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보병사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보병사단 (미국)은 미국 육군의 사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21세기까지 여러 차례 재편성 및 임무 수행을 거쳤다. 1917년 창설 이후 유럽, 알류샨 열도, 태평양 전선, 한국, 파나마 등지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워싱턴주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에 주둔하며 제2보병사단 예하 2개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과 제16전투항공여단을 감독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 사단은 여러 차례의 부대 해체와 재창설을 겪었으며, 1차 세계 대전, 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서 다수의 종군 휘장과 부대 표창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1년 해체된 단체 - 제30방공포병여단
제30방공포병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냉전 시기에는 오키나와에서 활동하다 해산되었으며, 2012년 재편성되어 현재 방공포병학교의 교육훈련부대로 운용된다. - 2006년 해체된 단체 - 제20지원단
제20지원단은 1965년 창설되어 2006년 해체된 미국 육군의 지원 부대로, 대한민국 대구에서 창설되어 대구와 경북 지역의 미군 부대를 지원하다 부산으로 이전하여 캠프 하야리아를 중심으로 기지 운영 지원을 담당했다. - 2006년 해체된 단체 - 항공사고조사위원회
항공사고조사위원회는 항공 사고의 원인을 조사하는 기관이며, 2002년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조사를 통해 국제 조사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 1994년 해체된 단체 - 제9군단 (미국)
제9군단은 1940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고 류큐 열도 주둔 후 주일 미국 육군과 합병되어 캠프 자마에 주둔하다 1994년 해체된 미국 육군의 군단이다. - 1994년 해체된 단체 - 주동독 소련군
주동독 소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을 점령한 소련군으로, 1945년 창설되어 1989년 서부 군 집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동독에 대규모 병력과 장비를 배치하고 1994년 철수했다.
제7보병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별칭 | "모래시계 사단" (Hourglass Division) "총검 사단" (Bayonet Division) "캘리포니아 사단" (California Division) |
표어 | "가볍게, 조용히, 치명적으로" (Light, Silent, and Deadly) |
또다른 표어 | "나를 믿어라" (Trust in Me) |
마스코트 | 검은 과부 거미 |
군가 | 아리랑 |
역사 | |
활동 기간 | 1917년–1921년 1940년–1971년 1974년–1994년 1999년–2006년 2012년–현재 |
소속 | 미국 육군 |
유형 | 스트라이커 보병 |
역할 | 해당사항 없음 |
지휘 구조 | 제1군단 |
현재 사령관 | MG 미셸 A. 슈미트 |
특기 | 해당사항 없음 |
규모 | 사단 |
참전 | |
참전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알류샨 열도 전역 아투 전투 길버트 마셜 제도 전역 레이테 만 전투 오키나와 전투 한국 전쟁 한국 비무장지대 분쟁 골든 퓨전 작전 파나마 침공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세계 테러와의 전쟁 이라크 침공 아프가니스탄 전쟁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찰스 H. 코를렛 아치볼드 V. 아놀드 조셉 워런 스틸웰 주니어 라이먼 레므니처 아서 트뤼도 할 무어 웨인 C. 스미스 윌리엄 하딘 해리슨 |
상징 | |
![]() | |
![]() | |
![]() |
2. 역사
1917년 12월 조지아주 캠프 휠러에서 창설된 제7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유럽 전선에서 1,505명의 부상자와 204명의 전사자를 냈다. 1919년 미국으로 귀국, 1921년 9월 22일 메릴랜드주 캠프 조지 G. 미드에서 해산했다.
1940년 7월 1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오드에서 제7보병사단이 재편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알류샨 열도, 레이테, 오키나와 등지에서 일본군과 싸워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3명의 병사에게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1945년 일본 항복 후 일본에 주둔하며 혼슈 일부와 홋카이도를 점령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1950년 9월 11일, 제10군단 소속으로 일본 요코하마항에서 출발하여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했다.[171] 제1해병사단의 인천 점령 후 상륙하여 서울 남쪽을 확보했다.[172] 이후 한강을 건너 남동쪽에서 서울 탈환 작전에 돌입, 북서쪽에서 공격해 온 제1해병사단과 함께 9월 28일 서울을 수복했다.[173] 한국 전쟁에서 제7보병사단은 돼지 고기 산 전투, 올드 볼디 전투 등에 참전, 3,905명이 전사하고 10,858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13명의 병사가 명예 훈장을 받았다. 1953년부터 1971년까지 대한민국에 주둔했으며, 1971년 4월 2일 미국으로 귀환하여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해체되었다.
