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식중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식중독은 부적절한 취급, 조리 또는 보관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자연독, 화학 물질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유아, 임산부, 노인 등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진단은 환자의 증상, 섭취 음식, 잠복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지며, 치료는 증상 완화와 수분 공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식품 안전 수칙 준수, 위생적인 식당 이용 등이 중요하며, 식품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도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중독 - 살모넬라증
    살모넬라증은 살모넬라균 감염으로 발열, 설사, 복통, 구토를 일으키며, 주로 오염된 음식물 섭취로 감염되고, 영유아나 노약자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식품 안전 수칙 준수와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식중독 - 회충증
    회충증은 회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회충 알이 섞인 음식 섭취를 통해 감염되며 장폐색, 내장 손상,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변 검사로 진단하고 위생 시설 개선과 구충제 사용으로 치료 및 예방한다.
  • 식품 안전 - 저온 살균법
    저온 살균법은 액체 식품을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미생물을 제거, 보존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와인 산패 방지에서 시작되어 우유 등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며, 온도와 시간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나뉜다.
  • 식품 안전 - ISO 22000
    ISO 22000은 식품 체인 내 조직의 식품 안전 경영 시스템 요구 사항을 다루는 국제 표준으로, HACCP 원칙과 식품 위생 원칙을 통합하여 식품 안전 위험을 관리하며, FSSC 22000과 같은 인증 체계의 기반이 된다.
  • 감염병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식중독
일반 정보
정의
식중독상한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질병
원인
주요 원인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화학 물질 등
세균성 식중독 원인균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대장균
리스테리아
살모넬라
비브리오 콜레라
크로노박터 속
바이러스성 식중독 원인 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A형 간염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기생충성 식중독 원인 기생충크립토스포리디움
이질아메바
지아르디아
트리키넬라
기타 원인독소 (세균, 곰팡이, 식물, 동물)
중금속
농약
식품 첨가물
오염된 식수
위험 요인
식품 안전FAT TOM (식품, 산도, 시간, 온도, 산소, 수분)
pHpH
수분 활성도수분 활성도 (aw)
증상
주요 증상구토
설사
복통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탈수
예방
예방 방법식품 위생 관리
손 씻기
적절한 온도에서 식품 보관
익혀 먹기
관련 용어
관련 용어식품 안전
식품 매개 질병
우수 제조 관리 기준 (GMP)
위해 요소 분석 중요 관리점 (HACCP)
위해 요소 분석 및 위험 기반 예방 관리 (HARPC)
중요 관리점
참고 자료
참고 자료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식품 매개 질병 자주 묻는 질문
일본대백과전서 - 식중독
디지털 대사전 - 식중독

2. 원인

식중독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냉장고에 부적절하게 보관된 음식


식중독은 대개 부적절한 취급, 조리 또는 식품 보관으로 발생한다. 음식물 조리 전, 중, 후의 철저한 위생 관리를 통해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공중 보건계에서는 정기적인 손씻기가 식중독 확산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식중독을 유발하지 않도록 음식을 관리하는 행위를 식품 안전이라고 한다.[3]

식중독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독소, 농약, 의약품과 같은 여러 화학 물질이나 보미톡신, 독버섯 또는 복어와 같은 천연 독성 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4]

19세기, 볼로냐의 이탈리아 화학자 프란체스코 셀미(Francesco Selmi)는 부패하는 동물성 및 식물성 물질, 특히 푸트레신카다베린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에 대해 ''ptōma|프토메인grc''(그리스어 ''ptōma'', "추락, 떨어진 시체, 시체"에서 유래)이라는 일반적인 이름을 도입했다.[62] 그러나 현재는 "해로운… 영향"이 박테리아의 직접적인 작용 때문이며 알칼로이드 때문은 거의 아니라는 것이 알려져 "프토메인 중독"이라는 용어는 대부분 사용되지 않는다.

1932년 미국 오하이오주 매실론에서 열린 미국 공산당 정치 집회와[65] 워싱턴 D.C.의 유람선에서[66] 오염된 감자 샐러드로 인해 수백 명이 식중독에 걸린 사건은, 미국 뉴스 주간지 ''타임''에서 "프토메인 중독"의 위험에 대한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1944년에는 시카고의 한 레스토랑 체인이 제공한 밥푸딩으로 인해 150명 이상이 프토메인 중독으로 입원했다는 기사가 보도되기도 했다.[67]

가장 흔한 식중독 유형은 포도상구균 식중독으로, 이미 형성된 독소에 의해 복통, 설사,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보통 섭취 후 수 시간에서 12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며, 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증식에 의한 식중독보다 빠른 것이다. 대개 24~48시간 내에 독소가 배출되면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1~3시간, 늦어도 6~12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는 빠른 식중독은 대개 독소에 의한 것이며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등 세균 침범성 식중독은 세균이 인체 내에서 번식해야 하므로 보통 24시간 이후에 증상이 시작된다. 포도상구균 식중독은 자연 회복되므로 증상에 맞춰 대증 요법 투약을 하며, 죽이나 소화가 잘 되는 음식, 따뜻한 물을 섭취하면서 소화기를 자극하지 않는 식사를 하면 된다. 포도상 알균이 상한 음식에서 번식하며 독소를 대량 생성하기 때문에 집단 발생이 잦다.

보툴리누스 식중독은 주름 개선 주사로 사용되는 보툴리누스균이 저장 음식(통조림)에서 천천히 번식하며 만들어진 독소에 의해 발생한다. 통통해진 통조림은 매우 위험하다. 대개 24시간 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사망하거나 생존하더라도 몇 주 동안 신경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생물학적 테러 보고 대상이다. 증상으로는 대칭성, 하행성 마비 및 구상 마비(복시, 시력 저하, 발성 곤란, 연하 곤란)가 있다.

