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72년에 실시되었다.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시기에 치러졌으며, 오키나와 반환에 따른 국정 참가 선거와 중선거구제, 소선거구제로 진행되었다. 주요 정당으로는 자유민주당, 일본사회당, 일본공산당, 공명당, 민사당 등이 참여했다. 선거 결과, 자유민주당이 원내 제1당을 유지했고, 일본공산당이 약진했다. 선거 후 미키 다케오 내각이 출범했으며, '일표의 격차' 소송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선거 -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90년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김일성 주석의 권력 승계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되며, 조선로동당의 의석 감소와 다른 정당 및 단체의 의석 확보라는 특이한 결과를 가져왔다.
  • 1972년 선거 - 197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197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빌리 브란트 총리가 이끄는 사민당-자민당 연립 정부의 신임을 묻기 위해 실시된 조기 총선으로, 사민당이 처음으로 기민련을 제치고 제1당이 되어 브란트 총리가 재신임에 성공했으며 서독 역사상 최고 투표율을 기록했다.
  • 1972년 12월 -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90년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김일성 주석의 권력 승계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되며, 조선로동당의 의석 감소와 다른 정당 및 단체의 의석 확보라는 특이한 결과를 가져왔다.
  • 1972년 12월 - 라인배커 II 작전
    라인배커 II 작전은 1972년 12월 미국이 베트남 전쟁 종결을 위해 북베트남에 감행한 대규모 공습 작전으로, 파리 평화 협상 교착 상태를 타개하고 북베트남을 협상 테이블로 복귀시키기 위해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명령으로 시작되어 B-52 폭격기를 중심으로 북베트남의 주요 도시와 군사 시설에 집중적으로 폭격을 가했다.
  • 1972년 일본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은 다나카 가쿠에이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고도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중국과의 국교 정상화를 이루었으나, 정치자금 비리 의혹, 환경 문제, 사회적 불평등 심화, 석유파동 등으로 비판받으며 다나카의 퇴진으로 막을 내렸다.
  • 1972년 일본 - 센니치 백화점 화재
    센니치 백화점 화재는 1972년 일본 오사카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118명이 사망하고 81명이 부상했으며, 노후 건물, 방화 관리 미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피해가 커졌고, 일본 소방법령 개정의 계기가 되었다.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도
1972년 일본 총선거, 정당별 득표율
각 선거구의 정당별 득표율
선거 정보
국가일본
선거 유형의회
이전 선거1969년 일본 총선거
이전 선거 연도1969년
선거일1972년 12월 10일
다음 선거1976년 일본 총선거
다음 선거 연도1976년
선출 의석491
과반 의석246
투표율71.76%
선거 결과
총리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소속 정당 (선거 전)자유민주당
총리 소속 정당 (선거 후)자유민주당
정당별 결과
정당자유민주당
정당 대표다나카 가쿠에이
이전 선거 득표율47.63%
획득 의석271석
의석 변동17
득표수24,563,199
득표율46.85%
득표율 변동0.78pp
정당일본사회당
정당 대표나리타 도모미
이전 선거 득표율21.44%
획득 의석118석
의석 변동28
득표수11,478,742
득표율21.90%
득표율 변동0.46pp
정당일본공산당
정당 대표미야모토 겐지
이전 선거 득표율6.81%
획득 의석38석
의석 변동24
득표수5,496,827
득표율10.49%
득표율 변동3.68pp
정당공명당
정당 대표다케이리 요시카쓰
이전 선거 득표율10.91%
획득 의석29석
의석 변동18
득표수4,436,755
득표율8.46%
득표율 변동2.45pp
정당민주사회당
정당 대표가스가 잇코
이전 선거 득표율7.74%
획득 의석19석
의석 변동12
득표수3,660,953
득표율6.98%
득표율 변동0.76pp
기타
해산 명칭일중 해산

2. 선거 배경

2. 1.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의 등장

제1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제64대) 시기에 내각총리대신이자 제6대 자유민주당 총재였던 다나카 가쿠에이가 집권하였다. 다나카 가쿠에이는 일중 국교 정상화와 같은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다. 선거 후에는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제65대)이 구성되었으며, 다나카 가쿠에이는 계속해서 내각총리대신 및 자유민주당 총재직을 유지했다.

2. 2. 오키나와 반환과 국정 참가 선거

1970년(쇼와 45년), 국정 참가 선거에 따라 오키나와현 전현구(정수 5)에서 선거가 실시됨에 따라 의원 정수가 증원되었다.

2. 3. 선거 제도

이번 총선거는 중선거구제소선거구제로 치러졌다. 중선거구제에서는 3인 선거구 43곳, 4인 선거구 39곳, 5인 선거구 41곳에서 의원을 선출했다. 소선거구제에서는 1인 선거구 1곳에서 의원을 선출했다.