1974년 10월 21일 포트 오드에서 재창설된 제7보병사단은 온두라스 침공과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의 파나마 침공에 참여했다.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당시 치안 유지를 위해 출동하기도 했다. 1994년 6월 16일 포트 루이스에서 해체되었다.
1999년 10월 4일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에서 재창설되어 국경 경비 및 주 방위군 예비군 여단의 훈련, 평가 부대로서 활동하다 2006년 6월 4일 다시 해산되었다.
2012년 4월 26일, 미국 국방부 육군성은 제7보병사단 사령부 재편성을 발표, 10월 10일 조인트 베이스 루이스-맥코드에서 편성되었다. 초기에는 예하 여단 없이 250명의 사령부만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제2보병사단의 제2·제3·제4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 제16전투항공여단, 제17야전포병여단, 제555공병여단, 제201전장감시여단이 제7보병사단에 편입되어 병력은 약 2만 1,000명으로 증가했다. 이후 제4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은 해산되었다.
2024년 8월 16일,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은 공식적으로 제2보병사단에서 제7보병사단으로 재배치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 12월, 캘리포니아주 포트 오드에서 제7보병사단이 창설되었다.[6]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8개월 후였다. 제7보병사단은 조지아주 캠프 휠러에서 정규군의 제7사단으로 창설되었다.[6] 1918년 7월 18일, 사단은 미국 원정군(AEF)의 일원으로서 유럽으로 배치될 준비를 하면서 출항 항구로 이동했다.[6] 부대는 뉴저지주 호보컨과 뉴욕에 도착했으며, 추가적인 보충병들이 합류한 캠프 메리트를 거쳤다. 부대의 대다수는 프랑스 브레스트로 향했다. 제7지원대와 제7훈련사령부, 그리고 군사 경찰은 프랑스 보르도로 향했다. 부대는 1918년 7월 26일에 프랑스에 도착하기 시작했으며, 마지막 부대는 9월 3일에 도착했다.[7] 사단의 대부분은 SS ''리바이어던''을 타고 유럽으로 향했다.[8]1918년 8월 17일부터 10월 9일까지, 사단은 앙시르프랑 훈련 지역에서 최전선 투입을 위한 최종 훈련과 준비를 실시했다. 부대의 일부 병력은 손실 보충을 위해 제4사단과 제26사단으로 보내졌다. 9월 2일부터 14일까지 부대는 제6군단의 행정 통제를 받았다.[7]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7보병사단 사령관에는 준장 찰스 H. 바르트와 소장 에드먼드 위텐마이어가 있었다.[1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7보병사단의 주요 부대 편성은 다음과 같다:[7]
부대 | 편성 시기 및 장소 | 비고 |
---|---|---|
제13여단 | 1917년 12월 18일, 치카모가 공원 | |
제55보병연대 | 1917년, 치카모가 공원 | 제17보병연대 병력으로 편성 |
제56보병연대 | 1917년, 치카모가 공원 | 제17보병연대 병력으로 편성 |
제20기관총대대 | ||
제14여단 | 1917년 12월 20일, 캠프 블리스 | |
제34보병연대 | 1916년, 텍사스주 캠프 베이커(엘 파소 근처) | 제7, 제20, 제23보병연대 병력으로 편성 |
제64보병연대 | 1917년, 텍사스주 캠프 베이커(엘 파소 근처) | 제34보병연대 병력으로 편성 |
제21기관총대대 | ||
제7야전포병여단 | 1918년 1월 8일, 캠프 휠러 | |
제8야전포병연대 (155mm) | 캠프 휠러와 포트실 | 제5, 제6포병연대 병력으로 편성 |
제79야전포병연대 (75mm) | 캠프 로건 | |
제80야전포병연대 (75mm) | 치카모가 공원 | |
제7참호 박격포 중대 | ||
제19기관총대대 | ||
제5공병연대 | ||
제10야전 통신대대 | ||
제7사단 본부 중대 | ||
제7열차 본부 및 헌병대 | ||
제7탄약 열차 | ||
제7공병 열차 | ||
제7보급 열차 | ||
제7위생 열차 | 제22, 제34, 제35, 제36 구급차 중대 및 야전 병원 |