200가지가 넘는 원인 독물 중 흔한 것은 맥각(ergot) 중독으로, 아플라톡신(aflatoxin), 옥라톡신(ochratoxin), 제랄레논(zealalenone) 등이 오래된 곡류(, 보리, 옥수수, 땅콩, 밀 등)에 형성되어 중독을 일으킨다. 냉장고 보급으로 많이 줄어든 식중독이다. 중독 증상으로는 신장애, 간장애, 중추신경계 이상, 피부염 등이 있으며, Aflatoxin은 간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2. 1. 세균

세균은 식중독의 흔한 원인이다. 2000년 영국 보고에 따르면,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영어) 77.3%, 살모넬라(Salmonella영어) 20.9%, 대장균 O157:H7(Escherichia coli영어 O157:H7) 1.4%, 나머지 0.56% 미만이었다.[5] 과거에는 세균 감염이 더 흔하다고 생각되었지만, 이는 노로바이러스(노로바이러스) 검사 및 감시 부족 때문이었다. 세균 감염 독소는 증식 시간이 필요하여, 오염된 음식 섭취 후 12~72시간 이후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은 30분 만에 발병하기도 한다.[6]

가장 흔한 세균성 식중독 병원체는 다음과 같다:

  •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영어): 길랭-바레 증후군, 치주염 유발.[9]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영어): "카페테리아 세균"[10][11]
  • 살모넬라(Salmonella영어) spp.: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 typhimurium영어) 감염은 덜 익힌 계란, 가금류 섭취나 사람-동물 병원체 상호작용으로 발생.[12][13][14]
  • 장출혈성 대장균 O157:H7(Escherichia coli O157:H7영어)(EHEC): 용혈성 요독 증후군 유발.


다른 흔한 세균성 식중독 병원체:[15]

  •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영어)
  • 대장균(Escherichia coli영어): 침입성 대장균(EIEC), 병원성 대장균(EPEC), 장독소원성 대장균(ETEC), 집합성 대장균(EAEC 또는 EAgEC) 등 병독성 특성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영어)
  • 시겔라(Shigella영어) spp.
  •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영어)
  • 연쇄상구균(Streptococcus영어)
  • 콜레라균(Vibrio cholerae영어): O1 및 비-O1 포함
  •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영어)
  •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영어)
  •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영어) 및 예르시니아 슈도튜버큘로시스(Yersinia pseudotuberculosis영어)


덜 흔한 세균성 병원체:

  • 브루셀라(Brucella영어) spp.
  • 코리네박테리움 울세란스(Corynebacterium ulcerans영어)
  • 콕시엘라 부르네티(Coxiella burnetii영어) 또는 큐열
  • 플레시오모나스 시겔로이데스(Plesiomonas shigelloides영어)


일부 식중독은 장관독소(장독소)에 의해 발생하며, 미생물 사멸 후에도 질병을 유발한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장관독소는 1~6시간 만에 증상이 나타난다.[16] 포도상구균 장관독소 A가 가장 흔하며, 실제 사례는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다.[17] 주로 조리, 가공된 식품에서 발생하며, 사람이 주요 오염원이다.[17] 미국 CDC는 연간 약 24만 건으로 추산한다.[18]

  • 보툴리누스균
  • 퍼프린젠스균
  • 바실루스 세레우스


보툴리누스증은 혐기성 세균 보툴리누스균이 부적절하게 캔에 든 저산도 식품에서 자라 보툴리눔 독소를 생성할 때 발생한다.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특정 종의 슈도모나스속과 비브리오속 등은 테트로도톡신을 생성하며, 일부 동물 종 조직에 존재한다.

  • 호염성애로모나스, 카비에 애로모나스, 소브리아 애로모나스


최근 스칸디나비아 지역 ''장염비브리오'' 집단 발병은 세척된 샐러드 오염과 관련 있다.[19]

2. 2. 바이러스

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은 여러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노로바이러스''': 사람 간에 직접적으로, 또는 음식물을 통해 감염된다. 잠복 기간은 1~2일이며, 심한 설사구토가 주요 증상이다. 감염성이 매우 강하여, 요양원 등 고령자가 모이는 곳에서 유행할 경우 다수의 사망자를 낼 수 있다.[118]
  • '''로타바이러스''': 항원성에 따라 A군부터 G군으로 분류되며,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은 A, B, C군이다. A군은 유아 설사의 원인 바이러스로 중요하며, B군은 성인에게 심한 설사를 일으킨다.[119]
  • '''A형 간염 바이러스'''
  • '''E형 간염 바이러스''': 야생 동물 고기나 사냥 고기를 섭취하여 급성 간염을 일으킬 수 있다.[120]

2. 3. 기생충

기생충이 체내에서 증식하거나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식중독이다.

분류종류
선형동물
원생동물
기타디스토마, 유구조충, 무구조충, 점액포자충(히라메, 참치 등[127][128]), 주육포자충(날고기[129]), 아니사키스속, 크립토스포리디움, 람블편모충(지아르디아증) 등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따르면 식품 매개 기생충의 세계 순위는 유구조충(Taenia solium)이 가장 높고, 에키노코쿠스 그라눌로수스(Echinococcus granulosus), 에키노코쿠스 멀티로쿨라리스(Echinococcus multilocularis), 톡소플라스마(Toxoplasma gondii) 순이다.[101] 유럽에서는 에키노코쿠스 멀티로쿨라리스(Echinococcus multilocularis)가 가장 높고, 톡소플라스마(Toxoplasma gondii)와 트리키넬라 회선충(Trichinella spiralis) 순으로 나타났다.[102]

2. 4. 자연독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 중독은 주로 복어의 난소, 간, 피부 등에 함유된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이라는 신경독에 의해 발생한다. 이 독은 신경 마비를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4]

버섯 중독은 독버섯 섭취로 인해 발생하며, 구토, 설사, 복통, 환각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4]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독버섯을 식물성 자연독으로 분류하고 있다.[125][126]

이 외에도 조개독, 식물독(감자의 Solanine|솔라닌영어, 청매실의 Amygdalin|아미그달린영어 등) 등 다양한 자연독이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2. 5. 화학 물질

농약, 중금속, 식품 첨가물 등 화학 물질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면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4] 화학성 식중독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히스타민아민''': 주로 참치, 황새치, 고등어와 같이 신선도가 떨어진 생선에서 발생하며, 스콤브로이드 식중독이라고도 한다. 치즈, 발효 식품, 부패한 식품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오징어, 고등어, 참치, 방어 등을 상온에 보관하면 히스타민이 축적되는데[121], 조리 과정에서 가열해도 히스타민은 분해되지 않아[121] 섭취 후 식중독을 유발한다. 히스타민은 위장염 외에도 두통, 발진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122], 섭취 후 20분 정도로 짧은 시간 안에 발병하기도 한다. 히스타민 생성균인 ''Proteus morganii'' 등에 오염된 생선에는 다량의 히스티딘이 존재하며, 히스티딘이 탈탄산화 과정을 거쳐 히스타민으로 변한다. 고등어를 5℃에서 5일간 보관하면 부패 냄새를 느끼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히스타민 농도가 중독 임계치를 넘는 경우가 있지만,[123] 중독 증상을 유발하는 농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 명확하지 않다.[124]
  • '''곰팡이 독소''': 곰팡이가 생성하는 독소로, 소화기 증상 외에도 발암성, 간독성, 신독성, 불임, 유산 등 다양한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급성에서 만성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 * 마이코톡신: 아플라톡신, 옥랄톡신, 파툴린

