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나카소네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나카소네 내각은 1983년 12월 18일의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과반수 확보에 실패함에 따라 신자유클럽과의 연립 정권으로 출범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았으며, 행정 개혁 및 민영화 추진, 나카소네 리더십 강화, 외교 및 국제 관계 등이 주요 정책 및 사건이었다. 1984년 7월 1일에는 총리부 총무장관 및 행정관리청이 폐지되고 총무청이 설치되는 등 일부 조직 개편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일본 - 제1차 나카소네 내각
나카소네 야스히로를 총리로 출범한 제1차 나카소네 내각은 한일 관계 개선, 도시 재개발 규제 완화, 공기업 민영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했으나, 록히드 사건 연루 의혹, 신자유주의 정책,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역사 교과서 문제 등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 1983년 일본 - 동해 중부 지진
1983년 동해에서 발생한 동해 중부 지진은 판 경계형 지진으로 추정되며, 일본과 한국 등 주변 지역에 지진해일 피해를 야기하여 쓰나미 경보 체계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1차 개조)
나카소네 야스히로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는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1차 개조)은 1984년 11월 1일부터 1985년 12월 28일까지 존속한 일본 내각으로, 각 부처 대신, 정무 차관, 내각 관방부장관, 내각법제국 장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제1차 나카소네 내각
나카소네 야스히로를 총리로 출범한 제1차 나카소네 내각은 한일 관계 개선, 도시 재개발 규제 완화, 공기업 민영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했으나, 록히드 사건 연루 의혹, 신자유주의 정책,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역사 교과서 문제 등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 1984년 일본 - 글리코·모리나가 사건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일본에서 발생한 글리코·모리나가 사건은 괴도 21면상을 자칭하는 범인들이 글리코 사장 유괴를 시작으로 글리코와 모리나가 제과 등 식품 회사를 협박하며 청산가리를 넣은 과자를 유통시키겠다고 위협한 미해결 기업 협박 사건이다. - 1984년 일본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1차 개조)
나카소네 야스히로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는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1차 개조)은 1984년 11월 1일부터 1985년 12월 28일까지 존속한 일본 내각으로, 각 부처 대신, 정무 차관, 내각 관방부장관, 내각법제국 장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제2차 나카소네 내각 | |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 |
기본 정보 | |
내각 번호 | 72대 |
관할 국가 | 일본 |
![]() | |
출범일 | 1983년 12월 27일 |
해산일 | 1984년 11월 1일 |
국가 원수 | 쇼와 |
정부 수반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여당 | 자유민주당 신자유클럽 |
야당 | 일본사회당 공명당 민주사회당 일본공산당 |
의회 현황 | 과반수 정부 (중의원) |
이전 내각 | 제1차 나카소네 내각 |
다음 내각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1차 개조) |
외부 링크 | |
수상 관저 | 수상 관저 공식 웹사이트 |
각료 명단 | 역대 내각 각료 명단 |
2. 성립 배경
1983년 12월 18일에 실시된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과반수 의석 확보에 실패하여 크게 패하였다. 이에 자유민주당은 신 자유 클럽과 연립 정권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1955년 이후 28년간 지속된 자유민주당 단독 정권은 일단 종료되었다.[5]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크게 패하면서, 신 자유 클럽과의 연립 내각을 구성했다. 이로 인해 1955년 이후 28년간 지속된 자유민주당 단독 정권은 일단 막을 내렸다.[5] 1984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나카소네는 무투표로 재선에 성공했다.[5]
3. 주요 정책 및 사건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는 '전후 정치의 총결산'을 표방하며 일본 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을 추진했다.[5] 주요 정책 및 사건은 다음과 같다.3. 1. 행정 개혁 및 민영화 추진
1984년 7월 1일, 행정관리청 등이 폐지되고 총무청이 발족되면서 고토다 마사하루가 총무청 장관으로 취임했다.[5] 같은 해 8월에는 일본전매공사 민영화법이, 12월에는 일본전신전화공사 민영화법이 각각 성립되었다.[5] 1986년 5월에는 '민간 사업자의 능력의 활용에 의한 특정 시설 정비의 촉진에 관한 임시 조치법'(민활법)이 제정되었다.[5]
3. 2. 나카소네 리더십 강화
1985년 2월, '다나카소네 내각'[5]이라고 불릴 정도로 정권에 영향력이 컸던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가 뇌경색으로 장기 입원했다. 이로 인해 '포스트 나카소네'를 노리는 뉴 리더들의 파워 밸런스 위에 나카소네가 서는 형태가 되면서 나카소네의 리더십이 강화되었다. 같은 해, 나카소네는 당 세미나에서 방위비 1% 범위 철회 의견을 제출했다.[2]
3. 3. 외교 및 국제 관계
1984년 1월 5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5] 1985년 8월 15일, 나카소네 총리를 비롯한 내각 각료 전원이 야스쿠니 신사를 공식 참배했다.[5] 이러한 참배는 중국 공산당의 대일 우호 정책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나카소네와 친분이 있던 후야오방의 실각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5]
1986년에는 도쿄에서 G7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5]
3. 4. 기타
4. 내각 구성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자유민주당과 신자유클럽의 연립 내각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1] 1984년 11월 1일에는 첫 번째 내각 개각이 이루어졌다.