제7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유럽에서 전투에 참여하여 1,505명의 부상자와 204명의 전사자를 냈다. 1919년에 미국으로 귀국하여, 1921년 9월 22일에 메릴랜드주 캠프 조지 G. 미드에서 해산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7월 1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오드에서 재창설되었다.[14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알류샨 열도, 레이테, 오키나와에서 일본군과 싸워 다수의 사상자를 냈다.[141]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7보병사단의 3명의 병사에게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1945년 일본 항복 후에는 일본에 주둔하며 혼슈 일부와 홋카이도를 점령했다.2. 3. 한국 전쟁
1950년 9월 11일, 제7보병사단은 제10군단 소속으로 일본 요코하마항에서 승선하여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했다.[171] 제1해병사단이 인천을 성공적으로 점령한 후, 제7보병사단은 후속 부대로 상륙하여 서울 남쪽을 확보했다.[172] 이후 한강을 건너 남동쪽에서 서울 탈환전에 참여, 북서쪽에서 공격해오던 제1해병사단과 함께 9월 28일 서울을 수복했다.[173]제7보병사단은 이후 돼지 고기 산 전투, 올드 볼디 전투 등 주요 전투를 치렀다.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제7보병사단에서는 3,905명이 전사하고 10,858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13명의 병사가 명예 훈장을 받았다. 1953년부터 1971년까지 대한민국에 주둔하다가 1971년 4월 2일 미국으로 귀환하여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해체되었다.
2. 4. 냉전
1953년 휴전 이후, 제7보병사단은 제2보병사단, 제1(I)군단, 제8군과 함께 한반도에 주둔한 얼마 되지 않는 주한 미군 육군 부대 중 하나였다. 캠프 케이시에 주둔하며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서 대한민국 육군과 함께 조선인민군을 감시하였다.[7]미국 육군의 개편에 따라 3개 여단을 가지는 삼각 사단으로 재조직되었다. 1963년 사단 본부를 기반으로 제1여단이 창설되었고, 제13, 14보병 여단을 각각 2, 3여단으로 배속받았다. 1971년 4월 2일 닉슨 독트린에 따라 제1(I)군단과 함께 한반도에서 철수하여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로 돌아가 해산되었다.[7]
1974년 10월 포드 오드에서 재소집되었으며, 저스트 커즈 작전에 참가하였다.[7]
1993년 냉전 종식과 함께 육군 규모 감축이 시작되면서 사단 해체가 예정되었다. 제1여단은 포트 루이스로 옮겨가 제2보병사단 2여단이 되었고, 제2, 3여단은 포트 오드에서 해체되었으며, 사단 본부는 1994년 6월 16일 포트 루이스에서 해산되었다.[7]
2. 5. 21세기
1999년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에서 최초의 현역/예비군 사단으로 정식 재활성화되었다.[158] 제7보병사단을 구성하는 예비군 부대에는 아칸소 주 방위군의 제39보병여단 전투단, 오리건 주 방위군의 제41보병여단 전투단, 오클라호마 주 방위군의 제45보병여단 전투단이 포함되었다. 포트 카슨은 사단의 새로운 본부가 되었다.[159]사단 본부는 소규모 육군 주 방위군 작전, 합동 준비 훈련 센터 로테이션, 육군 주 방위군 지휘관을 위한 지휘 훈련 및 세 여단에 대한 연례 여름 훈련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59] 제7보병사단 본부는 대규모 훈련 및 야외 훈련을 위한 상급 본부 역할을 할 지휘 요소를 배치하여 부대를 훈련하면서 평가하고 조정했다. 또한 세 여단과 분기별로 현황 점검을 실시하여 해당 부대에 영향을 미치는 대비 태세 및 자원 문제를 논의하여 필요할 경우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159]
예비군 및 육군 주 방위군 구성요소의 개념을 확장하기 위해 제1군은 동부사단과 서부사단을 활성화했는데, 이 두 사단은 예비군 부대의 대비 태세 및 동원 훈련을 담당했다. 서부사단은 포트 카슨에서 활성화되었다.[160] 이러한 변환은 미 육군의 훈련 감독 조직 간소화의 일환이었다. 서부사단은 미시시피 강 서쪽 21개 주의 예비군 부대를 통제하게 되었고, 제7보병사단 본부의 필요성을 없앴다.[160] 따라서 2006년 8월 22일 포트 카슨에서 해산되었다.[158]