투표는 비밀투표와 단기투표 방식으로 1표를 행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선거권은 만 20세 이상의 일본 국민에게 주어졌으며, 피선거권은 만 25세 이상의 일본 국민(전후 출생으로 선거권을 얻은)에게 주어졌다.

3. 주요 정당 및 후보

자유민주당다나카 가쿠에이 총재 하에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참여했다. 다나카 가쿠에이는 '일본열도개조론'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당시 자민당은 여러 파벌로 나뉘어 있었다. 주요 파벌로는 후쿠다 다케오의 팔일회(55석), 다나카 가쿠에이의 칠일회(49석), 오히라 마사요시의 코치카이(45석),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신정동지회(38석), 미키 다케오의 정책담화회(36석) 등이 있었다. 이 외에도 시이나 에쓰사부로의 교우클럽(18석), 미즈타 미키오의 다쓰미카이(13석) 등이 있었다.

선거 결과, 자민당은 271석을 획득하여 원내 제1당을 유지했다.

일본사회당은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118석을 획득하여 제2당의 위치를 유지했다. 나리타 토모미(成田知巳) 위원장을 중심으로 선거에 임했으나, 일본공산당과의 관계 설정 및 당내 좌우파 간의 노선 갈등은 주요 과제로 남아 있었다.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공산당은 의석 수를 크게 늘리며 약진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일본 사회의 변화와 함께, 공산당이 제시한 정책들이 국민들의 지지를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본공산당은 미야모토 겐지(宮本顕治) 위원장, 노사카 산조(野坂参三) 의장, 후와 테쓰조(不破哲三) 서기국장 등을 중심으로 선거 운동을 전개했다.

당시 일본공산당은 38석을 얻어, 선거전에 비해 의석이 24석이 증가했다. 득표율은 10.49%였다.

공명당은 1964년에 창당된 일본의 정당이다. 타케이리 요시카쓰(竹入義勝) 위원장을 중심으로 아사이 미유키(浅井美幸), 타다 쇼고(多田省吾), 니노미야 ぶんぞう(二宮文造) 부위원장, 야노 아야야(矢野絢也) 서기장 등이 당을 이끌었다.

공명당은 창가학회를 지지 기반으로 하며, 주요 정책으로는 중도주의, 인간적 사회주의, 평화주의 등을 내세웠다. 이번 선거에서는 '언론 출판 방해 사건'으로 인해 지지율이 하락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공명당은 59명의 후보를 공천하였고, 그 결과 29석을 획득하여 원내 제4당의 지위를 유지하였다. 이는 지난 총선거에 비해 의석수가 감소한 결과였다. 득표율은 8.46%를 기록했다.

민사당은 제29회 총선 이후 최저 의석인 19석을 획득하며 의석수가 크게 줄었다. 카스가 가즈유키(春日一幸) 위원장, 사사키 요우사쿠(佐々木良作) 서기장, 타케모토 손이치(竹本孫一) 정책심의회장, 이케다 테이지(池田禎治) 국회대책위원장, 무카이 나가토시(向井長年) 참의원 의원회장 등의 지도부 체제로 운영되었다. 가타야마 테쓰(片山哲), 니시오 스에히로(西尾末広)는 상임고문으로 활동했다.

오키나와에서는 오키나와사회대중당의 안리 쓰미치요와 오키나와인민당의 세나가 키지로가 각각 오키나와 전현구에서 당선되었다.

3. 1. 자유민주당 (자민당)

자유민주당다나카 가쿠에이 총재 하에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참여했다. 다나카 가쿠에이는 '일본열도개조론'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당시 자민당은 여러 파벌로 나뉘어 있었다. 주요 파벌로는 후쿠다 다케오의 팔일회(55석), 다나카 가쿠에이의 칠일회(49석), 오히라 마사요시의 코치카이(45석),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신정동지회(38석), 미키 다케오의 정책담화회(36석) 등이 있었다. 이 외에도 시이나 에쓰사부로의 교우클럽(18석), 미즈타 미키오의 다쓰미카이(13석) 등이 있었다.

선거 결과, 자민당은 271석을 획득하여 원내 제1당을 유지했다.

3. 2. 일본사회당

일본사회당은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118석을 획득하여 제2당의 위치를 유지했다. 나리타 토모미(成田知巳) 위원장을 중심으로 선거에 임했으나, 일본공산당과의 관계 설정 및 당내 좌우파 간의 노선 갈등은 주요 과제로 남아 있었다.

3. 3. 일본공산당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공산당은 의석 수를 크게 늘리며 약진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일본 사회의 변화와 함께, 공산당이 제시한 정책들이 국민들의 지지를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본공산당은 미야모토 겐지(宮本顕治) 위원장, 노사카 산조(野坂参三) 의장, 후와 테쓰조(不破哲三) 서기국장 등을 중심으로 선거 운동을 전개했다.