3. 증상

식중독의 증상은 구토형과 설사형으로 나뉜다. 구토형은 보통 섭취 후 2~12시간 후에 구토 등의 증세가 나타나지만, 설사형은 24~72시간의 잠복기 이후에 발생한다.[53] 식중독균 등 그 원인에 따라 복통, 구역질, 구토, 설사, 발열, 두통, 피로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53] 대부분의 경우 식중독은 발병 후 단기간에 완치되지만, 유아, 임산부(와 그의 태아), 노인, 환자는 탈수로 인해 영구적인 건강 장애나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53] (예: 2011년 유럽의 장출혈성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으로 사망자 및 영구 신장 장애를 겪는 환자가 속출한 사례가 있음.)[53]

가장 흔한 식중독 유형은 포도상구균 식중독이다.[53] 이미 형성된 독소에 의해 복통, 설사, 구역, 구토 증상이 생기며, 보통 섭취 후 수 시간에서 12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난다.[53] 세균이나 바이러스 증식에 의한 식중독보다 빨리 증상이 나타나며, 보통 24~48시간 후 독소가 모두 배출되면 자연적으로 회복된다.[53] 보통 1~3시간 내에 증상이 발현하고 늦어도 6~12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식중독은 증상이 빨리 나타날수록 덜 위험하다.[53] 즉, 12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면 대개 독소에 의한 식중독이고 자가 제한성이다.[53] 반면, 세균 침범성 식중독(예: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은 세균이 인체 내에서 번식해야 하므로, 보통 24시간 이후 증상이 시작된다.[53] 자연적으로 회복되므로 증상에 맞춰 대증 요법 투약을 하며, 죽이나 소화가 잘 되는 음식, 따뜻한 물을 섭취하여 소화기를 자극하지 않는 식사를 하면 된다.[53] 포도상 알균이 상한 음식에서 번식하면서 독소를 대량 생성하기 때문에 대개 집단으로 발생한다.[53]

콜레라, 장티푸스는 세균 침범성 식중독의 대표적인 예이다.[53]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할 수도 있다.[53] 세균이 장 내에서 계속 번식하면서 독소를 분비하거나 세균이 직접 위장 및 장기에 침범한다.[53] 보통 혈성 설사가 동반된다.[53]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중요하다.[53]

보툴리누스 식중독은 주름을 펴는 주사로 사용되는 보툴리누스 간균이 천천히 번식하므로 저장 음식(통조림)에 만들어진 독소에 의해 발생한다.[53] 통통해진 통조림은 매우 위험하다.[53] 증상은 대개 24시간 후에 나타나며, 대개 사망하고 생존하면 몇 주 동안 신경 마비 증상이 생긴다. 생물학적 테러 보고 대상 식중독이다.[53] 증상은 대칭성, 하행성 마비 증상과 구상 마비 소견(복시, 시력 저하, 발성 곤란, 연하 곤란)이다.[53]

원인 독물은 200가지가 넘는다.[53] 흔한 독물은 맥각(ergot) 중독으로, aflatoxin, ochratoxin, zealalenone 등이 오래된 곡류(, 보리, 옥수수, 땅콩, 밀 등)에 형성되어 중독된다.[53] 냉장고가 널리 사용되면서 많이 줄어든 식중독이다.[53] 중독 증상으로는 신장애, 간장애, 중추 신경계, 피부염이 있다.[53] Aflatoxin은 간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53]

오염된 음식을 섭취한 후 첫 번째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을 잠복기라고 한다.[53] 이 기간은 병원체와 섭취량에 따라 수 시간에서 수 일(드물게는 리스테리아증이나 광우병과 같은 경우 수개월 또는 수년)까지 다양하다.[53] 음식을 먹은 후 1~6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면 살아있는 박테리아가 아니라 박테리아 독소나 화학 물질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53]

많은 식중독의 긴 잠복기는 증상을 위장염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53]

잠복기 동안 미생물를 통과하여 으로 이동하고, 장벽의 세포에 부착하여 증식하기 시작한다.[53] 일부 유형의 미생물은 장에 머물고, 일부는 독소를 생성하여 혈류로 흡수되며, 일부는 더 깊은 신체 조직을 직접 침범할 수 있다.[53] 발생하는 증상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53]

4. 진단

식중독 진단은 환자의 증상, 섭취한 음식, 잠복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 대변 검사, 혈액 검사, 구토물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집단 식중독 발생 시에는 역학 조사를 통해 원인 식품 및 오염 경로를 파악한다.

5. 치료

식중독 치료는 대부분 증상에 맞춰 대증 요법으로 이루어진다.

포도상구균 식중독의 경우, 보통 1~3시간, 늦어도 6~12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며, 24~48시간 후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죽이나 소화가 잘 되는 음식, 따뜻한 물을 섭취하며 소화기를 자극하지 않는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콜레라, 장티푸스와 같이 세균이 장내에서 번식하며 독소를 분비하거나 세균이 직접 위장 및 장기에 침범하는 경우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중요하다.

보툴리누스 식중독은 보툴리누스균이 생성한 독소에 의해 발생하며, 대개 24시간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사망률이 높고, 생존하더라도 몇 주 동안 신경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은 주요 세균성 식중독에 대한 표이다.

