 이 분류를 지지하는 증거가 되었다.[6]

장내세균과 고유의 CSI는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M 소단위체), 연축 운동 단백질 PilT, 2,3-디히드록시벤조에이트-AMP 합성효소, ATP/GTP 결합 단백질, 다기능 지방산 산화 복합체(알파 소단위체), S-포르밀글루타티온 가수분해효소, 아스파테이트-세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에피머라제, 막 단백질, 포름산 탈수소효소(7 소단위체), 글루타티온 S-전이효소, 주요 촉진 인자 슈퍼패밀리 수송체, 포스포글루코사민 뮤테이스, 글리코실 가수분해효소 1 패밀리 단백질, 23S rRNA [uracil(1939)-C(5)]-메틸전이효소, 코-샤페론 HscB, N-아세틸무라모일-L-알라닌 아미다제, 황산염 ABC 수송체 ATP 결합 단백질 CysA, LPS 조립 단백질 LptD 등 다양한 단백질에서 총 21개가 확인되었다.[6] 이러한 CSI는 장내세균과를 엔테로박터목 내 다른 과 및 다른 세균들과 분자 수준에서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공한다.

2017년에는 비교 계통유전체 분석을 통해 장내세균과 내에 6개의 아과(subfamily) 수준 분지군("Escherichia clade", "Klebsiella clade", "Enterobacter clade", "Kosakonia clade", "Cronobacter clade", "Sedecea clade")과 분류학적 위치가 불분명한 종들을 포함하는 "Enterobacteriaceae incertae sedis clade"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16] 하지만 아과 계급이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지 않아 이 분류가 공식적으로 제안되지는 않았다.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구체적인 속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하위 속

장내세균과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포함된다. 일부 속에는 대표적인 세균 종을 함께 표기하였다.

  • ''Arsenophonus''
  • ''Biostraticola''
  • "''Candidatus'' Blochmannia"
  • ''Brenneria''
  • ''Buchnera''
  • ''Budvicia''
  • ''Buttiauxella''
  • ''Cedecea''
  • ''Citrobacter''
  • ''Cosenzaea''
  • ''Cronobacter''
  • ''Dickeya''
  • ''Edwardsiella''
  • ''Enterobacter''
  • ''Erwinia'' (화상병 등의 식물 병원균)
  • ''Escherichia'' (대장균)
  • ''Ewingella''
  • ''Gibbsiella''
  • ''Hafnia''
  • ''Klebsiella'' (폐렴간균)
  • ''Kluyvera''
  • ''Leclercia''
  • ''Leminorella''
  • ''Lonsdalea''
  • ''Mangrovibacter''
  • ''Moellerella''
  • ''Morganella''
  • ''Obesumbacterium''
  • ''Pantoea''
  • ''Pectobacterium'' (검은다리병 균)
  • "''Candidatus'' Phlomobacter"
  • ''Phaseolibacter''
  • ''Photorhabdus''
  • ''Plesiomonas''
  • ''Pragia''
  • ''Proteus''
  • ''Providencia''
  • ''Rahnella''
  • ''Raoultella''
  • ''Saccharobacter''
  • ''Salmonella'' (''S. enterica'' - 장티푸스균 및 식중독성 살모넬라 포함, ''S. bongori'')
  • ''Samsonia''
  • ''Serratia'' (''S. marcescens'' - 세라티아균, 영균)
  • ''Shigella'' (''S. dysenteriae'' - 시가균, ''S. flexneri'', ''S. boydii'', ''S. sonnei'')
  • ''Shimwellia''
  • ''Sodalis''
  • ''Tatumella''
  • ''Thorsellia''
  • ''Trabulsiella''
  • ''Wigglesworthia''
  • ''Xenorhabdus''
  • ''Yersinia'' (''Y. pestis'' - 페스트균, ''Y. pseudotuberculosis'' - 가성 결핵균, ''Y. enterocolitica'' - 장염 예르시니아)
  • ''Yokenella''


다음은 유효하게 출판되어 명명법적 지위를 갖는 속들의 목록이다. 속 이름 뒤 괄호 안은 해당 속이 제안된 연도이다.

유효하게 출판된 속 목록
속 이름제안 연도
바이오스트라티콜라속2008
부티악셀라속1982
세데세아속1981
시트로박터속1932
크로노박터속2008
엔테로바실러스속2015
엔테로박터속1960
대장균속1919
프랑코니박터속2014
깁스엘라속2011
이자키엘라속2016
클레브시엘라속1885
클루이베라속1981
코사코니아속2013
르클레르시아속1987
렐리오티아속2013
림노바쿨룸속2018
망그로비박터속2010
메타코사코니아속2017
피토박터속2017
플루랄리박터속2013
프로테우스속1885
슈도에스케리키아속2017
슈도시트로박터속2014
라울텔라속2001
로젠베르기엘라속2013
사카로박터속1990
살모넬라속1900
스칸디나비움속2020
이질균속1919
심웰리아속2010
시치박터속2014
트라불시엘라속1992
요케넬라속1985



다음은 "Candidatus" 상태의 속 목록이다. 이는 배양이 어렵거나 아직 완전히 특성화되지 않아 잠정적으로 제안된 분류군을 나타낸다.