당시 일본공산당은 38석을 얻어, 선거전에 비해 의석이 24석이 증가했다. 득표율은 10.49%였다.

정당남성여성공시전
bgcolor="#DB001C" |일본공산당122117514



글자색
배경색에 흰색 글자
배경색에 검정색 글자


3. 4. 공명당

공명당은 1964년에 창당된 일본의 정당이다. 타케이리 요시카쓰(竹入義勝) 위원장을 중심으로 아사이 미유키(浅井美幸), 타다 쇼고(多田省吾), 니노미야 ぶんぞう(二宮文造) 부위원장, 야노 아야야(矢野絢也) 서기장 등이 당을 이끌었다.

공명당은 창가학회를 지지 기반으로 하며, 주요 정책으로는 중도주의, 인간적 사회주의, 평화주의 등을 내세웠다. 이번 선거에서는 '언론 출판 방해 사건'으로 인해 지지율이 하락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공명당은 59명의 후보를 공천하였고, 그 결과 29석을 획득하여 원내 제4당의 지위를 유지하였다. 이는 지난 총선거에 비해 의석수가 감소한 결과였다. 득표율은 8.46%를 기록했다.

3. 5. 민사당

민사당은 제29회 총선 이후 최저 의석인 19석을 획득하며 의석수가 크게 줄었다. 카스가 가즈유키(春日一幸) 위원장, 사사키 요우사쿠(佐々木良作) 서기장, 타케모토 손이치(竹本孫一) 정책심의회장, 이케다 테이지(池田禎治) 국회대책위원장, 무카이 나가토시(向井長年) 참의원 의원회장 등의 지도부 체제로 운영되었다. 가타야마 테쓰(片山哲), 니시오 스에히로(西尾末広)는 상임고문으로 활동했다.

정당남성여성공시전
bgcolor="" |민사당6564129


3. 6. 기타 정당 및 무소속

오키나와에서는 오키나와사회대중당의 안리 쓰미치요와 오키나와인민당의 세나가 키지로가 각각 오키나와 전현구에서 당선되었다.

4. 선거 결과

wikitext

정당득표합계
득표수%+/–의석+/–
bgcolor="" |자유민주당24,563,19946.85–0.78271–17
bgcolor="" |일본사회당11,478,74221.90+0.46118+28
bgcolor="" |일본공산당5,496,82710.49+3.6838+24
bgcolor="" |공명당4,436,7558.46–2.4529–18
bgcolor="" |민사당3,660,9536.98–0.7619–12
기타 정당143,0190.27+0.102+2
bgcolor="#808080" |무소속2,645,5825.05–0.2514–2
colspan="7" bgcolor="#E9E9E9" |
52,425,0791000491+5
colspan="7" bgcolor="#E9E9E9" |
유효표52,425,07999.04bgcolor="#E9E9E9" colspan="3" rowspan="5" |
무효 및 백지표510,2340.96
투표 / 투표율52,935,31371.26
기권20,834,32328.74
유권자73,769,636bgcolor="#E9E9E9" |



자유민주당은 24,563,199표(46.85%)를 득표하여 271석을 획득했지만, 지난 선거에 비해 의석수가 17석 감소했다. 일본사회당은 11,478,742표(21.90%)를 득표하여 118석을 획득, 28석을 늘렸다. 일본공산당은 5,496,827표(10.49%)를 득표하여 38석을 얻어 24석이 증가했다. 공명당은 4,436,755표(8.46%)를 득표하여 29석을 획득했으나, 18석이 감소했다. 민사당은 3,660,953표(6.98%)를 득표하여 19석을 얻어 12석이 감소했다. 기타 정당은 143,019표(0.27%)를 얻어 2석(2석 증가), 무소속은 2,645,582표(5.05%)를 얻어 14석(2석 감소)을 획득했다.

4.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wikitext

정당득표합계
득표수%+/–의석+/–
bgcolor="" |자유민주당24,563,19946.85–0.78271–17
bgcolor="" |일본사회당11,478,74221.90+0.46118+28
bgcolor="" |일본공산당5,496,82710.49+3.6838+24
bgcolor="" |공명당5,496,8278.46–2.4529–18
bgcolor="" |민사당3,660,9536.98–0.7619–12
기타정당143,0190.27+0.102+2
bgcolor="#808080" |무소속2,645,5825.05–0.2514–2
colspan="7" bgcolor="#E9E9E9" |
52,425,0791000491+5
colspan="7" bgcolor="#E9E9E9" |
유효표52,425,07999.04bgcolor="#E9E9E9" colspan="3" rowspan="5" |
무효 및 백지표510,2340.96
투표 / 투표율52,935,31371.26
기권20,834,32328.74
유권자73,769,636bgcolor="#E9E9E9" |