주요 세균성 식중독
병원체장염비브리오살모넬라캄피로박터O157 등 장관출혈성대장균(EHEC)황색포도상구균보툴리누스균웰슈균세레우스균리스테리아노로바이러스
종류감염형감염형감염형감염형 또는 중간형독소형독소형중간형중간형감염형감염형
(엄밀히는 바이러스성이며 세균성이 아님)
병원인자내열성 용혈독소(TDH)장관 상피세포 침입장관 상피세포 침입베로독소[117]포도상구균 엔테로톡신보툴리누스톡신웰슈균 엔테로톡신세레우스균 엔테로톡신세포 침입장관 상피세포 침입
감염원어패류쥐, 가축, 조류조류, 가축가축, 쥐, 감염자의 분변조리사의 피부발효식품, 이즈시, 진공포장 식품, 소시지 등다양함쌀, 보리 등의 곡물가축조개류, 감염자의 분변
원인 식품생선, 조개류 등생고기, 계란, 샐러드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다양한 식품. 특히 생고기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주먹밥, 초밥, 유제품발효식품, 이즈시, 진공포장 식품, 소시지 등육류 요리 등파스타, 볶음밥 등유제품, 육류 요리, 샐러드 등다양한 식품. 과거에는 굴 등의 이매패류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잠복기12~24시간1~2일2~11일3~8일30분~6시간2시간~8일8~24시간30분~6시간1일~1개월24~48시간
주요 증상복통, 설사, 구토발열, 복통, 설사, 구토두통, 복통, 설사, 구토출혈성 대장염(복통, 수양성 설사, 혈변, 감기 증상)메스꺼움, 구토, 상복부 통증, 설사마비, 복시, 발음장애, 호흡곤란 등복부 불쾌감, 설사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발열, 권태감, 두통, 근육통, 관절통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상복부에서 심함배꼽 주변에서 심함배꼽 주변에서 심함하복부에서 심함상복부에서 심함상복부에서 심함상복부에서 심함상복부에서 심함
설사수양변, 중증의 경우 점액혈변수양변 또는 점액혈변수양변 또는 점액혈변처음에는 수양변, 나중에 혈변수양변, 드물게 점액혈변드뭄수양변, 드물게 점액혈변수양변드뭄수양변
혈변(하혈)중증의 경우 있음있음있음특히 현저하게 나타남.
전형적인 경우에는 “대변 성분이 거의 없고, 빨간 피 그 자체”와 같은 상태로 나온다.
드뭄드뭄
구토많음있음있음드뭄심함있음드뭄드뭄많음
발열없거나 경미함(37℃대)많음, 때때로 38℃ 이상의 고열이 되는 경우도 있음있음경미함(37℃대)드뭄없음드뭄드뭄고열(38℃ 이상)없거나 경미함(37℃대)
합병증드물게 심장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음패혈증패혈증, 길랭-바레 증후군용혈성 요독 증후군(HUS),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TTP)드물게 괴사성 장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음패혈증, 수막염, 유산
이차 감염(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염)드뭄있음있음있음없음없음없음없음드뭄많음
예방법어패류의 생식을 피하고, 식전 가열쥐의 구제, 계란의 생식을 피하고,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씻기육류의 생식을 피하고,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씻기육류의 생식을 피하고, 식전 가열, 냉장 냉동, 식전 손씻기, 이차 감염 예방손에 화농이 있는 사람의 조리 금지통조림이나 소시지 등의 가열 살균남은 음식 재가열하지 않기남은 음식 재가열하지 않기식전 가열 살균식전 가열, 손씻기, 양치질, 이차 감염 예방
감염병 예방법상 취급5류 감염병(감염성 위장염)5류 감염병(감염성 위장염)5류 감염병(감염성 위장염)3류 감염병(장관출혈성대장균 감염증)4류 감염병(보툴리누스증)5류 감염병(세균성 수막염)5류 감염병(감염성 위장염)
비고콜레라균과 같은 비브리오속에 분류되는 세균임장티푸스파라티푸스를 일으키는 균주는 감염병 예방법에서 3류 감염병으로 지정됨합병증인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는 치사율이 높고, 후유증이 남는 경우도 있음보툴리누스톡신은 맹독이며,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치사율이 높음식중독뿐만 아니라 가스 괴저를 일으키는 균주도 있음국내 발생은 드물지만, 미국에서는 중증례가 많음식중독보다 이차 감염의 예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음


6. 예방

식중독 예방을 위한 3대 원칙은 다음과 같다.[163]

# '''묻히지 않게 하기'''

# '''증식시키지 않기''' (신속한 조리, 냉각, 건조)

# '''죽이기''' (가열 등)

대부분의 경우, 원인 병원체가 증식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상태가 되어도 맛이나 냄새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식사 직전에 안전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예방 원칙에 따라야 한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이외의 원인에 의한 식중독은 「잘못 먹지 않기」에 주의해야 한다. 오랜 경험과 전문가의 지식을 바탕으로 각자 대처해야 한다. 기생충에 의한 식중독은 세균에 의한 식중독 예방 원칙인 「묻히지 않게 하기」와 「죽이기」를 지키면 예방할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은 주먹밥, 초밥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피부 상재균이 식품으로 이동하여 증식하면서 독소를 생성하는데, 이 독소는 열에 강해 조리 시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는다.[106][107]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남아 있어서 발생하는 식중독을 예방할 때, 이미 세균 등에 의한 「독소」가 식재료에 축적되어 있거나 세균류가 내구성 포자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재가열 등의 방법이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다. '''가열하면 안전하다고 과신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정부는 안전한 식품 공급을 주요 임무로 하며, 식품 공급망에 참여하는 모든 행위자는 식품 매개 질병 예방에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해 엄격한 위생 규칙 시행, 농장에서 상점, 식당까지 동물성 제품 모니터링을 위한 공공 수의 및 식물 위생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규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추적 가능성: 최종 제품에서 재료의 기원(원산지 농장, 작물 또는 동물의 식별)과 가공 장소 및 시점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질병 원인 추적 및 해결, 문제 발생 시 제품 제거가 가능하다.
  • HACCP 및 "콜드 체인"과 같은 위생 절차 이행.
  • 수의사의 관리 및 법 집행 권한.


