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전립선비대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질환으로, 주로 중장년 남성에게 발생한다. 정확한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호르몬, 식습관, 노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으로는 배뇨 곤란, 빈뇨, 야간뇨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요로 감염이나 방광 출구 폐색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은 증상, 직장 수지 검사, 요류 측정 검사,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립선비대증은 전 세계적으로 흔하며, 한국 남성에서도 50대 이후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한다. 또한, 수의학적으로 개에서도 발생하며, 고환 적출술이나 약물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성과학 - 불임
    불임은 피임 없이 1년 이상 정상적인 성생활을 했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생식계 질환으로, 남성, 여성, 복합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심리적 문제와 사회적 압박감을 유발하고, 배란 유도, 인공 수정, 시험관 아기 시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활용된다.
  • 남성과학 - 정자 (생물학)
    정자는 동물의 수컷 생식 세포로, 난자와 결합하여 수정을 통해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며, 머리, 중간 부위, 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공 수정 등 의학적 시술에 활용되기도 한다.
전립선비대증
질병 개요
이름전립선 비대증
영어 이름Benign prostatic hyperplasia
기타 이름양성 전립선 비대(BEP, BPE)
선섬유근종성 과형성
양성 전립선 비대증
양성 전립선 폐쇄
분야비뇨기과학
증상 및 합병증
증상빈뇨
배뇨 시작 곤란
약한 소변 흐름
요폐
요실금
합병증요로 감염
방광 결석
신부전
발병 시기 및 원인
발병 시기40세 이상
원인불명확
위험 요인 및 진단
위험 요인가족력
비만
제2형 당뇨병
운동 부족
발기 부전
진단다른 가능한 원인을 배제한 후 증상 및 신체 검사를 기반으로 함
감별 진단심부전
당뇨병
전립선암
예방 및 치료
예방해당사항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치료생활 습관 변화
약물 치료
여러 시술
수술
약물테라조신과 같은 알파 차단제
피나스테리드와 같은 5알파-환원 효소 억제제
예후 및 빈도
예후해당사항 없음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빈도 (2019년)전 세계적으로 9천 4백만 명의 남성이 영향을 받음
그림
정상 전립선(좌)과 전립선 비대증(우) 그림
정상 전립선(좌)과 전립선 비대증(우) 비교

2. 원인

전립선비대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립선은 요도를 둘러싸고 있다. 이곳이 비대해지면(오른쪽) 요도가 좁아져 배뇨 곤란에 빠지기 쉽다.


전립선은 방광 아래에서 요도를 둘러싸는 장기로, 정액의 구성 성분인 전립선액을 분비한다. 전립선액은 사정된 정액 속 정자를 보호하고 에너지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들면서 생식 능력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전립선은 위축과 비대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1950년대(쇼와 30년대) 일본인 남성은 대부분 전립선이 위축되었으나, 식생활 변화 등으로 인해 현재 일본인 남성은 80세까지 80%가 전립선비대증을 보인다. 전립선비대증 발병률은 노화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50대부터 급격히 증가한다. 조직학적인 전립선 비대는 30세 경부터 시작하여 50세에 30%, 60세에 60%, 70세에 80%, 80세에는 90%에서 나타난다. 전립선 비대에 배뇨 증상을 동반하여 치료가 필요한 임상 사례는 이 중 약 25% 정도이다.

간경변, 가족력(유전), 고혈압, 고혈당, 비만, 지질 이상증, 대사 증후군, 흡연, 음주, 성관계 등 다양한 요인이 거론되지만,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다만, 중장년층 이후 남성 호르몬을 포함한 성 호르몬 환경 변화가 전립선비대증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170]

2. 1. 호르몬

안드로겐(테스토스테론 및 관련 호르몬)은 전립선비대증 발달에 필수적이지만,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거세된 소년들이 나이가 들어도 전립선비대증이 발병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1960년 베이징의 청나라 궁궐 출신 환관 2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81%의 환관에게서 전립선이 촉진되지 않았다.[22] 평균 거세 기간은 54년(범위 41–65년)이었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외부 테스토스테론 투여가 전립선비대증 증상 위험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고 보고하여, 테스토스테론의 역할은 아직 불분명하다.[23]

테스토스테론의 대사 산물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은 전립선 성장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DHT는 5α-환원효소 2형에 의해 전립선에서 합성되며, 자가 분비 또는 측분비 방식으로 작용한다. DHT는 핵 안드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성장 인자의 전사를 유도, 상피 및 기질 세포의 유사 분열을 일으킨다. DHT는 안드로겐 수용체에서 더 느리게 해리되기 때문에 테스토스테론보다 10배 더 강력하다. 결절성 증식증을 유발하는 DHT의 중요성은 피나스테리드와 같은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투여했을 때 전립선의 DHT 함량 및 부피, 전립선비대증 증상이 감소하는 임상 결과로 뒷받침된다.[24][25]

테스토스테론은 전립선 세포 증식을 촉진하지만,[26]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비교적 낮게 나타난다.[27][28] 한 소규모 연구에서는 약물적 거세가 혈청 및 전립선 호르몬 수치를 불균등하게 낮추어, 전립선 내 테스토스테론 및 DHT 수치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결과가 나왔다.[29]