"Candidatus" 상태의 속 목록
속 이름
"Candidatus Annandia"
"Candidatus Arocatia"
"Candidatus Aschnera"
"Candidatus Benitsuchiphilus"
"Candidatus Blochmannia"
"Candidatus Curculioniphilus"
"Candidatus Cuticobacterium"
"Candidatus Doolittlea"
"Candidatus Gillettellia"
"Candidatus Gullanella"
"Candidatus Hamiltonella"
"Candidatus Hartigia"
"Candidatus Hoaglandella"
"Candidatus Ischnodemia"
"Candidatus Ishikawaella"
"Candidatus Kleidoceria"
"Candidatus Kotejella"
"Candidatus Macropleicola"
"Candidatus Mikella"
"Candidatus Moranella"
"Candidatus Phlomobacter"
"Candidatus Profftia"
"Candidatus Purcelliella"
"Candidatus Regiella"
"Candidatus Riesia"
"Candidatus Rohrkolberia"
"Candidatus Rosenkranzia"
"Candidatus Schneideria"
"Candidatus Stammera"
"Candidatus Stammerula"
"Candidatus Tachikawaea"
"Candidatus Westeberhardia"



다음 속들은 유효하게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효과적으로 발표되어 "명명법적 지위"를 갖지 않는 속들이다. 속 이름 뒤 괄호 안은 해당 속이 제안된 연도이다.

유효하게 발표되지 않은 속 목록
속 이름제안 연도
Aquamonas2009
Atlantibacter2016
Superficieibacter2018



장내세균과의 모식속은 대장균속(''Escherichia'' Castellani and Chalmers 1919)이다. 원래대로라면 과의 학명은 Escherichiaceae가 되어야 하지만, 국제세균명명규약의 예외 규정에 따라 엔테로박터과(Enterobacteriaceae Rahn 1937)라는 이름이 정식으로 인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엔테로박터속(''Enterobacter'' Hormaeche and Edwards 1960)이 모식속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인 이유 등으로 인해 유지되는 경우이다.

6. 병원성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세균 중 일부는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병원체이다. 예를 들어 ''살모넬라''나 ''시겔라''(이질균) 같은 세균은 내독소를 생성한다. 내독소는 세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며, 세균이 죽고 세포벽이 파괴될 때 외부로 방출된다.[1][2] 일부 장내세균이 생성하는 내독소는 세균이 용해된 후 혈류로 방출되면 전신적인 염증 반응과 혈관 확장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중 가장 심각한 상태는 내독소 쇼크로 알려져 있으며, 급속하게 진행되어 치명적일 수 있다.[1]

대부분의 장내세균과 세균은 비병원성이지만, 일부는 병원성을 가지며, 주로 설사와 같은 증상을 동반하는 장관 감염증의 원인이 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세균들이 있다.[3]



장내세균과 세균이 일으키는 질환은 장관 감염증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장관 이외의 부위에서 다양한 감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다.[3]

병원성 세균주요 감염 부위관련 질환
살모넬라 (일부)장관, 전신식중독, 장티푸스
시겔라장관세균성 이질
설사원성 대장균장관설사 (독소원성, 장출혈성 등)
페스트균 (Yersinia pestis)림프절, 폐페스트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폐렴
세라티아균 (Serratia)다양함기회 감염
대장균 (일부)요로, 혈액요로 감염, 균혈증


7. 항생제 내성

일부 장내세균 종은 다양한 항생제항생제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리되었으며, 특히 내성균에 대한 "마지막 항생제 방어선"으로 여겨지는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일부 ''폐렴구균'' 균주는 카바페넴 내성을 보인다.[18] ''대장균''과 ''폐렴구균''을 포함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에서는 다양한 카바페넴 분해 효소(카바페네마제) 유전자(blaOXA-48, blaKPC, blaNDM-1, blaVIM 및 blaIMP)가 확인되었다.[19]

8. 연구 및 응용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가장 중요한 모델 생물 중 하나이며, 그 유전학생화학이 면밀히 연구되어 왔다.

일부 장내세균은 중요한 병원체인데, 예를 들어 ''살모넬라''나 ''시겔라''는 내독소를 생성한다. 내독소는 세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며, 세균이 죽고 세포벽이 붕괴될 때 방출된다. 장내세균과의 일부 구성원이 생성하는 내독소는 세포 용해 후 혈류로 방출되면 전신 염증 및 혈관 확장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중 가장 심각한 형태는 내독소 쇼크로 알려져 있으며, 급속하게 치명적일 수 있다.

장내세균과에 의한 질환에는 세균성 이질이나 장티푸스 등 역사적으로 큰 유행이 잦았던 질병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내세균과는 세균 중에서도 비교적 연구가 많이 진행된 편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연구가 많이 진행된 것은 대장균으로, 가장 초기에 게놈 해독이 완료된 대표적인 모델 생물이다. 또한 대장균에 특정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도입하여 대량으로 발현시키는 단백질 대량 발현 시스템 등 산업적으로도 응용되고 있다.