2012년 4월 26일, 미국 육군 장관 존 M. 맥휴는 제7보병사단 본부를 2012년 10월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에서 재활성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약 250명 규모의 본부 병력은 예하 여단을 창설하지 않았다. 대신, 비(非)배치 부대로서 행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맥휴는 당시까지 10개의 예하 여단을 직접 감독했던 제1군단이 주둔하고 있는 기지를 언급하며, 유사한 군단 본부를 갖춘 다른 기지에는 중간 감독을 위한 활성화된 사단 지휘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대는 제2보병사단의 제2여단 전투단과 제3여단 전투단, 제17야전포병여단, 제201전장감시여단, 제16항공여단, 제555공병여단 등 약 21,000명의 병력을 감독한다. 본부의 임무는 주로 병사들이 적절하게 훈련받고 장비를 갖추도록 하고, 예하 여단에서 질서와 규율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163]
맥휴는 이 조치가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현재)에서 발생한 마이완드 구 살인 사건과 칸다하르 학살과 같은 기지 소속 병사들에 대한 여러 건의 주목할 만한 위법 행위 혐의에 대한 대응은 아니라고 부인했다.[163] 육군의 공보 책임자인 스티븐 R. 란자 소장이 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164] 사단은 2012년 10월 10일에 기지에서 활성화되었다.[165]
2024년 8월 16일,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은 이 두 여단을 제2보병사단에서 제7보병사단으로 공식적으로 재배치하는 패치 교체 행사의 일부였다.
3. 편제
제7보병사단은 1940년 7월 1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오드에서 조지프 W. 스틸웰 소장의 지휘 아래 재창설되었다.[14][6] 초기 병력은 미국의 첫 평시 징병으로 징집된 병사들이었다.[8]
1941년, 제7사단은 제4미국군 제3군단에 배속되어 훈련을 받았고, 진주만 공격 이후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서부 해안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6]
1942년 4월, 제7기동사단으로 재지정되었다가 1943년 1월, 다시 제7보병사단으로 변경되었다.[14] 이후 미 해병대의 해병 기동 부대 지휘 하에 수륙양용 훈련을 받고 태평양 전역에 배치되었다.[6]
2012년 4월, 미국 국방부는 제7보병사단 사령부 재편성을 발표했고, 10월에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에서 편성되었다. 처음에는 예하 여단 없이 250명의 사령부만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제2보병사단의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들과 제16전투항공여단 등이 편입되어 병력이 약 2만 1,000명으로 늘어났다.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조직
부대 | 예하 부대 |
---|---|
제7보병사단 사령부 | |
제7보병사단 포병 사령부 및 사령부 포대 | |
기타 부대 |
; 2021년 조직도
부대 | 예하 부대 |
---|---|
![]() | |
-- 제2스트라이커여단전투단 (제2보병사단), 워싱턴주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 | |
-- 제2보병사단 포병대 워싱턴주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 | |
![]() |
3. 1. 현재
제7보병사단은 워싱턴주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에 주둔하며, 2012년 10월 10일에 재활성화되었다.[165] 2024년 8월 16일,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이 제2보병사단에서 제7보병사단으로 공식 재배치되었다.[166]
현재 제7보병사단은 다음과 같은 주요 예하 부대를 두고 있다.[163]
부대 | 설명 |
---|---|
제1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 | 제2보병사단 소속이었으나, 2024년 8월 16일 제7보병사단으로 재배치[166] |
제2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 | 제2보병사단 소속이었으나, 2024년 8월 16일 제7보병사단으로 재배치[166] |
제16전투항공여단 |
이 외에도 제17야전포병여단, 제555공병여단, 제201전장감시여단 등도 제7보병사단에 편입되어 있다.
