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 안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비 안씨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고려 왕조 말기에 정치적 격변을 겪으며 조선 건국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1366년 공민왕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정비에 봉해졌으나, 아버지 안극인의 파직과 공민왕과의 갈등으로 인해 궁에서 쫓겨났다. 이후 공민왕의 후사 정책에 반대하고, 우왕, 창왕, 공양왕 시대를 거치며 왕위 계승에 관여했다. 고려 멸망 후 의화궁주로 강봉되었으며, 조선 건국 과정에서 국새를 이성계에게 넘겨주는 역할을 했다. 1428년에 사망했으며, 세종은 그녀의 장례를 왕비의 예로 치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비구니 - 신비 염씨
신비 염씨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공민왕 시해 후 비구니가 되었으며, 1372년 후궁 강간 명령을 거부했다. - 고려의 비구니 - 혜비 이씨
혜비 이씨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노국대장공주 사후 후비에 책봉되었으나 공민왕의 강간 시도에 저항했으며, 공민왕 사후 여승이 되어 정업원에 머물다 고려 멸망 후 혜화궁주로 조선 초까지 생존했고, 아버지는 이제현이다. - 1428년 사망 - 마사초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 화가 마사초는 선형 원근법과 키아로스쿠로 기법을 활용하여 사실적이고 인간적인 묘사로 르네상스 회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브란카치 예배당 프레스코 연작, 《성 삼위일체》, 《피사 제단화》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428년 사망 - 아시카가 요시모치
아시카가 요시모치는 겐추 3년/시토쿠 3년에 태어나 무로마치 막부의 제4대 쇼군을 지냈으며, 아버지 아시카가 요시미쓰 사후 수구적인 정책과 명과의 감합무역 중단 등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
정비 안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비 안씨 |
원래 이름 | 정비 안씨 |
작위 | 비(妃) 왕대비(王大妃) 궁주(宮主) |
재위 기간 | 1366년 ~ 1374년 |
별칭 | 불교 법명: 덕월(德月) 의화궁주(義和宮主) |
배우자 | 공민왕 |
자녀 | 없음 |
왕가 | 고려 왕조 |
부모 | 아버지: 안극인 |
친척 | 해당 사항 없음 |
출생일 | 1352년 |
출생지 | 고려 황해도 죽주 |
사망지 | 조선 경기도 양주시 |
사망일 | 1428년 음력 5월 14일 (76세 졸) |
종교 | 불교 |
왕실 정보 | |
직함 | 고려의 왕비 |
통치 기간 | 1366년 ~ 1374년 |
즉위 | 1366년 |
이전 | 익비 |
이후 | 신비 |
직함 1 | 고려의 대비 |
통치 기간 1 | 1374/5년경 ~ 1388년 |
즉위 1 | 1374/5년경 |
이전 1 | 홍비 |
섭정 1 | 우왕 |
섭정 종류 1 | 군주 |
직함 2 | 고려의 왕대비 |
통치 기간 2 | 1388년경 ~ 1392년 |
즉위 2 | 1388년경 |
섭정 2 | 창왕 공양왕 |
섭정 종류 2 | 군주 |
아버지 | 안극인, 죽성부원군 |
어머니 | 가리 이씨 |
배우자 | 공민왕 (결혼: 1366년, 사망: 1374년) |
출생 | 1352년 |
출생지 | 안성 황해도 |
사망 | 1428년 6월 26일 (75-76세) |
사망지 | 양주, 경기도 |
칭호 | 대비 안씨 (대비 안씨, 大妃 安氏; 우왕 재위 기간) 왕대비 안씨 (왕대비 안씨, 王大妃 安氏; 창왕 재위 기간) 정숙선명경신익성유혜왕대비 (공양왕이 1390년에 내림) 의화궁주 (의화궁주, 義和宮主; 1392년 12월 7일 – 1428년) |
가문 | 죽산 안씨 (출생) 왕가 (결혼) |
종교 | 불교 |
이름 정보 | |
한국어 (정비 안씨) | 정비 안씨 |
한자 (정비 안씨) | 定妃 安氏 |
로마자 표기 (정비 안씨) | Jeongbi Anssi |
로마자 표기 (정비 안씨, 문화어) | Chŏngbi Anssi |
아명 (덕월) | 덕월 |
한자 (덕월) | 德月 |
로마자 표기 (덕월) | Deogwol |
로마자 표기 (덕월, 문화어) | Tŏgwŏl |
다른 이름 1 (의화궁주) | 의화궁주 |
한자 (의화궁주) | 義和宮主 |
로마자 표기 (의화궁주) | Uihwa Gungju |
로마자 표기 (의화궁주, 문화어) | Ŭihwa Kungju |
2. 생애