직책 | 장관 | 정당 | 특별 임무 등 | 비고 | |
---|---|---|---|---|---|
내각총리대신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자유민주당 | |||
법무대신 | 스미 에이사쿠 | 자유민주당 | |||
외무대신 | 아베 신타로 | 자유민주당 | |||
재무대신 | 다케시타 노보루 | 자유민주당 | |||
문부대신 | 모리 요시로 | 자유민주당 | |||
보건대신 | 와타나베 고조 | 자유민주당 | |||
농림수산대신 | 야마무라 신지로 | 자유민주당 | |||
통상산업대신 |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 자유민주당 | |||
운수대신 | 호소다 기치조 | 자유민주당 | |||
우정대신 | 오쿠다 케이와 | 자유민주당 | |||
노동대신 | 사카모토 미소지 | 자유민주당 | |||
건설대신 | 미즈노 기요시 | 자유민주당 | |||
내무대신 내각공안위원회 위원장 | 타가와 세이이치 | 신자유클럽 | |||
내각관방장관 | 후지나미 타카오 | 자유민주당 | |||
내각부] 장관, 오키나와 지역개발청장 | 나카니시 이치로 | 자유민주당 | 위기관리 담당 베를린 주재 전 일본대사관 재이용 문제 담당 | 1984년 7월 1일 폐지 | |
관리조정청장 | 고토다 마사하루 | 자유민주당 | 1984년 7월 1일 설치 | ||
홋카이도 지역개발청장 국토청장 | 이나무라 사콘시로 | 자유민주당 | |||
방위청장 | 쿠리하라 유코 | 자유민주당 | |||
경제기획청장 | 코모토 도시오 | 자유민주당 | 외국 경제 및 민간 부문 활력 도입 담당 | ||
과학기술청장 | 이스루기 미치유키 | 자유민주당 | |||
환경청장 | 우에다 미노루 | 자유민주당 | |||
내각관방 부장관 | 미즈히라 토요히코, 후지모리 쇼이치 | 자유민주당, 관료 | 정무 담당, 총무 담당 | ||
내각법제국 국장 | 모구시 타카시 | 관료 | |||
내각관방 부장관 내각부 담당 | 호리우치 미쓰오, 야마지 스스무 | 자유민주당, 관료 | 정무 담당, 총무 담당 1984년 7월 1일 폐지 | ||
colspan="6" bgcolor="#eeeeee" | | |||||
[1] |
직책 | 장관 | 정당 | 특별 임무 등 | 참고 | |
---|---|---|---|---|---|
총리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자유민주당 | |||
법무대신 | 시마사키 히토시 | 자유민주당 | |||
외무대신 | 아베 신타로 | 자유민주당 | |||
재무대신 | 다케시타 노보루 | 자유민주당 | |||
문부대신 | 마츠나가 히카루 | 자유민주당 | |||
보건대신 | 마스오카 히로유키 | 자유민주당 | |||
농림수산대신 | 사토 모리요시 | 자유민주당 | |||
통상산업대신 | 무라타 케이지로 | 자유민주당 | |||
운수대신 | 야마시타 도쿠오 | 자유민주당 | 신 도쿄 국제공항 문제 담당 | ||
우정대신 | 사토 메구무 | 자유민주당 | |||
노동대신 | 야마구치 도시오 | 신자유 클럽 | |||
건설대신 | 키베 요시아키 | 자유민주당 | |||
내무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후루야 토오루 | 자유민주당 | |||
내각관방장관 | 후지나미 타카오 | 자유민주당 | |||
관리조정청 장관 | 고토다 마사하루 | 자유민주당 | |||
국토청 장관 홋카이도 지역개발청 장관 | 카와모토 가쿠조 | 자유민주당 | |||
오키나와 지역개발청 장관 | 코모토 도시오, 후지모토 타카오 | 자유민주당 | 외국 경제 및 민간 부문 활력 도입 담당 | 1985년 8월 14일 코모토 도시오 사임, 후지모토 타카오 임명 | |
방위청 장관 | 가토 고이치 (정치인, 1939년생) | 자유민주당 | |||
경제기획청 장관 | 카네코 이페이 | 자유민주당 | |||
과학기술청 장관 | 타케우치 레이이치 | 자유민주당 | 원자력위원회 위원장 | ||
환경청 장관 | 이시모토 시게루 | 자유민주당 | |||
내각부총리 | 야마사키 타쿠, 후지모리 쇼이치 | 자유민주당, 관료 | 정무 담당, 총무 담당 | ||
