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비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혜비 이씨는 고려의 정치가이자 철학자인 이체현의 딸로, 공민왕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혜비에 책봉되었다. 공민왕의 다른 후궁들과 함께 왕의 강간 요구를 거부하고, 공민왕 사후에는 여승이 되어 정업원에 들어갔다. 조선 건국 후 혜화궁주로 불렸으며, 1408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비구니 - 신비 염씨
신비 염씨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공민왕 시해 후 비구니가 되었으며, 1372년 후궁 강간 명령을 거부했다. - 고려의 비구니 - 정비 안씨
정비 안씨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아버지의 파직과 공민왕과의 갈등으로 궁에서 쫓겨났으며, 고려 왕조 말 왕위 계승에 관여하고, 조선 건국 과정에서 국새를 이성계에게 넘겨주는 역할을 한 인물이다. - 1408년 사망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 1408년 사망 - 민제 (조선)
민제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세 딸이 조박, 이천우에게 출가하고 특히 막내딸 원경왕후가 태종의 비가 되었으며, 아들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무회 등은 태종의 외척으로 활동했다. - 고려 공민왕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 공민왕 - 우왕
우왕은 고려 제33대 국왕으로 공민왕의 아들이며, 이인임의 추대로 10세에 즉위하여 명덕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술과 여색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왜구 침입, 명나라와의 관계 설정 문제, 요동 정벌 명령, 위화도 회군 등의 사건을 겪으며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혜비 이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혜비 이씨 |
한자 표기 | 惠妃 李氏 |
로마자 표기 | Hyebi Issi |
아명 | 호월 |
한자 아명 | 湖月 |
로마자 아명 | Howol |
다른 이름 | 혜화궁주 (조선 왕실 작위) |
한자 다른 이름 | 惠和宮主 |
로마자 다른 이름 | Hyehwa Gungju |
신분 | |
직위 | 고려 왕비 |
재위 기간 | 1359년–1374년 |
임기 | 재위 기간 |
책봉 | 1359년 |
이후 | 익비 |
가문 | |
씨족 | 경주 이씨 |
아버지 | 이제현, 계림부원대군 |
어머니 | 부인 박씨 |
생애 | |
출생지 | 고려 경주 |
사망일 | 1408년 2월 3일 |
사망지 | 조선 한성 |
종교 | 불교 |
배우자 | |
배우자 | 공민왕 |
결혼 | 1359년 |
사망 | 1374년 |
사유 | 사망 |
자녀 | 없음 |
기타 | |
법명 | 호월 (湖月) |
존칭 | 혜화궁주 (惠和宮主; 1392년 – 1408년 2월 3일) |
2. 생애
혜비 이씨는 고려의 정치가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이었던 이제현의 딸이다. 1359년(공민왕 8년) 4월, 노국대장공주가 아들을 낳지 못하자, 공민왕에게 명문가의 여식을 후비로 들일 것을 청하여 혜비(惠妃)로 봉해졌다.[13] 그러나 혜비가 들어오자 노국대장공주는 질투를 느껴 음식을 들지 않기도 하였다.[14]
1372년(공민왕 21년) 10월, 공민왕은 자제위를 설치하고, 한안, 홍륜 등을 시켜 자신의 후비들을 강간하게 하였다. 이는 아들이 생기면 그 아들을 자신의 소생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이때 혜비 이씨는 정비 안씨, 신비 염씨와 함께 그 요구를 끝까지 거부하였다.[16]
1374년 공민왕이 암살된 후, 혜비 이씨는 머리를 깎고 정업원(현재 청룡사)에서 비구니가 되었다.[6] 조선 건국 후에는 '''혜화궁주'''로 불리었다. 1408년(태종 8년) 음력 2월 3일에 사망했다.[9] 태종은 쌀과 콩 30석, 종이 100권을 부의로 내렸다.[8]
2. 1. 가계
혜비 이씨는 고려의 정치가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이었던 이제현의 딸로 경주에서 태어났다.[2] 증조부는 증직된 좌복야 이핵이고, 조부는 검교정승을 지낸 이진이며, 부친은 계림부원군 이제현이다. 외조부는 사복정 박거실(이제현의 2번째 부인)이다.[10]관계 | 이름 |