국제식품안전기관네트워크(INFOSAN)는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의 공동 프로그램으로, 2004년부터 전 세계 국가 당국을 연결하여 오염된 식품과 식품 매개 질병의 국제적 확산을 예방하고 전 세계적으로 식품 안전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식품 안전 사건 발생 시 정보 교환 신속 촉진
  • 세계적 관심사인 중요한 식품 안전 문제에 대한 정보 공유
  • 국가 간 파트너십 및 협력 증진
  • 국가의 식품 안전 위험 관리 역량 강화 지원

6. 1. 식품 취급 및 보관

식품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식재료를 구입할 때는 신선하고 위생적인 것을 선택하고, 유통기한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냉장이나 냉동 보관이 필요한 식품은 구입 즉시 냉장고나 냉동고에 넣어 적절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적절한 보관 및 냉장은 식중독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충분히 가열하여 세균을 죽여야 한다. 특히, 고기나 생선 등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혀야 한다. 남은 음식은 빠르게 식혀 얕은 용기에 담아 2시간 이내에 냉장 보관하고, 다시 먹을 때는 충분히 재가열해야 한다.[2]

주방에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 씻기, 농산물 헹구기,[21] 교차 오염 방지, 적절한 온도 관리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냉동·냉장은 대부분의 세균 증식을 막고, 가열은 기생충, 바이러스, 세균을 죽인다. 세균은 약 4.4°C에서 약 60.0°C 사이의 "위험 구역"에서 빠르게 증식하므로, 이 온도 범위를 피하여 보관하면 독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재가열 시에는 내부 온도가 약 73.9°C에 도달하거나 뜨겁게 김이 날 때까지 가열해야 한다.[22]

조리 기구는 생선, 해산물, 육류용과 채소용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고, 특히 도마는 양면을 구분하거나 색깔이 다른 도마를 사용하여 교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조리 후에는 즉시 물기를 닦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한다.

식재료를 냉장·냉동하는 것은 세균 증식 억제에 효과적이지만, 세균이 완전히 죽는 것은 아니다. 냉장고에 식재료를 너무 많이 넣으면 냉기 순환이 안 되어 일부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고농도의 염분은 세균 증식을 억제하지만, 황색포도상구균이나 장염비브리오와 같은 호염균은 고농도 염분에서도 증식할 수 있다. 리스테리아균은 30% 염분 농도에서도 생존 가능하다.

식재료를 건조시키는 것도 식중독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완전 건조는 어렵다. 따라서 조리 기구를 세척한 후 물기를 닦고 습기가 적은 곳에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식초 등)은 세균 증식을 억제하지만, 살균 효과는 높지 않다. 장염비브리오 등 산에 약한 세균도 있지만, 일반적인 식사에 적합한 농도로는 세균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다.

가열은 세균을 죽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대부분의 식중독 원인균은 75℃에서 1분 이상 가열하면 죽지만, 중심부까지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그러나 노로바이러스는 85℃에서 1분 이상 가열해야 한다.[167]

마늘, 와사비 등의 향신료는 살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효과 지속 시간은 짧다. 생강은 오히려 세균 증식을 촉진할 수 있으며,[169] 향신료 자체가 오염원이 될 수도 있다.[172][173]

6. 2. 개인위생 관리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손 씻기''': 식사 전, 조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외출 후에는 반드시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특히 조리 중 화장실에 갔을 경우에는 반드시 비누로 손을 씻어야 하며, 집단 조리 시설에서는 옷을 갈아입은 후 비누로 씻고 알코올 소독을 의무화하는 곳도 있다.[163]
  • '''물 끓여 마시기''': 끓인 물이나 생수를 마시는 것이 안전하다.
  • '''익혀 먹기''': 날 음식 섭취를 자제하고,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는다.
  • '''위생적인 식당 이용''': 위생 상태가 좋은 식당을 이용하고, 길거리 음식 섭취를 자제한다.


주방에서 식품 매개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에는 손 씻기, 농산물 헹구기,[21] 교차 오염 방지, 적절한 보관 및 조리 온도 유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 또는 냉장은 사실상 모든 세균의 성장을 방지하고, 음식을 충분히 가열하면 기생충, 바이러스 및 대부분의 세균이 사멸한다.[2]

세균을 불활화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가열이다. 식중독 원인균은 75도 이상의 환경에서 1분 이상 지나면 대부분 불활화된다. 큰 식재료의 경우에는 식재료 중심이 75도 이상이 1분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165] 하지만 75도 1분이라는 가열 조건은 과도한 가열로 제품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다. 실제로, 미국 정부나 캐나다 정부 등의 식품 안전 가이드라인에서는 더 약한 조건의 가열을 제시하고 있다.[166] 예를 들어,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에서는 햄버거는 71도에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노로바이러스를 불활화하려면 중심 온도 8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해야 한다.[167]

7. 역학 및 통계

식중독은 전 세계적으로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며,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식중독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70]

2018년 일본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식중독 발생 현황은 총 1,330건, 환자 17,282명, 사망자 3명이었다. 외부링크 일본의 식품위생법에는 식중독 발생 시 보고, 조사, 행정 처분 등이 규정되어 있으며, 행정적 조치 외에 형사 사건(업무상과실치사상 등)이나 민사 소송(손해배상 청구 소송)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고, 사망 시 배상액은 고액이 될 수도 있다.

2006년도 일본 내 식중독 환자 수 기준으로는 노로바이러스, 캠필로박터, 살모넬라균 순이었으며, 이 3종이 전체의 8할을 차지했다.

한국에서는 여름철에 세균성 식중독 발생이 가장 많고, 겨울철에는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 발생이 많다.

8. 한국의 식중독 발생 사례

2019년 경기도 안산시 소재 유치원에서 원아와 교직원 등 100여 명이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일부 원아는 용혈성요독증후군(HUS) 합병증으로 신장 투석 치료를 받았다. 2020년, 김밥 프랜차이즈점에서 전국 여러 지점에서 김밥을 섭취한 200여 명이 식중독 증상을 보였으며, 일부 환자에게서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었다. 2021년, 경기도 성남시 소재 분식점에서 김밥을 섭취한 270여 명이 식중독 증상을 보였으며, 역학 조사 결과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었다.

9.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식중독 문제

더불어민주당은 식품 안전을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식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정책 강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학교 급식 식중독 문제 해결을 위해 학교급식법 개정을 추진하고, 식중독 발생 시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공개를 강조한다.[74]

식품 안전 관리 체계 강화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역할과 책임을 강화하고, 식품 안전 관련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식품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서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 확대를 통해 식중독 발생을 예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식중독 피해 발생 시 신속한 피해 구제 및 지원 대책 마련을 강조하며, 식중독 피해자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참조