내각법제국 국장 | 모구시 타카시 | 관료 | |||
colspan="6" bgcolor="#eeeeee" | | |||||
[1] |
4. 1. 국무대신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직책 | 성명 | 정당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자유민주당 | 자유민주당 총재 유임 |
법무대신 | 스미 에이사쿠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외무대신 | 아베 신타로 | 자유민주당 | 유임 |
대장대신 | 다케시타 노보루 | 자유민주당 | 유임 |
문부대신 | 모리 요시로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후생대신 | 와타나베 고조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농림수산대신 | 야마무라 신지로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통상산업대신 |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운수대신 | 호소다 기치조 | 자유민주당 | 재입각 |
우정대신 | 오쿠다 게이와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노동대신 | 사카모토 미소지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건설대신 | 미즈노 기요시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타가와 세이이치 | 신자유클럽 | 초임 각료 |
내각관방장관 | 후지나미 다카오 | 자유민주당 | 재입각 |
총리부 총무장관(1984년 7월 1일 폐지), 오키나와 개발청 장관 | 나카니시 이치로 | 자유민주당 | 위기관리 담당, 베를린 주재 전 일본대사관 재이용 문제 담당[3][4], 초임 각료 |
고토다 마사하루 | 자유민주당 | 행정관리청 장관(1984년 7월 1일 폐지), 재입각 | |
총무청 장관(1984년 7월 1일 설치) | |||
국토청 장관,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 이나무라 사콘시로 | 자유민주당 | 재입각 |
방위청 장관 | 구리하라 유코 | 자유민주당 | 재입각 |
경제기획청 장관 | 고모토 도시오 | 자유민주당 | 외국 경제 및 민간 부문 활력 도입 담당, 재입각 |
과학기술청 장관 | 이스루기 미치유키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환경청 장관 | 우에다 미노루 | 자유민주당 | 초임 각료 |
내각법제국 장관 | 모구시 다카시 | 무소속 | |
내각관방부장관(정무) | 미즈히라 도요히코 | 자유민주당 | |
내각관방부장관(사무) | 후지모리 쇼이치 | 무소속 | |
총리부 총무부장관(정무, 1984년 7월 1일 폐지) | 호리우치 미쓰오 | 자유민주당 | |
총리부 총무부장관(사무, 1984년 7월 1일 폐지) | 야마지 스스무 | 무소속 |
4. 2.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장관·총리부총무부장관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2차 나카소네 내각의 내각관방부장관은 정무 담당 미즈히라 도요히코, 사무 담당 후지모리 쇼이치였다.[1] 내각법제국 장관은 모구시 다카시였다.[1] 1984년 7월 1일 총리부 총무부장관 직제가 폐지되기 전까지 정무 담당은 호리우치 미쓰오, 사무 담당은 야마지 스스무였다.[1]직책 | 이름 | 출신 등 | 비고 |
---|---|---|---|
내각관방부장관 | 미즈히라 도요히코 | 중의원, 자민당 | 정무 담당 |
후지모리 쇼이치 | 관료 | 사무 담당 | |
내각법제국장관 | 모구시 다카시 | 관료 | |
총리부 총무부장관 | 호리우치 미쓰오 | 중의원, 자민당 | 정무 담당, 1984년 7월 1일 폐지 |
야마지 스스무 | 관료 | 사무 담당, 1984년 7월 1일 폐지 |
4. 3. 정무차관 (제2차 나카소네 내각)