테스토스테론과 DHT 외에도, 11-산소화 스테로이드(프레그난)는 11-산소화 안드로겐의 전구체로, 안드로겐 수용체의 강력한 작용제이다.[30] 11β-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및 11-케토프로게스테론과 같은 스테로이드는 DHT의 11-oxo 형태인 11-케토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전구체는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조직 생검 샘플과 혈청 수치에서도 검출되었다.[31][32][33] 안드로겐 백도어 경로를 통해 생합성된 안드로겐도 전립선비대증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31]

에스트로겐이 전립선비대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증거가 있지만, 이는 에스트로겐 자체가 직접 작용하기보다는 안드로겐이 에스트로겐으로 국소 전환되는 것을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34] 개를 대상으로 한 ''생체 내'' 연구에서 안드로겐 수치를 감소시키고 에스트로겐 수치를 유지한 거세 실험 결과, 전립선이 위축되었다.[35] 사람 대상 연구에서는 전립선 증식증과 혈청 에스트로겐 수치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28][36]

2008년, Gat 등은 전립선비대증이 정삭 정맥 배액 시스템의 실패로 인해 발생하여 정수압이 증가하고 국소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혈청 수치보다 100배 이상 증가한다는 증거를 발표했다.[37]

2. 2. 식습관

연구에 따르면 식이 패턴이 전립선비대증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중요한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38] 중국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단백질 섭취량이 많을수록 전립선비대증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골 지역의 60세 이상 남성은 임상적 전립선비대증 발병률이 매우 낮았지만, 도시에 거주하며 동물성 단백질을 더 많이 섭취하는 남성은 발병률이 더 높았다.[39][40] 반면, 하와이의 일본계 미국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알코올 섭취와 강한 부적 상관관계가, 쇠고기 섭취와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41] 미국의 대규모 전향적 코호트 연구(건강 전문가 추적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전립선비대증(전립선비대증 증상이 심하거나 수술로 확진된 남성)과 총 에너지 및 단백질 섭취 사이의 미미한 연관성을 보고했지만, 지방 섭취와는 연관성이 없었다.[42] 또한 전립선비대증은 대사 증후군(비만, 포도당 대사 장애 및 당뇨병, 높은 중성지방 수치, 높은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 및 고혈압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는 역학적 증거가 있다.[43]

채소, 곡물, 대두 등 이소플라보노이드가 발병 억제 효과가 있다는 설도 있다.

2. 3. 노화

전립선 비대증은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손상 복구 축적 노화 이론[44]에 따르면,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의 섬유화와 근육 조직 약화로 인해 발생한다.[45] 전립선 근육 조직은 전립선액을 배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근섬유가 반복적으로 수축하고 팽창하면서 손상되고 파괴될 수 있다. 근섬유는 재생 능력이 낮아 손상된 부위는 콜라겐 섬유로 대체된다. 이러한 과정은 근육 조직의 기능을 약화시켜 전립선액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결국 전립선액이 축적되면 근육 조직의 저항이 증가하고, 더 많은 근섬유가 파괴되어 콜라겐 섬유로 대체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46]

3. 병태 생리

양성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비대증에서는 선상 상피 세포와 기질 세포(근육 섬유 포함) 모두 과형성을 겪는다.[1] 대부분의 자료에서는 기질 과형성이 우세하다고 보고 있지만, 정확한 비율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47]

해부학적으로는 주로 중앙엽과 외측엽이 비대해지는데, 이는 이들 부위에 선상 조직이 많기 때문이다. 전엽은 선상 조직이 거의 없어 비대해지는 경우가 드물다.[47] 전립선비대증의 초기 징후는 보통 30세에서 50세 사이에 요도 근위부 뒤쪽에서 시작된다.[47] 주로 전립선의 이행대(TZ)에서 성장이 일어나며,[47] 주변대(PZ)도 일부 관여한다.[47]

남성이 나이가 들면서 아로마타제와 5알파 환원효소의 활성이 증가한다. 이 효소들은 안드로겐 호르몬을 각각 에스트로겐과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대사 변화는 테스토스테론 감소와 DHT 및 에스트로겐 수치 증가로 이어진다.

대부분의 전문가는 전립선비대증 발달에 안드로겐이 허용적인 역할을 한다고 본다.[22] 즉, 안드로겐이 필수적이긴 하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것이다. 거세된 소년은 나이가 들어도 전립선비대증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22]

테스토스테론의 대사 산물인 DHT는 전립선 성장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DHT는 5α-환원효소 2형에 의해 순환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전립선에서 합성된다. DHT는 자가 분비 방식으로 기질 세포에 작용하거나, 인접한 상피 세포로 확산되어 측분비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두 세포 유형 모두에서 DHT는 핵 안드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성장 인자의 전사를 유도한다.[24] DHT는 안드로겐 수용체에서 더 느리게 해리되기 때문에 테스토스테론보다 10배 더 강력하다.[25]

피나스테리드와 같은 5α-환원효소 억제제 치료는 전립선의 DHT 함량을 감소시켜 전립선 부피와 전립선비대증 증상을 완화시킨다.[24][25]

테스토스테론은 전립선 세포 증식을 촉진하지만,[26]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비교적 낮다.[27][28]

에스트로겐도 전립선비대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증거가 있지만, 직접적인 작용보다는 안드로겐이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보인다.[34]

4. 증상

전립선비대증 모식도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은 크게 저장 증상, 배뇨 증상, 배뇨 후 증상으로 나뉜다.[12]