자유민주당은 24,563,199표(46.85%)를 득표하여 271석을 획득했지만, 지난 선거에 비해 의석수가 17석 감소했다. 일본사회당은 11,478,742표(21.90%)를 득표하여 118석을 획득, 28석을 늘렸다. 일본공산당은 5,496,827표(10.49%)를 득표하여 38석을 얻어 24석이 증가했다. 공명당은 4,436,755표(8.46%)를 득표하여 29석을 획득했으나, 18석이 감소했다. 민사당은 3,660,953표(6.98%)를 득표하여 19석을 얻어 12석이 감소했다. 기타 정당은 143,019표(0.27%)를 얻어 2석(2석 증가), 무소속은 2,645,582표(5.05%)를 얻어 14석(2석 감소)을 획득했다.

4. 2. 주요 당선자

이 선거에서는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무라야마 도미이치를 비롯해 YKK 트리오 3인방(야마자키 타쿠, 고이즈미, 가토 고이치)와 미즈카 히로시, 가와라 치카라, 야스오카 코우지 등이 초선 의원이었다. 도쿄도지사를 역임한 이시하라 신타로도 이때 초선으로 당선되었다. 노다 타케시는 2021년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낙선할 때까지 48년간 의석을 지켰다. 단, 야마자키, 이시하라, 야스오카는 당선 후 자민당에 입당했다.

정당이름
자유민주당고이즈미 준이치로
가토 고이치
미즈카 히로시
가와라 치카라
오이시 센파치
카스가야 시게루
쿠리하라 마사유키※
코바야시 마사미
시가 세츠
토이다 사부로
노다 타케시
무라오카 케이조
카타오카 세이이치
소메야 마코토
오치 토시오
미에다 사부로
타케나카 슈이치
하뉴다 스스무
다카하시 센주
와타나베 히로미
하타노 신이치
타나카 사토루
우에다 시게유키
마에다 지이치로
하기와라 유키오
아이노 코이치로
일본사회당이나바 세이이치※
이와타리 토시키오
오카다 테츠지
오가와 쇼고
가토 키요마사
카네세 토시오
카네코 미츠
우에사카 노보루
쿠보 히토시
사카모토 쿄이치
사토 케이지
시마자키 유즈루
시마다 타쿠로
시미즈 노리마츠
타카자와 토라오
타구치 카즈오
타케무라 유키오
츠카다 쇼헤이
나카무라 시게루
노사카 코켄
바바 노보루
무라야마 도미이치
야마다 요시하루
요시다 노리하루※
와다 사다오
와타나베 사부로
일본공산당아라키 히로시
이사야마 히로시
이시모다 타츠
우메다 마사루
카네코 마츠히로
칸자키 토시오
키노시타 겐지
쿠리타 미도리
콘노 요지로
시바타 무츠오
쇼지 코스케
세자키 히로유키
타다 미츠오
츠키네 유킨
나카가와 리사부로
나카지 마사히로
나카지마 타케토시
노마 유이치
히라타 후지키치
마스모토 카즈히코
마사모리 세이지
미우라 히사시
미타니 슈지
무라카미 히로시
공명당사카구치 리키
다카하시 시게루
민사당미야타 사나에
무소속이마이 이사무
이시하라 신타로
시마다 야스오
스미 에이사쿠
타나카 미치코
나카오 히로시
하야시 다이칸
후카야 타카시
미야자키 모이치
야스오카 코우지
야마자키 타쿠
요시나가 하루이치



※: 참의원 의원 경험자

4. 3. 보궐선거

1973년 12월 23일, 후쿠오카 3구에서 기키 쇼리(鬼木勝利)와 나라하시 신(楢橋進)의 사망으로 인해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공명당 후보와 자유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 외 지역구에서는 의원 사망 및 사퇴로 보궐선거 요인이 발생했으나,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다.

5. 선거 이후

5. 1. 정계 개편 논의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일본 정계 개편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5. 2. 미키 다케오 내각 출범

1972년 12월 22일, 제71회 국회(임시회)에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가 실시되었다. 중의원 의결 결과,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栄) (자민당)가 280표를 얻어 총리로 지명되었다. 이후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이 지속되다가, 1974년 12월 9일 제74회 국회(임시회)에서 다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가 열렸다. 이 선거에서는 미키 다케오(三木武夫) (자민당)가 278표를 획득하여 새로운 총리로 선출되었다.

5. 3. '일표의 격차' 소송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統計局ホームページ/第27章 公務員・選挙 http://www.stat.go.j[...] 2012-12-19
[2] 서적 田中政権 八八六日 行政問題研究所 1982
[3] 서적 田中政権 八八六日 行政問題研究所 1982
[4] 웹사이트 議員定数不均衡訴訟 衆議院中選挙区違憲判決(昭和51年) 上告審 https://www.cc.kyoto[...] 2019-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