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해병상륙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해병상륙군단은 1942년 10월 1일에 창설된 미국 해병대 군단으로,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초대 군단장은 클래이턴 B. 보겔 소장이었으며, 알렉산더 벤더그리프 소장이 지휘를 이어받았다. 부겐빌 전역에 참전했으며, 1944년 4월 15일 제3상륙군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3해병사단, 제37보병사단, 제8여단, 제53해군 건설대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군단의 문장은 파란색 바탕에 흰색 남십자성 별자리와 붉은색 다이아몬드가 새겨진 방패 모양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 고속항공모함 기동부대
    고속항공모함 기동부대는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구축함, 순양함, 잠수함 등으로 구성된 해상 전투 부대로, 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해군이 태평양 전역에서 운용하며 일본 해군과의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나, 오키나와 전투에서 가미카제 공격으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 제1임시해병여단 (미국)
    미국 해병대의 제1임시해병여단은 필요에 따라 여러 차례 편성 및 해산된 임시 부대로, 한국 전쟁 당시 긴급히 편성되어 부산 교두보 전투, 마산 전투, 낙동강 방어선 전투 등에서 활약하다 제1해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 미국 해병대의 군단 - 제5상륙군단
    제5상륙군단은 1943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타라와, 사이판, 이오지마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 1946년 해체된 미국 해병대 군단이다.
  • 미국 해병대의 군단 - 제2해병원정군
    제2해병원정군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르쥔에 본부를 둔 미국 해병대의 해병 원정군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해병 항공-지상 합동 부대를 구성하여 운용되며, 여러 작전에 참여하여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 1944년 해체된 단체 - 우한 방위군
    우한 방위군에 대한 역사, 주요 간부, 사령관, 참모장, 최종 사령부 구성, 최종 소속 부대 정보가 부족하여 현재 위키백과 페이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1944년 해체된 단체 - 카리알라 학술회
    카리알라 학술회는 1920년대 핀란드에서 핀란드어 위상 강화, 강력한 국민 국가 건설, 동카렐리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추구하며 군비 확장과 사회주의자 탄압을 지지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시즘 단체로 낙인찍혀 해산된 민족주의 단체이다.
제1해병상륙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제1해병상륙군단
원어 명칭I Marine Amphibious Corps (I MAC)
제1해병상륙군단 휘장
존속 기간1942년 10월 1일 ~ 1944년 4월 15일
국가미국
소속USMC
참전태평양 전쟁: 부겐빌 전역

2. 역사

1942년 10월 1일 태평양 함대 해병군(Amphibious Corps, Pacific Fleet, ACPF)에서 차출된 인원으로 창설되었다. 초대 군단장은 클래이턴 B. 보겔 소장이 맡았다. 그러나 이듬해 1943년 7월, 미국 해병대 사령관 토머스 홀콤 중장은 과달카날 전투 당시 제1해병사단 사단장이었던 알렉산더 벤더그리프 소장을 보겔 소장의 후임 군단장으로 임명하고 그를 중장으로 승진시켰다. 이는 보겔 소장의 지휘 능력에 대한 불만 때문이었다.[2]

군단은 부겐빌 전역에 참전하였다. 1943년 9월 27일에는 찰스 D. 배럿 소장이 세 번째 군단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은 10월 8일 뉴칼레도니아에 있는 관사의 발코니에서 추락하여 사망했다.[3] 이에 따라 알렉산더 벤더그리프 중장이 다시 군단을 지휘하게 되었고, 그는 부겐빌 상륙작전 동안 제1상륙군단을 이끌었다. 이후 벤더그리프는 1943년 12월 31일, 토머스 홀콤의 뒤를 이어 제18대 해병대 사령관으로 지명되었다.

부겐빌 상륙 작전 당시 군단은 제3해병사단, 제37보병사단 (미국), 제8여단 (뉴질랜드) 및 제53해군 건설대대(시비)로 구성되었다. 제53해군 건설대대가 해병대에 배속되면서 "해군 건설대대 제1해병상륙군단"으로 명칭이 변경되기도 했다.[4]

1944년 4월 15일, 제1해병상륙군단은 제3해병상륙군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6][5]

3. 지휘부

제1해병상륙군단의 지휘부는 사령관, 참모장, 군단 포병대 사령관 및 기타 참모들로 구성되었다.

3. 1. 사령관

미국 해병대 사령관 토머스 홀콤은 소장 클레이턴 B. 보겔의 지휘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알렉산더 반데그리프트에게 지휘권을 넘기도록 명령했다. 과달카날 전투 당시 제1해병사단 사령관이었던 반데그리프트는 이 임명과 함께 중장으로 진급했다.[2]

반데그리프트 장군은 후임으로 지명되었던 소장 찰스 D. 배럿이 부겐빌 상륙작전 준비 중 뉴칼레도니아 숙소 발코니에서 추락사한 후에도 군단을 계속 지휘했다.[3] 반데그리프트는 상륙 작전 동안 제1상륙군단을 이끌었으며, 이후 해병대 사령관이 되었다.