저장 증상으로는 소변이 자주 마려운 빈뇨, 밤에 자다가 소변을 보기 위해 자주 깨는 야간뇨, 갑자기 참을 수 없이 소변이 마려운 절박뇨,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나오는 요실금(밤에 자다가 소변을 보는 야간뇨 포함) 또는 갑작스럽고 강한 배뇨 욕구 후 소변이 새는 절박성 요실금이 있다.[13]

배뇨 증상으로는 소변을 보려고 해도 바로 나오지 않는 요의 지연, 소변 줄기가 중간에 끊기는 간헐적 배뇨,[14] 소변 줄기가 약해짐, 배뇨 시 힘을 줘야 함, 소변을 다 봐도 시원하지 않은 느낌, 소변을 다 본 후 방울방울 떨어지는 현상 등이 있다.[15][16][17] 이러한 증상에는 방광 통증이나 배뇨통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18]

방광 출구 폐색(BOO)으로 인해 복통, 방광이 계속 차 있는 느낌, 빈뇨, 갑자기 소변을 볼 수 없는 급성 요폐, 배뇨 중 통증(배뇨통), 소변을 보기 힘들어짐(요의 지연), 소변 줄기가 느려짐, 소변 줄기가 시작했다 멈췄다 함(요류 간헐성), 야간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9][20]

전립선비대증은 특히 치료하지 않으면 점점 심해질 수 있다. 소변을 완전히 비우지 못하면 잔뇨나 요 정체가 발생하여 요로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21]

전립선비대증은 기이성 요실금(배뇨 장애로 인한 소변 누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5. 진단

전립선비대증 진단은 하부 요로 증상(LUTS) 병력, 직장 수지 검사를 비롯하여 비슷한 증상을 일으키는 다른 질환이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I-PSS) 같은 설문지는 진단과 증상의 심각도를 수치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1][49][50]

직장 수지 검사에서 전립선이 비대하고 대칭적이며 매끄럽게 만져지면 전립선비대증을 의심할 수 있다.[1] 하지만 전립선이 비대칭적이거나 단단하거나 결절이 만져진다면 전립선암을 의심해야 한다.[1]

확진을 위해서는 배뇨 장애 정도, 전립선의 크기, 전립선암과의 구분이 필요하다.

5. 1. 검사

요검사는 하부요로증상이 나타나고 전립선비대증이 의심될 때, 요로감염, 요당(당뇨병 시사), 요단백(신장 질환 시사)의 징후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1] 신장 기능 검사와 전립선 특이 항원(PSA)을 포함한 혈액 검사는 각각 신장 손상 및 전립선암을 평가하기 위해 자주 실시된다.[1] 그러나 전립선암 검진을 위한 혈액 PSA 수치 검사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모든 전립선비대증 평가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1] 양성 전립선 비대증과 전립선암 모두 혈중 PSA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PSA 상승만으로는 이 두 질환을 잘 구별할 수 없다.[1] PSA 수치를 검사했는데 높게 나타나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PSA 밀도, free PSA, 직장 검사, 경직장 초음파 검사 등의 조치는 PSA 증가가 전립선 비대증 때문인지 전립선암 때문인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

요속 검사는 대상자가 배뇨할 때 소변 흐름의 속도와 배뇨된 총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된다.[51] 전립선 및 신장에 대한 복부 초음파 검사는 흔히 수신증 및 요관 확장증을 배제하기 위해 수행된다. 부수적으로, 낭종, 종양 및 결석이 초음파에서 발견될 수 있다. 100ml 이상의 배뇨 후 잔뇨량은 상당한 폐색을 나타낼 수 있다.[52] 전립선 크기가 30cc 이상이면 전립선 비대를 나타낸다.[53]

전립선 결석은 경직장 초음파(TRUS)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석회화는 전립선 분비물의 응고 또는 석회화된 전분체 덩어리 (초자 덩어리)로 인해 발생한다. 석회화는 또한 전립선염, 만성 골반 통증 증후군 및 전립선암과 같은 다양한 다른 상태에서도 발견된다.[54][55] PSA 수치가 높은 환자의 경우, 조사를 위해 전립선 조직 검체를 채취하기 위해 TRUS 유도 생검을 수행한다.[56] MRI가 전립선 용적을 결정하는 데 TRUS보다 더 정확하지만, TRUS는 덜 비싸고 MRI만큼 정확하다. 따라서 TRUS는 여전히 전립선 용적 측정에 선호된다.[57]

확진을 위해서는 배뇨 장애 정도, 전립선의 크기, 전립선암과의 구분이 필요하다.

검사 종류설명
요검사요로감염, 요당, 요단백 등 확인
신장 기능 검사신장 손상 여부 평가
전립선 특이 항원(PSA) 검사전립선암 감별 (논란의 여지 있음)
요류 측정 검사소변 흐름 속도 및 배뇨량 측정
잔뇨량 측정 검사배뇨 후 잔뇨량 측정 (100ml 이상은 상당한 폐색 의심)
경직장 초음파 검사(TRUS)전립선 크기 측정, 전립선 결석 확인
MRITRUS보다 정확한 전립선 용적 측정
경항문 직장 진찰항문을 통해 직장으로 손가락을 넣어 전립선 촉진
혈청 크레아티닌신장 기능 평가



전립선 크기 및 잔뇨량에 따른 중증도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구분전립선 용적잔뇨량
정상20ml 미만50ml 미만
경증20ml 미만50ml 미만
중등증20ml 이상 50ml 미만50ml 이상 100ml 미만
중증50ml 이상100ml 이상