---|---|
증조부 | 이핵 |
증조모 | 김해 김씨 부인 |
조부 | 이진 |
조모 | 진한국대부인 박씨 |
부친 | 이제현(계림부원군) |
모친 | 수춘국부인 박씨 |
외조부 | 박거실 |
2. 2. 왕비 책봉
1359년(공민왕 8년) 4월, 노국대장공주가 아들을 낳지 못하자, 노국대장공주와 여러 재상들이 공민왕에게 명문가의 여식을 후비로 들일 것을 청하였다. 그리하여 이씨(李氏)를 혜비(惠妃)로 봉했다.[13]그러나 혜비가 들어오자 노국대장공주는 질투를 느껴 음식을 들지 않기도 하였다.[14]
2. 3. 왕비 시절
1359년 4월(공민왕 8년), 왕비 노국대장공주가 후사를 낳지 못하자, 이씨는 다른 여러 신하들과 함께 왕에게 귀족 가문 출신의 후궁을 간택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씨는 간택된 후 혜비(惠妃)로 책봉되었다.[3] 그녀가 입궁했을 때, 왕비는 그녀를 질투하여 식사를 거부했다고 전해진다.1372년(공민왕 21년) 10월, 공민왕은 젊고 잘생긴 남자들을 뽑아 자제위를 설치하고, 한안, 홍륜 등을 시켜 자신의 후비들을 강간하게 하였다. 이는 아들이 생기면 그 아들을 자신의 소생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이때 익비 한씨 등은 이 명령을 거부하지 못하고 임신까지 하였으나[15], 혜비 이씨, 정비 안씨, 신비 염씨는 그 요구를 끝까지 거부하였다.[16]
2. 4. 공민왕 사후와 비구니 생활
1374년 공민왕이 암살된 후, 혜비 이씨는 머리를 깎고 정업원(현재 청룡사)에서 비구니가 되었다.[6] 공민왕 사후에도 조정은 그의 모든 과부 후궁들을 존중하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계속 제공했으나, 1388년 12월에 이러한 지원이 중단되었다.2. 5. 조선 왕조와 죽음
조선 건국 후에는 '''혜화궁주'''로 불리었다.1408년(태종 8년) 음력 2월 3일에 고려가 멸망한 지 12년 만에 사망했다.[9] 태종은 쌀과 콩 30석, 종이 100권을 부의로 내렸다.[8]
당시 혜비는 정업원의 주지로 있었는데, 혜비가 사망하자 태조 이성계의 8남 의안대군의 처 심씨가 대신 주지를 맡았다.[20]
혜비의 능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남편 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3. 가계도
4. 대중문화 속 혜비 이씨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6-19
[2]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6-19
[3]
웹사이트
공민왕 후비 혜비 이씨
http://db.history.go[...]
2021-07-30
[4]
서적
韓國人物小說全集
https://books.google[...]
Yuwenge
1967
[5]
웹사이트
자제위를 설치해 온갖 불륜을 저지르게 하다
http://db.history.go[...]
2021-07-30
[6]
웹사이트
정절을 지키려다 승려가 된 공민왕의 후비 혜비(惠妃) 이씨(李氏)
https://www.culturec[...]
2021-07-30
[7]
웹사이트
혜화 궁주 이씨의 졸기
http://sillok.histor[...]
2021-07-30
[8]
서적
漢城府資料集: 太祖元年 (1392)-太宗8年 (1408)
https://books.google[...]
Seoul Special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9]
웹사이트
혜화 궁주 이씨의 죽다
http://sillok.histor[...]
2021-07-30
[10]
서적
북타임스 고려왕비열전 54. 공민왕과 노국 대장 공주 인덕 왕후④
https://books.google[...]
Goldstar Publishing House
2016
[11]
문서
음력 2월 3일
[12]
문서
태종실록 15권 - 태종 8년 2월 3일 임오 기사
조선왕조실록
[13]
문서
고려사 권39 - 공민왕 8년 4월 - 이제현의 딸을 맞아 혜비로 책봉하다
[14]
문서
고려사 권89 - 노국대장공주
[15]
문서
고려사 권131 - 홍륜
[16]
문서
고려사 권43 - 공민왕 21년 10월 - 자제위를 설치해 온갖 불륜을 저지르게 하다
[17]
문서
고려사 권89 - 혜비 이씨
[18]
웹사이트
녹읍
https://terms.naver.[...]
[19]
문서
고려사 권137 - 창왕 즉위년 12월 - 헌사에서 혜비 등에 대한 일용품 지급을 중지하라고 건의하다
[20]
문서
조선왕조실록 태종 8년(1408) 2월 3일 1번째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