사단 본부는 약 250명 규모로, 예하 여단을 직접 지휘하지 않고 행정적인 감독 역할을 수행한다.[163] 주 임무는 병사들의 훈련 및 장비 상태를 점검하고, 예하 여단의 질서와 규율을 유지하는 것이다.[163]
3. 2. 이전
; 1963년~1971년, 1974년~1994년- 제7보병사단 1여단
- 제7보병사단 2여단
- 제7보병사단 3여단
; 1999년~2006년
- 제39별동보병여단 (강화됨) - 아칸소 육군 국가방위대
- 제41별동보병여단 (강화됨) - 오리건 육군 국가방위대
- 제45별동보병여단 (강화됨) - 오클라호마 육군 국가방위대
4. 명예 훈장 수여자
시대 | 이름 | 비고 |
---|---|---|
제2차 세계 대전 | 레오나드 C. 브로스트롬 | Leonard C. Brostrom영어 |
존 F. 토르슨 | John F. Thorson영어 | |
조 P. 마틴즈 | Joe P. Martinez영어 | |
한국 전쟁 | 찰리 H. 바커 | Charles H. Barker영어 |
레이몬드 하비 | Raymond Harvey영어 | |
에이나르 H. 인그먼, Jr. | Einar H. Ingman, Jr.영어 | |
윌리엄 F. 라이옐 | William F. Lyell영어 | |
조지프 C. 로드리게즈 | Joseph C. Rodriguez영어 | |
리처드 토머스 샤아 | Richard Thomas Shea영어 | |
대니얼 D. 스코노오버 | Daniel D. Schoonover영어 | |
잭 G. 한슨 | Jack G. Hanson영어 | |
랄프 E. 포메로이 | Ralph E. Pomeroy영어 | |
에드워드 R. 스코월터, Jr. | Edward R. Schowalter, Jr.영어 | |
밴저민 F. 윌슨 | Benjamin F. Wilson영어 | |
돈 C. 페이스, Jr. | Don C. Faith, Jr.영어 | |
앤서니 T. 카호ʻ오하노오하노 | Anthony_T._Kahoʻohanohano영어 | |
헨리 스베흘라 | Henry Svehla영어 |
사후에 수여받은 장병은 이름 끝에 십자가(†) 표식으로 구분하였다.
4. 1. 제2차 세계 대전

제7보병사단은 1944년 10월 11일 레이테로 향하기 위해 하와이를 출발했으며, 필리핀 연방군과 필리핀 경찰의 필리핀 군대가 일본에 대항하여 지원했다. 당시 사단은 제24군단의 지휘를 받았다. 10월 20일, 사단은 둘라그에 상륙하여 처음에는 가벼운 저항에 직면했다. 10월 26일 해상에서 패배한 후, 일본군은 제6군에 대한 대규모의 비조직적인 반격 작전을 시작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제184보병연대는 둘라그의 비행장을 확보했고, 제17보병연대는 산 파블로를 확보했으며, 제32보병연대는 부리를 점령했다. 제17보병연대 병력은 10월 29일 다가미를 점령하기 위해 북쪽으로 이동했는데, 격렬한 정글전으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 후 사단은 11월 25일 레이테 서해안으로 이동하여 오르모크를 향해 북쪽으로 공격하여 12월 25일 발렌시아를 확보했다. 제77보병사단의 수륙 양용 상륙 작전으로 1944년 12월 31일 오르모크가 함락되었다. 제7보병사단은 도시 점령에 참여하여 제26 일본 보병사단과 교전했는데, 이 부대는 제11공수사단의 진격을 막고 있었다. 제7사단의 공격은 제11공수사단의 진격을 가능하게 하는 데 성공했지만, 일본군은 그 지역에서 몰아내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레이테를 확보하기 위한 작전은 1945년 2월 초까지 계속되었다. 그 후 사단은 1945년 3월 내내 류큐 열도 침공을 위한 훈련을 시작했다. 제6군과 필리핀 연방군으로부터 해산되었으며, 이들은 루손섬을 공격했다.