5. 2. 감별 진단

전립선비대증은 방광암, 요로 감염, 요도 협착, 만성 전립선염, 전립선암, 신경성 방광 등 다양한 질환과 감별해야 한다.[1] 특히 직장 검사에서 전립선이 비대칭적이거나 단단하거나 결절이 만져진다면 전립선암을 의심해야 한다.[1] 전립선 특이 항원(PSA) 수치가 상승된 경우에도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전립선비대증과 전립선암을 구별해야 한다.[1]

특정 약물은 전립선비대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알파-아드레날린 효능제 약물(예: 슈도에페드린 함유 충혈 완화제)은 방광 출구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1] 칼슘 채널 차단제와 항콜린제는 방광 근육 이완을 촉진하여 요폐를 악화시킬 수 있으며,[1] 루프 이뇨제(예: 푸로세미드) 또는 티아지드(예: 클로르탈리돈)와 같은 이뇨제는 빈뇨 및 야간뇨를 악화시킬 수 있다.[1]

6. 치료

전립선비대증의 치료 목표는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며,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다.[58] 치료 방법에는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 카테터 삽입, 수술 등이 있다.[58]

증상이 있더라도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다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의 건강 상태와 사회생활 등을 고려하여 당일 수술 등 다양한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다.

약물 치료에는 알파 차단제, 5α-환원효소 억제제 등이 사용된다. 민간요법으로 쏘팔메토[171]가 사용되기도 한다.

외과적 수술에는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TUR-P)이 표준 치료법으로 여겨진다. 레이저 광선 치료에는 ILCP (전립선 조직 내 응고술), VLAP (비디오 직접 시술하 전립선 증산술) 등이 있다.

하지만 외과적 치료로 요도 폐색을 해소한 후에도 약 30%의 환자에게서는 증상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다.

6. 1.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체중 유지는 전립선비대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59] 취침 전에는 수분 섭취를 줄이고, 알코올 및 카페인 함유 제품의 섭취를 조절하며, 정해진 시간에 배뇨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60]

항콜린성 작용을 하는 약물(예: 항히스타민제, 충혈 완화제), 아편유사제, 삼환계 항우울제 등은 전립선비대증의 요폐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복용을 피하거나 의료 전문가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한다.[60]

배뇨 자세는 요속, 배뇨 시간, 배뇨 후 잔뇨량 등 요역학적 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다.[62] 특히, 좌식 생활 습관이 많은 한국인의 경우, 앉아서 배뇨하는 자세가 하부 요로 증상을 가진 고령 남성에게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3]

  • 배뇨 후 잔뇨량 감소
  • 최대 요속 증가 (약물 치료와 유사한 수준)
  • 배뇨 시간 감소


이러한 요역학적 변화는 방광염, 방광 결석과 같은 비뇨기과 합병증의 위험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

6. 2. 약물 치료

알파 차단제와 5α-환원효소 억제제는 전립선비대증 관리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이다.[64] 초기 치료에는 선택적 α1 차단제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65][66][67] 여기에는 알푸조신,[68][69] 독사조신,[70] 실로도신, 탐스로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이 포함된다.[58] 이러한 약물들은 증상 개선에 작거나 중간 정도의 효과를 보인다.[72][58][71]

알파 차단제는 전립선과 방광 경부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소변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기립성 저혈압, 사정 변화, 발기 부전,[73] 두통, 코막힘 등이 있다. LUTS이 있는 남성의 경우, 나프토피딜, 탐스로신, 실로도신은 요로 증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유사할 수 있다.[58]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는 5α-환원효소 억제제로, 전립선을 비대하게 만드는 호르몬인 DHT의 생성을 억제한다. 효과는 알파 차단제보다 늦게 나타나지만, 수년 동안 지속된다.[76] 알파 차단제와 병용 시, 장기 연구(3~4년)에서 증상이 심하고 전립선이 큰 환자에게서 급성 요폐 및 수술로의 진행 감소 효과가 더 컸다.[77][78][79] 부작용으로는 성욕 감소, 사정 장애, 발기 부전 등이 있다.[81][82] 임산부는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복용하거나 깨진 정제를 만져서는 안 된다.[83]

포스포디에스터레이스 억제제(PDE)는 하부 요로 증상을 약간 개선하고 관련 불편함을 줄일 수 있지만, 위약보다 부작용이 더 많을 수 있다.[90] PDE와 알파 차단제를 병용하면 증상이 더 개선될 수 있지만, 부작용도 증가한다. 타다라필은 전립선 비대증 및 발기 부전 치료에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94]

항콜린제방광의 평활근에 대한 아세틸콜린의 영향을 감소시켜 과민성 방광 증상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96] 톨테로딘과 같은 약물이 알파 차단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95]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약물 치료에는 교감신경 α1 차단제, 5α 환원 효소 억제제, 황체 호르몬제(항안드로겐제), PDE-5 억제제 등이 사용된다. 민간요법으로 쏘팔메토[171]가 사용되기도 한다.

6. 3. 자가 도뇨

간헐적 요도 카테터 삽입술은 요폐 환자의 방광을 비우는 데 사용된다. 자가 도뇨는 전립샘비대증(BPH) 환자에서 방광을 완전히 비우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다.[97] 요로 감염은 간헐적 카테터 삽입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98] 멸균(일회용) 및 청결(다회용) 카테터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기술과 유형의 카테터가 있으며, 현재 정보에 따르면 요로 감염 발생률을 줄이는 데 다른 것보다 우월한 것은 없다.[99]

6. 4. 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사용되는 수술 기법은 다음과 같다.