9. 진단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내의 서로 다른 속을 식별하기 위해 미생물학 실험실에서는 다양한 생화학적 검사를 수행한다.[17] 주요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검사 종류목적 및 원리
페놀 레드 배지특정 당 발효 여부 및 가스 생성 확인
트립톤 배지인돌 생성 능력 확인 (트립토판 분해 효소 유무)
페닐알라닌 한천 배지탈아미노효소 생성 여부 확인 (페닐알라닌을 페닐피루브산으로 전환)
메틸 레드 검사혼합산 발효 경로 확인 (포도당 분해 시 다량의 산 생성 여부)
포게스-프로스카우어 검사 (VP 검사)부탄디올 발효 경로 확인 (아세틸메틸카르비놀(아세토인) 생성 여부)
카탈라아제 검사영양 한천 배지에서 효소 카탈라아제 생성 확인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
산화 효소 검사영양 한천 배지에서 효소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 생성 확인 (인공 전자수용체 산화 시 색 변화)
영양 젤라틴 배지 검사효소 젤라티나아제 활성 확인 (젤라틴 액화 능력)



''살모넬라''나 ''시겔라''와 같은 일부 장내세균은 내독소를 생성하는 중요한 병원체이다. 내독소는 세균의 세포벽 구성 성분으로, 세균이 사멸하고 세포벽이 파괴될 때 방출되어 숙주에게 전신 염증 반응이나 혈관 확장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치명적인 내독소 쇼크를 일으키기도 한다.

임상 환경에서 사람의 검체로부터 분리 동정되는 장내세균의 80~95%는 다음 세 종이 차지한다.


  • ''대장균'' (''Escherichia coli'')
  • ''폐렴막대균'' (''Klebsiella pneumoniae'')
  •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Proteus mirabilis'')


단,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는 현재 분류 체계상 장내세균과가 아닌 모르가넬라과(Morganellaceae)에 속하며, 이는 장내세균목(Enterobacterales) 내에서 장내세균과와 자매 분류군 관계에 있다. ''대장균''은 가장 중요한 모델 생물 중 하나로서 유전학생화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genera included in families - '''Enterobacteriaceae''' http://www.bacterio.[...]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2016-06-26
[2] 서적 The Gammaproteobacteria https://www.springer[...] Springer 2005-07-26
[3] 웹사이트 Enterobacteriales http://zipcodezoo.co[...] 2014-04-27
[4] 웹사이트 Enterobacteriales https://www.ncbi.nlm[...] 2013-03-09
[5] 웹사이트 Enterobacteriales http://taxonomicon.t[...] 2013-03-09
[6] 논문 Genome-based phylogeny and taxonomy of the 'Enterobacteriales': proposal for Enterobacterales ord. nov. divided into the families Enterobacteriaceae, Erwiniaceae fam. nov., Pectobacteriaceae fam. nov., Yersiniaceae fam. nov., Hafniaceae fam. nov., Morganellaceae fam. nov., and Budviciaceae fam. nov. 2016-12
[7] 웹사이트 Enteric Bacteria {{!}} Safety Services https://safetyservic[...] 2023-11-07
[8] 서적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https://books.google[...] Burgess Publishing Company
[9] 웹사이트 Dorlands Medical Dictionary:Enterobacteriaceae http://www.mercksour[...]
[10] 논문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in Enterobacteriaceae isolated from an urban wastewater treatment plant Oxford University Press (OUP)
[11] 논문 Zur Taxonomie und Okologie der Enterobakterien in Milch https://www.cabdirec[...] "1980"
[12] 논문 Ecology and Function of the Transmissible Locus of Stress Tolerance in Escherichia coli and Plant-Associated Enterobacteriaceae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21-08-31
[13]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http://dx.doi.org/10[...] "2005"
[14] 간행물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1-06-02
[15]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Bacteria with Special Reference to Endosymbionts and Enteric Species http://dx.doi.org/10[...] Springer New York 2021-06-02
[16] 논문 Phylogenomics and comparative genomic studies delineate six main clades within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and support the reclassification of several polyphyletic members of the family https://pubmed.ncbi.[...] 2017-10
[17] 문서 Biochemical Tests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 Williams & Wilkins "1980"
[18] 웹사이트 Klebsiella pneumoniae in Healthcare Settings - HAI https://www.cdc.gov/[...] 2022-04-06
[19] 논문 Colonization of intestinal microbiota with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in pa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in Cairo, Egypt https://linkinghub.e[...] 2019-03
[20]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https://www.worldcat[...] Springer 2001
[21] 저널 NETWATCH: Botany's Wayback Machine http://dx.doi.org/10[...] 2007-06-15
[22] 서적 NCBI Genome Project Resource http://dx.doi.org/10[...] Springer New York "2013"
[23] 저널 “Enterobacteriales” http://dx.doi.org/10[...] John Wiley & Sons, Ltd 2015-09-14
[24] 저널 Ad #359 Dorlands http://dx.doi.org/10[...] 20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