[1] 의학용어 food poisoning
[2] 웹사이트 Foodborne Illness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07-03
[3] 문서 Food contaminants
[4] 웹사이트 Chemicals, Metals & Pesticides in Food https://www.fda.gov/[...] 2021
[5] 웹사이트 Reducing the risk from ''E. coli'' 0157 – controlling cross-contamination http://food.gov.uk/e[...] Food Standards Agency, United Kingdom 2016-08-14
[6] 웹사이트 Staphylococcal Food Poisoning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07-03
[7] 웹사이트 Chickensplash! Exploring the health concerns of washing raw chicken https://phys.org/new[...] 2022-10-03
[8] 논문 Chickensplash! Exploring the health concerns of washing raw chicken 2022-03
[9] 논문 Campylobacters as zoonotic pathogens: a food production perspective 2007-07
[10] 웹사이트 Foodborne Illness: What Consumers Need to Know http://www.fsis.usda[...] 2016-08-14
[11] 논문 Phylogenomic analysis of gastroenteritis-associated ''Clostridium perfringens'' in England and Wales over a 7-year period indicates distribution of clonal toxigenic strains in multiple outbreaks and extensive involvement of enterotoxin-encoding (CPE) plasmids 2019-10
[12] 논문 An outbreak of Salmonella typhimurium phage type 135 infection linked to the consumption of raw shell eggs in an aged care facility https://www.health.g[...]
[13] 웹사이트 Salmonella Infection (salmonellosis) and Animals https://www.cdc.gov/[...] 2007-08-12
[14] 논문 Reducing the carriage of foodborne pathogens in livestock and poultry 2006-06
[15] 웹사이트 Foodborne Germs and Illnesses https://www.cdc.gov/[...] 2020-03-18
[16] 웹사이트 Food poisoning: Causes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17] 논문 Food poisoning and Staphylococcus aureus enterotoxins 2010-07
[18] 웹사이트 Staphylococcus aureus: A Problem When Food Is Left Out Too Long http://ohioline.osu.[...] Ohio State University Extension HYG-5564-11
[19]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ultidrug-Resistant ''Yersinia enterocolitica'' From Foodborne Outbreaks in Sweden 2021-05-13
[20] 뉴스 FDA Says Viruses Safe for Treating Meat https://www.forbes.c[...] 2014-09-02
[21] 웹사이트 Good Question: Does Washing Fruit Do Anything? http://minnesota.cbs[...] 2016-09-18
[22] 웹사이트 How Temperatures Affect Food http://www.fsis.usda[...] U.D. Department of Agriculture
[23] 웹사이트 Fungi and Mycotoxins http://www.vetmed.uc[...] vetmed.ucdavis.edu 2007-08-11
[24] 웹사이트 Outbreak of Aflatoxin Poisoning --- Eastern and Central Provinces, Kenya, January--July 2004 https://www.cdc.gov/[...]
[25] 논문 Mycotoxins—Prevention, Detection, Impact on Animal Health 2021
[26] 웹사이트 Aflatoxins https://www.fda.gov/[...] 2007-08-12
[27] 웹사이트 GASGA Technical Leaflet – 3 Mycotoxins in Grain http://www.fao.org/W[...] 2007-08-12
[28] 웹사이트 Sec. 683.100 Action Levels for Aflatoxins in Animal Feeds (CPG 7126.33) https://www.fda.gov/[...] 2007-08-13
[29] 웹사이트 Mycotoxins in Feeds: CVM's Perspective https://www.fda.gov/[...] 2012-01-01
[30] 논문 Aflatoxins (Sum of B1, B2, G1, G2) in cereals and cereal-derived food products 2013
[31] 웹사이트 Chapter 2 Foodborne Hazards in ''Basic Food Safety for Health Workers'' https://www.who.int/[...] 2007-08-12
[32] 논문 ''Alternaria'' toxins in weather-damaged wheat and sorghum in the 1995–1996 Australian harvest
[33] 논문 Alternaria mycotoxins in weathered wheat from China 2000-07
[34] 논문 Survey of Brazilian tomato products for alternariol, alternariol monomethyl ether, tenuazonic acid and cyclopiazonic acid 2001-07
[35] 논문 Production of alternaria mycotoxins by Alternaria alternata isolated from weather-damaged wheat 2001-04
[36] 논문 Fumonisins: their implications for human and animal health
[37] 논문 Occurrence of fumonisins in foods 2004
[38] 웹사이트 CVM and Fumonisins https://www.fda.gov/[...] 2007-08-13
[39] 웹사이트 More contaminated maize meal products withdrawn from sale http://www.food.gov.[...] 2007-08-12
[40] 웹사이트 20th Australian Total Diet Survey – Part B http://www.foodstand[...] 2007-08-13
[41] 웹사이트 Worldwide regulations for mycotoxins in food and feed in 2003 http://www.fao.org/d[...] 2007-08-13
[42] 웹사이트 Patulin in Apple Juice, Apple Juice Concentrates and Apple Juice Products http://vm.cfsan.fda.[...] 2007-08-16
[43] 논문 Genotoxicity assessment of five tremorgenic mycotoxins (fumitremorgen B, paxilline, penitrem A, verruculogen, and verrucosidin) produced by molds isolated from fermented meats 2003-11
[44] 논문 Occurrence of Fusarium species and trichothecenes in Nigerian maize 2007-05
[45] 논문 Spectrum of noninfectious health effects from molds 2006-12
[46] 논문 Trichothecene toxicity on human megakaryocyte progenitors (CFU-MK) 2001-02
[47] 논문 Comparative study of the yield of T-2 toxic produced by Fusarium poae, F. sporotrichioides and F. sporotrichioides var. tricinctum strains from different sources 1977-02
[48] 논문 Fusarium infections of the skin 2007-04
[49]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and FDA – Letter to State Agricultural Directors, State Feed Control Officials, and Food, Feed, and Grain Trade Organizations http://www.cfsan.fda[...] 2007-08-13
[50] 특허 Trichothecene-resistant transgenic plants