  •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TURP): 표준 치료법이다.[100] TURP는 요로 증상과 요류를 개선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여겨지지만, 이 수술은 남성의 최대 20%에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100] 수술에는 역행성 사정(가장 흔함), 발기 부전, 요실금, 요도 협착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이 따른다.[101]
  • 경요도 전립선 절개술(TUIP): 드물게 시행되며, 기술은 TURP와 유사하지만 덜 확실하다.
  • 개복 전립선 절제술: 결과가 매우 좋더라도 높은 이환율로 인해 요즘에는 일반적으로 시행되지 않는다.
  • 전립선 홀뮴 레이저 절제술(HoLAP)
  • 전립선 홀뮴 레이저 적출술(HoLEP)
  • 전립선 툴륨 레이저 경요도 증기 절제술(ThuVARP)
  • 광선 선택 전립선 기화술(PVP)
  • 수성 절제술: 전립선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물줄기를 사용하는 수술 유형.


외과적 치료로 요도 폐색을 해소한 후에도 약 30%의 사례에서 증상은 해소되지 않는다.

6. 5. 최소 침습적 시술

전립선 동맥 색전술: 중재적 방사선학에서 수행되는 혈관 내 시술이다.[102] 카테터를 통해 전립선 동맥의 주요 분지에 색전 물질을 방출하여 전립선 크기를 줄여 요로 증상을 완화한다.[103]

전립선 증기 치료 (Rezum): 성기능 보존을 목표로 증기를 사용하여 전립선 조직을 제거하는 비교적 새로운 시술이다.

전립선 요도 거상술 (UroLift): 요도에서 전립선엽을 당겨 빼기 위해 설계된 장치와 임플란트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술이다.[104]

경요도적 마이크로파 온열 요법 (TUMT): 마이크로파(열)를 사용하여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축소시키는, 수술보다 덜 침습적인 외래 시술이다.[100]

일시적 삽입형 니티놀 장치 (TIND 및 iTIND|아이틴드영어): 요도에 삽입되는 장치로, 방출되면 팽창하여 요도와 방광 경부를 재형성한다.[105]

7. 역학



전 세계적으로 기준 약 9,400만 명의 남성이 전립선비대증의 영향을 받는다.[7]

대부분의 남성은 나이가 들면서 전립선이 커진다. 증상이 없는 46세 남성의 경우, 향후 30년 동안 전립선비대증이 발생할 위험은 45%이다. 발생률은 45~49세 남성 1,000명당 3건에서 75~79세에는 1,000명당 38건으로 증가한다. 반면 유병률은 45~49세 남성에서 2.7%에서 80세가 되면 24%로 증가한다.[169]

전립선비대증의 이환율은 노화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50대부터 급격히 증가한다. 조직학적인 전립선 비대는 30세 경부터 시작하여, 50세에 30%, 60세에 60%, 70세에 80%, 80세에는 90%에서 나타난다. 전립선 비대에 배뇨 증상을 동반하여 치료를 요하는 임상 사례는 이 중 약 1/4 정도이다.

인종 및 지리적 요인도 유의미하며, 동양인이 낮고, 그 다음 백인, 흑인 순으로 발병 빈도가 높아진다. 녹황색 채소 섭취량에 기인하는 비타민, 지질, 단백질 등의 과부족과 발병률의 상관관계, "사회적 환경"이나 "육체적 특징"에 따른 발병 경향, 기왕력 및 합병 질환의 관련성, 혈액형, 식사 내용 등 각각에 대해 긍정 및 부정의 여러 설이 있다.

8. 수의학적 전립선 비대증

5세 이상의 에서 자주 나타난다. 원인으로는 노화에 따른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 분비 불균형이 있으며, 식욕 부진, 체중 감소, 혈뇨, 배변 곤란을 보인다. 치료에는 고환 적출술이나 항안드로겐 제제 투여가 시행된다.