제7보병사단은 새로 창설된 사령부인 제24군단, 제10군에 재배치되어 오키나와 공격 준비를 시작했다.[36][38] 오키나와 전투는 1945년 4월 1일 상륙일(L-Day)에 시작되었으며, 제7보병사단은 제96보병사단, 제1, 제6해병사단과 함께 오키나와 하기시 남쪽에서 상륙 작전에 참여했다.[39][40] 제3상륙군단 소속이었다.[41] 이 사단들은 결국 25만 명의 병력을 상륙시키는 공격의 선봉에 섰다.[42] 제7사단은 재빨리 가데나로 이동하여 비행장을 점령하고, 첫날 서쪽에서 동쪽 해안으로 진격했다.[43] 그 후 사단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며칠 후 슈리의 요새로부터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다.[41] 일본군은 90대의 전차와 대부분의 포병, 중화기를 해변에서 이 지역으로 이동시켰다.[44] 결국, 제24군단은 혹독한 날씨와 지형으로 인해 복잡했던 오키나와 남부의 언덕에서 51일간의 전투 끝에 방어선을 파괴했다.[29] 작전 중, 사단은 수만 발의 야포 공격을 받았으며, 섬 전체에서 계속 싸우면서 창으로 무장한 일본군과 마주쳤다.[45] 일본군은 또한 숨겨진 동굴 시스템, 저격수, 소규모 매복을 이용하여 제7보병사단의 진격을 지연시키는 비정규전을 펼쳤다.[46] 전투 후, 사단은 낮은 사기, 높은 사상자, 열악한 장비로 인해 전쟁에서 처음으로 많은 수의 일본군 포로를 포획하기 시작했다.[47] 사단은 나카구스쿠만과 스카이라인 능선 주변 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5일 동안 계속 싸웠다. 사단은 또한 전투에서 178고지를 확보했다.[48] 그 후 고치 능선으로 이동하여 2주간의 전투 끝에 확보했다. 39일간의 지속적인 전투 후, 제7보병사단은 심각한 사상자를 입고 예비대로 투입되었다.[49]

제96보병사단이 원추형 언덕을 확보한 후, 제7보병사단은 전선으로 복귀했다. 사단은 일본군의 저항이 가장 심했던 오자토 무라 남부 언덕으로 진격했다.[50] 사단은 제10군의 가장 왼쪽 측면에 배치되어 기넨 반도, 사시키, 하나구스쿠를 점령하고 일련의 일본군 반격을 격퇴했다.[51] 일본군의 격렬한 저항과 장기간의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사단은 1945년 6월 21일까지 진격을 계속하여 82일간의 전투를 치렀다.[52] 섬과 항복하는 병력은 다음 날 확보되었다.[42] 오키나와 전투 동안, 제7보병사단 병사들은 25,000명에서 28,000명의 일본군을 사살하고 4,584명의 포로를 잡았다.[8] 이에 반해, 제7사단은 208일간의 전투에서 2,340명이 사망하고 6,872명이 부상당하여 총 9,212명의 사상자를 냈다.[57][53] 사단은 제1군 산하 제24군단의 일원으로서 다운폴 작전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 이후 일본이 항복하면서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54]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7보병사단 병사들은 3개의 명예 훈장, 26개의 수훈 십자 훈장, 1개의 수훈장, 982개의 은성 훈장, 33개의 레지옹 도뇌르, 50개의 군인 훈장, 3,853개의 동성 훈장, 178개의 항공 훈장을 수여받았다.[19] 사단은 전쟁 중 4개의 캠페인 스트리머와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9] 3개의 명예 훈장은 레너드 C. 브로스트롬, 존 F. 손슨,[56] 및 조 P. 마르티네즈에게 수여되었다.[57]
4. 2. 한국 전쟁

대일 승전일 며칠 후, 제7보병사단은 대한민국으로 이동하여 남한 주둔 일본군의 항복을 받았다.[29] 전쟁 후, 이 사단은 한국과 일본에서 점령군으로 복무했다. 부대원 7,500명이 미국으로 귀환했고, 제184보병연대는 캘리포니아 육군 주방위군으로 재배치되어 사단의 전투력이 절반으로 줄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제31보병연대가 사단에 배속되었다.[58] 제7보병사단은 1948년까지 38선을 경계하며 한국에서 점령 임무를 수행하다가 일본으로 재배치되어 혼슈 북부와 홋카이도 전체를 담당했다.[59] 이 기간 동안 미 육군은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89개 사단이었지만, 1950년에는 제7보병사단이 미 육군에서 활동 중인 10개 사단 중 하나였다.[60] 이 사단은 제1기병사단, 제24보병사단, 제25보병사단과 함께 일본에서 점령 임무를 수행하는 병력 부족 사단 4개 중 하나였으며, 이들은 모두 미국 제8군의 통제를 받았다.[61][62]
사후에 수여받은 장병은 이름 끝에 십자가 표식으로 구분하였다.