계급이름재임 기간
소장클레이턴 B. 보겔1942년 10월 1일 – 1943년 7월
중장알렉산더 반데그리프트1943년 7월 – 1943년 9월 27일
소장찰스 D. 배럿1943년 9월 27일 – 1943년 10월 8일
중장알렉산더 반데그리프트1943년 10월 8일 – 1943년 11월 1일
소장로이 S. 가이거1943년 11월 9일 – 1945년 6월 30일 (1944년 4월 15일 제3상륙군단으로 개칭)[5]
소장켈러 E. 로키1945년 6월 30일 – 1946년 6월 10일 (제3상륙군단)


3. 2. 참모장

계급이름재임 기간
준장아치 F. 하워드1942년 10월 1일 – 1943년 7월
대령제럴드 C. 토마스1943년 7월 – 1943년 11월 9일
준장알프레드 H. 노블1943년 11월 10일 – 1943년 12월 17일
준장오스카 R. 콜드웰1943년 12월 18일 – 1944년 1월
준장머윈 H. 실버쏜1944년 1월 – 1945년 6월 30일
준장윌리엄 A. 워튼1945년 6월 30일 – 1946년 6월 10일


3. 3. 군단 포병대 사령관


  • 준장 페드로 델 바예: 1944년 4월 – 1944년 10월
  • 준장 데이비드 R. 니머

3. 4. 기타 참모


  • 중령 조셉 C. 버거: 1942년 10월 – 1943년 11월
  • 대령 윌리엄 J. 셰이어: 1943년 11월 – 1944년 9월
  • 대령 게일 T. 커밍스
  • 중령 윌리엄 F. 콜먼
  • 중령 시드니 S. 웨이드
  • 중령 메릴 B. 트와이닝
  • 중령 에드워드 W. 스네데커: 1943년 9월 – 1943년 12월
  • 대령 월터 A. 와흐틀러: 1943년 12월 – 1945년 7월
  • 대령 레오나드 E. 리아
  • 중령 프레데릭 L. 와이즈먼: 1943년 8월 – 1944년 8월
  • 대령 프랜시스 B. 루미스 주니어: 1944년 8월 – 1945년 7월
  • 대령 얼 S. 파이퍼: 1945년 7월 – 1946년 7월
  • 대령 더들리 S. 브라운: 1942년 10월 – 1943년 7월
  • 대령 엘머 H. 살즈만: 1943년 7월 - 1945년 7월
  • 대령 벤자민 W. 갈리: 1945년 7월 – 1946년 6월 24일

4. 부대

제1해병상륙군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부대명창설일해체일비고
본부근무대대 (HQ&S)1943년 9월 1일
의무대대1942년 12월 1일
차량수송(MT)대대1942년 10월 1일
해군건설대대1942년 12월 22일
통신대대1943년 6월 1일
전차대대 (中)1943년 1월 18일1944년 2월 15일
해병낙하산연대1943년 4월 1일1944년 2월 29일예하: 제1, 2, 3낙하산대대
제1해병레이더연대1943년 3월 15일1944년 2월 1일
제2해병레이더연대 (임시)1943년 9월 12일1944년 1월 26일
군단 포병대예하:
* 제1포병대대 (155 mm): 1942년 12월 2일 창설
* 제2포병대대 (155 mm): 1943년 8월 1일 창설
제2장갑트랙터대대1942년 9월 1일1943년 12월 17일
보급근무대1943년 5월 20일1944년 4월 6일예하: 제1-6기지창
Transient Center1943년 6월 1일
조색기구단1943년 1월 10일1943년 12월 15일예하: 제1, 3, 5, 6조색기구전대


4. 1. 전력


  • 미국 해병대 제3해병사단
  • 미국 육군 제37보병사단
  • 뉴질랜드 육군 제8여단
  • 제53해군건설대대

5. 문장

제1해병상륙군단의 문장은 파란색 바탕에 흰색 남십자성 별자리가 있고, 중앙에는 흰색 테두리로 둘러싸인 붉은색 사각형 다이아몬드가 새겨진 방패 모양이었다. 군단 소속 여러 부대는 이 기본 디자인을 바탕으로, 붉은색 다이아몬드 중앙에 각 부대의 임무를 상징하는 문장을 흰색으로 추가하여 사용했다.

부대문장 특징 (붉은 다이아몬드 중앙)
군단 사령부단순한 붉은색 다이아몬드 (별도 문장 없음)
방어대대대공포
방해 기구 대대풍선
포병교차된 대포
공수부대낙하산
레이더 대대해골
보급 및 정비
항공 엔지니어날개 달린 엔지니어 성


  • 제1해병사단은 기본 디자인에 숫자 1과 함께 'Guadalcanal'이라는 단어를 새겨 넣었다.
  • 나중에 제23해병연대는 다이아몬드를 흰색 테두리로 감싸지 않은 기본 디자인을 채택했다.

참조

[1] 서적 U.S. Marine Corps 1941–1945 Osprey Publishing 1995
[2] 서적 Commandants of the Marine Corps Naval Institute Press 2004
[3] 서적 Commandants of the Marine Corps Naval Institute Press 2004
[4] 웹사이트 53rd Naval Construction Battalion, MCB 53 Alumni Association website http://www.mcb53.com[...]
[5] 서적 U.S. Marine Corps World War II Order of Battle{{spaced ndash}}Ground and Air Units in the Pacific War, 1939–1945 Greenwood Press 2001
[6] 서적 U.S. Marine Corps World War II Order of Battle - Ground and Air Units in the Pacific War, 1939–1945 Greenwood Pres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