참조

[1] 논문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6
[2] 논문 Physical activity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2019-04
[3] 웹사이트 Prostate Enlargement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https://www.niddk.ni[...] 2014-09
[4] 논문 Beta-sitosterols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5] 논문 Pygeum africanum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6] 논문 Phytotherapy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0-12
[7] 논문 Th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204 countries and territories from 2000 to 2019: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9 2022-11
[8] 논문 Is there a link between BPH and prostate cancer? 2012-04
[9] 논문 The development of huma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with age 1984-09
[10] 논문 The prevalence of prostatism: a population-based survey of urinary symptoms 1993-07
[11] 웹사이트 NHS England » Decision support tool: making a decision about enlarged prostate (BPE) https://www.england.[...] 2024-09-08
[12] 간행물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men: management NIC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13] 웹사이트 Urge incontinence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5-10-26
[14] 서적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Butterworths 1990
[15] 논문 Post-micturition dribble in men: causes and treatment 2008-02-11
[16] 논문 Clinical practice.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2012-07
[17] 웹사이트 Urination – difficulty with flow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5-10-26
[18] 웹사이트 Urination – painful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5-10-26
[19] 웹사이트 Bladder outlet obstruction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5-10-26
[20] 웹사이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https://www.lecturio[...] 2021-07-05
[21] 논문 Residual urinary volume and urinary tract infection--when are they linked? 2008-07
[22] 논문 The prostate in eunuchs 1991
[23] 웹사이트 Testosterone and Aging: Clinical Research Directions. https://www.ncbi.nlm[...] NCBI Bookshelf 2015-02-02
[24] 웹사이트 Proscar (finisteride)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accessdat[...] Merck and Company 2015-03-02
[25] 논문 Dihydrotestosterone and the concept of 5alpha-reductase inhibition in huma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2-04
[26] 논문 The development of androgen-independent prostate cancer 2001-10
[27] 논문 Serum steroids in relation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8] 논문 Serum sex hormones and measures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4-10
[29] 논문 Persistent intraprostatic androgen concentrations after medical castration in healthy men 2006-10
[30] 논문 Adrenocortical hormone abnormalities in men with chronic prostatitis/chronic pelvic pain syndrome 2008-02
[31] 논문 The 11β-hydroxyandrostenedione pathway and C11-oxy C21 backdoor pathway are active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yielding 11keto-testosterone and 11keto-progesterone 2020-02
[32] 논문 "Re: Adrenocortical Hormone Abnormalities in Men With Chronic Prostatitis/Chronic Pelvic Pain Syndrome" 2022-11
[33] 논문 Author Reply 2022-11
[34] 논문 Oestrogen an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effects on stromal cell proliferation and local formation from androgen 2008-06
[35] 논문 Androgen and prostatic stroma 2003-03
[36] 논문 Serum sex steroids, gonadotrophins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in prostatic hyperplasia
[37] 논문 Reversal of benign prostate hyperplasia by selective occlusion of impaired venous drainage i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novel mechanism, new treatment 2008-10
[38] 논문 Prostate enlargement: the canary in the coal mine? 2002-04
[39] 논문 "[Comparison of incidence of BPH and related factors between urban and rural inhabitants in district of Wannan]" 2003-02
[40] 논문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China 1997-03
[41] 논문 A prospective study of alcohol, diet, and other lifestyle factors in relation to obstructive uropathy 1993
[42] 논문 Intakes of energy and macronutrients and the risk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2-04
[43] 논문 Metabolic syndrome and benign prostatic enlarg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1
[44] 논문 Aging as a consequence of misrepair--A novel theory of aging. 2009-03
[45] arXiv Tissue fibrosis: a principal evidence for the central role of Misrepairs in aging
[46] 논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 overview 2005
[47] 논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review and ultrasound classification 2006-09
[48] 논문 Management of a giant prostatic enlargement: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know
[49] 논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Mal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2010-12
[50] 논문 Validation of the Urgency, Weak stream, Incomplete emptying, and Nocturia (UWIN) score compared with the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Symptoms Score in assessing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the clinical setting 2014-01
[51] 논문 The fundamentals of uroflowmetry practice, based on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good urodynamic practices recommendations 2018-08
[52] 논문 The Role of Transabdominal Ultrasound in Office Urology 2013-06
[53] 논문 Improving ultrasound-based prostate volume estimation 2019-07
[54] 논문 Benign Conditions That Mimic Prostate Carcinoma: MR Imaging Features with Histopathologic Correlation 2016-01
[55] 논문 Prostatic calcifications: Quantifying occurrence, radio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in prostate cancer patients 2021-10
[56] 논문 Ultrasound of the prostate 2010-03
[57] 논문 Transrectal ultrasound vers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estimation of prostate volume as compared with radical prostatectomy specimens 2007
[58] 논문 Naftopidil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compatible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8-10
[59] 논문 Physical activity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2019-04
[60] 웹사이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http://umm.edu/healt[...]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61] 논문 Physical activity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2019-04
[62] 웹사이트 Influence of voiding posture on urodynamic parameters in men: a literature review http://www.mednet.nl[...] Nederlands Tijdschrift voor urologie 2014-07-02
[63] 논문 Urinating standing versus sitting: position is of influence in men with prostate enlarg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
[64] 논문 Current medical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BPH: do we have a standard? 2014-01
[65] 논문 The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registry and patient survey: study design, methods and patient baseline characteristics 2007-10
[66] 논문 An examination of treatment patterns and costs of care among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http://www.ajmc.com/[...] 2006-03
[67] 논문 The efficacy of drugs for the treatment of LUTS/BPH, a study in 6 European countries 2007-01
[68] 논문 Alfuzosin for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compatible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systematic review of efficacy and adverse effects 2005-10
[69]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once-daily alfuzosin in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clinical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2001-12
[70] 논문 Doxazosin for treating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compatible with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of efficacy and adverse effects 2004-12
[71] 논문 A meta-analysis on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alpha1-adrenoceptor antagonists in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uggestive of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72] 논문 Tamsulosin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3