[51] 논문 Intra-laboratory validation of a concentration method adapted for the enumeration of infectious F-specific RNA coliphage, enterovirus, and hepatitis A virus from inoculated leaves of salad vegetables 2006-04
[52] MS thesis Improving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tomatoes by low dose electron beam irradiation https://oaktrust.lib[...] Texas A&M University 2004
[53] 논문 Zoonotic foodborne parasites and their surveillance 2013-08
[54] 웹사이트 Nematode https://www.britanni[...] 2021
[55] 논문 An unusual cause of epidemic thyrotoxicosis 2017-12
[56] 논문 An outbreak of thyrotoxicosis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bovine thyroid gland in ground beef 1987-04
[57] 논문 Recurrent hamburger thyrotoxicosis 2003-09
[58] 논문 Exogenous thyrotoxicosis in dogs attributable to consumption of all-meat commercial dog food or treats containing excessive thyroid hormone: 14 cases (2008-2013) 2015-01
[59] 논문 Hyperthyroidism caused by excessive consumption of sausages 2010-03
[60] 논문 Community outbreak of thyrotoxicosis: epidemiology, immunogenetic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outcome 1988-01
[61] 잡지 The Ptomaine-Poisoning Myth http://archive.spect[...] 1934-05-25
[6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33
[63] 서적 Merck's Bulletin, Volume 5 https://books.google[...] 1892
[64] 뉴스 Lancet 1891-10-03
[65] 뉴스 Report Next Week https://www.newspape[...] Evening Independent 1932-07-22
[66] 뉴스 Medicine: Potato Salad Time 1932-08-01
[67] 뉴스 Poisoning Hits 150 in Chicago http://ken.stparchiv[...] 1944-05-27
[68] 논문 Incubation periods of viral gastroenteritis: a systematic review 2013-09
[69] 웹사이트 Food-Related Diseases https://www.cdc.gov/[...] 2018-03-29
[70] 웹사이트 Infective Doses and Pathogen Carriage https://www.research[...]
[71] 웹사이트 Salmonella Infection in Emergency Medicine http://www.emedicine[...] 2014-01-01
[72] Meeting report Enterobacter sakazakii and Salmonella in powdered infant formula https://www.who.int/[...] 2006-01-01
[73] 웹사이트 Foodborne Illness Outbreaks at Retail Food Establishments —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Reporting System, 25 State and Local Health Departments, 2017–2019 https://www.cdc.gov/[...]
[74] 뉴스 Food poisoning often caused by sick restaurant workers, CDC say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23-05-31
[75] 논문 Foodborne illness acquired in the United States--unspecified agents 2011-01-01
[76] 웹사이트 Food safety and foodborne illness https://www.who.int/[...] WHO
[77] 뉴스 Obama Proposes Single Overseer for Food Safety https://www.nytimes.[...] 2015-02-20
[78] 뉴스 F.D.A. Offers Sweeping Rules to Fight Food Contamination https://www.nytimes.[...] 2013-01-04
[79] 뉴스 F.D.A. Says Importers Must Audit Food Safety https://www.nytimes.[...] 2013-07-26
[80] 논문 Foodborne illness acquired in the United States--major pathogens 2011-01-01
[81] 웹사이트 Annual Report of the Chief Scientist 2012/13 https://acss.food.go[...] 2013-01-01
[8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rimin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01
[83] 웹사이트 Report of the French sanitary agencies http://www.invs.sant[...] INVS/Afssa
[84] 웹사이트 Summary of Report of the French sanitary agencies http://www.invs.sant[...] INVS/Afssa
[85] 웹사이트 The Annual Cost of Foodborne Illness in Australia Final Report September 2022 https://www.foodstan[...]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86] 논문 Foodborne Illness, Australia, Circa 2000 and Circa 2010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 20:11
[87] 웹사이트 Foodborne illness in Australia. Annual incidence circa 2000 http://www.ozfoodnet[...] OzFoodNet
[88] 논문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Australia 2001-2009 2011-01-01
[89] 웹사이트 Food Hygiene https://www.bupa.com[...]
[90] 서적 Food Poisoning, Policy and Politics : Corned Beef and Typhoid in Britain in the 1960s Boydell Press 2005-01-01
[91] 뉴스 Food poison deaths probe may reveal NHS flaws http://briandeer.com[...] 1985-02-24
[92] 뉴스 BBC News - Health - Sheriff criticises E. coli butcher http://news.bbc.co.u[...] BBC News
[93] 논문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central Scotland outbreak of Escherichia coli O157 infection, November to December 1996 2001-06-01
[94] 웹사이트 The Food Standards Agency: A Force for Change http://www.archive.o[...] Food Standards Agency, United Kingdom 1998-01-14
[95] 웹사이트 Food Poisoning: An On-going Saga http://www.historyan[...] 2016-01-13
[96] 웹사이트 Meat Produced by Advanced Meat/Bone Separation Machinery and Meat Recovery (AMR) Systems https://www.federalr[...] U.S. National Archive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04-01-12
[97] 웹사이트 Healthy People 2010 Home Page http://www.healthype[...]
[98] 논문 Preliminary FoodNet data on the incidence of infection with pathogens transmitted commonly through food--10 states, 2007 https://www.cdc.gov/[...] 2008-04-01
[99] 뉴스 Why are we seeing so many food recalls? https://www.kare11.c[...] KARE 11 2018-06-15
[100] 뉴스 Symptoms of food poisoning https://timesofindia[...]