고려 말 공민왕의 왕비로, 격동의 시기를 살았던 인물이다. 1366년 음력 12월 공민왕의 정비(定妃)로 책봉되었으나,[2] 아버지 안극인의 문제로 궁에서 쫓겨나는 등 순탄치 않은 시작을 겪었다. 이후 공민왕과의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으며, 특히 공민왕이 후사를 얻기 위해 자제위 소속 청년들과의 관계를 강요했을 때 이를 거부하며 저항했다.[3]
1374년 공민왕이 시해된 후 비구니가 되었으나,[5] 왕실의 최고 어른으로서 정치적 격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1388년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으로 우왕을 폐위시키자, 조민수와 이색 등의 요청으로 우왕의 아들 창왕을 즉위시키는 교서를 내렸다. 그러나 이듬해인 1389년에는 다시 이성계 세력의 강요에 의해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즉위시키는 교서를 내려야 했다.[7]
1392년, 이성계와 그 일파는 공양왕마저 폐위시키고 새로운 왕조를 열기 위해 정비 안씨를 압박했다. 결국 그녀는 조선 건국을 승인하는 교서를 반포하고 국새를 넘겨주며 475년간 이어져 온 고려 왕조의 종말을 고했다.[8]
조선 건국 후에는 '''의화궁주'''(義和宮主)로 강봉되었으며,[9] 불우한 말년을 보내다가 1428년 5월 14일에 사망하였다.[10] 세종은 옛 고려의 왕비 예우를 갖춰 장례를 치르도록 명했으나, 묘소의 위치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2. 1. 가계
증조부는 증(贈)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안한평(安漢平)이며, 조부는 증(贈)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안사경(安社卿)이다. 아버지는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人)이고, 외조부는 가리 이씨(嘉利李氏) 부사(副使) 이임종(李林宗)이다.정비 안씨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아버지: 안극인(安克人, 1296년 ~ 1383년) - 죽성군(竹城君)
- 어머니: 가리 이씨 부인(嘉利 李氏, 1296년 ~ ?)
- 형제
- 형: 안천로(安天老, 1344년 ~ ?)
- 형: 안중로(安仲老, 1350년 ~ ?)
- 남동생: 안숙로(安叔老, 1353년 ~ 1394년)
- 배우자: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 1374년 10월 27일)
- 시아버지: 충숙왕(忠肅王, 1294년 7월 30일 ~ 1339년 5월 3일)
- 시어머니: 공원왕후(恭元王后, 1298년 8월 25일 ~ 1380년 2월 12일)
- 자녀
- 양자: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 1389년 12월 31일)
- 양며느리: 근비 이씨(謹妃 李氏)
- 양손자: 창왕(昌王, 1380년 9월 6일 ~ 1389년 12월 31일)
2. 2. 왕비 책봉과 폐위
1366년(공민왕 15년) 음력 10월, 공민왕은 후사가 없자 종실인 덕풍군 왕의(王義)의 딸과 함께 당시 우상시(右常侍)였던 안극인(安克仁)의 딸을 후궁으로 맞이하였다. 같은 해 음력 12월, 안씨는 '''정비(定妃)'''로 책봉되었다.[2]그러나 정비 책봉 직후, 아버지 안극인이 노국대장공주의 영전(影殿) 공사 중지를 공민왕에게 건의했다가 파직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 일로 정비 안씨 역시 궁에서 쫓겨났다. 이후 안씨는 여러 차례 다시 입궁하려 했으나 순탄치 않았고, 재입궁 후에도 공민왕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공민왕은 정비 안씨에게 자제위(子弟衛) 소속 청년들과의 관계를 강요했으나 안씨는 이를 거부하며 저항했다.[3]
공민왕은 정비 안씨의 행동을 문제 삼아 궁궐 출입을 금지하고 직첩과 녹봉을 회수하는 벌을 내렸다. 공민왕은 안씨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기도 했다.
: 안씨(安氏)는 어릴 때부터 광패(狂悖)하고 교만하며 방자하여, 예법과 글을 익히게 하였으나 책을 펴 보기도 싫어하므로, 이에 몸가짐을 배우게 하였더니 또 뜻을 두지 아니하고 오직 끊임 없이 안주하여 게으르게 놀기만 좋아하였다. ... 이제 이미 봉하였는데 아직도 행동을 고치지 아니하는구나. ... 그의 구사(丘史)를 잡아 가두고 명하여 집에 있게 하여 출입을 못하게 하고, 또 만나보지도 아니하여 스스로 마음을 고쳐 새로워지기를 기다렸으며, ... 막 후궁에 나아가자마자 맨 먼저 금령을 범하여 먼저 함부로 날조 하였으니, 그 광패(狂悖)함이 날로 늘어가매 내가 심히 근심한다.