1983년 12월 28일에 임명된 정무차관은 다음과 같다.직책 | 성명 | 출신 등 | 비고 |
---|---|---|---|
법무 정무차관 | 세키구치 게이조 | 참의원/자유민주당(스즈키파) | |
외무 정무차관 | 기타가와 이시마쓰 | 중의원/자유민주당(가와모토파) | |
대장 정무차관 | 호리노우치 히사오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이노우에 유타카 | 참의원/자유민주당(다나카파) | ||
문부 정무차관 | 나카무라 야스시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후생 정무차관 | 유카와 히로시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농림 수산 정무차관 | 시마무라 요시노부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나카가와 유키오 | 참의원/자유민주당 | ||
통상 산업 정무차관 | 사토 신지 | 중의원/자유민주당(다나카파) | |
오키 히로시 | 참의원/자유민주당(다나카파) | ||
운수 정무차관 | 쓰시마 유지 | 중의원/자유민주당(스즈키파) | |
우정 정무차관 | 세키야 가쓰쓰구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노동 정무차관 | 쓰카하라 슌페이 | 중의원/자유민주당(후쿠다파) | |
건설 정무차관 | 이토야마 에이타로 | 중의원/자유민주당 | |
자치 정무차관 | 이토 고스케 | 중의원/신자유클럽 | |
총무 정무차관 | 호리우치 미쓰오 | 중의원/자유민주당(스즈키파) | ※1984년 7월 1일 임명. |
홋카이도 개발 정무차관 | 다카기 마사아키 | 참의원/자유민주당(다나카파) | |
방위 정무차관 | 나카무라 기시로 | 중의원/자유민주당(다나카파) | |
경제 기획 정무차관 | 야마사키 다케사부로 | 중의원/자유민주당 | |
과학 기술 정무차관 | 오카베 사부로 | 참의원/자유민주당 | |
환경 정무차관 | 가키자와 고지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오키나와 개발 정무차관 | 오시로 신준 | 참의원/자유민주당(다나카파) | |
국토 정무차관 | 나카가와 히데나오 | 중의원/자유민주당(후쿠다파) |
5. 평가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일본 경제의 호황기에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 과거사 문제로 인해 주변국과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1]
5. 1. 긍정적 평가
나카소네 야스히로일본어 내각은 일본 국철 개혁을 추진하여 국철을 분할 민영화하고, 전신전화공사(NTT)와 전매공사(JT)를 민영화하는 등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하였다.[1] 이러한 개혁은 공공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쟁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 평가받는다.5. 2. 부정적 평가
第2次中曽根内閣일본어는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가 이끌던 내각으로, 여러 문제점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참조
[1]
웹사이트
第72代 中曽根 康弘|歴代内閣
https://www.kantei.g[...]
Prime Minister's Official Residence
2023-10-08
[2]
웹사이트
衆議院会議録情報 第098回国会 本会議 第23号
https://kokkai.ndl.g[...]
[3]
뉴스
旧ベルリン大使館再利用問題も担当 中西特命事項相
朝日新聞
1984-07-04
[4]
문서
旧大使館問題担当相には1984(昭和59)年7月4日に就任
[5]
문서
별명을 ‘직각 내각’(直角内閣)이라고도 불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