[101] 서적 Multicriteria-based ranking for risk management of foodborne parasites http://www.fao.org/p[...] FAO/WHO 2014-01-01
[102] 논문 Prioritisation of food-borne parasites in Europe, 2016 2018-03-01
[103] 웹사이트 Codex Committee on Food Hygiene (CCFH)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104] 백과사전
[105] 백과사전
[106] 書籍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107] 문서 黄色ブドウ球菌の毒素による広域集団食中毒の事例として雪印集団食中毒事件がある。黄色ブドウ球菌を死滅させれば安全、加熱すれば毒素についても安全と言う発想は極めて危険である。
[108] 書籍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109] 書籍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110] 뉴스 レバ刺し食べた2人が食中毒、1人は重体 茨城の飲食店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8-12-07
[111] 書籍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112] 웹사이트 カンピロバクター食中毒予防について(Q&A) http://www.mhlw.go.j[...]
[113] 書籍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114] 웹사이트 感染症の話 セレウス菌感染症 http://idsc.nih.go.j[...] 2003-02-02
[115] 書籍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116] 書籍 ブラック微生物学(第2版)
[117] 문서 赤痢菌が産生する志賀毒素と類似の物質である。
[118] 書籍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119] 書籍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120] 웹사이트 野生動物等の肉を生食してE型肝炎発症! http://www.pref.fuku[...]
[121] PDF ヒスタミン食中毒防止マニュアル10.3.9 http://qc.suisankai.[...] 大日本水産会 国際・輸出促進部 品質管理課
[122] 웹사이트 ヒスタミンによる食中毒 http://www.city.shin[...]
[123] PDF 赤身魚類の貯蔵中におげるヒスタミンの消長 http://rms1.agsearch[...]
[124] PDF ヒスタミン食中毒の統計に関する調査研究 The Investigation Study on Statistics of Histamine Fish Poisoning https://www.nihs.go.[...] 国立医薬品食品衛生研究所
[125] 웹사이트 自然毒のリスクプロファイル http://www.mhlw.go.j[...]
[126] PDF 食中毒原因物質の分類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27] 간행물 魚類からの粘液胞子虫の検出状況 https://doi.org/10.5[...] 2012
[128] 간행물 Kudoa hexapunctata 寄生メジマグロが原因と疑われる有症事例と患者便検査に関する検討 https://doi.org/10.5[...] 2015
[129] 웹사이트 住肉胞子虫のヒト感染症について http://www.jarmam.gr[...]
[130] PDF 食中毒による死者数の推移 https://honkawa2.sak[...]
[131] 간행물 サルモネラのささやき https://doi.org/10.1[...] 大阪生活衛生協会 1964
[132] 뉴스 浜松中毒事件と同じゲルトネル菌と判明 大阪毎日新聞 1936-02-22
[133] 간행물 マリントキシン(総説) https://doi.org/10.2[...] 日本水産学会 2003
[134]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135]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136] 간행물 日本における腸炎ビブリオ食中毒の急激な減少と対策効果の検証 https://doi.org/10.5[...] 日本食品微生物学会 2013
[137] 웹사이트 ノロウイルスのルーツを探る http://www.21water.j[...] 2020-01-04
[138] 간행물 雪印乳業集団食中毒事件に関する事例研究の整理と検討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大学院経済学研究科
[139] 웹사이트 札幌市衛生研究所-調査報告(1983)札幌市における西友ストアー清田店の集団食中毒について http://www.city.sapp[...] 2014-08-01
[140] 웹사이트 からしれんこんによるボツリヌス中毒事件の概要 http://idsc.nih.go.j[...] 1984-11
[141] 논문 集団発生した腸管出血性大腸菌O157: H7の臨床的研究 国立医療学会 1997
[142] 논문 1996年堺市を中心に発生した腸管出血性大腸菌O157食中毒に関するアンケート集計報告 日本感染症学会 1997
[143] 논문 焼肉チェーン店を原因施設とする腸管出血性大腸菌による集団食中毒の概要 日本食品微生物学会 2012
[144] 논문 我が国の最近10年間における食中毒発生動向 日本食品科学工学会 2017
[145] 웹사이트 本学カフェテリアにおける食中毒の発生のご報告とお詫び http://www.eiyo.ac.j[...] 学校法人香川栄養学園 2013-11-16
[146] 웹사이트 本学坂戸キャンパス内カフェテリアにおける食中毒の発生について http://www.eiyo.ac.j[...] 学校法人香川栄養学園 2013-11-16
[147] 웹사이트 本学坂戸キャンパス内カフェテリアにおける食中毒の発生について(その2) http://www.eiyo.ac.j[...] 学校法人香川栄養学園 2013-11-22
[148] 웹사이트 O-157食中毒の発生について(静岡市) http://www.city.shiz[...]
[149] 논문 腸管出血性大腸菌に係る食品の衛生管理基準の変遷 https://www.nihs.go.[...] 国立医薬品食品衛生研究所安全情報部 2017
[150] 웹사이트 食中毒を発生させた施設の行政処分について(埼玉県) https://www.pref.sai[...] 埼玉県
[151] 웹사이트 埼玉・八潮の食中毒 給食の海藻サラダから大腸菌を検出: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0-07-11
[152] 웹사이트 小中・保育施設で集団食中毒か 牛乳原因の疑い、市が調査―富山:時事ドットコム https://web.archive.[...] 2021-07-28
[153] 웹사이트 原因は下痢原性大腸菌 発症者1896人に―富山・集団食中毒:時事ドットコム https://web.archive.[...] 2021-07-28
[154] 웹사이트 流しそうめん食中毒892人 津幡、平成以降石川県内最多 https://www.hokkoku.[...] 2023-10-06
[155] 웹사이트 青森県八戸市「吉田屋」の弁当による食中毒疑いについて https://www.pref.kag[...] 香川県 2023-09-20
[156] 웹사이트 吉田屋 営業禁止処分に “弁当が原因の食中毒” 八戸市保健所 https://www3.nhk.or.[...] 2023-09-23
[157] 웹사이트 東京ビッグサイト イベントのマフィンで数人が腹痛など訴え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3-11-16
[158] 웹사이트 区内で製造されたマフィンによる体調不良者の発生(令和5年11月16日) https://www.city.meg[...] 目黒区 2023-11-16
[159] 뉴스 〝糸引き〟マフィン騒動 販売店SNSが利用不可に 店主は謝罪、偽情報に注意喚起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3-11-22
[160] 웹사이트 お詫びとご案内 https://honeyhoneyxo[...] Honey×Honey xoxo 2023-11-21
[161] 웹사이트 うなぎ弁当で集団食中毒 手洗い不十分 調理台汚染の調査結果 https://www3.nhk.or.[...] 2024-08-05
[162] 웹사이트 イメルダ夫人誕生会で250人超食中毒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9-07-03
[163] 웹사이트 厚生労働省ホームページ https://www.mhlw.go.[...]
[164] 문서 그 음주방법을 보기 싫다고 느끼는지, 소속된 지역 문화에 비추어 허용 가능한 범위 내인지에 대한 별개의 문제는 있다.
[165] 웹사이트 東京都杉並区の保健所による報告。 http://www.city.sugi[...]
[166] 웹사이트 How to Avoid Illness from Hamburgers http://www.hc-sc.gc.[...] Health Canada
[167] 웹사이트 『ノロウイルスに関するQ&A』 http://www.mhlw.go.j[...] 厚生労働省
[168] 논문 食中毒菌に対する香味野菜の発育阻止作用 http://id.nii.ac.jp/[...] 1989-03-31
[169] 논문 スパイス類の大腸菌増殖抑制と促進効果 https://doi.org/10.3[...] 1985
[170] 논문 香辛料を汚染するカビについて https://doi.org/10.3[...] 1971
[171] 논문 食品の一次加工,調理によるカビ毒の消長と輸入食品のカビ毒産生菌 https://doi.org/10.1[...] 2009
[172] 논문 調理食品中の香辛料の抗菌性(第2報) : 市販粉末シナモン中の生菌数 https://doi.org/10.1[...] 1987
[173] 논문 香辛料によるスープ中細菌の増殖阻害 https://doi.org/10.1[...] 198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