이후 1372년(공민왕 21년) 10월, 공민왕은 자제위 소속 한안, 홍륜 등에게 후궁들과 관계를 맺어 아이를 갖게 하고 그 아이를 자신의 아들로 삼으려 했다. 결국 정비 안씨와 익비 한씨 등은 왕명을 거역하지 못하고 관계를 가졌으며, 안씨는 실제로 임신하게 되었다.
2. 3. 공민왕의 후사 정책과 갈등
1372년(공민왕 21년) 음력 10월, 공민왕은 후사를 얻기 위해 자제위(子弟衛) 소속의 한안, 홍륜 등 젊은 남성들을 시켜 자신의 후비들을 강간하도록 명령하였다.[13][3] 이는 강제로 관계를 맺어 아들이 태어나면 자신의 소생으로 삼으려는 비윤리적인 시도였다.[13] 공민왕은 정비 안씨에게도 자제위 소속 남성과 성관계를 맺도록 강요했지만, 그녀는 이를 끝까지 완강히 거부하였다.[3] 당시 익비 한씨 등 일부 후궁은 왕명을 거역하지 못하고 관계를 가졌으나,[13] 혜비 이씨, 신비 염씨와 더불어 정비 안씨는 공민왕의 부당한 요구에 굴하지 않았다.[13]2. 4. 우왕, 창왕, 공양왕 시대
1374년(공민왕 23년) 공민왕이 시해되고 우왕(禑王)이 즉위하자, 정비 안씨는 비구니가 되었다.[5] 이후 우왕은 그녀의 남동생 안숙로(安淑老)의 딸을 현비(賢妃)로 간택하였다.[4][5] 공민왕 사후에도 조정에서는 혜비 이씨, 신비 염씨, 정비 안씨, 현비 안씨 등에게 계속 일용품을 지급하였으나,[13] 1388년(우왕 14년) 음력 12월 헌사에서 그녀들이 정실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러한 일용품의 지급을 중단하고 세록만 지급하도록 청하였다. 우왕은 정비 안씨를 위해 "자혜부(慈惠府)"를 하사하여 거처로 삼게 했다.우왕은 종종 정비 안씨를 찾아와 조롱하거나 불편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우왕이 "나의 후궁들은 어찌 어머니 같은 이가 없는가?"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하루에도 두세 번씩, 때로는 밤에도 정비의 거처를 방문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우왕이 정비 안씨에게 겁탈을 시도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의지할 곳 없던 우왕이 계모인 정비 안씨에게 모정을 갈구했던 것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1388년(우왕 14년) 이성계(李成桂)가 위화도 회군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우왕을 강화도로 폐위시키자, 당시 왕실의 최고 어른이었던 정비 안씨는 조민수(曺敏修)와 이색의 요청을 받아들여 우왕의 아들인 창왕(昌王)을 즉위시키는 교서를 내렸다.
그러나 1389년(공양왕 1년), 이성계와 정몽주 등은 신돈의 자식이라는 이유로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恭讓王)을 새로운 왕으로 세우려 했다.[6] 이성계 세력의 강요로 정비 안씨는 다시 창왕 폐위와 공양왕 즉위 교서를 발표해야 했다.[7] 공양왕 즉위 후, 정비 안씨는 "경신전(敬愼殿)"으로 거처를 옮겼고, '정숙선명경신익성유혜왕대비(貞淑宣明敬信翼成柔惠王大妃)'라는 존호를 받았다.
1392년(공양왕 4년), 이성계와 배극렴 등 그의 세력은 공양왕마저 폐위시키고 새로운 왕조를 열기 위해 정비 안씨를 압박했다. 그들은 공양왕 폐위와 조선 건국을 승인하는 교서를 내리도록 강요하며 국새(國璽)를 넘길 것을 협박했다.[8] 모든 실권을 잃은 정비 안씨는 결국 이성계의 요구를 받아들여 교서를 반포하고 국새를 넘겨주었다. 이로써 475년간 이어져 온 고려 왕조는 막을 내리고 조선 왕조가 시작되었다.