[73] 논문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74] 논문 AUA guideline on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3). Chapter 1: Diagnosis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2003-08
[75] 논문 BPH update: medical versus interventional management http://www.canjurol.[...] 2016-02
[76] 논문 Sustained decrease in incidence of acute urinary retention and surgery with finasteride for 6 years in men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4-03
[77] 논문 Influence of baseline variables on changes in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after combined therapy with dutasteride plus tamsulosin or either monotherapy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4-year results of the CombAT study 2014-04
[78] 논문 The role of combination medical therapy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8-12
[79] 논문 Combination therapy with doxazosin and finasteride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a baseline total prostate volume of 25 ml or greater 2006-01
[80] 논문 Alpha-blocker therapy can be withdrawn in the majority of men following initial combination therapy with the dual 5alpha-reductase inhibitor dutasteride 2003-10
[81] 논문 The effect of finasteride in men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he Finasteride Study Group 1992-10
[82] 논문 Impact of medical treatments for mal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ue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on ejaculatory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6
[83] 웹사이트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Treatment & Management http://emedicine.med[...] 2015-11-14
[84] 논문 The long-term effect of doxazosin, finasteride, and combination therapy on the clinical progression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3-12
[85] 논문 The effects of combination therapy with dutasteride and tamsulosin on clinical outcomes in men with symptomatic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4-year results from the CombAT study 2010-01
[86] 논문 Tolterodine and tamsulosin for treatment of men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overactive blad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06-11
[87] 논문 Effects of alpha(1)-adrenoceptor antagonists on male sexual function 2006-02-01
[88] 논문 "[Negative effects on sexual function of med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related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5-03
[89] 웹사이트 Evidence {{!}}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men: management {{!}} Guidance {{!}} NICE https://www.nice.org[...] 2024-09-08
[90] 논문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consistent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8-11
[91] 논문 Tadalafil 5 mg Once Daily Improves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Erectile Dys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1
[92] 논문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consistent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8-11
[93] 웹사이트 Hyperplasia (benign prostatic) – tadalafil (terminated appraisal) (TA273) http://guidance.nice[...] 2013-01-27
[94] 웹사이트 FDA approves Cialis to treat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https://www.fda.gov/[...] 2013-05-07
[95] 논문 Tolterodine and tamsulosin for treatment of men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overactive blad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06-11
[96] 논문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for overactive bladder 2007-11
[97] 웹사이트 Prostate enlargement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http://www.harvardhe[...] Harvard Health Publications 2015-02-02
[98] 논문 Complications of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their prevention and treatment 2002-10
[99] 논문 Intermittent catheter techniques, strategies and designs for managing long-term bladder conditions 2021-10
[100] 논문 Transurethral microwave therm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men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21-06
[101] 웹사이트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TURP) - Risks https://www.nhs.uk/c[...] 2020-03-08
[102]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Prostatic Artery Embolization in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7-05
[103] 논문 Prostate Embolization as an Alternative to Open Surgery in Patients with Large Prostate and Moderate to Sever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2016-05
[104] 논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new treatment options - a critical appraisal of the UroLift system 2016-05
[105] 논문 Temporary implantable nitinol device (TIND): a nove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relief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related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feasibility, safety and functional results at 1 year of follow-up 2015-08
[106] 논문 Prostatic urethral lift v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2-year results of the BPH6 prospective, multicentre, randomized study 2017-05
[107] 논문 The iTind Temporarily Implanted Nitino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21-07
[108] 논문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quablation versu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One-year Outcomes 2019-03
[109] 논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Surgical Therapy & New Technology II (MP09) http://www.auajourna[...] 2021-09
[110] 논문 120W GreenLight High Performance System laser for benign prostate hyperplasia: 68 patients with 3-year follow-up and analysis of predictors of response 2012-08
[111] 논문 Minimally invasive prostatic urethral lift (PUL) efficacious in TURP candidates: a multicenter German evaluation after 2 years 2019-07
[112] 논문 Prospective, randomized, multinational study of prostatic urethral lift versu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12-month results from the BPH6 study 2015-10
[113] 논문 Minimally Invasive Prostate Convective Water Vapor Energy Abla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Study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6-05
[114] 논문 Procedural techniques and multicenter postmarket experience using minimally invasive convective radiofrequency thermal therapy with Rezūm system for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ue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7-08-21
[115] 논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Surgical Therapy & New Technology II (MP09) http://www.auajourna[...] 2021-09
[116] 논문 Composite urinary and sexual outcomes after Rezum: an 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from an Italian multi-centric study 2023-06
[117] 논문 Long-Term Outcome of Prostatic Artery Embolization for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Single-Centre Retrospective Study in 1072 Patients Over a 10-Year Period 2022-09
[118] 논문 Embolisation of prostatic arteries as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lower urinary symptoms (LUTS) secondary to benign hyperplasia: results of short- and mid-term follow-up 2013-09
[119] 논문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TURP) Versus Original and PErFecTED Prostate Artery Embolization (PAE) Due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Preliminary Results of a Single Center, Prospective, Urodynamic-Controlled Analysis 2016-01
[120] 논문 The iTind Temporarily Implanted Nitino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21-07
[121] 논문 Complications of laser prostatectomy: a review of recent data 2010-02
[122] 논문 Comparison of Long-term Effect and Complications Between Holmium Laser Enucleation and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Nations-Wide Health Insurance Study 2021-08
[123] 논문 GreenLight HPS 120-W laser vaporization versu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for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with midterm follow-up 2010-09