이름 | 비고 |
---|---|
찰리 H. 바커 | Charles H. Barker영어 |
레이몬드 하비 | Raymond Harvey영어 |
에이나르 H. 인그먼, Jr. | Einar H. Ingman, Jr.영어 |
윌리엄 F. 라이옐 | William F. Lyell영어 |
조지프 C. 로드리게즈 | Joseph C. Rodriguez영어 |
리처드 토머스 샤아 | Richard Thomas Shea영어 |
대니얼 D. 스코노오버 | Daniel D. Schoonover영어 |
잭 G. 한슨 | Jack G. Hanson영어 |
랄프 E. 포메로이 | Ralph E. Pomeroy영어 |
에드워드 R. 스코월터, Jr. | Edward R. Schowalter, Jr.영어 |
밴저민 F. 윌슨 | Benjamin F. Wilson영어 |
돈 C. 페이스, Jr. | Don C. Faith, Jr.영어 |
앤서니 T. 카호ʻ오하노오하노 | Anthony_T._Kahoʻohanohano영어 |
헨리 스베흘라 | Henry Svehla영어 |
5. 기록
제7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1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4개, 한국 전쟁에서 10개, 파나마에서 1개의 종군 휘장을 받았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 각각 2개씩 총 4개의 부대 표창을 받았다.
5. 1. 소속
5. 2. 계보
- 1917년 12월 6일, 정규군에 배정되어 Headquarters, 7th Division|제7사단, 본부영어로 창설되었다.
- 1942년 4월 9일, Headquarters, 7th Motorized Division|제7차량화사단, 본부영어로 재편성되었다.
- 1943년 1월 1일, Headquarters, 7th Infantry Division|제7보병사단, 본부영어로 재편성되었다.
- 1960년 7월 1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7th Infantry Division|제7보병사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로 재편성되었다.
5. 3. 전역
분쟁 | 스트리머 | 년도 |
---|---|---|
제1차 세계 대전 | 로렌 | 1918 |
제2차 세계 대전 | 알류샨 열도 | 1943 |
제2차 세계 대전 | 동부 위임통치령 | 1944 |
제2차 세계 대전 | 레이테 섬 | 1945 |
제2차 세계 대전 | 류큐 | 1945 |
한국 전쟁 | UN 방어 | 1950 |
한국 전쟁 | UN 공세 | 1950 |
한국 전쟁 | 중공군 개입 | 1950 |
한국 전쟁 | 제1차 UN 반격 | 1950 |
한국 전쟁 | 중공군 춘계 공세 | 1951 |
한국 전쟁 | UN 하계-추계 공세 | 1951 |
한국 전쟁 | 제2차 한국 동계 | 1951–1952 |
한국 전쟁 | 한국, 1952년 하계-추계 | 1952 |
한국 전쟁 | 제3차 한국 동계 | 1952–1953 |
한국 전쟁 | 한국, 1953년 하계 | 1953 |
군대 원정 | 파나마 | 1989 |
5. 4. 스트리머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