2. 5. 조선 왕조와 몰락
1388년(우왕 14년)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우왕을 강화도로 유배시키자, 당시 고려 왕실의 최고 어른이었던 정비 안씨는 조민수(曺敏修)와 이색의 요청에 따라 창왕을 즉위시키는 교서를 내렸다.그러나 1389년(공양왕 1년), 이성계 세력은 다시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왕위에 앉히도록 정비 안씨에게 강요했고, 그녀는 이에 따라 창왕 폐위와 공양왕 즉위 교서를 다시 선포했다.[7]
1392년(공양왕 4년), 이성계와 배극렴 등 그의 일파는 공양왕을 폐위하고 새 왕조를 열겠다는 교서를 승인하라며 정비 안씨를 협박했다.[8] 모든 실권을 잃은 정비 안씨는 결국 이성계 측의 요구를 받아들여 조선 건국을 승인하는 교서를 내리고 국새를 넘겨주었다. 이로써 475년간 이어져 온 고려 왕조는 막을 내리고 조선이 건국되었다.
조선 건국 후인 1392년(태조 원년) 8월 7일, 정비 안씨는 '''의화궁주'''(義和宮主)로 강봉(降封)되었다.[9]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의화궁주로 봉해진 이후 술에 의지하며 불우한 말년을 보냈다고 전해진다.[14][15][11] 고려 왕조 멸망 후 술에 의지하며 불우하게 지내다 생을 마감했다고 전해진다.
1428년(세종 10년) 5월 14일, 고려가 멸망한 지 36년 만에 사망하였다.[10] 사망한 지 6일 뒤, 세종은 옛 제도에 따라 왕비의 예우를 갖추어 정성껏 장례를 치르도록 명했으나, 그녀의 묘소 위치는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人, ? ~ 1383)
- '''어머니''' : 가리 이씨(嘉利 李氏)
- * 오빠 : 안천로(安天老)
- * 남동생 : 안중로(安仲老)
- * 남동생 : 안숙로(安叔老, ? ~ 1394)
- ** 조카 : 현비 안씨
- '''시아버지''' : 제27대 충숙왕(忠肅王, 1294 ~ 1339, 재위: 1313~1330, 1332~1339)
- '''시어머니''' : 공원왕후(恭元王后, 1298 ~ 1380)
- * '''남편''' : 제31대 공민왕(恭愍王, 1330 ~ 1374, 재위: 1351~1374)
- ** '''양자''' : 우왕(禑王, 1365 ~ 1389)
'''양며느리''' : 근비 이씨(謹妃 李氏)
* '''양손자''' : 창왕(昌王, 1380 ~ 1389)
4. 대중문화 속 정비 안씨
연도 | 방송사 | 작품명 | 배우 |
---|---|---|---|
1983년 | KBS | 《개국》 | 유가영 |
1983년 | MBC | 《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 마마》 | 한영숙 |
1996년 ~ 1998년 | KBS1 | 《용의 눈물》 | 한은진 |
2005년 ~ 2006년 | MBC | 《신돈》 | 서지승 |
2014년 | KBS1 | 《정도전》 | 김민주 |
2015년 ~ 2016년 | SBS | 《육룡이 나르샤》 | 김지현 |
2021년 ~ 2022년 | KBS1 | 《태종 이방원》 | 김보미 |
참조
[1]
웹사이트
백발의 80 노인이었다가 수려한 미녀로 돌변하는 정비 안씨
https://www.choicene[...]
2021-09-29
[2]
웹사이트
왕씨와 안씨를 각기 익비와 정비로 책봉하다
http://db.history.go[...]
2021-07-05
[3]
서적
韓國人物小說全集
https://books.google[...]
Yuwen Ge
1967
[4]
웹사이트
안숙로(安叔老)
http://people.aks.ac[...]
people.aks.ac.kr
2021-07-18
[5]
서적
고려 의 남경, 한양
https://books.google[...]
Sinseowon
2006
[6]
서적
조선 견문록
https://books.google[...]
Chung-A Publisher
2006
[7]
웹사이트
공양왕 총서
http://db.history.go[...]
2021-07-18
[8]
서적
한권으로읽는조선왕조실록
https://books.google[...]
Woongjin Knowledge House
2004-11-18
[9]
웹사이트
의화 궁주 안씨의 졸기
http://sillok.histor[...]
2021-07-18
[10]
웹사이트
이명덕에게 의화 궁주에게 새 술을 바치도록 하교하다
http://sillok.histor[...]
2021-07-18
[11]
웹사이트
공민왕의 정비 의화 궁주에게 매일 술 한병씩을 하사하다
http://sillok.histor[...]
2021-07-18
[12]
간행물
세종실록
조선왕조실록
[13]
간행물
고려사
[14]
간행물
태종실록
조선왕조실록
[15]
간행물
태종실록
조선왕조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