[124] 논문 A Multicenter Randomized Noninferiority Trial Comparing GreenLight-XPS Laser Vaporization of the Prostate and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Two-yr Outcomes of the GOLIATH Study 2016-01
[125] 논문 Global Greenlight Group: largest international Greenlight experience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o assess efficacy and safety 2021-12
[126] 논문 Vaporize, anatomically vaporize or enucleate the prostate? The flexible use of the GreenLight laser 2017-03
[127] 논문 Long-term Patient-reported Clinical Outcomes and Reoperation Rate after Photovaporization with the XPS-180W GreenLight Laser https://hal.archives[...] 2019-07
[128] 논문 Photoselective vaporization of the prostate with the 180-W XPS-Greenlight laser: Five-year experience of safety, efficiency, and functional outcomes 2018-07
[129] 논문 MP51-13 Four-Year Rezum Outcomes in Relationship to the Number of Injections: Is the "Less Is More" Treatment Approach Durable? http://www.auajourna[...] 2023-04
[130] 논문 Prostatic Urethral Lift: A Unique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reatment of Mal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6-08
[131] 논문 Minimally invasive prostatic urethral lift: surgical technique and multinational experience 2013-08
[132] 논문 Predictors of reoperation after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in a diverse, urban academic centre https://journals.sag[...] 2024-05
[133] 논문 The 80-W KTP GreenLight laser vaporization of the prostate versu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TURP): adjusted analysis of 5-year results of a prospective non-randomized bi-center study 2015-04
[134] 논문 Comparison of Long-term Effect and Complications Between Holmium Laser Enucleation and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Nations-Wide Health Insurance Study 2021-08
[135]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prostate artery embolization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 observational study and propensity-matched comparison with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the UK-ROPE study) 2018-08
[136] 논문 Embolisation of prostatic arteries as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lower urinary symptoms (LUTS) secondary to benign hyperplasia: results of short- and mid-term follow-up 2013-09
[137] 논문 UroLift for Treating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NICE Medical Technology Guidance Update 2022-09
[138] 웹사이트 'Evidence {{!}}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men: management {{!}} Guidance {{!}} NICE' https://www.nice.org[...] 2010-05-23
[139] 논문 Anterograde ejaculation preservation after endoscopic treatments in patients with bladder outlet obstruction: systematic review and pooled-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19-10
[140]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Reported Ejaculatory Dysfunction in Clinical Trials Evaluating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Modalities for BPH 2020-10
[141] 논문 Preservation of antegrade ejaculation after surgical relief of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is a valid endpoint 2021-07
[142] 논문 Transurethral holmium laser enucleation of the prostate versus transurethral electrocautery resection of the prostate: a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in 200 patients 2004-09
[143] 논문 GreenLight HPS 120-W laser vaporization versu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ue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with 2-year follow-up 2011-10
[144] 논문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bipolar transurethral vaporization of the prostate with GreenLight laser (xps-180watt) photoselective vaporization of the prostate for treatment of small to moderate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outcomes after 2 years 2020-01
[145] 논문 Experience with more than 1,000 holmium laser prostate enucleations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0-03
[146] 논문 Randomised trial of bipolar resection vs holmium laser enucleation vs Greenlight laser vapo-enucleation of the prostate for treatment of large benign prostate obstruction: 3-years outcomes 2020-12
[147] 논문 Bipolar plasma vaporization vs monopolar and bipolar TURP-A prospective, randomized, long-term comparison 2011-10
[148] 논문 Comparison of Safety, Efficacy and Cost Effectiveness of Photoselective Vaporization with Bipolar Vaporization of Prostate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8-02
[149] 논문 Global Greenlight Group: largest international Greenlight experience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o assess efficacy and safety 2021-12
[150] 논문 180-W XPS GreenLight laser vaporisation versu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6-month safety and efficacy results of a European Multicentre Randomised Trial--the GOLIATH study 2014-05
[151] 논문 Prostatic urethral lift v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2-year results of the BPH6 prospective, multicentre, randomized study 2017-05
[152] 논문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prostatic arterial embolization versus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a prospective, randomized, and controlled clinical trial 2014-03
[153]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Rezūm System Water Vapor Treatment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5-11
[154] 논문 PD18-04 Urolife and Rezum: A Comparison of Device Related Adverse Events in a National Registry http://www.auajourna[...] 2021-09
[155] 논문 Randomised Clinical Trial of Prostatic Artery Embolisation Versus a Sham Procedure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20-03
[156] 논문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TURP) Versus Original and PErFecTED Prostate Artery Embolization (PAE) Due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Preliminary Results of a Single Center, Prospective, Urodynamic-Controlled Analysis 2016-01
[157] 논문 Three-year outcomes after Aquablation therapy compared to TURP: results from a blinded randomized trial https://www.canjurol[...] 2020-02
[158] 논문 WATER II (80-150 mL) procedural outcomes 2019-01
[159] 논문 WATER II Trial (Aquablation) https://link.springe[...] 2020-09-01
[160] 논문 Temporary implantable nitinol device (TIND): a nove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relief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related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feasibility, safety and functional results at 1 year of follow-up 2015-08
[161] 논문 An Evaluation of Sexual Function in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Men Treated with the Temporarily Implanted Nitinol Device 2023-01
[162] 논문 Second generation of temporary implantable nitinol device (iTind) in men with LUTS: 2 year results of the MT-02-study 2020-12
[163] 웹사이트 NHS England » Decision support tool: making a decision about enlarged prostate (BPE) https://www.england.[...] 2024-09-08
[164] 논문 Phytotherapy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16-07
[165] 논문 Saw palmetto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6-02
[166] 논문 Phytotherapy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2008-06
[167] 논문 Serenoa repens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ue to benign prostatic enlargement 2023-06
[168] 웹사이트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s://www.who.int/[...] 2009-11-11
[169] 논문 Incidence and prevalence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suggestive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primary care--the Triumph project 2002-10
[170] 웹사이트 旭化成ファーマHP(名古屋大学大学院医学系研究科泌尿器科学 後藤百万教授) https://www.asahikas[...]
[171] 논문 ノコギリヤシ果実抽出液の排尿機能及び下部尿路受容体に対する作用 2007
[172] 문서 Abrams P. In support of pressure-flow studies for evaluationg men with lower urinary symptoms. Urology 1994;44:153-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